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15B1 -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15B1
KR102075315B1 KR1020190117213A KR20190117213A KR102075315B1 KR 102075315 B1 KR102075315 B1 KR 102075315B1 KR 1020190117213 A KR1020190117213 A KR 1020190117213A KR 20190117213 A KR20190117213 A KR 20190117213A KR 102075315 B1 KR102075315 B1 KR 10207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ork table
dustproof
supported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19011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과;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와; 프레임조립체(200)에 덮여지되, 재도장을 위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면이 덮여지는 방진막(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protection paint mist scattering cage for tower wagon}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의하여 이동 및 승강되면서 건물 외벽의 재도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재도장 과정에서 페인트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외벽은 페인트로 도장되는데, 페인트 도장면은 비바람 및 각종 공해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서서히 벗겨지거나 변색되고, 결국 건물의 미관은 서서히 노후화된다.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은 5~7년 단위로 재도장을 하는데, 고층 건물의 재도장은 옥상에 매달린 밧줄을 의지한 작업자가 스프레이건를 좌우로 움직여 페인트를 분사함으로써 수행되었다.
그런데 스프레이건으로 재도장을 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비산된 페인트스프레이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는 독한 냄새를 가짐은 물론 주위에 거주하는 사람이 호흡하였을 때 건강에 해로웠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건으로 건물 외벽을 재도장할 때, 주위의 거주하는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2019년 중반부터, 사람이 거주중인 건물을 재도장할 때 페인트스프레이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법제화되고,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하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건물 외벽의 재도장은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이 거의 없는 롤러 방식에 의하여만 가능해졌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 면적은 매우 크기 때문에, 롤러를 이용하여 재도장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통상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재도장 방식에 비하여 3~4 배 이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외벽 미관을 위하여 건물 외벽에 많은 돌출 패턴이 형성될 경우, 롤러 방식으로 재도장할 경우 더더욱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고, 전문적인 기능이 요구되어 인력조달은 물론 인건비 상승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작업자는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한 위험한 상태로 재도장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재도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사고 위험의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페인트 분사방식으로 건물 재도장을 할때, 페인트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소작업차의 다단붐에 지지되어 이동 및 승강될 수 있어 건물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안전한 재도장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는,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과;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와; 상기 기 프레임조립체(200)에 덮여지되, 재도장을 위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면이 덮여지는 방진막(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지지되는 사각프레임(210)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1로드(241)를 가지는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과,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2로드(251)를 가지는 한쌍의 제2푸쉬프레임(2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서브지지대(2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푸쉬프레임(240)은,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1착탈브라켓(242)과, 각각의 상기 제1착탈브라켓(242)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몸체(243)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1로드(241)와, 각각의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드(24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2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푸쉬프레임(250)은,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2착탈브라켓(252)과, 각각의 상기 제2착탈브라켓(252)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몸체(253)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25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2로드(251)와, 각각의 상기 제2프레임몸체(25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드(25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2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푸쉬프레임(240)은 상기 제1로드(2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휠(2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푸쉬프레임(250)은 상기 제2로드(25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휠(25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방진막커튼(3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방진막커튼(370)은,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와 제1로드(241)가 끼어지는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주름끼움단(371)과, 상기 한쌍의 주름끼움단(371)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방진막(372)과, 상기 주름방진막(37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모헤어밴드(37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진막(300)은, 상기 사각프레임(210) 내측 공간을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1방진막(310)과, 상기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2방진막(320)과, 상기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3방진막(330)과, 상기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 사이를 막도록 제4방진막(3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는,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는 제1,2봉(220a)(225a) 및 상기 제1,2봉(220a)(2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튜브(220b)(225b)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막(300)은, 상기 제1,2튜브(220b)(225b)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1,2버티컬방진막(350)(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 