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08B1 -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 Google Patents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08B1
KR102640608B1 KR1020210043832A KR20210043832A KR102640608B1 KR 102640608 B1 KR102640608 B1 KR 102640608B1 KR 1020210043832 A KR1020210043832 A KR 1020210043832A KR 20210043832 A KR20210043832 A KR 20210043832A KR 102640608 B1 KR102640608 B1 KR 10264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booth
painting
adsorption
lower fram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115A (ko
Inventor
변재식
Original Assignee
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식 filed Critical 변재식
Priority to KR102021004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80Movable 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 도장 작업 시, 비산 먼지를 용이하게 흡착시킬 수 있고, 고공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기에도 용이하고,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의 연결부;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면에 구비되되, 외벽과 맞닿는 제1 면을 제외하고 구비되는 것으로,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필터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도장 작업을 위한 스프레이건이 슬릿을 통해 이동되고, 흡착부를 통해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ADSORPTION TYPE SIMPLICITY HIGH ALTITUDE PAINTING BOOTH}
본 발명은 도장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 도장 작업 시, 비산 먼지를 용이하게 흡착시킬 수 있고, 고공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기에도 용이하고,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및 구조물의 외벽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그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직접 페인트 도색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옥상에 고정시킨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페인트 도색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외벽을 페인트로 도색하고 있다.
이러한 도색작업은 건물 외벽에 페인트를 꼼꼼하게 도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작업자가 직접 건물 외벽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항시 낙상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바람이 세게 부는 날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959호 "다중분사방식을 이용한 건물 외벽 도장 장치"를 보면, 외벽에 도료를 분사하고,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막 또는 방풍막이 구비되어 외벽을 따라 승강되는 도장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구조와 도장수단을 수평시키기 위한 구조가 기계 및 전기적으로 복잡한 구조이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사 방식으로 인한 도료의 비산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료에는 시너, 벤젠, 톨루엔 등 인체에 치명적인 위해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도장 작업 중 비산물이 함유된 각종 유해물질이 방출되어 작업자의 안전과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분진의 집진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들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분진 집진 장치들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집진을 위한 장비들로 인해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 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959호(공개일자: 2012.1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장 작업 시, 비산 먼지가 주위로 배출되지 않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휴대가 용이하고, 고공 작업 시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산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더욱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도장 시 이용되는 도장 부스로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의 연결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면에 구비되되, 외벽과 맞닿는 제1 면을 제외하고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필터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도장 작업을 위한 스프레이건이 상기 슬릿을 통해 이동되고, 상기 흡착부를 통해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필터부재에 형성되는 이동로;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흡착포; 및 상기 이동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착포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는, 상기 흡착포가 연결된 벨트를 감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로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의 마주보는 제1 및 제2 모서리, 상기 제1 모서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3 모서리, 및 상기 제2 모서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4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장 작업 시, 비산 먼지가 주위로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작업자가 스프레이건으로 작업을 함과 동시에 스프레이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도장 부스가 배치되므로, 비산 먼지가 주위로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도장 부스의 무게가 가볍고, 높이 조절을 위한 구성들이 간편하므로, 고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편의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에 맞게 도장 부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스트링과 스토퍼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도장 부스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외벽면의 상태나 작업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면을 제외한 본체의 모든 면에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비산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의 높이를 늘이고 줄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의 흡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설명 상에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시점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가 직육면체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의 형태가 정육면체, 육면체, 삼각뿔, 반원, 원뿔, 원통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커버부가 끼워질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부스(100)를 뒷면, 즉 제2 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도장 부스(100)의 개방된 면, 즉 제1 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b는 흡착부(60)의 도시 및 설명을 위하여 필터부재(40)를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100)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연결부(30), 필터부재(40), 및 흡착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0)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및 연결부(30)를 통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즉,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의 각 대응되는 정점 부분에 연결부(30)가 각각 구비되어, 도장 부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이 된다.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은 무게가 가벼우면서, 직사각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는 파이프 부재일 수 있고, 소정의 강도와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재질일 수 있다.
연결부(30)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 20) 사이에 구비된다. 연결부(30)는 4 개(30a, 30b, 30c, 30d)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 20)의 대응되는 각 정점을 연결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부(30)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이다. 이러한 연결부(30)의 형상으로 인해, 연결부(30)는 늘어났다, 줄었다 할 수 있다. 연결부(30)의 신축은 작업자가 상부 프레임(10)을 잡고 던지듯이 힘을 주면 늘어날 수 있다. 또는 작업자가 상부 프레임(10)에 연결된 로프(미도시)를 잡아 들어올림으로써, 중력에 의해 연결부(30)가 늘어날 수 있다.
