KR101975738B1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Google Patents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738B1 KR101975738B1 KR1020190006967A KR20190006967A KR101975738B1 KR 101975738 B1 KR101975738 B1 KR 101975738B1 KR 1020190006967 A KR1020190006967 A KR 1020190006967A KR 20190006967 A KR20190006967 A KR 20190006967A KR 101975738 B1 KR101975738 B1 KR 101975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pport frame
- dustproof
- corner
- roofto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EQAOMBKQFMDFZ-UHFFFAOYSA-N glyoxal Chemical compound O=CC=O LEQAOMBKQFMD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옥상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를 지지하는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내측에 위치시키는 돌출지지프레임(10)과; 돌출지지프레임(10)을 옥상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옥상착탈고정부(20)(120)와; 돌출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30)와; 돌출지지프레임(10)과 지면고정부(3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40)와; 형태와이어(4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50)와;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네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도장을 위하여 페인트 스프레이 작업을 할 때, 작업자를 감쌈으로써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주의에 의하여 작업자가 추락시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외벽은 페인트로 도장되는데, 페인트 도장면은 비바람 및 각종 공해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서서히 벗겨지거나 변색되고, 결국 건물의 미관은 서서히 노후화된다.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은 5~7년 단위로 재도장을 하는데, 재도장은 건물 옥상에 밧줄을 매달고, 작업자가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페인트 스프레이를 분무하는 노즐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수행되었다.
그런데 페인트 분사방식으로 재도장을 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기로 비산되어 주위 공기를 오염시키고, 비산된 페인트 스프레이는 독한 냄새를 유발함은 물론 호흡시 건강에 해로웠다. 이에 따라 비산방식으로 페인팅 작업을 할 때, 거주중인 사람들에게서 민원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2019년 중반부터, 사람이 거주중이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법제화되고, 이에 따라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롤러 방식으로만 재도장만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벽면의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롤러를 이용한 페인트 재도장시 분사방식에 의한 재도장에 비하여 3~4 배 이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벽면에 미관을 위하여 여러 돌출패턴이 형성될 경우 더더욱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고, 더 나아가 페인팅 작업에 전문적인 기능이 요구되어 인력조달은 물론 인건비 상승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분무 방식으로 재도장을 할 때 민원의 원인이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재도장시 아파트 건물에 용이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고, 재도장 과정에서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도장 작업도중에 부주의에 의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더라도, 작업자가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는, 건물의 옥상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ㄷ"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 내측에 그네의자(S)가 매달린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위치시키는 돌출지지프레임(10); 상기 건물의 옥상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옥상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옥상착탈고정부(20)(120);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30); 상기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과, 상기 지면고정부(30) 사이에서 사각 기둥형태가 도록 연결되는 4 개의 형태와이어(40); 상기 4 개의 형태와이어(4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50); 지면 바닥의 상부측에서 상기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진막커버(50)의 내측에 밀착되는 네트몸체(61)와, 상기 네트몸체(61)의 내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네트(62)를 포함하는 안전네트(60); 및 상기 방진막커버(50) 내측에서 지면 바닥에 지지되거나 상기 방진막커버(50)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네트몸체(61)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테두리프레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70)은, 상호 직각되게 형성되는 가로봉(71a), 세로봉(71b) 및 수직봉(71c)로 구성되는 4 개의 코너브라켓(71)과;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가로봉(71a)(71a')에 끼어져 결합되는 가로연장파이프(72)와;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세로봉(71b)(71b')에 끼어져 결합되는 세로연장파이프(73);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71c)에 끼어져 결합되는 다리파이프(7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리파이프(74) 하단을 크로스되게 연결하는 크로스연결로드(7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옥상착탈고정부(20)는 옥상 난간(B)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난간(B)에 끼어져 걸치어지는 난간걸침프레임(21)과, 상기 난간걸침프레임(21)에 설치되어 그 난간걸침프레임(2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상기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옥상착탈고정부(120)는 경사진 박공지붕(S)에 형성된 채널(D)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널(D) 바닥의 마주보는 양측 코너(C1)(C2)에 위치되는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과, 상기 제1코너밀착블럭(121)과 제2코너밀착블럭(122)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을 상기 양측 코너(C1)(C2)의 내측벽에 가압시키는 가압부(123)와, 상기 제1코너밀착블럭(121)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직립프레임(1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지지프레임, 옥상착탈고정부, 지면고정부, 