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45B1 - 거품 생성 캡 - Google Patents

거품 생성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45B1
KR101974245B1 KR1020157023190A KR20157023190A KR101974245B1 KR 101974245 B1 KR101974245 B1 KR 101974245B1 KR 1020157023190 A KR1020157023190 A KR 1020157023190A KR 20157023190 A KR20157023190 A KR 20157023190A KR 101974245 B1 KR101974245 B1 KR 10197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ir
passage
air cham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830A (ko
Inventor
모토카츠 야마다
도모야 이가라시
다카히로 아카오기
겐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7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outlet or 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hand-carr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 B05B7/005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6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37Intermediate closure(s)
    • B65D2251/0056Intermediate closure(s)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Abstract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은,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천장벽(13)과 통형상 측벽(11)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1), 및 캡 본체에 장착되는 구획 부재(5)를 갖고 있고, 천장벽의 상면에는 분출관(17)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는, 구획 부재(5)에 의해 스퀴즈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60a)의 상부와 구획되는 공기실(30)이 형성되어 있고, 구획 부재(5)에는, 내용액의 통로가 되는 액 침입 개구(39)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실에는, 공기실 내의 공기가 흐르는 공기로(31)와, 구획벽(37a)을 통과하여 침입한 내용액이 흐르는 액유로(33)가 연통하고 있고, 공기로와 액유로는 합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합류점으로부터 상기 분출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기액 혼합 유로(35)로 되어 있고, 스퀴즈 용기를 기울이고 또한 스퀴즈했을 때, 내용액이 분출관의 선단으로부터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된다. 이 거품 생성 캡은, 튜브 등의 캡핑(capping)을 저해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고, 더구나, 지속적으로 거품 생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거품 생성 캡{FOAM DISPENSING CAP}
본 발명은, 거품 생성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퀴즈(squeeze) 용기에 장착되고, 용기를 기울여 스퀴즈하는 것에 의해, 캡에 형성되어 있는 내용액 분출관으로부터 내용액이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되는 거품 생성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내용액을 거품형태로 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캡(거품 생성 캡)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고, 예컨대 조미료, 식품, 음료 혹은 세정제, 화장품 등이 수용된 보틀(bottle) 등의 용기에 적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거품 생성 캡에서는, 내용액과 공기를 혼합하고 나서 내용액을 용기로부터 분출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에 공지된 거품 생성 캡에는, 내용액의 분출 시에, 용기 내의 공기[헤드 스페이스(head space)에 존재하는 공기]를 즉시 용기 밖으로 배출하지 않고, 일단, 이 공기를 받아들여 내용액과 혼합하기 위한 튜브, 혹은 내용액을 용기 내의 공기와 혼합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하기 위한 튜브 등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튜브는 매우 길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튜브가 형성되어 있는 거품 생성 캡은, 이것을 용기 입구부에 장착하기 위한 캡핑(capping)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튜브는 길이가 길뿐만 아니라, 가요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것을 작은 구경의 용기 입구부 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위치 맞춤 등이 매우 번거로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튜브를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은 거품 생성 캡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거품 생성 캡에는, 테플론(등록 상표) 수지 가공천 등의 소거품 발생 시트가 부착되어 있고, 용기 내용액 및 보틀의 헤드 스페이스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상기 시트를 통과시켜 배출함으로써, 내용액을 거품형태로 분출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3의 캡에서는, 각별한 튜브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에 장착하기 위한 캡핑 작업이 매우 용이하기는 하지만, 거품 생성 기능이 현저히 낮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포의 발생에 필요한 공기는, 용기를 기울여 스퀴즈했을 때, 매우 신속히 배출되어 버려, 처음에 분출되는 근소한 양의 내용액이 거품 생성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개 소61-18315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평5-2585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1-12416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등의 캡핑을 저해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고, 더구나, 지속적으로 거품 생성을 행할 수 있는 거품 생성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거품 생성 캡으로서, 천장벽과, 상기 천장벽의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통형상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퀴즈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액의 통로가 되는 개구를 갖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천장벽의 상면에는,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 연통하여, 용기 내용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관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는, 거품 생성 캡을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상기 스퀴즈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와 구획된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에서는,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를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로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공기실에 침입한 내용액을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액유로가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로와 상기 액유로가 합류부에서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합류부로부터 상기 분출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기액 혼합 유로로 되어 있고,
상기 스퀴즈 용기를 기울이고 또한 스퀴즈했을 때, 내용액이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면서 상기 액유로에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액이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는 것에 의한 액압에 의해,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로에 유입되고, 상기 액유로에 유입된 내용액과 상기 공기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합류부에서 서로 혼합되고, 기포를 포함하는 내용액이, 상기 분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분출관의 선단으로부터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 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에 있어서는, 상기 내용액과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출관의 선단까지의 사이에, 기포 직경을 조정하기 위한 메시(mesh) 부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에서,
(1) 상기 통형상 측벽에는,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걸어 맞추거나 혹은 끼워 맞추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내용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액 침입 개구가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의 외주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직립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공기실, 상기 공기로 및 상기 액유로가 형성되도록 조립된 거품 생성용 박스가, 상기 구획 부재로서 상기 통형상 측벽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1-1)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가 상기 통형상 측벽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장벽의 하면과 상기 박스의 상면 사이에, 상기 분출관의 내부와 연통하는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는 것,
혹은,
(1-2)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의 내부에,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에 있어서는, 상기 양태와는 별도로,
(2) 상기 개구를 구비한 구획벽을 상면에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되는 속뚜껑이 상기 구획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 측벽이 상기 속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속뚜껑의 구획벽에는, 개봉 링에 의한 인장에 따른 파단에 의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뚜껑의 상면인 상기 구획벽과 상기 천장벽 사이에, 상기 공기실, 상기 공기로, 상기 액유로 및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는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의 중요한 특징은, 캡을 구성하는 천장벽과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사이에, 상기 헤드 스페이스와 구획되어 있는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실 내의 공기가 용기 내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액과 혼합되어 분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캡 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실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공기를 내용액과 혼합하여 배출하는 튜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물론, 내용액을 공기와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튜브도 필요가 없다. 내용액과 혼합하는 공기는, 공기실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용기 내의 헤드 스페이스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용기 내용액도, 각별한 수단을 강구하는 일 없이, 구획벽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액 침입 개구로부터 액유로를 통과하여, 공기실로부터의 공기와 혼합되어 분출관으로부터 거품형태로 분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거품 생성을 위한 튜브 등의 각별한 부재는 필요가 없고, 이 결과, 이 거품 생성 캡은, 용기 입구부에 대한 캡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캡의 공기실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는, 용기 내용액이 공기실에 침입했을 때의 액압에 의해 공기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이지만, 이때, 용기 내용액은, 공기실로부터 유출되는 내용액이 통과하는 액유로가, 공기로에 합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공기를 압출하면서 공기와 동일한 경로를 통과하여 내용액이 흐르는 것이 아니고, 공기와의 혼합이 시작되는 액유로와 공기로의 합류부에 내용액이 도달했을 때에, 공기가 거의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내용액과 혼합하여, 거품형태로 분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거품 생성 캡에 형성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거품 생성용 박스의 구획 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4는, 도 2의 거품 생성용 박스의 정상벽 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5는, 도 2의 거품 생성용 박스의 액유로 형성 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6은, 도 1의 거품 생성 캡을 이용하여 용기 내용액을 추출할 때의 캡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과는 상이한 양태의 거품 생성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외벽 부재의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구획 부재의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기액 혼합 유로 형성 부재의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공기실 형성 부재의 측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거품 생성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거품 생성 캡에서의 공기로와 액유로의 합류 위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전체로서 50으로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은, 보틀 형상의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61)에 장착되는 것이다.