연결부(30)는 작업자가 편의를 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의 높이를 늘이고 줄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100)는 스트링(70)과 스토퍼(75)를 더 포함한다. 한편, 도 2a와 도 2b는 스트링(70)과 스토퍼(75)의 연결 및 동작의 설명을 위해 다른 구성들, 예컨대 필터부재(40), 흡착부(60) 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1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트링(70)과 스토퍼(75)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스트링(70)은 제1 내지 제3 스트링(70a, 70b, 70c)을 포함한다. 제1 스트링(70a)은 상부 프레임(10)의 마주보는 제1 및 제2 모서리를 연결한다. 제2 스트링(70b)은 제1 모서리와 하부 프레임(20)의 제3 모서리를 연결한다. 제3 스트링(70c)은 제2 모서리와 하부 프레임(20)의 제4 모서리를 연결한다. 제1 스트링(70a)은 제2 및 제3 스트링(70b, 70c) 사이에서 이들과 연결되고, 스트링(7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75)와 연결된다. 스트링(70)은 스토퍼(75)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 부분(73)이 마련된다.
스토퍼(75)는 스트링(70)의 길이 조절을 위해 구비된다.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스토퍼(75)를 누르면서 도 2b의 화살표와 같이 스토퍼(75)와 연결된 손잡이 부분(73)을 잡아당기면, 연결부(30)의 길이는 화살표 방향으로 줄어들게 된다. 작업자는 도 2b와 같이 원하는 길이만큼 줄어들면, 스토퍼(75)를 누르던 것을 해제하게 된다. 연결부(30)의 길이 조절로 인해, 작업자는 원하는 크기의 도장 부스(100)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연결부(30)를 최대한 줄이면, 도장 부스(100)의 부피가 줄어들어 작업자가 휴대하기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필터부재(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0)에서 외벽과 맞닿는 제1 면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된다. 즉, 필터부재(40)는 도장 부스(100)의 제2 내지 제6 면에 구비된다. 필터부재(40)는 도장 부스(100)의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구비되는 제1 필터부재(40a),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필터부재(40b, 40c),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 즉 도장 부스(100)의 양쪽 옆면에 구비되는 제4 및 제5 필터부재(40d, 40e)를 포함한다.
필터부재(40)에 의해, 비산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부재(40)의 미세 구멍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필터부재(40)가 각 면에 일부만 있는 것처럼 도시하였지만, 필터부재(40)는 도장 부스(100)의 제1 면을 제외한 면을 모두 덮도록 구비되고, 페인트 입자가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의 필터부재(40)가 실제로 사용된다.
필터부재(40)는 천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어, 스트링(70)과 스토퍼(75)를 이용한 연결부(30)의 높이 조절 시,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필터부재(40), 예컨대 도장 부스(100)의 제2 면에 구비되는 제1 필터부재(40a)에는 슬릿(50)이 형성된다.
슬릿(50)은 스프레이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50)이 제1 필터부재(40a)에서 위, 아래(50a, 50b) 두 개가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는 스프레이건을 슬릿(50)으로 넣어 도장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프레이건은 페인트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도장 부스(100)의 개방된 제1 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한다. 스프레이건은 건물 외벽을 도장할 때 페인트를 입자 형태로 분사한다.
흡착부(60)는 도장 부스(100) 내부에 구비된다. 흡착부(60)는 이동로(61), 손잡이(63), 및 흡착포(65)를 포함한다. 이동로(61)는 상부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제2 필터부재(40b)에 구비된다. 이동로(61)는 상부 프레임(10)의 제1 및 제2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제2 필터부재(49b)에 형성된다. 이동로(61)는 흡착부(60)의 손잡이(63)가 이동되는 공간이다.
