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881B1 - 금속 시일 - Google Patents

금속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881B1
KR101974881B1 KR1020130006535A KR20130006535A KR101974881B1 KR 101974881 B1 KR101974881 B1 KR 101974881B1 KR 1020130006535 A KR1020130006535 A KR 1020130006535A KR 20130006535 A KR20130006535 A KR 20130006535A KR 101974881 B1 KR101974881 B1 KR 10197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shape
curved
central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174A (ko
Inventor
사토시 토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asket Sea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이형 환형상의 금속 시일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한 밀봉성을 나타내는 금속 시일을 제공한다.
곡면 형상 굽힘부(10)보다 스트레이트부(20)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이 크게 되도록 횡단면 형상을 변화시킨다.

Description

금속 시일{METAL SEAL}
본 발명은 금속 시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행한 대향 2평면 사이의 밀봉을 행하는 금속 시일로서는 횡단면 형상이 U형으로서, 전체 형상이 원형인 것이 공지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838호
상기 서술한 종래의 금속 시일을 전체 비원형(이형(異形)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으로 하여, 전체 비원형의 창부(窓部)(개구부)를 따라 배열설치하여, 그 비원형 창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밀봉을 행하고자 한 경우, 전체의 시일 성능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매우 작은 곡률반경의 곡면 형상(알 형상) 굽힘부를 가지는 비원형의 경우, 잔부의 직선변부의 부위에서는 충분한 시일성(밀봉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체 형상이 폐환 형상(閉環狀)인 금속 시일에 있어서, 그 횡단면 형상이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
또, 횡단면에 있어서,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평행 내지 선단 확개(擴開) 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의 각각에 접촉하는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를 선단에 가지는 한 쌍의 한쪽지지보(片持梁) 형상 탄성 각편(脚片)을 구비하는 금속 시일에 있어서, 전체 형상이 곡면 형상 굽힘부와 직선변부를 가지는 이형의 환형상으로서,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의 돌출 치수와 두께 치수와 각편 기부 살붙임부 중 적어도 1개를,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의 제1 중앙 부위와 직선변부의 제2 중앙 부위에서는 상이하게 하여,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을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상기 제1 중앙 부위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를 크게 설정했다.
또,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의 제1 중앙 부위로부터 상기 직선변부의 제2 중앙 부위를 향하여,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을 단계적 또는/및 구배(句配)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제1 중앙 부위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의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을 크게 설정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시일에 의하면, 전체가 이형의 폐환 형상인 경우에도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면압을 균일화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형의 환형상의 직선변부와 (작은 곡률반경의) 곡면 형상 굽힘부에 있어서,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에 대한 압접 소돌기부의 접촉면압이 균등화한다. 이와 같이, 접촉면압이 전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균등화하기 때문에, 시일 전체의 유체 누설이 확실하게 저감될 수 있고, 특히 가늘고 긴 레이스 트랙형이나 직사각형 형상과 같이 매우 작은 곡률반경의 곡면 형상 굽힘부가 존재하는 창부(개구부)의 밀봉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시일의 일례의 전체 형상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금속 시일의 다른 예의 전체 형상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예의 접촉면압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곡면 형상 굽힘부의 제1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선변부의 제2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곡면 형상 굽힘부의 제1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선변부의 제2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곡면 형상 굽힘부의 제1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선변부의 제2 중앙 부위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4분의 1 범위 Y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11은 도 2의 4분의 1 범위 Y의 굽힘 강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 전체 형상이 곡면 형상 굽힘부(10)와 직선변부(스트레이트부)(20)를 가지는 이형(비원형)의 닫힌 환형상의 금속 시일(1)을 나타낸다. 도 1은 가늘고 긴 레이스 트랙 형상을 나타내고, 도 2는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제1 부재(11)에 오목하게 설치된 직사각형 형상 시일 홈(13) 내에 장착되고, 제1 부재(11)의 이 직사각형 형상 시일 홈(13)의 (평면 형상의) 홈 바닥면(13A)과, 평면 형상의 제2 부재(12) 사이를 밀봉하는 금속 시일(1)을 예시한다. 이 금속 시일(1)은 소위 U형 시일이며, 횡단면에 있어서, 기부(바닥벽부)(3)와, 이 기부(3)로부터 평행하게 돌출설치된 한 쌍의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 4)을 구비한다.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5, 6)-----도 4에서는 1평면(5)은 제1 부재(11)의 홈 바닥면(13A)이 상당하고, 타평면(6)은 제2 부재(12)가 상당한다-----의 각각에 접촉하는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7)를 상기 탄성 각편(4)이 가지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이 압접 소돌기부(7)는 작고 둥근 산형의 횡단면 형상이지만, 이것을 삼각 산형이나 사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가)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각편(4)의 돌출 치수(H)를 폐환 형상의 금속 시일(1)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다음과 같이 상이하게 한다. 즉, 금속 시일(1)에 있어서, 오목홈(8)의 깊이 치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외경 치수는 동일한채로) 돌출 치수(H)를 상이하게 하고, 게다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전체 레이스 트랙 형상 또는 전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시일(1)에 있어서,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중앙 부위(M1)(이것을 제1 중앙 부위라고 함)와 직선변부(20)의 중앙 부위(M2, M2')(이것을 제2 중앙 부위라고 함)에서는 상이하게 한다.