우선 스퀴즈 용기(60)에 관해 설명하면, 이 용기는, 일반적으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보틀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이것을 기울여, 용기(60)의 몸통부를 스퀴즈함으로써, 용기 내용액을 짜내도록 하여 분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60)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보틀 등의 용기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스퀴즈 용기에 요구되는 가요성이나 유연성을 갖는다는 관점에서, 올레핀계 수지 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고,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각종 올레핀의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각종 올레핀끼리의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내지 그 무수물로 그라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등의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되지만, 특히 적합한 것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또한, 스퀴즈성이 확보되어 있는 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의 내면층과 외면층 사이에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이 접착제층을 통해 적절히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층의 외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스퀴즈 용기(60)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예컨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를 파이프 형상으로 압출하고, 그 한쪽의 선단부를 핀치 오프하여 패리슨(parison)을 형성하고, 이 패리슨에 압축 공기 등을 송풍하여 보틀 형상으로 성형하는, 소위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거품 생성 캡(50)은, 대략적으로 말해서, 상기 용기(60)의 입구부(61)에 고정되는 캡 본체(1)와, 캡 본체(1)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외부 뚜껑(3)과, 캡 본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5)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캡 구성 부재는, 모두, 용기(60)와 마찬가지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 특히 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캡 본체(1)는, 통형상 측벽부(11)와, 통형상 측벽부(11)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천장벽(13)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형상 측벽(11)의 하측 부분은, 외측으로 직경 확대되어 있는 외측벽(11a)과,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링(11b)으로 분기되어 있고, 이들 사이의 고리형 오목부(15)에 용기(60)의 입구부(61)가 삽입되어, 캡(50)이 용기(6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끼워 넣음, 나사 결합 등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지만, 어떠한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내측 링(11b)이 용기 입구부(61)의 내면에 밀착하여 용기(60) 안이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장벽(13)의 상면에는, 분출관(17)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이 분출관(17)을 통과하여, 그 선단으로부터 용기(60) 내의 내용액이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되는 것이다.
이 분출관(17)은, 그 상측 부분이 경사져 있고, 그 선단부에는, 내부 뚜껑(19)이 연결부(19a)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분출관(17)은, 용기 내에 연통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천장벽(13)의 분출관(17)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분출관(17)의 근원 부분]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이러한 분출관(17)의 내부에는, 기포 직경을 미세하게 하기 위한 메시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의 예에서는, 상기 개구부[분출관(17)의 근원 부분]에 성긴 메시(20)가 부착되고, 선단 부분의 내부에는 미세 메시(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한 거품형태로 되어 내용액이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천장벽(13)에는, 분출관(17)의 외측으로서, 분출관(17)의 선단 부분이 지향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 방향이 되는 부분에, 거품의 형성에 필요한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역지 밸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천장벽(13)의 상면의 주연부에는, 캡 본체(1)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외부 뚜껑(3)을 닫힌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뚜껑(3)의 내부에는, 분출관(1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 뚜껑(19)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리브(27)와, 힌지 뚜껑(19)을 외부 뚜껑(3)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한 돌출편(2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뚜껑(3)은, 힌지 연결부(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되어 개폐되는 것인데, 이 외부 뚜껑(3)을 선회시켜 닫으면, 이 선회 시에, 상기 돌출편(29) 및 리브(27)가 힌지 뚜껑(19)에 닿고, 이것을 누르면서 폐전(閉栓) 방향으로 선회해 나간다. 이 결과, 외부 뚜껑(3)이 닫혔을 때에는, 힌지 뚜껑(19)도 닫혀 분출관(17)의 선단이 밀봉되게 된다.
또한, 닫힌 외부 뚜껑(3)은, 천장벽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25)가, 외부 뚜껑(3)의 측벽 하단의 내면에 걸어 맞춰지고, 이에 따라, 외부 뚜껑(3)의 폐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동시에, 외부 뚜껑(3)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27)가 내부 뚜껑(19)을 확실히 압박하고 있고, 따라서, 내부 뚜껑(19)의 폐전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닫힌 외부 뚜껑(3)을 선회시켜 개방하면, 외부 뚜껑(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9)이, 내부 뚜껑(19)의 플랜지부에 접촉하고, 외부 뚜껑(3)의 선회에 따라 내부 뚜껑(19)을 밀어올려 나간다. 이 결과, 외부 뚜껑(3)의 개전(開栓)과 동시에, 내부 뚜껑(19)도 개전되고, 분출관(17)의 선단이 해방되어, 내용액을 분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박스(5)는, 공기실(30)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형상의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된 것이고, 도 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캡 본체(1)의 통형상 측벽(11)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 것이다.
