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650B1 -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 Google Patents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650B1
KR101950650B1 KR1020180123391A KR20180123391A KR101950650B1 KR 101950650 B1 KR101950650 B1 KR 101950650B1 KR 1020180123391 A KR1020180123391 A KR 1020180123391A KR 20180123391 A KR20180123391 A KR 20180123391A KR 101950650 B1 KR101950650 B1 KR 10195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ing
support bracket
roll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18012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옥상 난간(B)에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내측에 위치시키는 난간지지브라켓(10)과; 난간지지브라켓(10)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20)와; 난간지지브라켓(10)과 지면고정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30)와; 형태와이어(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Dust layer for preventing paint mist scattering}
본 발명은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페인트 스프레이 작업자를 감싸는 방진막 터널을 형성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외벽은 페인트로 도장되는데, 페인트 도장면은 비바람 및 각종 공해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서서히 벗겨지거나 변색되고, 결국 건물의 미관은 서서히 노후화된다.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은 5~7년 단위로 재도장을 하는데, 재도장은 건물 옥상에 밧줄을 매달고, 작업자가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페인트 스프레이를 분무하는 노즐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수행되었다.
그런데 페인트 분사방식으로 재도장을 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는 외기로 비산되어 주위 공기를 오염시키고, 이에 따라 비산된 페인트 스프레이는 독한 냄새를 유발함은 물론 호흡시 건강에 해로웠다. 이에 따라 비산방식으로 페인팅 작업을 할 때, 거주중인 사람들에게서 민원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2019년 중반부터, 사람이 거주중이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법제화되고, 이에 따라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롤러 방식으로만 재도장만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벽면의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롤러를 이용한 페인트 재도장시 분사방식에 의한 재도장에 비하여 3~4 이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벽면에 미관을 위하여 여러 돌출패턴이 형성될 경우 더더욱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고, 더 나아가 페인팅 작업에 전문적인 기능이 요구되어 인력조달은 물론 인건비 상승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분무 방식으로 재도장을 할 때 민원의 원인이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재도장시 아파트 건물에 용이하게 설치 및 회수할 수 있고, 재도장 과정에서 페인트 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는,
건물의 옥상 난간(B)에 이동 가능하게 걸치어지는 걸침프레임(11)와, 상기 걸침프레임(1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ㄷ"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 구조체를 가지며, 그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 구조체 내측에 그네의자(S)가 매달린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위치시키는 난간지지브라켓(10);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20); 상기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 구조체와 상기 지면고정부(20) 사이에서 사각 기둥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4 개의 형태와이어(30); 및 상기 4 개의 형태와이어(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건물의 측벽에서 3 면을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침프레임(11)은, 상기 난간(B)의 전면에 밀착되는 난간전면프레임(11a)과, 상기 난간(B)의 후면에 밀착되는 난간후면프레임(11b)과, 상기 난간후면프레임(11b)에 설치되어 상기 걸침프레임(1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상기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11c)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에 다수의 제1고리(14)가 설치되고, 상기 지면고정부(20)에 상기 제1고리(14)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고리(24)가 설치되며, 상기 형태와이어(30)의 단부에는 제1고리(14) 및 제2고리(24)에 착탈식으로 걸어지는 제3고리(34)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진막커버(40)는, 상기 형태와이어(30)에 터널 형태를 이루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그 형태와이어(30)가 끼어지는 다수의 커버튜브(4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50); 및 상기 롤러가이드(50)에 가이드되어 상기 방진막커버(40)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승강로프(60)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방진막커버(40)를 상부측으로 접거나 하부측으로 펼치는 승강로프(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롤러가이드(50)는,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의 측부프레임(12)에 설치되는 제1롤러(51)와,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을 가로지르는 지지대(52)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51)를 경유한 상기 승강로프(60)의 방향을 상기 옥상 내측으로 바꾸는 제2롤러(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지지브라켓, 지면고정부, 형태와이어 및 방진막커버를 채용함으로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십미터 길이의 터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터널구조는 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어, 건물 옥상 난간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난간(B)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롤러가이드 및 승강로프에 의하여 옥상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방진막커버를 자유롭게 접거나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터널구조의 길이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의 난간 및 측벽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방진막 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방진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방진막 장치가 건물 난간과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설치된 것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방진막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3의 방진막커버에 형태와이어가 끼어지는 커버튜브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방진막 장치에 있어서, 방진막커버를 상승시켜 접거나 하강시켜 펼치기 위한 롤러 및 승강와이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방진막 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8의 방진막 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가 건물의 난간 및 측벽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의 방진막 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방진막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방진막 장치가 건물 난간과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설치된 것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방진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는, 건물의 옥상 난간(B)에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내측에 위치시키는 난간지지브라켓(10)과; 난간지지브라켓(10)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20)와; 난간지지브라켓(10)과 지면고정부(2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30)와; 형태와이어(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40);를 포함한다.
