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59B1 -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59B1
KR101975359B1 KR1020180140437A KR20180140437A KR101975359B1 KR 101975359 B1 KR101975359 B1 KR 101975359B1 KR 1020180140437 A KR1020180140437 A KR 1020180140437A KR 20180140437 A KR20180140437 A KR 20180140437A KR 101975359 B1 KR101975359 B1 KR 10197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knob
groove
friction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 동양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이화 filed Critical (주) 동양이화
Priority to KR102018014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접하는 자동차의 부품 사이에 장착되어 접촉부위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각각의 부품을 보호하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에 관한 것으로, 접동부 표면에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 노브홈과 노브홈 내측 표면에 돌출된 이중 노브로 이루어지는 이중 돌기를 다수개 형성하고, 이중 노브의 돌출부 말단은 접동부 표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압축력 작용에 의한 변형 발생 전에는 이중 노브의 돌출부 말단이 부품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주행에 따른 부품의 움직임 발생시 접동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로드 형상의 부품과 접동부재 사이에 마찰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Compression and Friction Applied Component with Doubled Swelling Knob of Slipping Contact Surface for Car}
본 발명은 서로 연접하는 자동차의 부품 사이에 장착되어 접촉부위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각각의 부품을 보호하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동부 표면에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 노브홈과 노브홈 내측 표면에 접동부 표면보다 낮게 돌출된 이중 노브로 이루어지는 이중 돌기가 형성되고, 자동차 주행에 따른 외력 작용시 접동부재가 부품에 의해 압축 및 변형되면서 이중 노브가 접동부 표면보다 높게 돌출됨으로써, 부품과 접동부재 사이의 마찰발생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마찰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 드라이브 샤프트나 변속기 등의 동력 전달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과 같이 구동과 관련된 부품의 경우 부품끼리 서로 결합 또는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또는 직선왕복운동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와 같이 부품끼리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작동하여 마찰이 작용하는 부위를 접동부 구조라고 한다.
이러한 자동차 접동부 구조가 적용되는 예로서 주행중 바퀴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구동축 등의 동력전달 장치 손상을 방지하는 현가장치에서 감쇠작용을 통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스트로크를 빠르게 완화시켜 자동차의 선회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쇼크업소버가 있다.
쇼크업소버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쇼크업소버의 직선왕복운동 경로가 되는 피스톤로드와 쇼크업소버 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쇼크업소버 상단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 캡으로 이루어지며, 차체의 휠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 피스톤 로드를 연결하게 되는데, 현가장치의 작동에 의한 스프링의 수축 또는 인장발생시 쇼크업소버가 피스톤로드를 축으로 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인슐레이터 및 스트라이커캡간 충돌이 일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슐레이터와 피스톤로드의 연결부에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자운스 범퍼(jounce bumper)를 장착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1720에서는 스프링의 수축시 스트라이커 캡과 접촉하는 자운스 범퍼 하부면에 접촉돌기를 형성하고, 스트라이커 캡의 상부면에는 접촉돌기에 대응하는 접촉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의 수축시 자운스 범퍼와 스트라이커 캡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및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운스 범퍼는 스프링 수축시 인슐레이터 및 스트라이커 캡에 의해 압축되어 변형하는 자운스 범퍼와 피스톤 로드 사이의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및 마찰열 발생을 방지할 수 없고, 자운스 범퍼와 인슐레이터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가 인슐레이터 또는 피스톤 로드와의 접촉면으로 빠져나가면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1720호 (2008.06.1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를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로드 형상의 부품과 접동부재 내측 표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접동부재의 말단부와 접촉하는 부품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접동부재의 변형 발생시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접동부재와의 접촉부 틈새 누출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고, 접동부재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 말단과 연결되는 부품과 접동부재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연접하는 자동차의 부품 사이에 장착되어 접촉부위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각각의 부품을 보호하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에서, 상기 접동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된 원기둥 형상의 바디와, 서로 이격된 두 부품이 바디 내부를 통과하는 로드 형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와, 연결구 표면에서 연결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1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의 이중 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이중 돌기는 연결구 표면에 홈이 함몰되어 노브홈이 형성되고, 노브홈 내측 표면에는 연결구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이중 노브가 형성되며, 이중 노브의 돌출부 말단은 연결구 표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압축력 작용에 의한 바디의 변형 발생 전에는 이중 노브의 돌출부 말단이 부품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는 연결구 주위를 따라 곡면의 홈으로 이루어진 연결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홈 