즉, 도 4는 제1 중앙 부위(M1)의 횡단면이며, 도 5(가)는 제2 중앙 부위(M2, M2')의 횡단면이며, 도 4와 도 5(가)를 비교한 경우, 도 4의 돌출 치수(H)가 큰 것에 의해,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이 크다(도 10 또는 도 11 참조).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횡단면 형상만으로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을 비교한다」는 도 1, 도 2에 예시한 전체 형상이 곡면 형상 굽힘부(10)를 가지는 이형의 경우에는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존재의 영향이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에 미치고, 그 때문에 현실의 금속 시일(1)에 있어서는, 「횡단면 형상」 및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범위 내의 둘레 방향 위치, 또는 곡면 형상 굽힘부(10)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라고 하는 둘레 방향 위치」를 종합하여 결정되어야 하지만, 여기에 있어서, 후자의 「둘레 방향 위치」를 무시하고, 전자만을 가지고,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을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에 도 5(나)는 도 4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탄성 각편(4)의 두께 치수(T)는, 도 1, 도 2에 나타낸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보다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 M2')를 크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경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이 크다(도 10 또는 도 11 참조).
또, 도 5(다)는 도 4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각편(4)이 기부(3)측으로 두께 치수(T)를 점차 증가시키도록, 오목홈(8)측에 각편 기부 살붙임부(基部肉付)(N)(도 5(다)에 그물 형상으로 나타냄)를 부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경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이 크다(도 10 또는 도 11 참조).
다음에, 도 1과 도 10에 있어서, 전체가 가늘고 긴 레이스 트랙 형상의 금속 시일(1)은 도 1의 좌우에 작은 곡률반경의 (180°에 걸치는) 곡면 형상 굽힘부(10, 10)와, 그것을 좌우 연결하는 평행한 직선변부(스트레이트부)(20, 20)를 가지는데, 도 10은 도 1의 4분의 1의 범위 Y에 대해서, 가로축을 둘레 방향 위치로 하고, 세로축을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로서의 굽힘 강성(G)으로 한 그래프도이다. 또한, 세로축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중앙 부위(M1)의 상기 굽힘 강성(G)은 제2 중앙 부위(M2)의 상기 굽힘 강성(G)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둘레 방향으로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로부터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를 향하여, 어떻게 변화(증가)시킬 것인가라는 점에 관해서는, 도 10에 있어서 실선, 일점쇄선, 파선으로 나타낸다. 즉, 단계적(실선 참조), 또는 구배적(일점쇄선 참조), 혹은 단계적 및 구배적(파선 참조)으로 증가시킨다.
도 1과 도 10에 있어서, 부호 C는 곡면 형상 굽힘부(10)와 직선변부(20)의 경계를 나타내는데,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경우는 이 경계(C)보다 제1 중앙 부위(M1)에 약간 치우친 위치(E)까지는 동일 횡단면 형상(도 4 참조)으로 함과 아울러, 위치 E에서 급하게 횡단면 형상을 도 5(가) (나) (다)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이 결합한 형상에 근접하도록 변화시키고, 그 후에는 도 10의 실선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인채로 제2 중앙 부위(M2)의 방향으로 진행하고(제1 계단을 형성하고), 그 후 복수개의 계단을 형성하면서 제2 중앙 부위(M2)에 이르도록 변화하고 있다.
다음에 도 10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경우는 제1 중앙 부위(M1)로부터 제2 중앙 부위(M2)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 같은 구배적 증가를 가지고,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경우는 곡면 형상 굽힘부(10) 안에서, 상기 위치(E)까지는 동일 횡단면 형상으로서, 경계(C)에 근접한 위치(E)로부터는 경사가 상이한 2개의 구배선으로 굽힘 강성(G)을 점증시키고, 그 후, 동일 횡단면 형상(동일 굽힘 강성)을 가지고 제2 중앙 부위(M2)에 이른다.