거품 생성용 박스(5)를 도시한 도 2 및 거품 생성용 박스(5)의 조립에 사용되는 각종 패널의 형상을 도시한 도 3∼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이 거품 생성용 박스(5)는, 공기실(30)을 갖고 있고, 이 공기실(30)로부터는 공기로(31)와 액유로(33)가 연장되어 있고, 공기로(31)와 액유로(33)는, 거품 생성용 박스(5)와 캡 본체(1)의 천장벽(13) 사이에서 합류하여 기액 혼합 유로(35)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거품 생성 박스(5)는, 구획판(37)(도 3 참조)과, 정상벽판(40)(도 4 참조)과, 액유로 형성판(47)(도 5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실(30)은, 거품 생성에 필요한 공기가 수용되는 것이고, 이 박스(5)의 저벽이 되는 구획벽(37a)에 의해,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즉, 용기 내용액(70)의 액면 상부의 용기 내 공간]와 구획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획판(37)은, 원판형의 구획벽(37a)과, 그 주연부로부터 기립되어 있는 직립벽(37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벽(37a)의 주연 부분에는, 용기 내용액을 박스(5) 내에 받아들이기 위한 액 침입 개구(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이 거품 생성용 박스(5)의 정상벽이 되는 정상벽판(40)은, 원판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주연부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짧은 직립벽(40a)을 갖고 있다. 정상벽판(40)의 하면의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는, 공기로(31)를 형성하기 위해 내려오는, 공기로 형성벽(41)이 형성되고, 이 공기로 형성벽(41)과 직립벽(40a) 및 직립벽(37b)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이 공기로(31)를 형성하고, 이 상부에 공기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벽판(40)의 중앙부에는, 내용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정상벽판(40)의 하면에는, 액유로 형성판(47)을 안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강하벽(4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강하벽(40b)은, 공기로 형성벽(41) 및 공기구(43)가 위치하는 쪽으로 약간 치우쳐 위치하고 있고, 이 강하벽(40b)에 대하여, 공기로 형성벽(41) 및 공기구(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영역에, 개구(45)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유로 형성판(47)은, 전술한 정상벽판(40)의 강하벽(40b)의 한쪽[개구(45)가 존재하는 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고, 따라서, 도면의 예에서는, 반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액유로 형성판(47)에 있어서, 강하벽(40b)에 대면하는 부분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측벽면(47a)으로 되어 있고, 이 측벽면(47a)의 양끝으로부터는, 측벽면(47e)이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의 측벽면(47a)에 대향하는 쪽에는, 공기실(30)에 침입한 내용액을 액유로(33)에 도입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4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액유로 형성판(47)의 상면벽(47c)은 대략 반원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절결(47b)로부터는, 상면벽(47c)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여 홈(47d)이 연장되어 있다[도 5의 (b) 참조]. 이 액유로 성형판(47)이 정상벽판(40)에 셋팅(setting)되었을 때, 이 홈(47d)은, 정상벽판(40)의 개구(45)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러한 액유로 형성판(47)은, 정상벽 부재(40)의 강하벽(40b)과 직립벽(40a) 사이[개구(45)가 존재하는 쪽]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이 고정 상태에서, 강하벽(40b)의 한쪽 측면[개구(45)측 면]과 액유로 형성 부재(47)의 측벽면(47a)이 밀착하고, 액유로 형성판(47)의 측벽면(47e)이 직립벽(40a)의 내주면과 밀착함으로써 액유로 형성판(47)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정상벽판(40)의 하면과 액유로 형성판(47)의 상면이 밀착하고, 이에 따라, 홈(47d)에 대응하는 부분이 액유로(33)가 되고, 이 액유로(33)의 한쪽 단부는 절결(47b)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는, 개구(45)에 연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액유로 형성판(47)이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는 정상벽판(40)을, 캡 본체(1)의 통형상 측벽(11)의 내측 공간에 끼워 넣고, 또한, 그 하측에 구획판(37)을 끼워 넣음으로써, 거품 생성용 박스(5)가 통형상 측벽(7)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거품 생성용 박스(5)가 형성되면, 거품 생성용 박스(5)[정상벽판(40)]의 상면과 천장벽(13)의 하면 사이에, 공기로(31)와 액유로(33)가 합류하는 기액 혼합 유로(35)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거품 생성용 박스(5)의 조립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공기로(31), 액유로(33) 및 기액 혼합 유로(35)가 형성되는 것이면, 거품 생성 박스(5)가 어떻게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용기(60) 내의 내용액(70)을 추출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추출 시에는, 내부 뚜껑(19)을 개방한 상태에서, 전술한 분출관(17)의 선단이 하측이 되도록, 용기를 적당한 각도(θ)만큼 기울여 용기의 몸통부를 스퀴즈하는데, 이때, 용기 내용액은,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박스(5) 내에 받아들여지고, 공기실(30)을 통과하여 액유로(33) 내에 유입되고, 이 액유로(33)로부터 기액 혼합 유로(35)로 흐르지만, 동시에 공기실(30) 내에도 침입하게 된다.
즉, 공기실(30) 내에 침입한 용기 내용액(70)에 의한 액압[액면(70a)의 상승]에 의해, 공기실(30) 내의 공기는, 용기 내에는 유입되지 않고 공기로(31)를 통과하여, 공기구(43)로부터 기액 혼합 유로(35)에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실(30) 내의 공기와 용기 내용액(70)이 기액 혼합 유로(35)에서 합류하여 혼합되고, 기포를 포함하는 용기 내용액(70)이, 성긴 메시(20)를 통과하여 거품이 되어 분출관(17) 내에 도입되고, 분출관(17)의 선단 부분의 미세 메시(21)에 의해 더욱 미세한 거품이 되어 분출되게 된다.