단부의 작업테이블에 설치되는 입체적인 형태의 프레임조립체와, 건물 외벽(B)을 제외한 프레임조립체의 나머지면을 덮는 방진막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프레임조립체 내측에서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ㅕ 건물 재도장을 할때, 페인트스프레이가 방진막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푸쉬프레임 및 제3,4방진막에 의하여, 붐구조체의 다단붐에 의하여 고공중이 위치된 작업테이블을 건물 외벽(B)에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아도 제3,4방진막이 건물 외벽(B)에 밀착되므로, 붐구조제의 미숙한 조작에 의하여 작업테이블이 건물 외벽(B)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소작업차의 다단붐에 지지되어 승강 및 이동되는 작업테이블 상에서 재도장 작업이 진행되므로 빠른 재도장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작업테이블에 안착된 프레임조립체 및 방진막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2푸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2푸쉬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사각프레임에 착탈되는 서브지지대 및 제1,2푸쉬프레임이 편평하지 않는 건물 외벽을 구획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의 제1,2상부수평프레임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1,2버티컬방진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의 제1,2푸쉬프레임에 설치되는 서브방진막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제1푸쉬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제1착탈브라켓의 끼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제1푸쉬프레임이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테이블에 안착된 프레임조립체 및 방진막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프레임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2푸쉬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1,2푸쉬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는,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과;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와; 프레임조립체를 덮는 것으로서 건물 외벽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를 덮는 방진막(300)을 포함한다.
붐구조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본체(1)의 상부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턴테이블(2)에 지지되고, 붐구조체(10)와 턴테이블(2) 사이에 유압실린더(3)가 설치되어 유압실린더(3)에 의하여 붐구조체(10)는 상하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러한 붐구조체(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턴테이블(2)에 힌지결합되는 메인붐(10a)과, 그 메인붐으로부터 인출되는 다단붐(10b)(10c)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붐구조체(10)는 턴테이블(2)에 힌지결합되는 제1붐과, 그 제1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관절운동되는 제2붐을 포함하여, 제1붐과 제2붐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제2붐이 관절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다단붐 구조나 관절구조의 붐구조체(1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테이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에 의하여 재도장을 하기 위한 건물 외벽(B)으로 승강되거나 이동된다. 작업테이블(100)의 좌우측 및 후방측에는 회동되는 테이블날개(100a)(100b)가 설치되며, 테이블날개(100a)(100b)가 접혀지면서 상호 연결될 때 안전펜스가 된다.
프레임조립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지지되는 사각프레임(210)과,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과, 사각프레임(21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과,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1로드(241)를 가지는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과,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2로드(251)를 가지는 한쌍의 제2푸쉬프레임(250)과, 사각프레임(210)의 상단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서브지지대(260)를 포함한다.
사각프레임(2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은 사각프레임(210)이 작업테이블(100) 상에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현한다.
사각프레임(2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은, 방진막(300)을 거치하는 기능과 함께 페인트스프레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푸쉬프레임(2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1착탈브라켓(242)과, 각각의 제1착탈브라켓(242)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몸체(243)와, 제1프레임몸체(24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1로드(241)와, 각각의 제1프레임몸체(243) 내측에 설치되어 제1로드(24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244)과, 제1로드(2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휠(245)을 포함한다.
제2푸쉬프레임(2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2착탈브라켓(252)과, 각각의 제2착탈브라켓(252)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몸체(253)와, 제2프레임몸체(25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2로드(251)와, 각각의 제2프레임몸체(253) 내측에 설치되어 제2로드(25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254)과, 제2로드(25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휠(255)을 포함한다.
제1,2푸쉬프레임(240)(250)은, 제1,2착탈브라켓(242)(252)가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에 끼어진 상태에서, 핀(P)이 1,2착탈브라켓(242)(252)을 관통함으로써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에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제1,2푸쉬프레임(240)(250)에 있어서, 제1,2로드(241)(251)는 평소에 제1,2스프링(244)(254)에 의하여 제1,2프레임몸체(2432)(25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재도장 작업을 위하여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으로 접근하면,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2휠(245)(255)이 건물 외벽(B)에 먼저 밀착된 후 밀리게 되고, 제1,2휠(241)(251)과 연결된 제1,2로드(241)(251)는 제1,2스프링(244)(2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2프레임몸체(243)(254)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반대로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으로부터 멀어지면 제1,2스프링(244)(25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2로드(241)(251)는 제1,2프레임몸체(243)(253)으로부터 돌출되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방진막(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210) 내측 공간을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1방진막(310)과,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2방진막(320)과,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3방진막(330)과,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 사이를 막도록 제4방진막(340)을 포함한다.
