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686B1 -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686B1
KR101771686B1 KR1020160019455A KR20160019455A KR101771686B1 KR 101771686 B1 KR101771686 B1 KR 101771686B1 KR 1020160019455 A KR1020160019455 A KR 1020160019455A KR 20160019455 A KR20160019455 A KR 20160019455A KR 101771686 B1 KR101771686 B1 KR 10177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rubber
fastening hole
along
vertical direction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1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686B1/ko
Priority to DE102017001509.0A priority patent/DE102017001509A1/de
Priority to US15/435,867 priority patent/US20170240015A1/en
Priority to CN201710088926.4A priority patent/CN10710095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15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astics, elastomeric or porou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hole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5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in combined stresses
    • F16F1/54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in combined stresses loaded in compression and sh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33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deforming plastically in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는,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체결홀의 원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로 배열되는 내측 홈부 및, 상기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하로 압축시 측방으로 돌출된 끝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내측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BUMPER RUBBER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 돌기부를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내측 돌기부의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와 범퍼 러버 간의 마찰 이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차체 또는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되어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는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키고, 스프링 아래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 등을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 밸브와, 일단이 피스톤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범퍼 러버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종래의 범퍼 러버는 피스톤 로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행정시 압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범퍼 러버는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압축되어 내주면이 내경 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 범퍼 러버와 피스톤 로드의 접촉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마찰 이음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범퍼 러버는 압축시 피스톤 로드와의 접촉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범퍼 러버의 내주면이 마모될 수 있었고, 이 경우 범퍼 러버의 유동이 발생하거나 완충 성능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5773호(2002년 06월 2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쇽업소버용 범퍼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측 돌기부를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내측 돌기부의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범퍼 러버가 압축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와 내측 돌기부 간의 접촉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스톤 로드와 범퍼 러버 간의 마찰 이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는,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로 배열되는 내측 홈부 및, 상기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하로 압축시 측방으로 돌출된 끝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홈부는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내측 홈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홈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내측 홈부의 상단과 하단보다 내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Helical)을 이루도록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홈부는 상기 내측 홈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구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홀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가 오목하게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통로는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홈부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상측 돌기부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홀의 중심 축 선을 향해 곡선으로 벤딩되고, 하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밀착되는 접촉단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범퍼 러버가 압축시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외측 돌기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의 외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돌기부는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측 돌기부를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내측 돌기부의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범퍼 러버가 압축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와 내측 돌기부 간의 접촉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스톤 로드와 범퍼 러버 간의 마찰 이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와 범퍼 러버 간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범퍼 러버의 접촉면이 빠른 속도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서 내측 돌기부를 사선으로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서 외측 돌기부를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서 내측 돌기부를 사선으로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서 외측 돌기부를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와, 범퍼 러버(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린더(10)의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기 위한 피스톤 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 구조물(인슐레이터 등, 미도시)와, 범퍼 러버(100)와 실린더(10)의 상단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더스트 커버(미도시) 및, 실린더(10)와 인슐레이터 상에 각각 설치되어 나선형 현가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상하 스프링 시트(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 공간에는 유체(오일 등)가 충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10)의 일단과 후술 될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은,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는, 일단이 피스톤 밸브(미도시)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실린더(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밸브는, 실린더(10)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범퍼 러버(100)는, 상부 구조물의 하단과 실린더(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범퍼 러버(100)는 압축 및 이완 동작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를 위한 상기 범퍼 러버(100)는, 압축시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 후 원래의 형태로 이완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 흡수 소재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범퍼 러버(100)는 몸체부(110)와, 내측 홈부(120) 및, 다수의 내측 돌기부(130)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상단이 상부 구조물측에 위치되고, 반대되는 하단이 실린더(10)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20)가 상하로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1)은, 수평 방향을 따라 원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홀(111)의 내주면은 피스톤 로드(20)의 직경과 동일 또는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체결홀(111)의 내주면은, 범퍼 러버(100)가 압축되는 경우, 내경 방향으로 팽창하여,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하단 부위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내측 홈부(120)는, 체결홀(111)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홈부(120)는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홈부(120)는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내측 홈부(120)은 상기 체결홀(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홈부(120)는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홈부(120)의 상단과 하단은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면서 체결홀(111)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홈부(120)를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시키는 경우, 내측 홈부(120)들 간의 인접 단부는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내측 돌기부(130)들은, 내측 홈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은 상기 내측 홈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다수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의 돌출된 끝단은 범퍼 러버(100)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체결홀(111)의 내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피스톤 로드(20)의 외측면에 말착된다.