측면에는 홈으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홈이 바디 외측면 표면 방향으로 확장되어 바디의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의 표면에는 연결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노브가 돌출되고,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바디 말단부보다 중앙부의 외측면 직경이 감소하여 단이 이루어진 단차부가 형성되어, 바디의 외측면 및 연결구 표면과 각각 접촉하는 부품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배출홈은 바디 외측면으로 확장되어 단차부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는 연결구 주위를 따라 다수의 홈이 일정 각도로 형성되고, 바디의 측면 표면에는 연결구 주위를 따라 형성된 홈 사이마다 오목홈이 형성되어 바디의 일측 말단부 형상이 꽃모양의 화형 리브를 이룸으로써, 화형 리브와 접촉하는 부품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회전마찰 작용시 마찰면적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전체 표면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함유된 왁스 코팅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왁스는 합성 왁스, 동물성 왁스, 또는 식물성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기상태에서 부품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연결구 표면보다 이중 돌기의 이중 노브가 낮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압축력 작용에 의한 바디 변형 발생시 이중 노브가 연결구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면서 부품과의 최초 접촉이 지연되어 마찰 발생이 감소하여 마찰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에 압축력 작용시 연결구홈 내부에 발생하는 압축공기가 공기 배출홈을 통해 부품 외부로 배출되면서 연결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함께 방출하여 냉각시키고, 압축공기가 바디와 부품간 접촉면 사이를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구 표면에 돌출된 노브를 통해 연결구와 부품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바디에 압축력 작용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마찰을 줄여 마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 형성된 화형 리브를 통해 부품과의 회전마찰 작용시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마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 표면에 형성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함유된 왁스 코팅층을 통해 접동하는 부품간 마찰을 감소시켜 마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 접동부 구조의 예로서 쇼크업소버와 인슐레이터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자운스 범퍼의 결합부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의 내부 및 외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에서 압축력 작용시 바디의 변형에 의한 이중 돌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 연결구홈과 공기 배출홈 및 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 화형 리브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및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된 원기둥 형상의 바디(100) 내부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인 연결구(110)가 형성되고, 연결구(110) 표면에는 다수개의 이중 돌기(120)가 형성되며, 연결구(110)에는 로드(rod) 형상의 부품이 통과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이중 돌기(120)는 연결구(110) 표면 일부가 함몰되어 홈을 이루는 노브홈(121)이 형성되고, 노브홈(121) 내측 표면에는 노브홈(120)보다 작은 크기의 돌기가 연결구(110)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이중 노브(122)가 형성되며,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재에 압축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중 노브(122)의 돌출된 높이가 노브홈(120)의 홈 깊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이중 노브(122)의 돌출부 말단이 연결구(110) 표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로드 형상의 부품과 연결구(110) 표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재에 압축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 접동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중 노브(122)의 돌출부 말단이 연결구(110)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면서 이중 노브(122)와 부품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동부재와 로드 형상의 부품간 접촉면적 감소 및 이중 노브(122)와의 최초 접촉이 지연되어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발생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이중 돌기(120)는 연결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1열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접동부가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로서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현가장치의 쇼크업소버에 장착되는 자운스 범퍼(jounce bumper)의 접동부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데, 자운스 범퍼의 바디(100) 내부에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는 연결구(110)가 형성되고, 자운스 범퍼의 연결구(110) 표면에는 다수의 이중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어, 현가장치의 작동에 의한 스프링의 수축 또는 인장발생시 쇼크업소버가 피스톤로드를 축으로 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인슐레이터 및 스트라이커캡 사이에 끼워진 자운스 범퍼의 압축이 발생하게 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 표면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이중 노브(122)가 자운스 범퍼가 압축되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자운스 범퍼 의 연결구(110)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면서 이중 노브(122)와 피스톤로드의 접촉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피스톤로드와 자운스 범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바디(100) 말단에 부품이 장착되는 경우 적용되는데,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는 도 2 및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곡면의 홈으로 이루어진 연결구홈(140)이 형성되고, 연결구홈(140) 측면에는 홈으로 된 공기 배출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홈(141)은 바디(100) 외측면 표면 방향으로 확장되어 바디(100)의 외측면과 연결된다.