한편, 용기 내용액(70)의 추출 종료 후에는, 용기(60)의 몸통부의 원형 복귀에 의해 용기 안이 부압이 되어, 캡 본체(1)의 천장벽(13)에 형성되어 있는 역지 밸브(23)나 분출관(17)으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 공기실(30)에는, 다시 거품 생성에 필요한 공기가 수용되며, 이와 함께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 내에도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 전과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50)에 있어서는,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 내의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거품 생성용 박스(5) 내의 공기실(30) 내의 공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용기 내용액(70)과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 각별한 튜브를 용기(60) 내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은, 용기(60)의 입구부(61)에 대한 캡핑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실(30) 내의 공기는,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그리고 또한 지속적으로 거품 생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거품 생성용 박스(5)에 있어서, 용기(60)를 기울여 스퀴즈하는 것에 의한 용기 내용액(70)의 거품 생성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도록, 구획판(37)에 형성되어 있는 액 침입 개구(39)는, 기울인 용기(60)의 하측[즉, 분출관(17)의 선단부의 지향 방향]에 위치하고, 신속히 용기 내용액(70)이 받아들여지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또한, 공기로(31)는, 기울인 용기(60)의 상측[액 침입 개구(39)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러한 배치에 따라, 공기구(43)나 역지 밸브(23)의 위치, 나아가서는, 공기로 형성벽(41), 내용액 통과용의 개구(45), 액유로 형성판(47)의 위치 등이 결정된다. 바꿔 말하면, 이것의 위치는, 분출관(17)의 선단부의 지향 방향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또한, 거품 생성용 박스(5)를 통형상 측벽(11)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천장벽(13)의 하면과 거품 생성용 박스(5)[정상벽판(40)] 사이에 기액 혼합 유로(35)를 형성하기 위해, 캡 본체(1)의 천장벽(13)에는, 분출관에 연속되는 개구부의 주연부[성긴 메시(20)의 주연부]에 짧은 길이의 다리(49)를 고리형으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다리(49)에는, 공기로(31)로부터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절결이 공기로(31)측에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50)은,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외부 뚜껑(3) 및 내부 뚜껑(19)이 부착된 캡 본체(1)를 성형하고, 이 성형체에 성긴 메시(20)나 미세 메시(21)를 부착한 후, 거품 생성용 박스(5)를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거품 생성용 박스(5)의 부착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지만, 정상벽판(40)에 대한 액유로 형성판(47)의 끼워넣음식 고정이나, 정상벽판(40) 및 구획판(37)의 통형상 측벽(11) 내에 대한 끼워넣음식 고정 등을 할 때에, 걸어맞춤 수단에 의한 걸림이나 혹은 접착제나 히트 시일(heat seal) 등의 수단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내용액(70)과 공기의 기액 혼합 유로(35)가 거품 생성용 박스(5)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혼합실(35)을 박스(5)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양태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캡 본체(1)는[외부 뚜껑(3) 및 내부 뚜껑(19)은 생략], 통형상 측벽(11)의 내측벽이 되는 내측 링(11b)의 내면측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구획 부재로서 기능하는 거품 생성용 박스(5')가 걸려 있고, 또한, 이 거품 생성용 박스(5')와 캡 본체(1)의 천장벽(13) 사이에는, 메시 박스(90)가 협지되어 있다.
이 양태의 거품 생성용 박스(5')의 내부에는, 공기실(30), 공기로(31) 및 액유로(33)가 형성되고, 또한, 내용액의 액 침입 개구(39)에 더하여, 액유로(33)와 공기로(31)가 합류하여 기액 혼합이 행해지는 기액 혼합 유로(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거품 생성용 박스(5')에서는, 구획판(37)에 의해 공기실(30)과 용기(6)의 헤드 스페이스(60a)가 구획되어 있고,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침입하는 내용액의, 공기실(30) 내에 대한 침입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도 7과 함께, 거품 생성용 박스(5')를 형성하는 각종 패널을 도시한 도 8∼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거품 생성용 박스(5')는, 외벽 부재(71)(도 8), 구획판(37)(구획벽)(도 9), 기액 혼합로 형성 부재(73)(도 10), 및 공기실 형성 부재(75)로부터 조립된다.
즉, 외벽 부재(71)는, 원형의 상부면부(5a)와, 상부면부(5a)의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통형상 벽(5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면부(5a)의 상면 둘레 부분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용 고리형 돌기(5c)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걸어맞춤용 고리형 돌기(5c)의 상단 외면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가, 캡 본체(1)의 내측 링(11b)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11b')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5')는 캡 본체(1)의 통형상 측벽(1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부(5a)의 중심 부분에는, 기액 혼합 유로(35)로부터의 기액 혼합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 부재(71)의 통형상 벽(5b)의 하단에는, 도 9에 도시한 형상의 구획판(37)이 고정된다. 이 구획판(37)에는, 액 침입 개구(39)가 형성되도록, 절결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획판(37)을 순조롭게 고정하고, 절결(39')에 의해 단차가 없는 액 침입 개구(39)를 형성하기 위해, 구획판(37)이 접합되는 부분의 통형상 벽(5b)은, 구획판(37)의 두께만큼 길이가 짧아져 있다[도 8의 (a) 참조].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벽 부재(71)와 구획판(37)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형의 공간 내부에, 기액 혼합로 형성 부재(73) 및 공기실 형성 부재(75)가 삽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공기실(30), 공기로(31), 액유로(33), 및 공기로(31)와 액유로(33)가 합류하는 기액 혼합 유로(35)가, 이 박스(5')의 내부에 형성된다.
기액 혼합로 형성 부재(73)는, 외벽 부재(71)의 하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고,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부(5a)의 하측 내면과 동일한 원판 형상을 갖고 있지만, 액 침입 개구(39)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73')이 형성되어 있고, 액 침입 개구(39)에 연결되어 있는 액유로(3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액 혼합로 형성 부재(73)에는, 기액 혼합 유로(35)에 상당하는 홈(73a)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홈(73a)은, 외벽 부재(71)의 상부면부(5a)의 개구(80)에 대응하는 중심 부분을 포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공기실 형성용 패널(75)은, 상기 기액 혼합로 형성 부재(73)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부면부(75d) 및 그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통형상 벽(75e)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면부(75d)의 형상은, 외벽 부재(71)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원 형상이지만, 서로 대향하도록, 절결부(75a, 7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결부(75a)는,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로(31a)에 대응하는 것이고, 절결부(75b)는, 액유로(33)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면부(75d)의 중심 부분에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절결부(75a, 75b)를 연결하도록 홈(75c)이 연장되어 있다. 즉, 이 홈(75c)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로(31a)에 연통하며 또한 액유로(33)와 합류하고 있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로(33b)에 대응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공기실 형성 부재(75)에 둘러싸이는 공간, 즉, 상부면부(75d)와 통형상 벽(75e)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공기실(30)로 되어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거품 생성용 박스(5')는, 외벽 부재(71)의 내부에 기액 혼합로 형성용 패널(73)을 고정한 후, 또한 공기실 형성용 패널(75)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구획판(37)을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 시에는, 전술한 도 2의 거품 생성 박스(5)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히트 시일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립된 거품 생성용 박스(5')는, 외벽 부재(71)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용 고리형 돌기(5c)를 캡 본체(1)의 내측 링(11b)에 걸어 맞춤으로써, 캡 본체(1)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5')에서는, 공기실 형성 부재(75)의 통형상 벽(75e)과 구획판(37) 사이에 간극(8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간극(81)을 통해, 공기실(30)의 공기가 공기로(31)에 유입되고, 또한,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받아들인 내용액은, 그 일부가 공기실(30) 내에 침입하게 된다.
