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960B1 -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 Google Patents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960B1
KR101972960B1 KR1020130091529A KR20130091529A KR101972960B1 KR 101972960 B1 KR101972960 B1 KR 101972960B1 KR 1020130091529 A KR1020130091529 A KR 1020130091529A KR 20130091529 A KR20130091529 A KR 20130091529A KR 101972960 B1 KR101972960 B1 KR 10197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lunger
resin
port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955A (ko
Inventor
다카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B29C45/021Plunger drives; Pressure equalizing means for a plurality of transfer plu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586Injection or transfer plu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플런저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플런저(10)의 선단부(11)에는, 플런저 축(1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14)가 설치된다. 포트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13)를 가지는 복수의 금속링(12)은, 포트에 대하여 탄발하여 끼워 넣어지도록,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중첩하여 오목부(14)에서 조립된다. 중첩된 서로의 금속링(12, 12)은, 각각의 컷아웃부(13, 13)가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된다.

Description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PLUNGER, RESIN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RESIN MOLDING}
본 발명은,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에 적용하여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5119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플런저의 선단부(헤드부)에, 포트를 구성하는 금속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재질(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링을 둘레에 설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34607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플런저의 선단부의 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360°에 걸쳐 홈이 형성되고, 첫 번째의 수지 몰드 공정에서 상기 홈의 주위에 수지를 잔존시켜 수지 링을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51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3460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플런저의 선단부에 수지제의 플런저 링 (이하, 수지 링이라고 한다.)을 둘레에 설치한 구성에서는, 그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수지 링이 파손되어, 몰드 수지가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 수지 누설이 발생하면, 포트 내면에 몰드 수지가 퇴적(부착)되어, 플런저의 슬라이딩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성형품(제품)을 구성하는 몰드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수지 링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성형품을 구성하는 몰드 수지의 전부가 수지 링에 적합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몰드 수지가 내열성이나 내마모성, 경도(硬度) 등에 있어서 장시간의 플런저 슬라이딩에 견딜 수 없는 경우, 수지 링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성형품의 몰드 수지에 의해, 플런저에 슬라이딩 불량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으면 편차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런저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과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는, 수지가 공급되는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저로서, 상기 선단부에는,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링 오목부에는,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가지는 복수의 외측 링이, 플런저 축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조립되고, 중첩된 서로의 상기 외측 링은, 각각의 상기 컷아웃부가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컷아웃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금속링이 확경되거나 축경되어(탄발성을 갖게 하여) 상기 포트의 내주(內周)면에 대한 상기 플런저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속링이, 각각의 상기 컷아웃부를 비연속이 되도록 어긋나게 하여 상기 링 오목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플런저가 수지를 가압할 때, 플런저 후단 측으로 수지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에 있어서,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링 오목부에는, 플런저 선단 측으로부터 제1 상기 외측 링과 제2 상기 외측 링이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1 외측 링과 상기 제2 외측 링은, 상기 제2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오목부에, 상기 제1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볼록부가 끼워져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수지를 가압할 때, 상기 수지가 상기 제1 외측 링의 상기 컷아웃부에 침입하는(들어가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외측 링의 개방(내압에 의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은, 중첩된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의 내측에 상기 외측 링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내측 링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내측 링을 개재하여 상기 링 오목부에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수지를 가압할 때, 상기 외측 링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측 링이 상기 외측 링을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측 링의 내측의 영역이 상기 내측 링에 의해 차지됨과 함께, 상기 외측 링과 상기 내측 링의 클리어런스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 내부 측으로의 수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가장 플런저 선단 측의 상기 외측 링(최선단 링)을 제외하는 다른 상기 외측 링에는,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둘레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최선단의 링에서 수지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포트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의 접촉 면적을 작게할 수 있다. 