형태와이어, 방진막커버 및 안전네트를 채용함으로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십미터 길이의 터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도중 작업자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터널구조는 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어, 건물 옥상 난간이나 채널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난간 또는 채널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승강로프에 의하여 옥상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방진막커버를 자유롭게 접거나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터널구조의 길이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옥상 난간에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방진막 커버에 형태와이어가 끼어지는 커버튜브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안전네트 및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테두리프레임의 면적이 축소되게 가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크로스연결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턴버클이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박공지붕을 가지는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박공지붕에 설치되는 옥상착탈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옥상착탈고정부가 박공지붕 채널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직립프레임에 돌출지지프레임을 승강 지지하는 위치가변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에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옥상 난간에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방진막 커버에 형태와이어가 끼어지는 커버튜브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안전네트 및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테두리프레임의 면적이 축소되게 가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크로스연결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턴버클이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박공지붕을 가지는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박공지붕에 설치되는 옥상착탈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옥상착탈고정부가 박공지붕 채널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직립프레임에 돌출지지프레임을 승강 지지하는 위치가변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에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옥상 난간에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방진막 커버에 형태와이어가 끼어지는 커버튜브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는, 건물의 목상(B)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를 지지하는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내측에 위치시키는 돌출지지프레임(10)과; 돌출지지프레임(10)을 옥상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옥상착탈고정부(20)(120)와; 돌출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30)와; 돌출지지프레임(10)과 지면고정부(3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40)와; 형태와이어(4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50)와; 지면 바닥의 상부측에서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네트(60)와; 방진막커버(50) 내측에서 지면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네트(60)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테두리프레임(70)을 포함한다.
작업용 로프(R)의 하단에는 페인팅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그네의자(S)가 매달려 있다. 이러한 그네의자(S) 및 작업용 로프(R)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태가 되는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위치된다.
돌출지지프레임(10)은 건물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형태와이어, 바람직하게는 4 개의 형태와이어(40)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 형태로 되어 건물의 측벽(W)과 함께 4 각형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지지프레임(10)은 측벽(W)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1)과, 측부프레임(11)의 단부를 연결하는 전방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옥상착탈고정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 난간(B)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난간(B)에 끼어져 걸치어지는 난간걸침프레임(21)과, 난간걸침프레임(21)에 설치되어 그 난간걸침프레임(2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22)을 포함한다.
난간걸침프레임(21)은 돌출지지프레임(10)의 후방측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난간(B)의 전면에 밀착되는 난간전면프레임(21a)과, 난간(B)의 후면에 밀착되는 난간후면프레임(21b)을 포함한다. 여기서, 난간전면프레임(21a)의 길이는 난간후면프레임(21b)의 길이보다 짧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옥살착탈고정부(20)를 적당히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난간전면프레임(21a)을 난간(B)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옥상착탈고정부(20)를 난간(B)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고정볼트단(22)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난간걸침프레임(21)을 난간(B)에서 꺼덕거리지 않게 밀착시키고, 이에 따라 옥상착탈고정부(20)는 난간(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난간걸침프레임(21)을 난간(B)에 끼어넣게 되면, 전면 및 후면 지지프레임(21a)(21b)이 난간(B)의 전후면에 밀착되고, 고정볼트단(22)을 조여 난간(B)의 후면에 밀착시키면 난간걸침프레임(21)은 난간(B)에서 꺼덕거리지 않게 되어, 돌출지지프레임(10)은 난간(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고정볼트단(22)을 풀어 난간(B)에 위치고정 상태를 해제하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착탈고정부(20)를 난간(B)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면고정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40)의 하단을 지면 바닥에 위치 고정한다. 이러한 지면고정부(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면에 직접 박혀 위치고정되는 말뚝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거나, 전체적으로 "ㄷ" 형태로 구현되어 무거운 추가 올려지거나 말뚝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프레임으로 구현되어 될 수도 있다.
