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55B1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55B1
KR101974255B1 KR1020167019897A KR20167019897A KR101974255B1 KR 101974255 B1 KR101974255 B1 KR 101974255B1 KR 1020167019897 A KR1020167019897 A KR 1020167019897A KR 20167019897 A KR20167019897 A KR 20167019897A KR 101974255 B1 KR101974255 B1 KR 10197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mpound
transport layer
metal compound
alk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180A (ko
Inventor
용 치우
리앤 두안
멍전 리
구오휘 장
송 리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칭화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칭화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베이징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5Electron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H01L51/5076
    • H01L51/001
    • H01L51/0079
    • H01L51/0081
    • H01L51/008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6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gall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51Metal complexes comprising lanthanides or actinides, e.g. comprising europ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21Providing a shape to conductive layers, e.g. patterning or selective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2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bor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을 공개하였다. 해당 유기발광 다이오드은 양극, 홀 전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전송층과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전송층은 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활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하며, 그가운데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다. 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ITO 유리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양극도형 식각하고, 홀 전송층과 유기발광층을 증착시키며; 상기 유기발광층 위에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을 동시에 증착시켜 전자전송층을 형성하며; 상기 전자전송층 위에 음극을 증착시킨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구동전압이 훨씬 낮고 효율이 훨씬 높은 음극 구조를 취득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기술분야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OLED)는 액티브 발광부품이다. OLED는 기존 평판디스플레이 기술 트렌드인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액정디스플레이(TFT-LCD)에 비해 비해 훨씬 높은 명암비, 넓은 시각, 낮은 전력소모, 엷은 부피 등 장점 등을 구비하여 LCD의 뒤를 이을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기술로서 기존 평판디스플레이 기술 중에서 가장 각광받는 기술의 하나이다.
OLED 부품은 일반적으로 양극, 홀 전송층(HTL), 발광층(EL), 전자전송층(ETL) 및 음극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기존 기술하에 전자전송층은 흔히 단일한 유기재료를 사용하지만, 단일한 유기재료는 전자전송층 제작 시 OLED 부품으로 사용하면 보통 구동전압이 높고 생산성이 떨어져 OLED 스크린패널 전력소모 과대, 수명이 짧은 등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OLED 부품 중에서 부품의 작동전압을 낮추고, 전자와 홀 간 전하 불균형을 개선하며, 전자의 주입율과 전송효율을 높이는 것은 필수적이다. 현재 전자주입 효율 향상 기술 중에서 전자전송층을 한정한 후 음극과 연결되는 재료를 필요로 하며, 해당 음극재료는 어떤 금속을 필요로 하며, 해당 금속은 진공상태에서 유기 배위화합물의 금속이온을 상응한 금속으로 환원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 점은 음극재료의 선택 여지를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주입 효율이 높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종 유기발광 다이오드을 제공하고, 양극, 홀 전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전송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전송층에는 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활성 금속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은 Alq3 혹은 Gaq3이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토류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란탄족 금속화합물은 란탄족 금속질화물 혹은 란탄족 금속 수소화붕소이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은 Li3N, Na3N, K3N 혹은 Rb3N를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은 Mg3N2, Ca3N2, Sr3N2 혹은 Ba3N2를 포함하며; 상기 란탄족 금속질화물은 LaN를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는 LiBH4, NaBH4 혹은 KBH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 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0.01~5):(0.01~5)이다.
또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1:1이다.
이외 본 발명은 일종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아래 내용을 포함한다.
ITO 유리기판에서 순차적으로 양극 도형 식각하고, 홀 전송층과 유기발광층 증착하며; 상기 유기발광층 위에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을 동시에 증착시켜 전자전송층을 형성하며, 그가운데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에 속하며; 상기 전자전송층 위에 음극을 증착한다.
또한, 상기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은 Alq3 혹은 Gaq3이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토류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란탄족 금속화합물은 란탄족 금속질화물 혹은 란탄족 금속 수소화붕소이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은 Li3N, Na3N, K3N 혹은 Rb3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은 Mg3N2, Ca3N2, Sr3N2 혹은 Ba3N2를 포함하며; 상기 란탄족 금속질화물은 La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는 LiBH4, NaBH4 혹은 KBH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0.01~5):(0.01~5)이다.