또, 만약, 최선단의 링에서 수지가 샌 경우에도, 다른 상기 외측 링의 상기 링 둘레 홈부를 수지 받이로서 사용하여 플런저 후단 측으로의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외측 링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외측 링이 더욱 경질이 되어 상기 플런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선단부를 구성하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에는, 로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로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은, 상기 로드부에 통과되어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로 홀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을 상기 선단부의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몰드 장치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트로부터 연통되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몰드 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 몰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몰드 방법은, 수지를 포트 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플런저의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수지를 상기 포트와 연통하는 캐비티로 압송하는 공정과, 상기 캐비티를 상기 수지로 충전하여 가열·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 몰드 방법으로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선단부에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링 오목부에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가지는 복수의 외측 링이 플런저 축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조립되고, 중첩된 서로의 상기 외측 링이 각각의 상기 컷아웃부가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포트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외측 링에 의해 상기 수지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수지를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로서, 저점도의 액상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후단부 측으로의 수지 누설을 방지하여 수지 몰드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딩성을 유지하면서, 가압하는 수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플런저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측면과 상기 포트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를 가급적 적게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측 링으로서 금속링을 사용한 경우, 수지 링으로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의 외주측면과 상기 포트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링 파손에 의한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지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포트의 내주면의 수지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를 구비한 수지 몰드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지 몰드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런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런저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금속링의 설명도이며, 도 6의 (a)가 평면도, 도 6의 (b)가 측면도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금속링의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평면도, 도 7의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플런저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몰드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몰드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몰드 금형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복수의 섹션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지만, 원칙적으로, 그들은 서로 무관계하지 않으며, 일방은 타방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형예, 상세 등의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 구성 요소의 수(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을 포함)에 대해서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나 원리적으로 명확히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정한 수 이상이어도 되고, 이하이어도 된다. 또, 구성 요소 등의 형상을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히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그 형상 등에 근사 또는 유사한 것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가 공급되는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저를, 수지 몰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몰드 장치(100) 및 수지 몰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10)를 구비한 수지 몰드 장치(100)의 주요부[몰드 금형(6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1, 도 2에서는, 플런저(10)를 측면시로 나타내고 있다.
수지 몰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공급부와 수납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스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각 프레스부에는, 캐비티(67)가 구성되는 몰드 금형(60)이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캐비티(67)까지의 수지로(樹脂路)에 용융된 수지(R)를 압송하는 플런저(10)가 설치된다. 공급부는, 로더(반송 장치)를 사용하여 피(被)성형품인 워크(W)나 예를 들면 태블릿 형상의 수지(R)를 프레스부에 공급하는 공지의 기구로 구성된다. 또, 수납부는, 프레스부로부터 언로더(반송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몰드 성형된 성형품인 워크(W)를 취출하고, 수납하는 공지의 기구로 구성된다. 또한, 수지 몰드 장치(100)로서, 공급부와 수납부를 구비하지 않고, 프레스부에 몰드 금형(60)을 구비한 메뉴얼식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수지 몰드 장치(100)는, 몰드 금형(60)을 구성하는 상형(61)(일방의 금형) 및 하형(62)(타방의 금형)과, 하형(62)에 설치되어 수지(R)가 공급되는 통 형상의 포트(63)와, 포트(63)에 슬라이딩 가능(상하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플런저(10)를 구비하고 있다. 하형(62)의 중앙부에서는 금형면에서 개구하는 포트(63)가 설치되고, 그 양측에서는 워크(W)를 세팅하는 세팅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워크(W)에는, 예를 들면, 기판이나 리드 프레임 상에 복수의 전자 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칩)이 실장된 것이 사용된다. 또, 수지(R)로서는, 태블릿 형상 이외에, 액상, 과립상, 분말상 등의 여러가지의 몰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플런저(10)는, 선단부(11)(헤드부)의 외주측면을 포트(63)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형(62)에 설치되어 있다. 하형(62)의 하방에는, 플런저(10)를 슬라이딩하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 기구는, 유압 또는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 구동 기구와 플런저(10)는, 구동 기구에 설치된 압동(押動) 로드의 상단면과 플런저(10)의 후단부가 키 걸어맞춤되어, 빠짐 방지 상태에서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는, 몰드 금형(60)에 있어서, 이미, 포트(63)에 태블릿 형상의 수지(R) 및 세팅부(64)에 워크(W)(피성형품)가 공급되어 있고, 그 후, 몰드 금형(60)이 폐쇄되어 상형(61)과 하형(62)으로 워크(W)를 클램프한 공정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형(61)에 형성된 컬(65), 러너·게이트(66), 워크(W)의 일부(예를 들면, 전자부품)를 수지 몰드하기 위한 캐비티(67)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컬(65)은, 포트(63)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포트(63)와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는, 포트(63) 내에서 플런저(1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성형 온도로 가열된 몰드 금형(60)에 의해 용융된 수지(R)를 압송하고, 포트(63)로부터 컬(65) 및 러너·게이트(66)를 통하여 캐비티(67)에 수지(R)가 충전된 공정의 상태이다. 수지(R)가 가열·경화됨으로써, 워크(W)는 성형품이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플런저(10)의 위치는, 상사점(上死點) 위치가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플런저(10)의 조립 측면도, 도 4에 플런저(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 3, 도 4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플런저(10)의 내부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 플런저(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수지 몰드 장치(100)의 주요부 단면도이기도 하다.