형태와이어(40)는 돌출지지프레임(10)과 지면고정부(3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진막커버(50)를 터널 형태가 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형태와이어(40)는, 돌출지지프레임(10)과 지면고정부(30)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에 설치된 다수의 제1고리(16)와, 지면고정부(30)의 상부측에 설치된 다수의 제2고리(36)에 걸어질 수 있도록 형태와이어(40)의 단부에 제1고리(16) 및 제2고리(36)에 착탈식으로 걸어지는 제3고리(46)가 설치될 수 있다.
방진막커버(50)는, 형태와이어부(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용 로프(R) 및 그네의자(S)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터널을 형성하여 건물 벽체를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한 방진막커버(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으로 구성된다. 이때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은 독립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일체인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전방방진막(52)의 측부에 측방방진막(51)이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가이드바(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의 상하단은 쳐지지 않고 편편하게 된다. 이러한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의 상단은 타이(T)에 의하여 돌출지지프레임(10)에 위치고정된다.
한편 전방방진막(52)의 하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팅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지퍼(5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페인팅 작업자는 출입지퍼(53)를 개폐하여 터널을 이루는 방진막커버(50) 내측으로 용이한 출입이 가능하다.
전방방진막(52)의 상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막커버(50)가 터널형태가 되었을 때 상부측으로 폐쇄하기 위한 상단방진막(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방진막(54)으로 돌출지지프레임(10) 사이를 덮음으로써, 방진막커버(50)에 의하여 형성되는 터널 상부측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재도장 도중 비산되는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방진막커버(50)는 형태와이어(40)에 터널 형태를 이루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진막커버(50)는, 형태와이어(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형태와이어(40)가 끼어지는 다수의 커버튜브(55)를 포함한다.
커버튜브(55)는 형태와이어(40)가 쉽게 끼어질 수 있도록 10~20 mm 정도의 내직경을 가진다. 또한 커버튜브(55)는 도 1에서와 같이 방진막커버(50)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와이어(40)가 쉽게 끼어질 수 있도록 수센티미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튜브(55)는, 별도로 제작하여 측방방진막(51) 및 전방방진막(52)에 재봉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방진막커버(50)의 일부를 접어 튜브형태로 재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안전네트 및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테두리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테두리프레임의 면적이 축소되게 가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6의 크로스연결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턴버클이 채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전네트(60)는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추락시 지면 바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방진막커버(50)의 내측에 밀착되는 네트몸체(61)와, 네트몸체(61)의 내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네트(62)를 포함한다.
홀네트(62)는 네트몸체(61)의 하부측에서 지면 바닥에 닿을 정도까지 연장되며, 작업자가 추락시 홀네트(62)를 상대적으로 오랜시간동안 지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추락에 따른 충격에너지는 홀네트(62)에 의하여 흡수되어, 작업자가 지면 바닥에 닿을 때 다치거나 상처를 입지 않게 된다.
테두리프레임(70)은 방진막커버(50) 내측에서 안전네트(60)의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방진막커버(50)와 안전네트(60)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4 각형 형태를 이룬다.
테두리프레임(70)은 지지하고자 하는 안전네트의 면적(크기)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테두리프레임(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각되게 형성되는 가로봉(71a), 세로봉(71b) 및 수직봉(71c)로 구성되는 4 개의 코너브라켓(71)과;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가로봉(71a)(71a')에 끼어져 결합되는 가로연장파이프(72)와;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세로봉(71b)(71b')에 끼어져 결합되는 세로연장파이프(73)와; 수직봉(71c)에 끼어져 결합되는 다리파이프(74)와; 각각의 다리파이프(74) 하단을 크로스되게 연결하는 크로스연결로드(75)를 포함한다.
코너브라켓(71)은 X-Y-Z 방향으로 가로봉(71a), 세로봉(71b) 및 수직봉(71c)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4 개가 동일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1 개의 코너브라켓(71)을 제조하였을 때 본 테두리프레임(70)의 구현이 가능하다.
가로연장파이프(72)는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가로봉(71a)(71a')에 끼어져 결합되므로, 가로봉(71a)(71a')의 끼어지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세로연장파이프(73)는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세로봉(71b)(71b')에 끼어져 결합되므로, 세로봉(71b)(71b')의 끼어지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즉 가로연장파이프(72) 및 세로연장파이프(73)를 기준으로 하여, 4 개의 코너브라켓(71)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대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막커버(50)의 단면적에 따라 테두리프레임(70)의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막커버(50)의 단면적 크기가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테두리프레임(70)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네트몸체(61)의 가장자리는 가로연장파이프(72) 및 세로연장파이프(73)에 다수의 끈에 의하여 연결되고, 네트몸체(61)의 모서리 부분은 4 개의 코너브라켓(71)에 끈에 의하여 연결된다.