이러한 거품 생성용 박스(5')가 삽입되어 있는 캡에서, 공기실(30)의 하부는, 구획판(37)에 의해 용기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와 구획되어 있고, 용기 내용액의 추출 시에, 공기실(30) 내의 공기가 헤드 스페이스(60a)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유로(33)가 공기실 형성 부재(75)의 통형상 벽(75e)[절결(75a)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공기실(30)과 구획되어 있고, 공기실(30)에 내용액이 단번에 침입하지 않도록 제어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양태와 크게 상이하다.
전술한 구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거품 생성용 박스(5')를 구비한 거품 생성 캡(50)에 있어서도, 용기를 적당한 각도(θ)만큼 기울여 용기의 몸통부를 스퀴즈하면, 용기 내용액은,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박스(5') 내에 받아들여지고, 액유로(33) 내에 그리고 공기실(30) 내에 침입한다. 또한, 공기실(30) 내의 공기는, 공기실(30)에 침입한 내용액의 액압에 의해, 공기로(31)로 흐르고, 공기로(31)로부터 액유로(33)와 합류하고 있는 기액 혼합 유로(35)에 유입되게 된다. 이 기액 혼합 유로(35)에서는, 공기가 혼합된 용기 내용액이 난류 상태로 흐르기 때문에, 기포가 발생한다.
또한, 기액 혼합 유로(35)의 상벽으로 되어 있는 상부면(5a)에는, 메시 박스(90) 내로 통하는 개구(8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가 혼합되고, 거품형태로 된 용기 내용액은, 개구(80)를 통과하여 메시 박스(90)에 도입되게 된다.
메시 박스(90)는, 중공 통체(91)의 하부에 성긴 메시(93)가 형성되고, 상부에 미세 메시(95)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고, 중공 통체(91)의 상단으로부터는 수평 플랜지(97)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수평 플랜지(97)가 거품 생성용 박스(5')의 상부면(5a)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돌기(5c)의 상단과 캡 본체(1)의 천장벽(13)의 하면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또한, 수평 플랜지(97)의 하면에는, 짧은 길이의 돌기(99)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99)의 외면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5c)의 상부 내면에 밀착함으로써, 이 메시 박스(90)가 확실히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80)를 통과하여 침입한 거품형의 내용액은, 상부면(5a)과 성긴 메시(93)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성긴 메시(93) 및 미세 메시(95)를 통과하여 분출관(17) 내로 흐르고, 이와 같이 하여 미세한 거품형태가 된 내용액이 분출관(17)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되게 된다.
이러한 거품 생성용 박스(5')를 구비한 거품 생성 캡에서는,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받아들인 내용액이, 공기실(30) 내에 단번에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내용액이 단번에 공기실(30) 내에 침입하면, 공기실(30) 내의 공기도 단번에 공기로(31)에 압출되고, 이 결과, 내용액이 액유로(33)와 공기로(33)의 합류점에 도달했을 때에는, 상당한 양이 방출되어 버려, 거품 생성에 기여하는 공기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 양태에서는, 공기실(30) 내에 대한 내용액의 침입이 어느 정도 제한되기 때문에, 거품 생성에 기여하는 공기량의 감소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공기실(30) 내의 공기의 거의 전량이 거품 생성에 사용되게 되어, 거품 생성 작용을 지속적으로 행함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역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이 양태에 있어서도, 도 1의 것과 동일한 역지 밸브(2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출관(17)의 선단 부분에, 추가적인 메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거품 생성용 박스(5')를 구비한 거품 생성 캡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캡 본체(1)에, 각종 부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거품 생성용 박스(5')를, 별개로 조립된 메시 박스(90)를 협지하도록 하여 부착함으로써 제작되고, 이 상태에서, 내용액이 충전된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61)에 장착된다.
또한, 이 양태에 있어서는, 메시 박스(90)를 캡 본체(1)와는 별개로 형성하고 있지만, 캡 본체(1)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1 및 도 7의 거품 생성 캡에서는,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60a)와 구획된 공기실(30)을 갖는 거품 생성용 박스(5 혹은 5')를 구비한 캡 본체(1)가,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61)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러한 거품 생성용 박스(5 혹은 5')에 의해 공기실(30)을 형성하지 않고, 캡 본체(1)에 속뚜껑을 조합함으로써, 공기실(3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속뚜껑이 공기실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조의 거품 생성 캡의 구조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있어서, 전체로서 100으로 표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용 캡은, 전체로서 1로 표시하는 캡 본체와, 전체로서 101로 표시하는 속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캡 본체(1)는, 전술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캡 본체(1)와 구조상 공통으로 하고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고 있다.
이 대응에서는, 속뚜껑(101)이,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61)에 장착된다.
이러한 속뚜껑(101)은, 구획벽(103)과, 그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고리형 측벽(10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속뚜껑(101)의 상면으로 되어 있는 구획벽(103)은, 전술한 도 1 및 도 7의 캡(50)에서의 거품 생성용 박스(5, 5')에 형성되어 있는 구획벽(37a)과 마찬가지로,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와 공기실(30)을 구획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획벽(103)의 중앙 부분은 움푹 패인 형상을 갖고 있고, 이 내부에는, 무단형(無端型)의 스코어(110)가 형성되고, 이 스코어(110)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액 침입 개구(39)를 형성하기 위한 액 침입 개구 예정부(39a)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액 침입 개구 예정부(39a)의 상면에는, 상단에 인장 링(111)을 구비한 지주(113)가 형성되어 있고, 인장 링(111)을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스코어(110)가 파단되고, 전술한 액 침입 개구(39)가 형성된다. 즉, 액 침입 개구 예정부(39a)가 액 침입 개구(39)가 된다.