또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1:1이다.
본 발명은 전자전송층에 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활성 금속화합물을 혼합시켜, 고온 진공상태에서 활성 금속화합물로 하여금 활성 금속을 분해하고, 활성 금속은 전자전송재료 화합물과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환원시켜 활성 금속혼합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구동전압이 훨씬 낮고, 효율도 월등한 음극구조를 취득하며, 더욱 다양한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구조 예시도이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진일보로 설명하여, 해당 영역의 기술자들로 하여금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 하고 실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단, 본문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 중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투명기판(1), 투명양극(2), 홀 전송층(3), 유기발광층(4), 전자전송층(5)와 음극(6) 외에도 홀주입층, 전자주입층 등을 포함하며, 그 구조는 기존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전자전송층에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및 활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해 전자전송 혼합층을 형성한다. 그중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Alq3, Gaq3 등 안정성이 월등한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을 우선적으로 택한다.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다. 그가운데 알칼리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질화물, 예를들면 Li3N, Na3N, K3N 혹은 Rb3N일 수 있고, 또한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 예를들면 LiBH4, NaBH4 혹은 KBH4 등일 수도 있으며;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 예를들면 Mg3N2, Ca3N2, Sr3N2 혹은 Ba3N2 등일 수 있고, 또한 알칼리토류 금속 수소화붕소일 수도 있으며; 란탄족 금속화합물은 란탄족 금속질화물, 예를 들면 LaN 등 일 수 있고,또한 란탄족 금속 수소화붕소일 수도 있다.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0.01~5):(0.01~5), 바람직하게 1:1:1이다. 그중 전자전송재료는 기존 기술에 통상적인 재료 예를 들면Bphen, TPBi, Bebq2 혹은 Bepp2 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 이동도가 높은 기타 유형의 전자전송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공고번호가 CN101875637B인 중국발명특허에 공개된 재료:
Figure 112016070665982-pct00001
혹은 공고번호가 CN101891673B인 중국발명특허에 공개된 재료:
Figure 112016070665982-pct00002
.
본 발명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ITO(인듐주석 산화물) 유리기판 위에서 순차적으로 양극도형 식각, 홀 전송층과 유기발광층 증착을 실시하며;
상기 유기발광층 위에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을 동시에 증착시켜, 전자전송층을 형성하고, 그가운데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며;
상기 전자전송층 위에 음극을 증착한다.
본 발명은 전자전송층에서 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활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한다. 그가운데 전자전송재료는 높은 이동도을 구비하고,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열안정성이 뛰어나며, 전자전송층은 높은 이동도과 안정성을 겸하여 구비하였다. 한편 활성 금속화합물은 진공상태에서 가열 시 활성 금속을 방출하고, 활성 금속은 전자전송재료 화합물과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환원시켜 N혼합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전자의 주입과 전송에 이롭다. 그리하여 구동전압이 훨씬 낮고, 효율도 월등한 음극구조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은 활성 금속화합물을 통해 고온 진공상태에서 활성 금속을 방출하기에 음극 재료에 대한 제한조건이 없으며, 따라서 더욱 다양한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ITO(150nm)/NPB(50nm)/Alq3(50nm)/Bebq2(15nm):Alq3(100%):Li3N(1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가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가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ebq2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와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총두께는 45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ebq2, Alq3, Li3N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1: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가 150nm이다.