다리파이프(74)는 수직봉(71c)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된다. 따라서 안전네트(60)를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고자 할 경우, 기다란 다리파이프를 채택하여 수직봉(71c)에 연결한다.
크로스연결로드(75)는 4 개의 다리파이프(74)를 하단에서 크로스되게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테두리프레임(70)이 입체적인 구조 내구성을 가지게 한다.
한편, 크로스연결로드(75)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다리파이프에 각각 연결되는 제1로드볼트(75a) 및 제2로드로드(75b)와, 제1,2로드볼트(75a)(75b)와 연결되는 턴버클(75c)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턴버클(75c)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다리파이프(74)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두리프레임(70)은, X-Y-Z 방향으로 가로봉(71a), 세로봉(71b) 및 수직봉(71c)이 형성된 동일 구조를 이루는 4 개의 코너브라켓(71), 가로봉(71a)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되는 가로연장파이프(72), 세로봉(71b)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되는 세로연장파이프(73), 수직봉(71c)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되는 다리파이프(74)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한 조립은 물론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전체적인 크기를 가변할 수 있어 방진막 커버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박공지붕을 가지는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박공지붕에 설치되는 옥상착탈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옥상착탈고정부가 박공지붕 채널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직립프레임에 돌출지지프레임을 승강 지지하는 위치가변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의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에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돌출지지프레임(10)을 지지하는 옥상착탈고정부(120)는, 경사진 박공지붕(S)에 형성된 채널(D)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옥상착탈고정부(120)는, 박공지붕(S)에 상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채널(D)이 형성된 옥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채널(D) 바닥의 마주보는 양측 코너(C1)(C2)에 위치되는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과, 제1코너밀착블럭(121)과 제2코너밀착블럭(122)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을 상기 양측 코너(C1)(C2)의 내측벽에 가압시키는 가압부(123)와, 제1코너밀착블럭(121)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직립프레임(124)을 포함한다.
제1코너밀착블럭(121)과 제2코너밀착블럭(122) 각각은 기다란 바아 형태를 가지거나 분리된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분리된 후 이격바아(121b)에 의하여 이격된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은 채널(D) 바닥에서 마주보는 양측 코너(C1)(C2)에 밀착된다.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에 있어 코너(C1)(C2)와 밀착되는 면에는, 그 코너(C1)(C2)와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층(121a)이 부착되거나 코팅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이 불거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은 양측 코너(C1)(C2)에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가압부(123)는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의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끼어지는 공회전단(123a)과,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 중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단(123b)과, 공회전단(123a)과 볼트단(123b) 사이에 형성되는 렌치단(123c)을 포함한다.
직립프레임(124)은 제1코너밀착블럭(121)의 상부측에 연결되며, 상부측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공(124a)에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의 단부를 관통하는 볼트가 결합되며, 채널(D)의 깊이에 따라 볼트가 결합되는 결합공의 위치가 정해진다.