또한, 구획벽(103)의 주연 부분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걸어맞춤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돌기(113)의 외면에는, 캡 본체(1)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산(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벽(103)의 하면에는, 고리형 측벽(105)과 간격을 두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 링(1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링(117)과 고리형 측벽(105) 사이의 공간에, 스퀴즈 용기(60)의 입구부(61)가 끼워 넣어지고, 이에 따라, 속뚜껑(101)이 입구부(6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속뚜껑(101)이 입구부(6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내측 링(117)의 외면이, 입구부(61)의 내면에 밀착하여, 양호한 밀봉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 측벽(105)의 하단의 내면에는 걸림 돌기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입구부(61)가 끼워 넣어져 있는 속뚜껑(101)은, 입구부(6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 측벽(105)의 상부는, 그 전체 둘레 혹은 일부에, 슬릿(119)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고리형 측벽(105)이 외측벽(105a)과 내측벽(105b)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벽 구조로 함으로써, 예컨대, 외측벽(105b)을 벗겨냄으로써, 각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속뚜껑(101)을 용이하게 입구부(61)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속뚜껑(101)의 입구부(61)에 대한 장착[타전(打栓)]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 본체(1)는, 전술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거품 생성 캡(50)과 마찬가지로, 통형상 측벽부(11)와, 통형상 측벽부(11)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천장벽(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통형상 측벽부(11)의 하측 부분의 내면에는, 나사산(1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118)과, 속뚜껑(101)의 걸어맞춤 돌기(113)의 외면의 나사산(115)의 나사 결합에 의해, 캡 본체(1)가 속뚜껑(101)에 고정된다.
천장벽(13)의 상면에는, 분출관(17)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이 분출관(17)을 통과하여, 그 선단으로부터 용기(60) 내의 내용액이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된다.
이 분출관(17)도 상측 부분이 경사져 있고, 그 선단부에는, 내부 뚜껑(19)이 연결부(19a)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분출관(17)의 내부의 근원 부분에는, 도 7의 캡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긴 메시(93)가 형성되고, 이것과 간격을 두고, 상부에 미세 메시(9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장벽(13)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각종 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나아가서는, 유로가 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고리형 소돌기(13a)가, 주연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액체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액류 규제 돌기(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캡 본체(1)의 천장벽(13)에는, 도 1 및 도 7의 거품 생성 캡(50)과 마찬가지로, 분출관(17)을 덮도록 외부 뚜껑(3)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 외부 뚜껑(3)은, 천장벽(13)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힌지 연결부는 3a로 표시되어 있음), 천장벽(13)의 주연부에는, 닫힌 외부 뚜껑(3)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뚜껑(3)의 내부 구조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컨대, 외부 뚜껑(3)의 내부에는, 분출관(1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 뚜껑(19)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리브(27)와, 힌지 뚜껑(19)을 외부 뚜껑(3)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하기 위한 돌출편(2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뚜껑(3)은, 힌지 연결부(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되어 개폐되는 것인데, 이 외부 뚜껑(3)을 선회시켜 닫으면, 이 선회 시에, 상기 돌출편(29) 및 리브(27)가 힌지 뚜껑(19)에 닿고, 이것을 누르면서 폐전 방향으로 선회해 나간다. 이 결과, 외부 뚜껑(3)이 닫혔을 때에는, 힌지 뚜껑(19)도 닫혀 분출관(17)의 선단이 밀봉된다.
또한, 닫힌 외부 뚜껑(3)은, 천장벽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25)가, 외부 뚜껑(3)의 측벽 하단의 내면에 걸어 맞춰지고, 이에 따라, 외부 뚜껑(3)의 폐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동시에, 외부 뚜껑(3)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27)가 내부 뚜껑(19)을 확실히 압박하고 있고, 따라서, 내부 뚜껑(19)의 폐전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닫힌 외부 뚜껑(3)을 선회시켜 개방하면, 외부 뚜껑(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9)이, 내부 뚜껑(19)의 플랜지부에 접촉하고, 외부 뚜껑(3)의 선회에 따라 내부 뚜껑(19)을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외부 뚜껑(3)의 개전과 동시에, 내부 뚜껑(19)도 개전되고, 분출관(17)의 선단이 해방되어, 내용액을 분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속뚜껑(101)에 장착되는 캡 본체(1)에 있어서는, 통형상 측벽(11)의 내부에, 혼합 유로 형성용 패널(120) 및 공기실 형성용 패널(122)이 삽입 고정된다.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는, 실질상 평평한 원판 형상을 갖고 있고, 천장벽(13)의 하측[공기실 형성 부재(122)의 위]에 배치되는 것이고, 그 단부 근방에는, 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혼합 유로 형성용 패널(120)의 상면에는, 전술한 천장벽(1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소돌기(13a) 및 액류 규제 돌기(13b)가 접촉한다. 이에 따라,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의 상면과 천장벽(13)의 하면 사이에 기액 혼합 유로(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123)를 통과하여 기액 혼합 유로(35)에 유입된 액체는, 액류 규제 돌기(13b)에 의해 분출관(17)의 내부로 유도되고, 또한, 내용액의 분출 종료 후, 분출관(17)으로부터 떨어져 내려오는 액체는, 액류 규제 돌기(13b)에 의해, 개구(123) 내로 신속히 유도된다.
공기실 형성 부재(122)는, 상부면 기판(122a)과 그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 벽(122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 벽(122b)은, 그 외경이 캡 본체(1)의 통형상 측벽(11)의 내경에 상당하는 것이고, 통형상 측벽(11)의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통형상 벽(122b)의 상부는, 상부면 기판(122a)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고, 고리형 소돌기(13a)와 통형상 측벽(11) 사이의 공간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속뚜껑(101)에 캡 본체(1)가 장착되었을 때, 이 공기실 형성 부재(122)는, 속뚜껑(101)의 상면인 구획벽(103)에 대면하고 있고, 양자 사이에는,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와 격리된 공기실(3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부면 기판(122a)의 상면에는, 편평형의 소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돌기는,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이러한 소돌기(124)를 형성함으로써,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의 하면과 상부면 기판(122a)의 상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확보되어, 양자 사이에 공기로(3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부면 기판(122a)의 주연 부분에는, 관형상 강하벽(126)과 소구멍(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형상 강하벽(126)은, 분출관(17)의 배출 방향과 직경 방향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관형상 강하벽(126)은, 그 내부가 공기로(31)가 된다. 즉,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관형상 강하벽(126)의 내부는, 공기실(30)에 연통하고 있는 동시에,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의 하면과 상부면 기판(122a)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연통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기실(30) 내에 연통하며, 또한 전술한 개구(123)를 통해 기액 혼합 유로(35)에 연통하고 있는 공기로(31)가 형성된다.