작업용 로프(R)의 하단에는 페인팅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그네의자(S)가 매달려 있다. 이러한 그네의자(S) 및 작업용 로프(R)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태가 되는 방진막커버(40) 내측에 위치된다.
난간지지브라켓(10)은, 상기 다수의 형태와이어(30)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B)에 걸치어지는 걸침프레임(11)과, 걸침프레임(1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2)과, 한쌍의 측부프레임(1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3)을 포함한다.
걸침프레임(11)은 난간지지브라켓(10)의 후방측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난간(B)의 전면에 밀착되는 난간전면프레임(11a)과, 난간(B)의 후면에 밀착되는 난간후면프레임(11b)을 포함한다.
여기서, 난간전면프레임(11a)의 길이는 난간후면프레임(11b)의 길이보다 ??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난간지지브라켓(10)을 적당히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난간전면프레임(11a)을 난간(B)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난간지지브라켓(10)을 난간(B)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걸침프레임(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후면프레임(11b)에 설치되어 걸침프레임(1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11c)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볼트단(11c)을 조이면, 걸침프레임(11)은 난간(B)에서 꺼덕거리지 않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난간지지브라켓(10)은 난간(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쌍의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은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태가 되어 걸침프레임(1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걸침프레임(11)이 난간(B)에 걸치어지면,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은 건물의 측벽(W)과 함께 4 각형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걸침프레임(11)을 난간(B)에 끼어넣게 되면, 전면 및 후면 지지프레임(11a)(11b)이 난간(B)의 전후면에 밀착되고, 고정볼트단(11c)을 조여 난간(B)의 후면에 밀착시키면 걸침프레임(11)은 난간(B)에서 꺼덕거리지 않게 되어, 난간지지브라켓(10)은 난간(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고정볼트단(11c)을 풀러 난간(B)에 위치고정 상태를 해제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지지브라켓(10)을 난간(B)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면고정부(20)는, 난간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는 다수의 형태와이어(30)의 하단을 지면 바닥에 위치 고정한다. 이러한 지면고정부(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면에 직접 박혀 위치고정되는 말뚝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한쌍의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에 대응되는 "ㄷ" 형태로 구현되어 무거운 추가 올려지거나 말뚝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프레임으로 구현되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지면고정부(20)가 "ㄷ"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형태와이어(30)는 난간지지브라켓(10)과 지면고정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진막커버(40)를 터널 형태가 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형태와이어(30)는,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과, 지면고정부(20)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에 다수의 제1고리(14)가 설치되고, 지면고정부(20)에 제1고리(14)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고리(24)가 설치되며, 형태와이어(30)의 단부에 제1고리(14) 및 제2고리(24)에 착탈식으로 걸어지는 제3고리(3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제1,2,3고리(14)(24)(34)가 4 개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2,3고리(14)(24)(34)에 의하여, 4 개의 형태와이어(30)는 난간지지브라켓(10)과 지면고정부(20)에 사이를 4 곳에서 연결하게 되고, 후술할 방진막커버(40)가 형태와이어(30)에 끼어질 때 방진막커버(40)는 터널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2,3고리(14)(24)(34)를 채용함으로써, 난간지지브라켓(10)과 지면고정부(20) 사이에서 형태와이어(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갑자기 강한 비바람이나 태풍이 발생되거나 이동해야할 경우 형태와이어(30)를 난간지지브라켓(10) 및 지면고정부(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방진막커버(40)는, 형태와이어부(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용 로프(R) 및 그네의자(S)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터널을 형성하여 건물 측벽(W)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하여, 방진막커버(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프레임(12) 측에 대응되는 측방방진막(42)과, 전방프레임(13) 측에 대응되는 전방방진막(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측방방진막(42) 및 전방방진막(43)은 독립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일체인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전방방진막(43)의 측부에 측방방진막(42)이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방방진막(43) 및 측방방진막(42)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는 가이드바(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방방진막(43) 및 측방방진막(42)의 상하단은 쳐지지 않고 편편하게 된다. 도 3, 4, 5, 6에서는 측방방진막(42) 및 전방방진막(43)의 상단에만 가이드바가 내장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전방방진막(43) 및 측방방진막(42)의 상단은 타이(T)에 의하여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 및 측부프레임(12)에 위치고정된다.
