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036A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036A
KR20170058036A KR1020150161741A KR20150161741A KR20170058036A KR 20170058036 A KR20170058036 A KR 20170058036A KR 1020150161741 A KR1020150161741 A KR 1020150161741A KR 20150161741 A KR20150161741 A KR 20150161741A KR 20170058036 A KR20170058036 A KR 2017005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axial direction
shock absorber
tub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원
손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6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036A/ko
Publication of KR2017005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러버 부시 및, 상기 러버 부시의 내부에 관통결합되고, 내부를 통해 차량의 차축이 관통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외주로 굴곡부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러버 부시의 직경은 유지시키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원가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강도 특성을 달리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쇽업소버는 차체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및 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쇽업소버는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압축 행정과 인장 행정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쇽업소버는, 차량에 설치시 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결합시키 위한 마운트 구조가 사용되고, 실린더의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 연결구(아이(eye) 라고도 함)를 차량의 차축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상용한다.
여기서, 종래의 실린더 연결구는 실린더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러버 부시 및, 상기 러부 부시의 내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차축이 결합되는 내부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실린더 연결구는 러버 부시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쇽업소버의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의 어려움을 가져오고, 러버 부시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관의 강성이 좋지 않아 파손 및 변형의 염려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6190호(2007년 07월 2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쇽업소버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러버 부시의 내주에 삽입홈을 형성시키고, 내부관의 외주에 형성된 굴곡부가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러버 부시의 직경은 유지시키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원가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강도 특성을 달리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러버 부시 및, 상기 러버 부시의 내부에 관통결합되고, 내부를 통해 차량의 차축이 관통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외주로 굴곡부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러버 부시는 상기 외부관의 내주에 관통결합되며, 내부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부 몸체 및, 상기 외부 몸체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내주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내부 몸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몸체의 축 방향 양단은 상기 외부 몸체의 축 방향 양단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몸체는 축 방향 중심 부위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기준으로 축 방향 양단이 상기 내부관의 축 방향을 더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내주에 밴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일부분을 외부로 밴딩 성형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밴딩홈은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축 방향 중심 부위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다수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의 내주에는 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굴곡부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러버 부시의 내주에 삽입홈을 형성시키고, 내부관의 외주에 형성된 굴곡부가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러버 부시의 직경은 유지시키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원가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로부터 수직하게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하드한 강성을 갖고, 축 방향 양단에 작용하는 횡력에 대해서는 소프트한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강도 특성을 달리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러버 부시에 걸림돌기를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강도 특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방향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러버 부시에 걸림돌기를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강도 특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10)와, 외부관(100)과, 러버 부시(200) 및, 내부관(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실린더(10)는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10)의 챔버 내에는 유체(오일 등)가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내튜브(미도시)와 외튜브(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내튜브의 하부에는 바디밸브(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챔버 내에는 피스톤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밸브가 챔버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에는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피스톤 로드와 함께 피스톤 밸브가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한다.
외부관(100)은, 실린더(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관(100)의 내부에는 중공이 양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외부관(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관(100)은 실린더(10)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관(100)은 실린더(10)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러버 부시(200)는, 고무 재질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러버 부시(200)는 외부관(100)의 중공을 통해 관통결합되며, 상기 러버 부시(200)의 외주가 외부관(100)의 내주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러버 부시(200)는 내부에 중공이 양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러버 부시(200)의 내주에는 삽입홈(22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러버 부시(200)는 후술 될 굴곡부(310)가 대응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러버 부시(200)는 도 2와 도 3에서처럼 외부 몸체(210) 및, 내부 몸체(220)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 몸체(210)는 외부관(100)의 중공을 통해 관통결합되며, 상기 외부 몸체(210)의 외주가 외부관(100)의 내주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몸체(210)는 외부관(100)의 중공에 대응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에서처럼 내부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몸체(220)는, 외부 몸체(210)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몸체(220)의 내부에는 중공이 양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몸체(220)는 내부 중공 방향으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외부 몸체(210)의 내경은 내부 몸체(220)의 외경과 좁은 폭으로 연결되므로, 외부 몸체(210) 및 내부 몸체(220)로 작용하는 경우,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용이하게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몸체(220)의 축 방향 양단은 외부 몸체(210)의 축 방향 양단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몸체(220)의 축 방향 양단은 후술 될 굴곡부(310)를 기준으로 더 연장되어 내부관(300)의 외주를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부 몸체(210)의 내주에는 전술한 삽입홈(22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21)은 후술 될 굴곡부(310)가 대응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홈(221)은, 러버 부시(200)의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삽입홈(221)의 형상은 후술 될 굴곡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1)은 후술 될 굴곡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러버 부시(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다수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관(300)은, 러버 부시(200)의 중공 내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내부관(300)의 외주가 러버 부시(200)의 내주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300)은 러버 부시(200)의 중공에 대응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관(300)의 중공 내에는 차량의 차축(20)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결합된다.
특히, 상기 내부관(300)의 일부분에는 전술한 삽입홈(221)에 대응 삽입되도록 외주로 외부로 볼록한 굴곡부(3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310)의 외경은, 상기 내부관(30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310)는 축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310)는, 전술한 삽입홈(2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다수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310)는 원주 방향뿐 아니라 내부관(300)의 축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굴곡부(310)는 내주에 밴딩홈(311)이 형성되도록 내부관(300)의 일부분을 외부로 밴딩 성형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굴곡부(310)는 내부관(300)의 일부분을 더 큰 직경으로 확장시킨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굴곡부(310)를 내부관(300)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굴곡부(310)는 도 2에서처럼 축 방향 중심 부위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굴곡부(310)와 전술한 삽입홈(221)은, 암수로 대응 결합되므로, 내부관(300)과 러버 부시(2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굴곡부(310)의 돌출된 부피만큼 삽입홈(221)이 형성되므로, 러버 부시(200)의 중량 및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쇽업소버의 전체적인 무게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굴곡부(310)는 내부관(300)에 수직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하드(HARD)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내부관(300)의 축 방향 양측에서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 소프트(SOFT)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221)의 내주에는 걸림돌기(222)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부(310)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돌기(222)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홈(312)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22)와 걸림홈(312)은 삽입홈(221)의 중심(C)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림돌기(222)와 삽입홈(22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다수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22)와 삽입홈(221)은 내부관(300)과 러버 부시(200)의 축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돌기(222)와 걸림홈(312)은, 굴곡부(310)와 삽입홈(221)의 암수 결합 구조에 하나의 암수 결합구조를 더 제공하므로, 러버 부시(200)와 내부관(3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러버 부시(200)의 내주에 삽입홈(221)을 형성시키고, 내부관(300)의 외주에 형성된 굴곡부(310)가 삽입홈(221)에 대응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러버 부시(200)의 직경은 유지시키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원가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10)로부터 수직하게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하드한 강성을 갖고, 축 방향 양단에 작용하는 횡력에 대해서는 소프트한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강도 특성을 달리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20: 차축
100: 외부관 200: 러버 부시
210: 외부 몸체 220: 내부 몸체
221: 삽입홈 222: 걸림돌기
300: 내부관 310: 굴곡부
311: 밴딩홈 312: 걸림홈
C: 중심