흡착부(60)의 손잡이(63)는 이동로(61)를 따라 이동된다. 손잡이(63)는 이동로(61) 상부, 예컨대 제2 필터부재(40b)의 상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잡기 편리하도록 구비된다. 손잡이(63)의 하부에는 흡착포(65)가 구비된다. 이동로(61)는 손잡이(63)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로(61) 주위에 별도로 가이드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가이드로 인해, 손잡이(63)의 이동 시, 제2 필터부재(40b)의 손상 없이 이동로(61)의 형상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흡착포(65)는 도장 부스(100) 내부의 공간에 구비된다. 도장 부스(100)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 완료 후, 작업자는 손잡이(63)를 잡고 이동로(61)를 따라 이동시켜, 흡착포(65)가 도장 부스(100) 내부를 지나가도록 한다. 흡착포(65)에 의해 도장 부스(100) 내부에 남아있는 분진이 흡착포(65)에 붙게 되고, 이로 인해, 도장 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이 방출되는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흡착부(60)는 작업자가 도장 작업을 할 때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시켜놓음으로써,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도장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흡착부(6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착포(65)의 다른 형태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의 흡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60')는 복수 개의 흡착포(65')가 일렬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60")는 복수 개의 흡착포(65")가 복수의 열과 행으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흡착포가 구비되는 경우, 분진이 흡착되는 면이 넓어지게 되므로, 흡착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의 형태는 이동로를 따라 손잡이를 이동시키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동시켜, 도장 부스 내부의 분진을 흡착하는 구조는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흡착부의 다른 일례로, 흡착부는 흡착포가 연결된 벨트를 감는 롤러를 구비하고, 롤러에 손잡이를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를 돌리면 롤러가 돌아가면서 벨트가 돌아가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벨트에 연결된 흡착포가 이동되고, 흡착포가 도장 부스 내부 공간에서 이동함으로써, 분진의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0)는 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부스(100)는 경량화와 휴대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집진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집진 기능의 강화를 위하여 집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10, 20: 프레임
30: 연결부
40; 필터부재
50; 슬릿
60; 흡착부
61; 이동로
63; 손잡이
65; 흡착포
70; 스트링
73; 손잡이
75; 스토퍼

Claims (4)

  1. 건물의 외벽 도장 시,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작업자가 스프레이건을 넣어 이용하는 이용되는 도장 부스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의 연결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면에 구비되되, 외벽과 맞닿는 제1 면을 제외하고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형성되는 슬릿(slit)을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필터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도장 작업을 위한 스프레이건이 상기 슬릿을 통해 이동되고, 상기 흡착부를 통해 분진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필터부재에 형성되는 이동로;
    상기 도장 부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흡착포; 및
    상기 이동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착포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흡착포가 연결된 벨트를 감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로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마주보는 제1 및 제2 모서리, 상기 제1 모서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3 모서리, 및 상기 제2 모서리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제4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KR1020210043832A 2021-04-05 2021-04-05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KR10264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32A KR102640608B1 (ko) 2021-04-05 2021-04-05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32A KR102640608B1 (ko) 2021-04-05 2021-04-05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5A KR20220138115A (ko) 2022-10-12
KR102640608B1 true KR102640608B1 (ko) 2024-02-23

Family

ID=8359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32A KR102640608B1 (ko) 2021-04-05 2021-04-05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8B1 (ko) * 2007-07-25 2008-08-19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1497476B1 (ko) 2013-09-30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장치
KR102116302B1 (ko) * 2019-12-31 2020-05-28 김수연 버스용 도장 부스
KR102168683B1 (ko) * 2019-10-07 2020-10-27 (주)세종이엔씨 콘크리트 패널식 옹벽 구조물의 현장 도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도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659A (ja) * 1994-10-25 1996-05-14 Dyflex Corp 吹付け塗装工事用養生用具
KR20120109959A (ko) 2011-03-25 2012-10-09 풍림산업 주식회사 다중분사방식을 이용한 건물 외벽 도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8B1 (ko) * 2007-07-25 2008-08-19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1497476B1 (ko) 2013-09-30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장치
KR102168683B1 (ko) * 2019-10-07 2020-10-27 (주)세종이엔씨 콘크리트 패널식 옹벽 구조물의 현장 도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도색 방법
KR102116302B1 (ko) * 2019-12-31 2020-05-28 김수연 버스용 도장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5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315B1 (ko)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KR101950650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JP6927073B2 (ja) 飛行式噴射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101658820B1 (ko) 좁은 벽면 및 모서리 외벽 도장장치
KR102145873B1 (ko) 에어 리스 스프레이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고소작업대용 도색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달비계용 도색 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평면용 도색장치
KR102640608B1 (ko) 흡착식 고공 간이 도장 부스
US9192955B2 (en) Device for carrying out surface treatment
KR20120111856A (ko) 벽면 도장 로봇의 비산 방지 장치
KR100719631B1 (ko) 페인팅 장치
US8499716B2 (en) Portable spray containment enclosure
JPH08114027A (ja) ゴンドラ用の養生装置
JP2008062194A (ja) 粉塵除去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579939B1 (ko)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 및 도장공법
KR20160058414A (ko) 표면부착 이동장치
KR100902722B1 (ko) 이동식 도장분진 집진 시스템
KR20220125015A (ko) 집진 기능이 구비된 가변형 외벽 도장 장치
KR102495875B1 (ko) 비산 방지 도장 로봇
CN213199928U (zh) 一种机器人
KR200414634Y1 (ko) 페인팅 장치
CN211364642U (zh) 一种用于室内装修材料的环保型运输装置
TWM577352U (zh) Spray shutter device
KR102640482B1 (ko) 건물의 도장장치
KR20220102393A (ko) 접철식 무인로봇 도장장치
US5630876A (en) Coating product sprayer device
CN215542009U (zh) 一种深沟球轴承喷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