이때 전방방진막(43) 및 측방방진막(42)의 상단에 가이드바를 내장할 경우, 타이(T)에 의하여 측방방진막(42) 및 전방방진막(43)을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에 고정할 때, 측방방진막(42) 및 전방방진막(43)의 상단은 처지지 않고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 경우, 재도장 작업도중 발생되는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방진막커버(40)는 형태와이어(30)에 터널 형태를 이루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진막커버(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와이어(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형태와이어(30)가 끼어지는 다수의 커버튜브(45)를 포함한다.
커버튜브(45)는 형태와이어(30)가 쉽게 끼어질 수 있도록 10~20 mm 정도의 내직경을 가진다. 또한 커버튜브(45)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도 3, 5, 6, 8, 9에서 방진막커버(40)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와이어(30)가 쉽게 끼어질 수 있도록 수센티미터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커버튜브(45)는, 별도로 제작하여 측방방진막(42) 및 전방방진막(43)에 재봉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방진막커버(40)의 일부를 접어 튜브형태로 재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방방진막(43)의 하부측에는 페인팅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지퍼(4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페인팅 작업자는 출입지퍼(47)를 개폐하여 터널을 이루는 방진막커버(40) 내측으로 용이한 출입이 가능하다.
전방방진막(43)의 상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막커버(40)가 터널형태가 되었을 때 상부측으로 폐쇄하기 위한 상단방진막(4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방진막(49)으로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을 덮음으로써, 방진막커버(40)에 의하여 형성되는 터널 상부측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재도장 도중 비산되는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방진막 장치에 있어서, 방진막커버를 상승시켜 접거나 하강시켜 펼치기 위한 롤러 및 승강와이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방진막 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방진막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는, 난간지지브라켓(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50)와, 롤러가이드(50)에 가이드되어 방진막커버(40)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승강로프(60)를 승강시킴에 따라 방진막커버(40)를 상부측으로 접거나 하부측으로 펼치는 승강로프(60);를 더 포함한다.
롤러가이드(50)는 난간지지브라켓(10)의 측부프레임(12) 및/또는 전방프레임(13)에 설치되는 제1롤러(51)와, 난간지지브라켓(10)을 가로지르는 지지대(52)에 설치되어 제1롤러(51)를 경유한 상기 승강로프(60)의 방향을 상기 옥상 내측으로 바꾸는 제2롤러(53)를 포함한다. 즉 제1롤러(51)에 지지되는 승강로프(60)는 제2롤러(53)에 의하여 방향이 가변되어 옥상 작업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승강로프(60)는, 방진막커버(40)의 하단과 연결되어 제1,2롤러(51)(53)를 경유하여 옥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승강로프(60)는 옥상 작업자가 잡아당기거나 늘어뜨리는데. 승강로프(60)를 잡아당길 때 방진막커버(40)의 하단은 상승되면서 전체적으로 접혀지고, 승강로프(60)를 늘어뜨리면 방진막커버(40)가 펼쳐지면서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내측에 위치시키는 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롤러가이드(50) 및 승강로프(60)를 채용함으로서, 옥상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방진막커버(40)를 접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본원발명의 방진막 장치를 좌우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옥상 작업자가 승강로프(60)를 풀어 방진막커버(40)를 펼치면 외부환경과 차폐되는 터널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페인팅 재도장 작업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지지브라켓(10), 지면고정부(20), 형태와이어(30) 및 방진막커버(40)를 채용함으로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십미터 길이의 터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터널구조는 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어, 건물 옥상 난간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난간(B)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롤러가이드(50) 및 승강로프(60)에 의하여 옥상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방진막커버(40)를 자유롭게 접거나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터널구조의 길이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B ... 옥상 난간 W ... 건물 측벽
10 ... 난간지지브라켓 11 ... 걸침프레임
11a, 11b ... 전면 및 후면 지지프레임
11c ... 고정볼트단 12 ... 측부프레임
13 ... 전방프레임 14 ... 제1고리
20 ... 지면고정부 24 ... 제2고리
30 ... 형태와이어 34 ... 제3고리
40 ... 방진막커버 42 ... 측방방진막
43 ... 전방방진막 45 ... 커버튜브
47 ... 출입지퍼 49 ... 상단방진막
50 ... 롤러가이드 51 ... 제1롤러
52 ... 지지대 53 ... 제3롤러
60 ... 승강로프

Claims (7)

  1. 건물의 옥상 난간(B)에 이동 가능하게 걸치어지는 걸침프레임(11)와, 상기 걸침프레임(1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ㄷ"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 구조체를 가지며, 그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 구조체 내측에 그네의자(S)가 매달린 페인팅 작업용 로프(R)를 위치시키는 난간지지브라켓(10);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 하부측 지면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지면고정부(20);
    상기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 구조체와 상기 지면고정부(20) 사이에서 사각 기둥 형태가 되도록 연결되는 4 개의 형태와이어(30); 및
    상기 4 개의 형태와이어(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인팅 작업용 로프(R)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건물의 측벽에서 3 면을 감싸는 터널을 형성하는 방진막커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프레임(11)은,