본 실시예의 OLED 부품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설계에 따라 ITO기판 위에서 양극도형을 식각해 고정하며;
2)세척제 초음파 및 탈이온수 초음파 방법을 적용해 식각 고정시킨 도형의 ITO 유리기판을 세척한 후, 적외선등 밑에 놓아 건조시키며;
3) 상기 처리한 유리기판을 진공챔버에 내장하여 압력세기를1×10-5Pa에 도달시고, 상기 양극층 필름 위에 홀 전송층(NPB)을 지속적으로 증착시키며, 해당 층의 필름화 속도는 0.1nm/s이고, 필름두께는 50nm이며;
4) 홀 전송층 위에 Alq3을 증착시켜 발광층으로 삼고, 증착속도는 0.1nm/s이며, 총 필름두께는 50nm이며;
5) 발광층 위에 전자전송층을 증착시키고, 증착 시 Bebq2, Alq3, Li3N재료를 동시에 증착시키며, 각자의 몰 비율은 1:1:1이고, 증착속도는 0.1nm/s이며, 총 필름두께는 45nm이며;
6) 상기 전자전송층 위에 알루미늄층을 지속적으로 증착시켜 부품의 음극층으로 삼으며, 알루미늄층의 증착속도는 1nm/s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2:
실시예1에 제시된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부품를 제작한다.
ITO(150nm)/NPB(50nm)/Alq3(50nm)/Bphen(15nm):Alq3(100%):Li3N(1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인듐주석 산화물)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phen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두께는 45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phen, Alq3, Li3N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1: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3:
ITO(150nm)/NPB(50nm)/Alq3(50nm)/Bphen(15nm):Alq3(100%):KBH4(5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인듐주석 산화물)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phen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KBH4(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두께는 35nm이고, Bebq2와 비교한 Alq3와 Li3N의 몰 비율(%), 즉 Bphen, Alq3, Li3N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1:0.5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4:
ITO(150nm)/NPB(50nm)/Alq3(50nm)/Bebq2(15nm):Alq3(1%):Li3N(5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ebq2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총두께는 90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ebq2, Alq3, Li3N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0.01:5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5:
ITO(150nm)/NPB(50nm)/Alq3(50nm)/Bebq2(15nm):Alq3(500%):Li3N(1%)/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ebq2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총두께는 90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ebq2, Alq3, Li3N 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5:0.0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6:
ITO(150nm)/NPB(50nm)/Alq3(50nm)/Bebq2(15nm):Alq3(1%):Li3N(1%)/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ebq2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총두께는 15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ebq2, Alq3, Li3N 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0.01:0.0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실시예7:
ITO(150nm)/NPB(50nm)/Alq3(50nm)/Bebq2(15nm):Alq3(500%):Li3N(5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ebq2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와 Li3N(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총두께는 165nm이고, Alq3와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ebq2, Alq3, Li3N이 세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5:5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비교예1:
실시예1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부품를 제작한다.
ITO(150nm)/NPB(50nm)/Alq3(50nm)/Bphen(15nm):Alq3(1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인듐주석 산화물)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phen이고, Alq3(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두께는 30nm이고, Alq3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phen, Alq3 이 두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비교예2:
실시예1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부품를 제작한다.
ITO(150nm)/NPB(50nm)/Alq3(50nm)/Bphen(15nm):Li3N(100%)/Al(150nm)
여기에서 양극은 ITO(인듐주석 산화물)이며; 홀 전송층의 재료는 NPB이고, 두께는 50nm이며; 유기발광층의 재료는 Alq3이고, 두께는 50nm이며; 전자전송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Bphen이고, Li3N(알칼리성 금속/알칼리토류 금속/란탄족 금속화합물)을 혼합하며, 전자전송층의 두께는 30nm이고, Li3N은 Bebq2에 기준해 각각 몰 비율로 산정하며, 즉 Bphen, Alq3 이 두가지 재료 간 몰 비율은 1:1이며; 음극재료는 알루미늄이고, 두께는 150nm이다.