제3방진막(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상부 및 제1하부 수평프레임(220)(230)에 끼어지도록 말려진 한쌍의 제3방진막튜브(331)와, 한쌍의 제3방진막튜브(331)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방진막커튼(332)를 포함하고, 제3방진막커튼(332)은 제1상부 및 제1하부 수평프레임(220)(230) 사이를 막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방진막튜브(331)는 각각의 제1상부 및 제1하부 수평프레임(220)(230)에 말려진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제1푸쉬프레임(240)에서 돌출된 제1로드(241) 및 제1휠(245)은 제3방진막튜브(331)의 전방측, 즉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에서 돌출되어 건물 외벽(B)을 향한다.
제4방진막(3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상부 및 제2하부 수평프레임(225)(235)에 끼어지도록 말려진 한쌍의 제4방진막튜브(341)와, 한쌍의 제4방진막튜브(341) 사이를 연결하는 제4방진막커튼(342)를 포함하고, 제4방진막커튼(342)는 제2상부 및 제2하부 수평프레임(225)(235) 사이를 막게 된다. 여기서, 제4방진막튜브(341)는 각각의 제2상부 및 제2하부 수평프레임(225)(235)에 말려진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제2푸쉬프레임(250)에서 돌출된 제2로드(251) 및 제2휠(255)은 제4방진막튜브(341)의 전방측, 즉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에서 돌출되어 건물 외벽(B)을 향한다.
상기 제1,2푸쉬프레임(240)(250) 및 제3,4방진막(330)(34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재도장 작업을 위하여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으로 접근하면, 제3,4방진막튜브(331)(341)로부터 돌출된 제1,2휠(245)(255)이 건물 외벽(B)에 먼저 밀착된 후 제1,2로드(241)(251)가 제1,2프레임몸체(243)(253)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연동 동작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제3,4방진막튜브(331)(341) 및 제3,4방진막커튼(332)(342)은 건물 외벽(B)에 틈새가 없을 정도로 밀착된다.
여기서, 제3,4방진막튜브(331)(341) 및 제3,4방진막커튼(332)(342)은 제1,2로드(241)(251)가 제1,2프레임몸체(243)(253)에 몰입함에 따라 건물 외벽(B)에 밀착되는 것이므로, 작업테이블(100)을 건물 외벽(B)에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부연하면, 작업테이블(100)은 높이 연장된 붐구조체(10)에 의하여 수십미터 고공에서 이동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지상 작업자가 작업테이블(100)을 건물 외벽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밀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고, 자칫 조작이 미숙할 때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에 충돌되어 건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에 밀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3,4방진막(330)(340)을 건물 외벽(B)에 밀착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2프레임몸체(243)(253)로 출몰되는 제1,2로드(241)(251) 및 제1,2휠(245)(255)를 가지는 제1,2푸쉬프레임(240)(250)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조립체(200) 및 방진막(300)에 의하여, 방진막(300)이 건물 외벽(B) 측을 제외한 프레임조립체(200)를 덮개 되면, 프레임조립체(200) 내부에 작업자가 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재도장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2의 사각프레임에 착탈되는 서브지지대 및 제1,2푸쉬프레임이 편평하지 않는 건물 외벽을 구획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브지지대(26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210)의 상단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브라켓(261)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지지대(260)는 사각프레임(210)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고, 또한 제2방진막(320)이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에 걸쳐질 때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에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서브지지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도장하는 건물 외벽(B)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몰입될 때, 몰입이 시작되는 부분에 대응되게 사각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의 공간을 건물 외벽(B)이 몰입된 부분(W1)과 몰입되지 않은 부분(W22)으로 구획한다. 이 상태에서, 방진막(300)은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서브지지대(260) 사이를 형성되는 몰입된 부분(W1)과, 서브지지대(260)와 제2상부수평프레임(225) 사이의 몰입되지 않은 부분(W2)의 상부측을 독립적으로 걸침으로써, 건물 외벽(B)의 몰입 여부에 관계없이 프레임조립체(200)의 상부 부분을 막을 수 있다. 즉, 건물 외벽이 부분적으로 몰입되더라도, 서브지지대(260)에 의하여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상부측 공간을 모두 막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재도장 작업시 페인트스프레이가 상부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건물 외벽이 편평할 경우,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에 설치되는 제1푸쉬프레임(240)과,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에 설치되는 제2푸쉬프레임(250)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B)이 부분적으로 몰입될 경우, 몰입된 건물 외벽에 밀착되는 제1푸쉬프레임(240)의 길이는, 몰입되지 않는 건물 외벽에 밀착되는 제2푸쉬프레임(250)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채용한다.