좀 더 주의깊게 말하면, 도 10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도이기 때문에, 수평선 부위의 횡단면 형상은 동일하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이 소에서 대로 변화하는 경우의 횡단면 형상은 도 4 내지 도 5(가) (나) (다)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을 조합한 것처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횡단면 변화(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의 변화)를 준 금속 시일(1)을 실제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제1· 제2 부재(11, 12)의 평면(5, 6)으로 압접한 장착 사용 상태에 있어서, 평면(5, 6)으로의 접촉면압(P)이 둘레 방향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낸다. 즉, 곡면 형상 굽힘부(10)에서는 동일 횡단면 형상이어도 직선변부(20)보다 시일로서의 강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직선변부(20)에서는 동일 횡단면 형상이어도 곡면 형상 굽힘부(10)보다 시일로서의 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 10의 실선으로부터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시일(1) 전체적으로는 종래의 전체 굴레 동일 횡단면 형상의 금속 시일의 접촉면압을 나타낸 이점쇄선의 경우에 비해,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한 접촉면압이 되고, 특히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의 접촉면압이 종래보다 충분히 증대화할 수 있어, 시일성(밀봉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일점쇄선이나 파선의 경우, 도 1의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곡률반경의 대소, 및 금속 시일 횡단면 형상(치수)에 대응하여, 한층 바람직한 균등 접촉면압이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도 2와 도 11에 있어서, 전체가 4모서리부에 곡면 형상 굽힘부(10)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시일(1)은 그 굽힘부(10)는 작은 곡률반경의 90°의 중심 각도를 이루고, 또한 도 2의 상변·하변은 긴 직선변부(20, 20)이며, 좌변·우변은 짧은 직선변부(20, 20)이다. 도 11은 도 2의 4분의 1의 범위 Y에 대해서, 가로축을 둘레 방향 위치로 하고, 세로축을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로서의 굽힘 강성(G)으로 한 그래프도이다.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은 도 10과 마찬가지로 횡단면 형상만으로의 비교값이다.
제1 중앙 부위(M1)의 굽힘 강성(G)은 제2 중앙 부위(M2 및 M2')의 굽힘 강성(G)보다 작게 설정되고, 게다가 도 11과 같이 긴 변을 이루는 직선변부(상변·하변)(20)의 제2 중앙 부위(M2)는 짧은 변을 이루는 직선변부(우변·좌변)(20)의 제2 중앙 부위(M2')보다 굽힘 강성(G)의 값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했다. 그 이유는 도 2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짧은 변을 이루는 우변·좌변의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는 곡면 형상 굽힘부(10)에 의해 가깝게 있고,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강성 높이의 영향이 미치기 쉽기 때문에,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우변·좌변의 제2 중앙 부위(M2')의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약간 작게 설정한다.
또, 도 11의 실선, 일점쇄선, 파선은 도 10에 나타낸 (이미 서술한) 실선, 일점쇄선, 파선과 대응하여, 단계적, 구배적, 단계적 및 구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 이외에 경계(C)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위치(E)의 위치 관계도 도 10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도 3에서 서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한 접촉면압이 사용 상태하에서 발생하여, 종래보다 시일성(밀봉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6과 도 7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금속 시일(1)은 K형 시일이라고 불리는 횡단면 형상이며, 기부(바닥벽부)(3)는 대략 8각형 형상이며, 이것으로부터 선단 개방 다리 형상으로 한 쌍의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 4)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2평면(5, 6)의 각각에 탄성 각편(4, 4)의 선단의 작은각 산형의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7)가 부착설치된다. 이 소돌기부(7)는 도시를 생략하는 작은 둥근 산형이나 작은 삼각 산형으로 해도 자유이다.
도 6과 도 7(가)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각편(4)의 돌출 치수(H)를 변화시키고, 도 1 또는 도 2에 예시한 전체 형상의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중앙 부위(M1)의 돌출 치수(H)보다, 직선변부(20)의 중앙 부위(M2, M2')의 돌출 치수(H)를 작게 설정하여, 이것에 의해,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의 굽힘 강성(G)은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이 크다(도 10 또는 도 11 참조).
또, 도 7(나)는 도 6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탄성 각편(4)의 두께 치수(T)는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을 크게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횡단면 형상만으로 굽힘 강성(G)을 비교한 경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을 크게 설정한다(도 10, 도 11 참조).
또, 도 7(다)와 도 6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다)에서는 탄성 각편(4)이 기부(3)측으로 두께 치수(T)를 점차 증가시키도록, 오목홈(8)측에 각편 기부 살붙임부(N)(도 7(다)에 그물 형상으로 나타냄)를 부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중앙 부위(M1)보다 제2 중앙 부위(M2, M2') 쪽을 크게 설정한다(도 10 또는 도 11 참조).