이때, 연결구홈(140) 및 공기 배출홈(141)이 형성된 접동부재의 바디(100) 일측 말단과 밀착하여 접촉하는 부품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바디(100)에 압축력이 작용하면서 바디(100)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바디(100)가 변형되면서 바디(100)와 부품의 접촉부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연결구홈(140) 및 공기 배출홈(141)을 따라 부품 외부로 배출되며, 이를 통해 연결구(110)와 접촉하는 부품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압축공기와 함께 방출하고, 바디(100)의 변형에 의해 바디(100)와 부품간 접촉면 틈으로 압축공기가 누설되면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제1 또는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2 및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100) 일측 말단부보다 바디(100) 중앙부의 외측면 직경이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바디(100)의 외측면으로 단이 이루어진 단차부(130)가 형성되고, 연결구(110)의 표면에 다수개의 노브(150)가 연결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되어 바디(100)의 외측면 및 연결구(110) 표면과 각각 접촉하는 부품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구(110) 표면에 노브(15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 바디(100)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바디(100)의 변형에 의해 바디(100) 내측에 응력이 발생하면서 연결구(110) 표면과 부품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이 증가하게 되는데, 노브(150) 및 단차부(130)에 의해 부품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바디(100) 내측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마찰을 줄여 마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바디(1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바디(100)의 일측 말단과 측면 일부와 접촉하도록 부품이 장착되는 경우 적용되는데, 기본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홈(141)이 바디(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단차부(130)까지 연장됨으로써, 연결구(110)로부터 바디(100)의 일측 말단을 통과하여 바디(100)의 외측면 중앙부에 걸쳐 이어지게 된다.
이때, 접동부재의 바디(100) 말단과 측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밀착한 상태에서 바디(100)의 반대측 말단과 접촉하는 부품에 의해 바디(100)의 압축 및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홈(141)의 출구가 부품에 의해 막히면서 압축공기를 부품 외부로 배출할 수 없게 되는데, 공기 배출홈(141)이 바디(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단차부(130)까지 연장되어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연결구(110)와 접촉하는 부품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방출하고, 바디(100)와 부품간 접촉면 틈으로 압축공기가 누설되면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디(100)의 일측 말단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형성된 홈 사이마다 바디(100)의 측면 표면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어,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형상이 꽃모양의 화형 리브(16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오목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오목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동부재와 접촉하는 부품의 움직임에 의해 바디(100)에 압축력 작용시 바디(100)의 변형에 의해 바디(100)의 말단부와 부품의 접촉면에서 회전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화형 리브(160)는 바디(100) 말단부와 부품간 접촉면적을 줄여 회전마찰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마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동부재의 양쪽 말단에 각각 연결된 부품의 움직임에 의해 바디(100)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홈(140) 및 공기 배출홈(141)이 형성된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반대쪽 말단부 표면에 화형 리브(160)를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디(100)의 표면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함유된 왁스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낮은 마찰계수와 점착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린 코팅층을 통해 바디(100)와 접동하는 부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켜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발생 억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접동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6 실시 예에 따른 코팅층에 적용되는 왁스는 합성 왁스, 동물성 왁스, 또는 식물성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코팅층에 파라핀(paraffin) 왁스나 분지파라핀(isoparaffin)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크리스탈린(microcrystalline) 왁스 또는 패트로라텀(petrolatum) 왁스 등의 석유계 왁스를 적용하는 경우 마찰에 의한 노이즈 발생 억제 효과가 감소하게 되므로, 석유계 왁스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10: 연결구
120: 이중 돌기
121: 노브홈
122: 이중 노브
130: 단차부
140: 연결구홈
141: 공기 배출홈
150: 노브
160: 화형 리브

Claims (7)