도 7은 도 3의 제1,2상부수평프레임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1,2버티컬방진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는,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는 제1,2봉(220a)(225a) 및 상기 제1,2봉(220a)(2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튜브(220b)(225b)를 포함하고, 방진막(300)은, 제1,2튜브(220b)(225b)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1,2버티컬방진막(350)(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2튜브(220b)(225b)는 제1,2봉(220a)(225a)에 대하여 회전되므로, 제1,2튜브(220b)(225b)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제1,2버티컬방진막(350)(360)은 제1,2튜브(220b)(225b)에 감겨지거나 풀어서 늘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제1,2푸쉬프레임에 설치되는 서브방진막커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 사이나, 한쌍의 제2푸쉬프레임(250) 사이에는, 도 2에서 도시된 제3,4방진막(330)(340)과는 독립적인 구성인 서브방진막커튼(370)이 설치될 수 있다.
서브방진막커튼(370)은, 상기 제1푸쉬프레임(243) 및 제1로드(241)가 끼어지는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주름끼움단(371)과, 한쌍의 주름끼움단(371)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방진막(372)과, 주름방진막(37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모헤어밴드(373)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방진막커튼(370)은, 제1,2로드(241)(251)의 출몰 상태에 따라 제1,2푸쉬프레임(240)(250)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짤아질 때, 제1,2프레임몸체(243)(253)와 제1,2로드(241)(251) 사이에서 촘촘히 접혀지거나 펼쳐짐으로서 한쌍의 제1,2푸쉬프레임(240)(250) 사이와 건물 외벽(B)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
도 9는 도 3의 제1푸쉬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제1착탈브라켓의 끼움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푸쉬프레임이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푸쉬프레임(240)의 후단에 형성된 제1착탈브라켓(242')에는, 제1푸쉬프레임(240)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수직끼움홈(2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착탈브라켓(242')에 의하여, 도 10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도장하는 건물 외벽의 일부가 몰입되고 돌출되는 복잡한 형태의 경우에도,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에 직각 방향으로 제1푸쉬프레임(240)이 결합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방진막을 적절히 덮음으로써 재도장시 발생되는 페인트스프레이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소작업차가 작업현장으로 이동한 후 붐구조체(10)의 다단붐을 신장시키면서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으로 이동되고, 프레임조립체(200) 및 방진막(300)으로 구성되는 방진케이지 내측에서 작업자는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B)의 재도장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 단부의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입체적인 형태의 프레임조립체(200) 및 건물 외벽(B)을 제외한 프레임조립체(200)의 나머지면을 덮는 방진막(300)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프레임조립체(200) 내측에서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건물 재도장을 할때, 페인트스프레이가 방진막(300)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푸쉬프레임(240)(250) 및 제3,4방진막(330)(340)에 의하여, 붐구조체(10)의 다단붐에 의하여 고공중에 위치된 작업테이블(100)을 건물 외벽(B)에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아도 제3,4방진막(330)(340)이 건물 외벽(B)에 밀착되므로, 붐구조제(10)의 미숙한 조작에 의하여 작업테이블(100)이 건물 외벽(B)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소작업차의 다단붐에 지지되어 승강 및 이동되는 작업테이블(100) 상에서 재도장 작업이 진행되므로 빠른 재도장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작업테이블 100a, 100b ... 테이블날개
200 ... 프레임조립체 210 ...사각프레임
220, 225 ... 제1,2상부수평프레임 220a, 225a ... 제1,2봉
220b, 2225b ... 제1,2튜브 230, 235 ... 제1,2하부수평프레임
240 ... 제1푸쉬프레임 241 ... 제1로드
242, 242' ... 제1착탈브라켓 242a' ... 수직끼움홈
243 ... 제1프레임몸체 244 ... 제1스프링
245 ... 제1휠 250 ... 제2밀칙단
251 ... 제2로드 252 ... 제2착탈브라켓
253 ... 제2프레임몸체 254 ... 제2스프링
255 ... 제2휠 260 ... 서브지지대
261 ... 지지대브라켓 300 ... 방진막
310 ... 제1방진막 320 ... 제2방진막
330 ... 제3방진막 331 ... 제3방진막튜브
332 ... 제3방진막커튼 340 ... 제4방진막
341 ... 제4방진막튜브 342 ... 제4방진막커튼
350, 360 ... 제1,2버틸컬방진막 370 ... 서브방진막커튼
371 ... 주름끼움단 372 ... 주름방진막
373 ... 모헤어밴드

Claims (9)