또한, 도 13의 확대도를 더불어 참조하면, 상기 소구멍(128)은, 관형상 강하벽(126)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고, 속뚜껑(101)의 스코어(110)의 인열에 의해 형성되는 액 침입 개구(39)를 통과하여 공기실(30) 내에 침입한 내용액의 출구가 되는 것이다. 즉, 상부면 기판(122a)의 상면에는, 이 소구멍(128)으로부터 액유로(3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공기실 형성 부재(122)의 소구멍(128)과,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의 개구(123)는, 약간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구멍(128)이 외측에 위치하고, 개구(123)가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구멍(128)으로부터 나와 있는 액유로(33)는, 즉시 공기로(31)와 합류하여 기액 혼합 유로(35)가 되는데, 이 합류 부분은, 잘록해진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소구멍(128)이 형성되는 상부면 기판(122a)의 주연 부분을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하고, 개구(123)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 하면을, 이 원뿔대 형상을 따른 테이퍼면으로 하고, 이 하측 유로[공기로(31)]를 테이퍼로(31a)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기로(31)를 흘러 온 공기와, 소구멍(128)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내용액의 혼합 교반을 효과적으로 행하고, 기포를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개구(123)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액체의, 공기로(31) 내에 대한 침입을 억제하여, 내용액에 의한 공기로(31)의 폐색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 및 공기실 형성 부재(122)의 통형상 측벽(11) 내로의 삽입 고정은, 예컨대, 공기실 형성 부재(122) 상에 혼합 유로 형성 부재(12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실 형성 부재(122)를 통형상 측벽(11)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물론, 이러한 삽입 고정 시에, 적절히, 걸어맞춤 수단에 의한 걸림이나 혹은 히트 시일,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고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2의 거품 생성 캡(100)은, 캡 본체(1)를 선회시켜 속뚜껑(101)으로부터 제거한 후, 속뚜껑(101)의 인장 링(111)을 잡아당겨 스코어(110)를 파단하여 액 침입 개구(39)를 형성하고, 이후, 캡 본체(1)를 속뚜껑(101)에 장착하고, 이에 따라, 도 1이나 도 7의 캡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내용액을 거품형태로 분출시킬 수 있다.
즉, 외부 뚜껑(3) 및 내부 뚜껑(19)을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분출관(17)의 선단이 하측이 되도록, 용기를 적당한 각도(θ)만큼 기울여 용기의 몸통부를 스퀴즈한다. 이에 따라, 용기 내용액은, 액 침입 개구(39)로부터 공기실(30) 내를 통과하여 소구멍(128)을 통해 액유로(33) 내에 유입된다. 한편, 공기실(30) 내에 침입한 용기 내용액(70)에 의한 액압[액면(70a)의 상승]에 의해, 공기실(30) 내의 공기는, 용기 내에 유입되지 않고, 공기로(31)를 통과하여, 액유로(33)와의 합류부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실(30) 내의 공기와 용기 내용액이 기액 혼합 유로(35)에서 합류하여 혼합되고, 기포를 포함하는 용기 내용액이, 성긴 메시(93) 및 미세 메시(95)를 통과하여,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관(17)으로부터 분출된다.
용기 내용액의 추출 종료 후에는, 용기(60)의 몸통부의 원형 복귀에 의해 용기 안이 부압이 되므로, 분출관(17)으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 공기실(30)에는, 다시 거품 생성에 필요한 공기가 수용됨과 동시에, 용기(60) 내의 헤드 스페이스(60a) 내에도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 전과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도 7 및 도 12의 어떠한 양태에 있어서도, 거품 생성을 위해 튜브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용기 내에 튜브를 삽입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그 캡핑 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매우 생산성이 높다.
본 발명의 거품 생성 캡은, 소량씩의 제공이 요구되는 식품, 음료 혹은 세정제, 화장품 등이 수용되고 거품 생성이 요구되는 유동성 내용물이 충전된 스퀴즈 용기의 캡으로서 이용된다.
1 : 캡 본체 5 : 거품 생성용 박스
11 : 통형상 측벽 13 : 천장벽
17 : 분출관 30 : 공기실
31 : 공기로 33 : 액유로
35 : 기액 혼합 유로 37 : 구획판
37a : 구획벽 60 : 스퀴즈 용기
60a : 헤드 스페이스 61 : 용기 입구부
70 : 용기 내용액

Claims (6)

  1.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거품 생성 캡으로서, 천장벽과, 상기 천장벽의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통형상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퀴즈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액의 통로가 되는 개구를 갖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천장벽의 상면에는,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 연통하여 용기 내용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관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는, 거품 생성 캡을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상기 스퀴즈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와 구획된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에서는,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를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로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공기실에 침입한 내용액을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게 하는 액유로가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로와 상기 액유로가 합류부에서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합류부로부터 상기 분출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기액 혼합 유로로 되어 있고,
    상기 스퀴즈 용기를 기울이고 또한 스퀴즈했을 때, 내용액이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면서 상기 액유로에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액이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는 것에 의한 액압에 의해,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로에 유입되고, 상기 액유로에 유입된 내용액과 상기 공기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합류부에서 서로 혼합되고, 기포를 포함하는 내용액이, 상기 분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분출관의 선단으로부터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되며,
    천장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관이 경사져 있고,
    내용액이 상기 분출관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스퀴즈 용기를 기울였을 때에,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공기로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생성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혼합 유로로부터 상기 분출관의 선단까지의 사이에, 기포 직경을 조정하기 위한 메시 부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인 거품 생성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측벽에,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걸어 맞추거나 혹은 끼워 맞추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구비한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의 외주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직립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공기실, 상기 공기로 및 상기 액유로가 형성되도록 조립된 거품 생성용 박스가, 상기 구획 부재로서 상기 통형상 측벽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인 거품 생성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가 상기 통형상 측벽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장벽의 하면과 상기 박스의 상면 사이에, 상기 분출관의 내부와 연통하는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는 것인 거품 생성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용 박스의 내부에,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는 것인 거품 생성 캡.