  1. 서로 연접하는 자동차의 부품 사이에 장착되어 접촉부위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각각의 부품을 보호하는 마찰작용 부품의 접동부재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된 원기둥 형상의 바디(100)와, 서로 이격된 두 부품이 바디(100) 내부를 통과하는 로드(rod) 형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100)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110)와, 연결구(110) 표면에서 연결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1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의 이중 돌기(120)로 구성되되, 상기 이중 돌기(120)는 연결구(110) 표면에 홈이 함몰되어 노브홈(121)이 형성되고, 노브홈(121) 내측 표면에는 연결구(110)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이중 노브(122)가 형성되며, 이중 노브(122)의 돌출부 말단은 연결구(110) 표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압축력 작용에 의한 바디(100)의 변형 발생 전에는 이중 노브(122)의 돌출부 말단이 부품과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는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곡면의 홈으로 이루어진 연결구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홈(140) 측면에는 홈으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홈(141)이 바디(100) 외측면 표면 방향으로 확장되어 바디(100)의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110)의 표면에는 연결구(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노브(150)가 돌출되고, 상기 바디(100)의 외측면에는 바디(100) 말단부보다 중앙부의 외측면 직경이 감소하여 단이 이루어진 단차부(130)가 형성되어, 바디(100)의 외측면 및 연결구(110) 표면과 각각 접촉하는 부품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공기 배출홈(141)은 바디(100) 외측면으로 확장되어 단차부(130)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표면에는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다수의 홈이 일정 각도로 형성되고, 바디(100)의 측면 표면에는 연결구(110) 주위를 따라 형성된 홈 사이마다 원통형상으로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바디(100)의 일측 말단부 형상이 꽃모양의 화형 리브(160)를 이룸으로써, 화형 리브(160)와 접촉하는 부품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회전마찰 작용시 마찰면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바디(100)의 전체 표면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함유된 왁스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합성 왁스, 동물성 왁스, 또는 식물성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KR1020180140437A 2018-11-15 2018-11-15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KR10197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37A KR101975359B1 (ko) 2018-11-15 2018-11-15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37A KR101975359B1 (ko) 2018-11-15 2018-11-15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59B1 true KR101975359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37A KR101975359B1 (ko) 2018-11-15 2018-11-15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720A (ko) 2006-12-06 2008-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 어셈블리
KR101419732B1 (ko) * 2012-02-23 2014-07-15 주식회사 만도 범퍼 러버
KR101771686B1 (ko) * 2016-02-19 2017-09-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720A (ko) 2006-12-06 2008-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 어셈블리
KR101419732B1 (ko) * 2012-02-23 2014-07-15 주식회사 만도 범퍼 러버
KR101771686B1 (ko) * 2016-02-19 2017-09-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5306C2 (ru) Поглощающий аппарат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имеющий большой рабочий ход
CN105531478B (zh) 用于移动式应用的密闭往复式压缩机的悬挂装置及用于移动式应用的密闭往复式压缩机的悬挂装置的组装方法
KR101771686B1 (ko)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US8333270B2 (en) Floating piston valve of amplitude selective shock absorber
WO2015029984A1 (ja) 油圧緩衝器
KR101975359B1 (ko)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CA2604450C (en) Cartridge and rod end isolator
JP2013155841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US11098785B2 (en) Mount for vehicle
TWI336753B (en) Hydraulick shock absorber for vehicle
JP2002039252A (ja) ダンパのリバウンドストッパ構造
KR101723612B1 (ko) 쇽업소버
KR101462924B1 (ko) 케이블소켓
JP2000301923A (ja) バンプストッパ
KR200287282Y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링 결합구조_
JP3962971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KR20220109074A (ko) 커버 캡 및 이를 포함한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US11933355B2 (en) Ball joint
KR100741279B1 (ko) 쇽 업소버의 오일씰
KR20020045772A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장치
WO2004067989A1 (en) Air spring
KR20170058036A (ko) 쇽업소버
JP3153225U (ja) バンプストッパ
JP2004017769A (ja) 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