  1.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200)에 덮여지되, 재도장을 위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면이 덮여지는 방진막(3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지지되는 사각프레임(210)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와,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1로드(241)를 가지는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과,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출몰되는 제2로드(251)를 가지는 한쌍의 제2푸쉬프레임(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푸쉬프레임(240)은, 상기 제1상부수평프레임(220)과 제1하부수평프레임(23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1착탈브라켓(242)과, 각각의 상기 제1착탈브라켓(242)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몸체(243)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1로드(241)와, 각각의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드(24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스프링(2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푸쉬프레임(250)은, 상기 제2상부수평프레임(225)과 제2하부수평프레임(235)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제2착탈브라켓(252)과, 각각의 상기 제2착탈브라켓(252)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몸체(253)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253)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상기 제2로드(251)와, 각각의 상기 제2프레임몸체(25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로드(251)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스프링(2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서브지지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쉬프레임(240)은 상기 제1로드(2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휠(2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푸쉬프레임(250)은 상기 제2로드(25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휠(2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푸쉬프레임(240)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방진막커튼(3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방진막커튼(370)은, 상기 제1프레임몸체(243)와 제1로드(241)가 끼어지는 구멍이 형성된 한쌍의 주름끼움단(371)과, 상기 한쌍의 주름끼움단(371)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방진막(372)과, 상기 주름방진막(37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모헤어밴드(3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8.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200)에 덮여지되, 재도장을 위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면이 덮여지는 방진막(3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지지되는 사각프레임(210)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막(300)은, 상기 사각프레임(210) 내측 공간을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1방진막(310)과, 상기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 사이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2방진막(320)과, 상기 제1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0)(230)를 막도록 걸치어지는 제3방진막(330)과, 상기 제2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225)(235) 사이를 막도록 제4방진막(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9. 자체 동력으로 이동되는 고소작업차의 붐구조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작업테이블(1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조립체(200);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200)에 덮여지되, 재도장을 위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면이 덮여지는 방진막(3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조립체(2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지지되는 사각프레임(210)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과,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하단 양측에 지지되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하부수평프레임(230)(235)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상부수평프레임(220)(225)는, 상기 사각프레임(210)의 상단 양측에 지지되는 제1,2봉(220a)(225a) 및 상기 제1,2봉(220a)(2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튜브(220b)(225b)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막(300)은, 상기 제1,2튜브(220b)(225b)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제1,2버티컬방진막(350)(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KR1020190117213A 