한편, 돌출지지프레임(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프레임(124)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가변브라켓(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가변브라켓(125)은, 직립프레임(124)에 승강 가능하게 감싸는 테두리브라켓(125a)과, 테두리브라켓(125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직립프레임(124)의 표면에 밀착되는 위치고정볼트(125b)와, 테두리브라켓(125a)에 형성되어 돌출지지프레임(10)과 핀결합되는 연결단(125c)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을 채널(D)의 코너(C1)(C2)에 위치시키고 작업자가 렌치단(123c)을 정회전시키면 볼트단(123b)이 제2코너밀착블럭(122)으로 돌출되어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 사이가 벌어지고, 이 경우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은 채널(D)의 코너(C1)(C2)에 밀착고정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렌치단(123c)을 역회전시키면 볼트단(123b)이 제2코너밀착블럭(122)으로 몰입되면서 가압부(123)의 공회전단(123a)이 제1코너밀착블럭(12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볼트단(123b)을 제2코너밀착블럭(12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채널(D)에서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을 이동시키거나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지지프레임(10), 옥상착탈고정부(20)(120), 지면고정부(30), 형태와이어(40), 방진막커버(50) 및 안전네트(60)를 채용함으로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십미터 길이의 터널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도중 작업자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터널구조는 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어, 건물 옥상 난간(B)이나 채널(D)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B)이나 채널(D)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돌출지지프레임 11 ... 측부프레임
12 ... 전방프레임
20 ... 옥상착탈고정부의 일 실시예
21 ... 난간걸침프레임 21a ... 난간전면프레임
21b ... 난간후면프레임 22 ... 고정볼트단
30 ... 지면고정부 40 ... 형태와이어
50 ... 방진막커버 51 ... 측방방진막
52 ... 전방방진막 53 ... 출입지퍼
54 ... 상단방진막 55 .... 커버튜브
60 ... 안전네트 61 ... 네트몸체
62 ... 홀네트 70 ... 테두리프레임
71 ... 코너브라켓 71a .... 가로봉
71b ... 세로봉 71c ... 수직봉
72 ... 가로연장파이프 73 ... 세로연장파이프
74 ... 다리파이프 75 ... 연결로드
75a ... 제1로드볼트 75b ... 제2로드볼트
75c ... 턴버클
120 ... 옥상착탈고정부의 다른 실시예
121, 122 ... 제1,2코너밀착블럭 121a ... 고무층
121b ... 이격바아 123 ... 가압부
123a ... 공회전단 123b ... 볼트단
123c ... 렌치단 124 ... 직립프레임
125 ... 위치가변브라켓 125a ... 테두리브라켓
125b ... 위치고정볼트 125c ... 연결단
12 ... 전방프레임
20 ... 옥상착탈고정부의 일 실시예
21 ... 난간걸침프레임 21a ... 난간전면프레임
21b ... 난간후면프레임 22 ... 고정볼트단
30 ... 지면고정부 40 ... 형태와이어
50 ... 방진막커버 51 ... 측방방진막
52 ... 전방방진막 53 ... 출입지퍼
54 ... 상단방진막 55 .... 커버튜브
60 ... 안전네트 61 ... 네트몸체
62 ... 홀네트 70 ... 테두리프레임
71 ... 코너브라켓 71a .... 가로봉
71b ... 세로봉 71c ... 수직봉
72 ... 가로연장파이프 73 ... 세로연장파이프
74 ... 다리파이프 75 ... 연결로드
75a ... 제1로드볼트 75b ... 제2로드볼트
75c ... 턴버클
120 ... 옥상착탈고정부의 다른 실시예
121, 122 ... 제1,2코너밀착블럭 121a ... 고무층
121b ... 이격바아 123 ... 가압부
123a ... 공회전단 123b ... 볼트단
123c ... 렌치단 124 ... 직립프레임
125 ... 위치가변브라켓 125a ... 테두리브라켓
125b ... 위치고정볼트 125c ... 연결단
Claims (7)
- 건물의 옥상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ㄷ"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 내측에 그네의자(S)가 매달린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위치시키는 돌출지지프레임(10);
상기 건물의 옥상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옥상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옥상착탈고정부(20)(120);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30);
상기 한쌍의 측부프레임(11) 및 전방프레임(12)과, 상기 지면고정부(30) 사이에서 사각 기둥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4 개의 형태와이어(40);
상기 4 개의 형태와이어(4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50);
지면 바닥의 상부측에서 상기 방진막커버(50) 내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진막커버(50)의 내측에 밀착되는 네트몸체(61)와, 상기 네트몸체(61)의 내측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네트(62)를 포함하는 안전네트(60); 및
상기 방진막커버(50) 내측에서 지면 바닥에 지지되거나 상기 방진막커버(50)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네트몸체(61)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테두리프레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70)은,
상호 직각되게 형성되는 가로봉(71a), 세로봉(71b) 및 수직봉(71c)로 구성되는 4 개의 코너브라켓(71)과;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가로봉(71a)(71a')에 끼어져 결합되는 가로연장파이프(72)와;