Claims (9)

  1. 실린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결합되며, 내주에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러버 부시; 및
    상기 러버 부시의 내부에 관통결합되고, 내부를 통해 차량의 차축이 관통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외주로 굴곡부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시는,
    상기 외부관의 내주에 관통결합되며, 내부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외부 몸체 및,
    상기 외부 몸체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로 갈수록 축 방향 양단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내주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내부 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의 축 방향 양단은,
    상기 외부 몸체의 축 방향 양단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는,
    축 방향 중심 부위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기준으로 축 방향 양단이 상기 내부관의 축 방향을 더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내주에 밴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일부분을 외부로 밴딩 성형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밴딩홈은,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축 방향 중심 부위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다수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에는,
    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1020150161741A 2015-11-18 2015-11-18 쇽업소버 KR20170058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41A KR20170058036A (ko) 2015-11-18 2015-11-18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41A KR20170058036A (ko) 2015-11-18 2015-11-18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36A true KR20170058036A (ko) 2017-05-26

Family

ID=5905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41A KR20170058036A (ko) 2015-11-18 2015-11-18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934A (zh) * 2019-04-01 2019-07-05 天津众恒汽车减震器有限公司 一种减震器衬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934A (zh) * 2019-04-01 2019-07-05 天津众恒汽车减震器有限公司 一种减震器衬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7900B (zh) 碰撞制动器盖
US7866639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US9279473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KR101771686B1 (ko)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US8177201B2 (en) Very high damping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US9964173B2 (en) Antivibration device
WO2014021103A1 (ja) 緩衝器
KR20170058036A (ko) 쇽업소버
KR102258470B1 (ko) 엔진마운트 구조
JP6791764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US11098785B2 (en) Mount for vehicle
JP2013155841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TWI336753B (en) Hydraulick shock absorber for vehicle
CN105102852A (zh) 液封式防振装置
US9127743B2 (en) Chassis bushing with integrated travel limiter
WO2017010254A1 (ja) バンプストッパ及び緩衝器
RU2737258C2 (ru) Демпферная втулка
WO2015119156A1 (ja) 緩衝器
KR101682921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JP3962971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US9074649B2 (en) Combin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6139916B2 (ja) 防振装置
JP2008111558A (ja) 流体封入式トーコレクト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