이때,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은 내측 홈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내측 돌기부(130)는 상기 내측 홈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의 돌출된 끝단은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은 내측 홈부(120)의 내주면에 위치되므로,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의 돌출된 끝단은 내측 홈부(120)의 깊이만큼 피스톤 로드(20)부터 이격 위치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은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타원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을 타원으로 적용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의 돌출된 끝단이 가장 좁은 면적으로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먼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돌기부(130)들의 돌출된 끝단은 내측 홈부(120)의 상단과 하단보다 내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먼저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내측 돌기부(130-1)들은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Helical)을 이루도록 상기 체결홀(111)의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돌기부(130-1)들을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 돌기부(130-1)는 동일 폭을 이루면서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퍼 러버(100)가 압축되어 체결홀(111)의 내주면이 내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내측 돌기부(130-1)들의 돌출된 끝단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밀착되므로, 범퍼 러버(100)가 마찰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20)를 기준으로 한 피치씩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측 돌기부(130)(130-1)들의 돌출된 일단은, 범퍼 러버(100)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내측 돌기부(130)(130-1)들은 내측 홈부(120)의 내주면에 위치되므로, 피스톤 로드(20)와 내측 돌기부(130)(130-1)의 접촉 압력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오목한 외측 홈부(140)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홈부(1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홈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외측 홈부(140)의 상단과 하단도 몸체부(110)의 외측면과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홈부(140)는 도 2에서처럼 내측 홈부(1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구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측 홈부(140)는 범퍼 러버(10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외측 홈부(140)는, 범퍼 러버(100)가 압축되는 경우, 범퍼 러버(100)가 상하 방향을 따라 큰 폭으로 수축될 수 있는 구간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체결홀(11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150)가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통로(15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151) 및, 상기 수평부(151)와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부(15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51)는, 몸체부(110)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151)의 일단이 체결홀(111)에 연통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통된다.
즉, 범퍼 러버(100)의 상단이 상부 구조물(인슐레이트 등)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수평부(151)의 바닥면은 상부 구조물로부터 이격되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유지된다.
수직부(152)는,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151)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하향 절곡 연장되어 몸체부(110)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5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부(152)가 몸체부(110)의 측방으로 노출되므로, 범퍼 러버(100)가 압축되는 경우에도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유지된다.
따라서, 공기 통로(150)가 체결홀(111)과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의 유통 통로를 형성하므로, 범퍼 러버(100)가 용이하게 압축 및 이완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체결홀(111)의 내주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측 돌기부(160)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상측 돌기부(160)는 내측 홈부(12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돌기부(160)의 돌출된 끝단은 피스톤 로드(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피스톤 로드(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돌기부(160)를 다수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상측 돌기부(160)들 중 하나 또는 다수는 체결홀(11)의 수직 중심 선(C)을 기준으로 공기 통로(15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체결홀(111)의 중심 축 선을 향해 곡선으로 벤딩되며, 하단이 실린더(1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접촉단(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112)의 외경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접촉단(112)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접촉단(112)의 외측면에는 도 4에서처럼 범퍼 러버(100)가 압축시 실린더(10)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외측 돌기부(170)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기부(170)는,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체결홀(1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타원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돌기부(170)는 범퍼 러버(100)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실린더(10)의 상단에 밀착되므로, 실린더(10)와 범퍼 러버(100) 간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범퍼 러버(100)가 압축시 마찰 이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내측 돌기부(130)(130-1)를 내측 홈부(14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내측 돌기부(130)(130-1)의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범퍼 러버(100)가 압축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20)와 내측 돌기부(130)(130-1) 간의 접촉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스톤 로드와 범퍼 러버 간의 마찰 이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20)와 범퍼 러버(100) 간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범퍼 러버(100)의 접촉면이 빠른 속도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20: 피스톤 로드
100: 범퍼 러버 110: 몸체부
111: 체결홀 112: 접촉단
120: 내측 홈부 130, 130-1: 내측 돌기부
140: 외측 홈부 150: 공기 통로
151: 수평부 152: 수직부
160: 상측 돌기부 170: 외측 돌기부
C: 중심 선

Claims (13)