휘도 1000cd/m2 하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부품성능
번호 전자전송층 구조 전압
(실시예1에 기준함)
전류효율
(실시예1에 기준함)
실시예1 Bebq2(15nm):Alq3(100%):Li3N(100%) 1 1
실시예2 Bphen(15nm):Alq3(100%):Li3N(100%) 0.98 1.12
실시예3 Bphen(15nm):Alq3(100%):KBH4(50%) 1.06 0.97
실시예4 Bebq2(15nm):Alq3(1%):Li3N(500%) 1.08 0.98
실시예5 Bebq2(15nm):Alq3(500%):Li3N(1%) 1.55 0.76
실시예6 Bebq2(15nm):Alq3(1%):Li3N(1%) 1.22 0.92
실시예7 Bebq2(15nm):Alq3(500%):Li3N(500%) 1.35 0.82
비교예1 Bphen(15nm):Alq3(100%) 1.97 0.65
비교예2 Bphen(15nm):Li3N(100%) 1.63 0.68
위 표 1을 보면 실시예1-7에 따라 제작된 부품은 비교예1-2에 따라 제작된 부품에 비해 훨씬 낮은 구동전압과 훨씬 높은 전류효율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이동도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알칼리성 금속/알칼리토류 금속/란탄족 금속화합물을 동시 증착시켜 형성한 전자전송층의 부품 성능이 전자전송재료와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혹은 알칼리성 금속/알칼리토류 금속/란탄족 금속화합물로만 형성된 전자전송층의 부품에 비해 월등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은 활성 금속화합물을 가열시켜 활성 금속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하며, 본 영역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에 근거해 해당 원리를 이해할 수 있으며, 본문에서 언급하지 않은 기타 활성 금속화합물 역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충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하의 보호범위는 이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토대로 실시한 동등한 대체 혹은 변환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든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4)

  1. 양극, 홀 전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전송층과 음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송층은 유기금속 배위화합물과 활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하였으며,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며,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진공상태에서 가열 시 활성 금속을 방출하고, 상기 활성 금속은 전자전송재료와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환원시켜 N혼합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토류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란탄족 금속화합물은 란탄족 금속질화물 혹은 란탄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0.05~5):(0.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은 Alq3 혹은 Gaq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은 Li3N, Na3N, K3N 혹은 Rb3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은 Mg3N2, Ca3N2, Sr3N2 혹은 Ba3N2를 포함하며;
    상기 란탄족 금속질화물은 La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는 LiBH4, NaBH4 혹은 KBH4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6. ITO 유리기판에 순차적으로 양극패턴, 홀 전송층과 유기발광층을 식각하며;
    상기 유기발광층 위에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을 동시에 증착시켜 전자전송층을 형성하고,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 혹은 란탄족 금속화합물이며;
    상기 전자전송층 위에 음극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 금속화합물은 진공상태에서 가열 시 활성 금속을 방출하고, 상기 활성 금속은 전자전송재료와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환원시켜 N혼합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화합물은 알칼리성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화합물은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 혹은 알칼리토류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란탄족 금속화합물은 란탄족 금속질화물 혹은 란탄족 금속 수소화붕소이며;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0.05~5):(0.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배위화합물은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퀴놀린 금속 배위화합물은 Alq3 혹은 Gaq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금속질화물은 Li3N, Na3N, K3N 혹은 Rb3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질화물은 Mg3N2, Ca3N2, Sr3N2 혹은 Ba3N2를 포함하며;
    상기 란탄족 금속질화물은 LaN을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성 금속 수소화붕소는 LiBH4, NaBH4 혹은 KBH4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송층의 전자전송재료, 유기금속 배위화합물, 활성 금속화합물의 몰 비율은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7019897A 2013-12-31 2014-12-29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747676.2A CN103700775B (zh) 2013-12-31 2013-12-31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201310747676.2 2013-12-31
PCT/CN2014/095334 WO2015101257A1 (zh) 2013-12-31 2014-12-29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180A KR20160101180A (ko) 2016-08-24
KR101974255B1 true KR101974255B1 (ko) 2019-04-30

Family

ID=5036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897A KR101974255B1 (ko) 2013-12-31 2014-12-29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56417B2 (ko)
EP (1) EP3070758B1 (ko)
JP (1) JP6280234B2 (ko)
KR (1) KR101974255B1 (ko)
CN (1) CN103700775B (ko)
PL (1) PL3070758T3 (ko)
TW (1) TWI580686B (ko)