상호 마주보는 코너브라켓(71)의 세로봉(71b)(71b')에 끼어져 결합되는 세로연장파이프(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71c)에 끼어져 결합되는 다리파이프(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리파이프(74) 하단을 크로스되게 연결하는 크로스연결로드(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착탈고정부(20)는 옥상 난간(B)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난간(B)에 끼어져 걸치어지는 난간걸침프레임(21)과,
상기 난간걸침프레임(21)에 설치되어 그 난간걸침프레임(2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상기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착탈고정부(120)는 경사진 박공지붕(S)에 형성된 채널(D)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널(D) 바닥의 마주보는 양측 코너(C1)(C2)에 위치되는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과,
상기 제1코너밀착블럭(121)과 제2코너밀착블럭(122)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코너밀착블럭(121)(122)을 상기 양측 코너(C1)(C2)의 내측벽에 가압시키는 가압부(123)와,
상기 제1코너밀착블럭(121)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프레임(10)을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직립프레임(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67A KR101975738B1 (ko) | 2019-01-18 | 2019-01-18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967A KR101975738B1 (ko) | 2019-01-18 | 2019-01-18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738B1 true KR101975738B1 (ko) | 2019-08-28 |
Family
ID=6777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967A KR101975738B1 (ko) | 2019-01-18 | 2019-01-18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73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315B1 (ko) * | 2019-09-24 | 2020-03-02 | 김소중 |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
CN117884279A (zh) * | 2024-03-18 | 2024-04-16 | 山东申洋钢结构有限公司 | 一种用于钢结构表面加工的喷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7074A (ja) * | 1990-05-22 | 1992-01-30 | Taisei Corp | ゴンドラ作業用養生ネットの取付方法 |
KR20110010660U (ko) * | 2010-05-07 | 2011-11-15 | 문소연 |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
KR101731484B1 (ko) * | 2016-11-16 | 2017-05-11 | 권창희 |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6967A patent/KR101975738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7074A (ja) * | 1990-05-22 | 1992-01-30 | Taisei Corp | ゴンドラ作業用養生ネットの取付方法 |
KR20110010660U (ko) * | 2010-05-07 | 2011-11-15 | 문소연 | 추락방지용 네트장치 |
KR101731484B1 (ko) * | 2016-11-16 | 2017-05-11 | 권창희 |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315B1 (ko) * | 2019-09-24 | 2020-03-02 | 김소중 |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
CN117884279A (zh) * | 2024-03-18 | 2024-04-16 | 山东申洋钢结构有限公司 | 一种用于钢结构表面加工的喷漆装置 |
CN117884279B (zh) * | 2024-03-18 | 2024-05-07 | 山东申洋钢结构有限公司 | 一种用于钢结构表面加工的喷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0650B1 (ko)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
KR101975738B1 (ko)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
KR102086292B1 (ko) | 고층건물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승강장치 | |
JPH10506444A (ja) | 足場組立体 | |
US9938735B2 (en) | Slidable barriers | |
JP2015086505A (ja) |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 |
KR102056565B1 (ko) | 고층건물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
CN102635226B (zh) | 柔性吊挂自扩展操作平台及施工方法 | |
JP2015229852A (ja) |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 |
KR101949104B1 (ko) | 박공지붕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
JP3950800B2 (ja) | つり足場 | |
KR101816700B1 (ko) | 현수 비계용 발판연설 장치 및 방법 | |
JP7318923B2 (ja) | 歩行者保護用の移動式防護塀 | |
CN206053271U (zh) | 悬挑式移动脚手架 | |
JP7508068B2 (ja) | 屋外設置機器作業用テント装置 | |
KR102491727B1 (ko) |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 |
CN217840841U (zh) | 一种高空可移动挂梯式辅助施工系统 | |
JP4052972B2 (ja) | 外壁登攀装置 | |
JP5666212B2 (ja) | 建物における飛散防止装置 | |
JP2003212451A (ja) | エレベータ据付け用テンプレート装置 | |
JPH0738565Y2 (ja) | 養生シートの張設装置 | |
JPH074024A (ja) | ゴンドラ装置 | |
JP2523473Y2 (ja) | 吊り足場構造 | |
CN105839949B (zh) | 多层集装箱活动板房 | |
JP2008522062A (ja) | 建設作業用安全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