다음에 도 8과 도 9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금속 시일(1)은 ㄷ자형의 횡단면 형상이며, 다소 두꺼운 기부(바닥벽부)(3)와, 그것으로부터 평행하게 내지는 선단 확개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한 쌍의 탄성 각편(4, 4)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각편(4, 4)의 선단에는 작은 삼각 산형의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7)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도 9(가) (나) (다)는 각각 도 5 또는 도 7의 (가) (나) (다)에 대응하고 있으며, 돌출 치수(H), 두께 치수(T), 각편 기부 살붙임부(N)를 도 8에 비교하여 마찬가지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4, 도 5, 또는 도 6, 도 7과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설계 변경이 자유로우며, 금속 시일 전체의 형상이 삼각 형상이나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 도 1, 도 2에 있어서, 도 4~도 9에 나타낸 횡단면에 있어서의 오목홈(8)이 전체 환형상의 안쪽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와, 바깥쪽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는 용도에 따라서 선택된다. 또, 도 10 또는 도 1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단계적 변화의 단수가 증감 자유이며, 또 구배적 변화(경사선)을 가지고 변화할 때에 그래프도에 있어서 완만한 곡선이 그려지도록 변화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 5, 도 7, 도 9에 있어서, (가) (나) (다)의 2개 또는 3개를 서로 조합시키는 것도 자유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폐환 형상인 금속 시일에 있어서, 그 횡단면 형상이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면압을 균등화하여, 전체적인 밀봉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횡단면에 있어서, 기부(3)와, 이 기부(3)로부터 평행 내지 선단 확개 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5, 6)의 각각에 접촉하는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7)를 선단에 가지는 한 쌍의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 4)을 구비하는 금속 시일에 있어서, 전체 형상이 곡면 형상 굽힘부(10)와 직선변부(20)를 가지는 이형의 환형상으로서,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 4)의 돌출 치수(H)와 두께 치수(T)와 각편 기부 살붙임부(N) 중 적어도 1개를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와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 M2')에서는 상이하게 하여,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 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상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M2, M2')를 크게 설정한 구성이므로, 직선변부(20)의 접촉면압(P)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 직선변부(20)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막아, 금속 시일 전체적인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 굽힘부(10)를 가지는 가늘고 긴 레이스 트랙형이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시일로서, 우수한 시일성(밀봉 성능)을 발휘한다. 또는,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5, 6)이 상처받기 쉬운 경우에 있어서는 조임력(締付力)을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강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접촉면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로부터 상기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를 향하여,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단계적 또는/및 구배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M2)의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크게 설정한 구성이므로, 한층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한 접촉면압(P)으로 평면(5, 6)에 압접하여, 시일 전체적인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기부
4…탄성 각편
5, 6…평면
10…곡면 형상 굽힘부
20…직선변부(스트레이트부)
G…한쪽지지보 굽힘 강성
H…돌출 치수
M1…제1 중앙 부위
M2, M2'…제2 중앙 부위
N…각편 기부 살붙임부
T…두께 치수

Claims (3)

  1. 횡단면에 있어서, 기부(3)와, 이 기부(3)로부터 평행 내지 선단 확개 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대향하는 평행한 2평면(5)(6)의 각각에 접촉하는 시일용 압접 소돌기부(7)를 선단에 가지는 한 쌍의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을 구비하는 금속 시일에 있어서,
    전체 형상이 곡면 형상 굽힘부(10)와 직선변부(20)를 가지는 이형의 환형상으로서,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의 돌출 치수(H)와 두께 치수(T)와 각편 기부 살붙임부(N) 중 적어도 1개를,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와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M2')에서는 상이하게 하여, 상기 한쪽지지보 형상 탄성 각편(4)의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여, 상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M2)(M2')를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시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 굽힘부(10)의 제1 중앙 부위(M1)로부터 상기 직선변부(20)의 제2 중앙 부위(M2)를 향하여, 횡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한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단계적으로 또는 구배적으로 또는 단계적 및 구배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제1 중앙 부위(M1)보다 상기 제2 중앙 부위(M2)의 상기 한쪽지지보 굽힘 강성(G)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시일.