  1.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로 배열되는 내측 홈부 및, 상기 내측 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하로 압축시 측방으로 돌출된 끝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내측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외측 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홈부는 상기 내측 홈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구간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홈부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상측 돌기부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측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수직 중심 선을 기준으로 공기 통로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홈부는,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내측 홈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홈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의 돌출된 끝단은,
    상기 내측 홈부의 상단과 하단보다 내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의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Helical)을 이루도록 상기 체결홀의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홀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가 오목하게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통로는,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홀의 중심 축 선을 향해 곡선으로 벤딩되며, 하단이 실린더의 상단에 밀착되는 접촉단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범퍼 러버가 압축시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외측 돌기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의 외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돌기부는,
    상하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1020160019455A 2016-02-19 2016-02-19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10177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455A KR101771686B1 (ko) 2016-02-19 2016-02-19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DE102017001509.0A DE102017001509A1 (de) 2016-02-19 2017-02-16 Stoßfänger-Gummieinlage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US15/435,867 US20170240015A1 (en) 2016-02-19 2017-02-17 Bumper rubber for shock absorber
CN201710088926.4A CN107100956B (zh) 2016-02-19 2017-02-20 减震器用缓冲器橡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455A KR101771686B1 (ko) 2016-02-19 2016-02-19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686B1 true KR101771686B1 (ko) 2017-09-05

Family

ID=5963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455A KR101771686B1 (ko) 2016-02-19 2016-02-19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240015A1 (ko)
KR (1) KR101771686B1 (ko)
CN (1) CN107100956B (ko)
DE (1) DE1020170015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59B1 (ko) * 2018-11-15 2019-05-07 (주) 동양이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71388A2 (pt) * 2016-04-18 2019-02-05 Basf Se elemento de mola para um amortecedor veicular, amortecedor veicular e seu uso e veículo, em particular veículo de passageiro
DE102016211531A1 (de) * 2016-06-27 2017-12-28 Thyssenkrupp Ag Druckanschlagpuffer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CN109236943B (zh) * 2018-11-12 2020-10-23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减振连接结构及具有其的飞机
US11827071B1 (en) * 2019-04-19 2023-11-28 Curtis Glenn Bump stops
CN110979750B (zh) * 2019-12-17 2022-01-07 湖北航天技术研究院总体设计所 一种带削弱槽塔式缓冲件的火工品缓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878A (ja) * 2002-09-11 2004-04-02 Tokai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ゾーバの弾性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935A (ja) * 1983-12-28 1985-07-24 Bridgestone Corp バンパーバウンド
JPH0224135U (ko) * 1988-07-04 1990-02-16
JP2521236Y2 (ja) * 1989-06-22 1996-12-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ラバー
US4962916A (en) * 1989-11-17 1990-10-16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Compression spring
JP3731359B2 (ja) * 1998-11-24 2006-01-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ンパスプリング
KR20020045773A (ko) 2000-12-11 2002-06-20 밍 루 쇽업소버용 범퍼 어셈블리
KR101647157B1 (ko) * 2007-09-14 2016-08-09 바스프 에스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윤곽 형성 요소를 갖는 보조 스프링
US20090127043A1 (en) * 2007-11-21 2009-05-21 Dickson Daniel G Insulator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US8146898B2 (en) * 2009-11-12 2012-04-03 Miner Elastomer Products Corporation Elastomeric compression spring
US8505887B2 (en) * 2009-12-08 2013-08-13 Trelleborg Automotive Usa, Inc. Micro cellular urethane (MCU) progressive rate bump stop/spring aid
KR20130097421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878A (ja) * 2002-09-11 2004-04-02 Tokai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ゾーバの弾性連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59B1 (ko) * 2018-11-15 2019-05-07 (주) 동양이화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0956B (zh) 2019-10-18
DE102017001509A1 (de) 2017-09-28
CN107100956A (zh) 2017-08-29
US20170240015A1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686B1 (ko)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US8844687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having variable flow channel
KR102002607B1 (ko) 쇽업소버의 밸브구조
JP6363843B2 (ja) 緩衝器
US8333270B2 (en) Floating piston valve of amplitude selective shock absorber
KR101744302B1 (ko) 쇽업소버
TWI336753B (en) Hydraulick shock absorber for vehicle
KR101272757B1 (ko) 오일 압력을 이용한 스토퍼 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JP7070331B2 (ja) ハイドロストッパ付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723612B1 (ko) 쇽업소버
KR20210140994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KR100854600B1 (ko) 현가장치의 범퍼러버
KR101815598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KR101662225B1 (ko) 쇽업소버
CN220248798U (zh) 汽车减震器用帽构件以及汽车减震器
KR20170058036A (ko) 쇽업소버
US9074649B2 (en) Combin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KR101705828B1 (ko) 쇽업소버의 실린더 캡 씰링구조
KR101682921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101975359B1 (ko) 자동차용 압축 및 마찰 작용 부품의 이중 돌기 접동부 구조
KR101263476B1 (ko) 쇽업소버
KR20210138919A (ko) 쇽업소버
JP2005127373A (ja) 液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