WO (1) WO2015101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0775B (zh) * 2013-12-31 2017-08-25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8717956B (zh) * 2018-05-31 2020-04-0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US20220209166A1 (en) * 2019-04-11 2022-06-30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CN112449034A (zh) * 2019-08-30 2021-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911574A (zh) * 2019-11-29 2020-03-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组合物、oled器件、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584731B (zh) * 2020-05-29 2022-09-16 合肥福纳科技有限公司 电子传输材料、薄膜、量子点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737A1 (en) * 2007-08-16 2009-02-19 Tsinghua University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11508421A (ja) * 2007-12-19 2011-03-10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低電圧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用の有機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9394T2 (de) * 1996-11-29 2005-06-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JP4505067B2 (ja) 1998-12-16 2010-07-14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CN100448058C (zh) 2005-04-13 2008-12-31 清华大学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KR100806812B1 (ko) * 2005-07-25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92753A1 (en) 2005-10-26 2007-04-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2020694A4 (en) * 2006-04-20 2009-05-20 Idemitsu Kosan Co ORGANIC LIGHTING ELEMENT
US20090004573A1 (en) 2007-06-29 2009-01-01 Aton Thomas J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photomasks
KR100931060B1 (ko) * 2008-04-02 2009-1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2084514A (zh) 2008-07-01 2011-06-01 东丽株式会社 发光元件
CN101891673B (zh) 2009-11-13 2013-03-20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CN101875637B (zh) 2009-11-13 2013-11-06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TWI616512B (zh) * 2009-12-31 2018-03-01 Bejing Visionox Technology Co Ltd Organic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US8870523B2 (en) 2011-03-07 2014-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t gas path component and hot gas path turbine component
JP5803648B2 (ja) 2011-12-16 2015-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358784B1 (ko) * 2012-02-14 2014-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개선된 효율 특성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77238B (zh) * 2012-04-25 2017-04-0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及包含其之顯示裝置
JP5998745B2 (ja) * 2012-08-24 2016-09-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CN102916134B (zh) 2012-10-31 2016-06-29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电子传输层、含该层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US20140203246A1 (en) * 2013-01-23 2014-07-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ode and Display Panel
CN103078061B (zh) * 2013-01-23 2014-07-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二极管及显示面板
CN103700775B (zh) 2013-12-31 2017-08-25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737A1 (en) * 2007-08-16 2009-02-19 Tsinghua University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11508421A (ja) * 2007-12-19 2011-03-10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低電圧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用の有機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180A (ko) 2016-08-24
TWI580686B (zh) 2017-05-01
EP3070758B1 (en) 2018-01-31
JP6280234B2 (ja) 2018-02-14
CN103700775A (zh) 2014-04-02
EP3070758A4 (en) 2016-11-02
US10256417B2 (en) 2019-04-09
CN103700775B (zh) 2017-08-25
TW201546082A (zh) 2015-12-16
EP3070758A1 (en) 2016-09-21
JP2016541129A (ja) 2016-12-28
PL3070758T3 (pl) 2018-07-31
WO2015101257A1 (zh) 2015-07-09
US20160380213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55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0278003A (ja) 有機発光素子
CN104167496B (zh) 倒置式顶发射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895820B (zh) 有机发光器件及其显示器
CN110335954B (zh) 一种高效稳定的白光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JP5094781B2 (ja)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157703B (zh) 一种提高亮度的oled器件
Zhang et al. Active emitting layer thickness dependence and interfaces engineering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DOPPP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9780323B2 (en) Tandem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Zhang et al. Alkali metal salts doped pluronic block polymers as electron injection/transport layers for high performance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CN108878664A (zh) 量子点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932177A (zh) 有机电致发光器件、发光层材料、掺杂方法及制备方法
WO2019095501A1 (zh) 一种oled器件及制备方法
CN105789460A (zh) 激基复合物的白光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504376A (zh) 一种双发光层红光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9004098A (zh) 一种新型oled器件及其显示、照明装置
CN103579508A (zh)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870348A (zh) 一种具有掺杂型电子传输层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方法
CN105789462A (zh) 掺杂cbp的蓝色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789470A (zh) 一种白光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2490381A (zh) 基于多周期有机异质结超厚传输层的底发射器件
CN117750795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2222776B (zh) 具有缓变结发光层结构的白光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911572A (zh)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108963088A (zh) 有机发光二极管及其电子注入层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