  3. 삭제
KR1020130006535A 2012-01-23 2013-01-21 금속 시일 KR101974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1109A JP5583151B2 (ja) 2012-01-23 2012-01-23 金属シール
JPJP-P-2012-011109 2012-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74A KR20130086174A (ko) 2013-07-31
KR101974881B1 true KR101974881B1 (ko) 2019-05-03

Family

ID=4879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35A KR101974881B1 (ko) 2012-01-23 2013-01-21 금속 시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57443B2 (ko)
JP (1) JP5583151B2 (ko)
KR (1) KR101974881B1 (ko)
CN (1) CN103216619B (ko)
TW (1) TWI5182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9155A1 (en) * 2014-05-19 2015-11-26 Microflex Technologies Llc Ring seal with sealing surface extension
JP6701180B2 (ja) * 2014-09-08 2020-05-27 イノフレツ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底ガゼット包装及びヒートシール方法
CN104633116A (zh) * 2014-12-06 2015-05-20 无锡高卓流体设备有限公司 金属密封件
US10119615B2 (en) * 2016-05-31 2018-11-06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aling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8167439A (zh) * 2017-12-29 2018-06-15 北京化工大学 一种新型金属u形组合密封环结构
JP7382150B2 (ja) * 2019-03-25 2023-11-16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及び、真空ポンプに用いられるシール部材
JP7475778B2 (ja) * 2020-04-09 2024-04-3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
CN112901777B (zh) * 2021-02-03 2023-03-28 湖北航天技术研究院总体设计所 一种异形密封件及密封结构
JP7376657B1 (ja) 2022-09-22 2023-11-0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環状金属シール、環状金属シールの取付構造及び環状金属シールの取付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141A (ja) * 2000-08-30 2002-03-15 Energy Support Corp 開閉器ケース及びそれに用いるパッキン
JP2003247681A (ja) 2002-02-25 2003-09-05 Mitsubishi Cable Ind Ltd 継手用シール構造体
JP2007085373A (ja) 2005-09-20 2007-04-05 Mitsubishi Cable Ind Ltd 金属シール
WO2011024812A1 (ja) 2009-08-26 2011-03-03 Nok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及び金属ガスケット用金型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176A (ja) * 1989-09-25 1991-05-14 Mitsubishi Cable Ind Ltd メタルガスケット
JP3431461B2 (ja) * 1997-05-08 2003-07-28 株式会社大創 ガスケット
JP2000297698A (ja) * 1999-04-16 2000-10-24 Nok Corp 金属ガスケット
JP4911275B2 (ja) * 2005-06-24 2012-04-04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JP4855356B2 (ja) 2007-07-23 2012-01-1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密封構造体
US7828302B2 (en) * 2007-08-15 2010-11-09 Federal-Mogul Corporation Lateral sealing gaske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141A (ja) * 2000-08-30 2002-03-15 Energy Support Corp 開閉器ケース及びそれに用いるパッキン
JP2003247681A (ja) 2002-02-25 2003-09-05 Mitsubishi Cable Ind Ltd 継手用シール構造体
JP2007085373A (ja) 2005-09-20 2007-04-05 Mitsubishi Cable Ind Ltd 金属シール
WO2011024812A1 (ja) 2009-08-26 2011-03-03 Nok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及び金属ガスケット用金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3151B2 (ja) 2014-09-03
US20130187343A1 (en) 2013-07-25
US9057443B2 (en) 2015-06-16
CN103216619A (zh) 2013-07-24
CN103216619B (zh) 2016-01-20
KR20130086174A (ko) 2013-07-31
TWI518271B (zh) 2016-01-21
JP2013148201A (ja) 2013-08-01
TW201333352A (zh)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81B1 (ko) 금속 시일
US10612660B2 (en) Gasket
JP6532242B2 (ja) シール材
CN104704269B (zh) 密封结构
KR20160077069A (ko) 밀봉재
JP2007002927A (ja) ガスケット
US9175722B1 (en) Top foil for foil thrust bearing and foil thrust bearing including the same
JP6682946B2 (ja) 密封構造及びガスケット
CN109555858A (zh) 孔塞
US9939003B2 (en) Clip
JP2009156445A (ja) ガスケット
JP5434681B2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6361277B2 (ja) シールリング
JP5373831B2 (ja) 弾性シール
US9944157B2 (en) Window molding for vehicle
JP2016203593A (ja) タイヤ加硫金型用のシール部材及びタイヤ加硫金型
JP2013119946A (ja) ビード付きガスケット
JP2019217807A (ja) タイヤ
JP6474037B2 (ja) パッキン及び水洗式大便器
JP2019075234A (ja) グロメット
JP5776930B2 (ja) ガスケット
JP6374830B2 (ja) シールリング
CN117651820A (zh) 密封垫
JP6456262B2 (ja) シールリング
JP3201205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