2019-09-24 2019-09-24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KR10207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3A KR102075315B1 (ko) 2019-09-24 2019-09-24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3A KR102075315B1 (ko) 2019-09-24 2019-09-24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15B1 true KR10207531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213A KR102075315B1 (ko) 2019-09-24 2019-09-24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161B1 (ko) * 2020-05-12 2020-12-07 김소중 에어커튼을 이용한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CN113477445A (zh) * 2021-07-28 2021-10-08 张云霞 一种建筑工程用水利复合型井管管材修复装置
KR20220125015A (ko) * 2021-03-04 2022-09-14 변재식 집진 기능이 구비된 가변형 외벽 도장 장치
KR20230112803A (ko) *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 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16U (ko) * 1989-06-30 1991-02-19
KR19980075811A (ko) * 1997-03-26 1998-11-16 김지환 페인트입자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페인트안전분사장치
KR20090029445A (ko) * 2007-09-18 2009-03-23 스웰 주식회사 페인트 비산물 흡입장치
KR20090077405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비산 방지장치
KR101949104B1 (ko) * 2018-11-12 2019-05-21 김소중 박공지붕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1975738B1 (ko) * 2019-01-18 2019-08-28 김소중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16U (ko) * 1989-06-30 1991-02-19
KR19980075811A (ko) * 1997-03-26 1998-11-16 김지환 페인트입자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페인트안전분사장치
KR20090029445A (ko) * 2007-09-18 2009-03-23 스웰 주식회사 페인트 비산물 흡입장치
KR20090077405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비산 방지장치
KR101949104B1 (ko) * 2018-11-12 2019-05-21 김소중 박공지붕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101975738B1 (ko) * 2019-01-18 2019-08-28 김소중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6716 U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161B1 (ko) * 2020-05-12 2020-12-07 김소중 에어커튼을 이용한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KR20220125015A (ko) * 2021-03-04 2022-09-14 변재식 집진 기능이 구비된 가변형 외벽 도장 장치
KR102495631B1 (ko) * 2021-03-04 2023-02-06 변재식 집진 기능이 구비된 가변형 외벽 도장 장치
CN113477445A (zh) * 2021-07-28 2021-10-08 张云霞 一种建筑工程用水利复合型井管管材修复装置
KR20230112803A (ko) *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 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
KR102629077B1 (ko) 2022-01-21 2024-01-24 주식회사 솔팩 로터리 포장기의 그립퍼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315B1 (ko)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CN108472673B (zh) 用于对建筑物的外墙壁进行喷施涂漆的系统
KR101658820B1 (ko) 좁은 벽면 및 모서리 외벽 도장장치
KR102086292B1 (ko) 고층건물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승강장치
KR102140420B1 (ko)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1950650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CN203915855U (zh) 消防车
CN112807591A (zh) 一种建筑智能化灭火装置
KR100719631B1 (ko) 페인팅 장치
KR20170050464A (ko) 건물외벽과 이격거리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 프레임
KR102159124B1 (ko) 건축물의 스프레이 도장용 방진막 전용 부스
KR101975738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CN104612390B (zh) 高空钢吊网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188161B1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CN115288396B (zh) 一种建筑工地用的外墙涂料喷涂设备及方法
KR101994194B1 (ko) 건물 벽면 도색용 방진 하우징
CN210683010U (zh) 爬楼机器装置
KR102182303B1 (ko) 고소 페인트 비산 방지 장치
CN220725668U (zh) 一种高层楼宇外壁喷涂机器人
KR102491727B1 (ko) 도장 작업용 분진 방진막 장치
CN213359284U (zh) 一种可调节平衡阻尼的悬挂式喷涂机
JPH0326933Y2 (ko)
KR102640608B1 (ko)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KR102659821B1 (ko) 건축물용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 외벽 도장 공법
CN210813628U (zh) 一种举高消防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