  6.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거품 생성 캡으로서, 천장벽과, 상기 천장벽의 주연부로부터 내려오는 통형상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퀴즈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액의 통로가 되는 개구를 갖는 구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캡 본체에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천장벽의 상면에는,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 연통하여 용기 내용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관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벽의 하측 공간에는, 거품 생성 캡을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상기 스퀴즈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와 구획된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에서는,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를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로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공기실에 침입한 내용액을 상기 분출관으로 흐르게 하는 액유로가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로와 상기 액유로가 합류부에서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합류부로부터 상기 분출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기액 혼합 유로로 되어 있고,
    상기 스퀴즈 용기를 기울이고 또한 스퀴즈했을 때, 내용액이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면서 상기 액유로에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액이 상기 공기실에 침입하는 것에 의한 액압에 의해, 상기 공기실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로에 유입되고, 상기 액유로에 유입된 내용액과 상기 공기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합류부에서 서로 혼합되고, 기포를 포함하는 내용액이, 상기 분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분출관의 선단으로부터 거품형태로 되어 분출되며,
    상기 개구를 구비한 구획벽을 상면에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되는 속뚜껑이 상기 구획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 측벽이 상기 속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속뚜껑의 구획벽에는, 개봉 링에 의한 인장에 따른 파단에 의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뚜껑의 상면인 상기 구획벽과 상기 천장벽 사이에, 상기 공기실, 상기 공기로, 상기 액유로 및 상기 기액 혼합 유로가 형성되는 것인 거품 생성 캡.
KR1020157023190A 2013-01-31 2014-01-23 거품 생성 캡 KR101974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7334 2013-01-31
JP2013017334A JP6228364B2 (ja) 2013-01-31 2013-01-31 泡出しキャップ
PCT/JP2014/051393 WO2014119465A1 (ja) 2013-01-31 2014-01-23 泡出し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830A KR20150115830A (ko) 2015-10-14
KR101974245B1 true KR101974245B1 (ko) 2019-04-30

Family

ID=5126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190A KR101974245B1 (ko) 2013-01-31 2014-01-23 거품 생성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1309B2 (ko)
EP (1) EP2952446B1 (ko)
JP (1) JP6228364B2 (ko)
KR (1) KR101974245B1 (ko)
CN (1) CN104968576B (ko)
WO (1) WO2014119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8364B2 (ja) * 2013-01-31 2017-11-0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泡出しキャップ
JP6351492B2 (ja) * 2014-11-28 2018-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ボトル
GB201619750D0 (en) * 2016-11-22 2017-01-04 Nerudia Ltd Self-cleaning nipple valve
EP3889065A4 (en) * 2018-11-29 2022-10-05 Kao Corporation EVACUATION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960A (ja) 1984-10-25 1986-05-23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気泡発生容器
DE3503763A1 (de) 1985-02-05 1986-08-07 Fritz Studer Ag, Thu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genstaenden, insbesondere von maschinenteilen aus polymerbeton sowie maschinenteile aus polymerbeton
JPH072272B2 (ja) 1989-06-20 1995-01-18 精密溶断機株式会社 定尺鋼板からの短冊状物切出し方法
JP2502508Y2 (ja) * 1989-07-12 1996-06-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沫スプレ―装置
DE59100542D1 (de) * 1990-03-24 1993-12-09 Callahan George Edgar Spender zum Verschäumen eines flüssigen Füllguts.
US5271530A (en) 1990-11-07 1993-12-21 Daiwa Can Company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JPH052585A (ja) 1991-06-24 1993-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文書タイトルの作成方法
JPH09142510A (ja) * 1995-11-21 1997-06-03 Kao Corp 泡吐出容器
JPH1035706A (ja) * 1996-07-23 1998-02-10 Seiichi Kitabayashi 補給パイプを使用しない正立使用泡放出装置
JPH1081895A (ja) 1996-09-05 1998-03-31 Lion Corp 漂白洗剤製品
US5984146A (en) * 1996-09-27 1999-11-16 Kaufman; John G. Dispenser having foamed output
JPH11124160A (ja) 1997-10-21 1999-05-11 Maruichi Valve Co Ltd 泡発生装置と泡発生方法及び泡発生装置に使用する小泡発生用シート
US6612468B2 (en) 2000-09-15 2003-09-02 Rieke Corporation Dispenser pumps
US6536685B2 (en) * 2001-03-16 2003-03-25 Unilever Home And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Foamer
JP2005075357A (ja) * 2003-08-28 2005-03-24 Toppan Printing Co Ltd スプレー容器
JP2008259932A (ja) 2007-04-10 2008-10-30 Kao Corp 泡吐出器
TWI341734B (en) * 2007-04-27 2011-05-11 Kao Corp Two-part dyeing or bleaching composition
JP5186285B2 (ja) * 2008-05-30 2013-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JP5559979B2 (ja) * 2009-04-02 2014-07-23 株式会社ダイゾー フォーム用二重チューブ
WO2011025550A1 (en) * 2009-08-31 2011-03-03 Relaj, Inc. Fluid container & support bracket therefor
AU2010330798A1 (en) * 2009-12-18 2012-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foaming product and foaming dispenser
JP6228364B2 (ja) * 2013-01-31 2017-11-0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泡出し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8364B2 (ja) 2017-11-08
US9731309B2 (en) 2017-08-15
CN104968576B (zh) 2017-07-21
US20150352572A1 (en) 2015-12-10
JP2014148327A (ja) 2014-08-21
EP2952446B1 (en) 2017-11-01
CN104968576A (zh) 2015-10-07
WO2014119465A1 (ja) 2014-08-07
EP2952446A1 (en) 2015-12-09
KR20150115830A (ko) 2015-10-14
EP2952446A4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670B2 (en) Dispensing container
KR101974245B1 (ko) 거품 생성 캡
KR101598113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2008155986A (ja) スクイズ容器
KR20170038243A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2012001242A (ja) 泡吐出容器
JP2001149827A (ja) 泡噴出器
JP6124246B2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WO2014098029A1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JP6786163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6200812B2 (ja) 泡出し複合キャップ
JP6296777B2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JP6214154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4979537B2 (ja) 泡噴出容器
JP6132385B2 (ja) ノズル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JP7114179B2 (ja) 泡吐出器
JP2011240935A (ja) 泡吐出容器
JP6873537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H0733860U (ja)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JP5313383B2 (ja) 泡噴出容器
JP2020001786A (ja) 2剤混合容器
JP2015124003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2000325839A (ja) 泡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