    상기 난간(B)의 전면에 밀착되는 난간전면프레임(11a)과,
    상기 난간(B)의 후면에 밀착되는 난간후면프레임(11b)과,
    상기 난간후면프레임(11b)에 설치되어 상기 걸침프레임(11)이 꺼덕거리지 않도록 상기 난간(B)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단(1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프레임(12) 및 전방프레임(13)에 다수의 제1고리(14)가 설치되고,
    상기 지면고정부(20)에 상기 제1고리(14)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고리(24)가 설치되며,
    상기 형태와이어(30)의 단부에는 제1고리(14) 및 제2고리(24)에 착탈식으로 걸어지는 제3고리(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막커버(40)는,
    상기 형태와이어(30)에 터널 형태를 이루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그 형태와이어(30)가 끼어지는 다수의 커버튜브(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50); 및
    상기 롤러가이드(50)에 가이드되어 상기 방진막커버(40)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승강로프(60)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방진막커버(40)를 상부측으로 접거나 하부측으로 펼치는 승강로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50)는,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의 측부프레임(12)에 설치되는 제1롤러(51)와,
    상기 난간지지브라켓(10)을 가로지르는 지지대(52)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51)를 경유한 상기 승강로프(60)의 방향을 상기 옥상 내측으로 바꾸는 제2롤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20180123391A 2018-10-16 2018-10-16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195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91A KR101950650B1 (ko) 2018-10-16 2018-10-16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91A KR101950650B1 (ko) 2018-10-16 2018-10-16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650B1 true KR101950650B1 (ko) 2019-02-20

Family

ID=6556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91A KR101950650B1 (ko) 2018-10-16 2018-10-16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6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484A (zh) * 2019-08-02 2019-10-2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喷射机料斗自动化防扬尘装置
KR102056565B1 (ko) * 2019-04-08 2019-12-16 김소중 고층건물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2086292B1 (ko) * 2019-07-29 2020-03-06 김소중 고층건물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승강장치
KR102154673B1 (ko) * 2019-03-26 2020-09-11 박정화 벽면 도장용 바스켓
KR102491727B1 (ko) 2022-04-13 2023-01-26 주식회사 대한방수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433U (ja) * 1993-12-29 1995-08-22 株式会社ダイケン 壁面補修時における遮蔽シートの吊り下げ装置
KR101731484B1 (ko) * 2016-11-16 2017-05-11 권창희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433U (ja) * 1993-12-29 1995-08-22 株式会社ダイケン 壁面補修時における遮蔽シートの吊り下げ装置
KR101731484B1 (ko) * 2016-11-16 2017-05-11 권창희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73B1 (ko) * 2019-03-26 2020-09-11 박정화 벽면 도장용 바스켓
KR102056565B1 (ko) * 2019-04-08 2019-12-16 김소중 고층건물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2086292B1 (ko) * 2019-07-29 2020-03-06 김소중 고층건물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승강장치
CN110386484A (zh) * 2019-08-02 2019-10-2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喷射机料斗自动化防扬尘装置
CN110386484B (zh) * 2019-08-02 2024-05-17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喷射机料斗自动化防扬尘装置
KR102491727B1 (ko) 2022-04-13 2023-01-26 주식회사 대한방수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650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US5161641A (en) Jointly movable safety net and curtain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KR102086292B1 (ko) 고층건물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승강장치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CA3034321A1 (en) Semi-automatic system for washing a building
US20150096836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afety netting on manlifts
KR101975738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1949104B1 (ko) 박공지붕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2056565B1 (ko) 고층건물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US20190177143A1 (en) Aerial Platform Basket Enclosure
JPH09302916A (ja) 作業床仮設装置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102373661B1 (ko) 엘리베이터 설치용 비계장치
JP2005139813A (ja) 屋根上作業方法および屋根上作業に用いる器具
JP2943564B2 (ja) ゴンドラ装置
WO2020206864A1 (zh) 一种松软煤层工作面导轨式钢丝网传输装置及使用方法
JP2002061386A (ja) 養生ネット付きゴンドラ装置
JP4266432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盤保守・点検用防護用具
KR19990009341U (ko) 안전그물망장치
US4248546A (en) Manhole ceiling tent
KR200480875Y1 (ko) 로프 작업용 견인대
JP2005138939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据付作業装置
JP3200951U (ja) 高所作業車作業床用手すり汚損防止カバー
JP2510068B2 (ja) 建物外装用作業設備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