플런저(1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측 링」으로서 선단부(11)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의 금속링(12)(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금속링(12A), 제2 금속링(12B)으로서 설명한다.)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 축(10a)(도 3 참조)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링 오목부(14)에 복수의 금속링(12)이,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오목부(14)는, 플런저(10)의 선단부(11)의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제1 홀더(20) 및 제2 홀더(30)가 조립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금속링(12)은, 성형 온도로 가열되는 몰드 금형(60) 내에서, 포트(63)의 내주면과 접할(밀착될) 필요가 있다. 즉, 금속링(12)에는, 컷아웃부(13)의 폭을 좁힘으로써 외경이 작아지는(축경하는), 탄성 계수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 금속링(12)에는, 포트(63) 내에서 슬라이딩하여도 마모량이 적은 경질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재(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이나 스프링강) 등의 임의의 재질을 사용하여 금속링(12)을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금속링(12)을 사용함으로써, 특허문헌 1, 2에 기재와 같은 수지 링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지점이 경질이 되어, 그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파손되는 비율을 매우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금속링(12)에는, 표면 처리로서 예를 들면,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도금 처리에 의해, 금속링(1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하드 Cr막, CrN막, TiN막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플런저(10)의 슬라이딩 지점이 되는 금속링(12) 전체가 보다 경질이 되어 플런저(10)의 내구성,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속링(12)에는, 다른 표면 처리로서 예를 들면 질화 처리를 실시하여 질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 금속링(12)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링(12)은, 컷아웃부(13)에 의해 일부가 분리된 고리형이 되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다. 컷아웃부(13)가, 일방의 단면(표면 측의 링면)으로부터 타방의 단면(이면 측의 링면)으로 일직선으로 소정 폭으로 컷아웃된 형상인 경우, 예를 들면, 컷아웃된 고리형의 소재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해 감으로써 다수의 금속링(1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부(13)의 폭은, 플런저(10)의 조립 전후에 있어서는 변하지 않고, 소정의 폭(W1)으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금속링(12)의 외경은, 포트(63)의 내경보다, 예를 들면 최대 몇 퍼센트 정도 크게 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하여도, 컷아웃부(13)에 의해 금속링(12)의 외경을 축경하여(탄발성을 갖게 하여) 포트(63)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10)가 포트(63)에 수용된 상태(도 1 참조)에서는, 컷아웃부(13)의 폭은, 폭(W1)보다 좁은 폭(W2)으로 되어 있다.
플런저(10)가 포트(63)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금속링(12)은, 탄발되어 항상 외경이 확경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10)의 슬라이딩 시에 있어서도, 금속링(12)이 용이하게 확경되므로, 플런저(10)의 선단부(11)와 포트(63)의 클리어런스를 가급적 적게(작게) 할 수 있어, 플런저(10)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포트(63)와 플런저(12)의 간극에 있어서의 수지 누설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포트(63)의 내주의 먼지의 부착을 저감하여 메인터넌스 공수(工數)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금속링(12)을 열팽창에 의해 확경시킴으로써, 금속링(12)과 포트(63)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는 내측 링의 열 팽창에 의해, 금속링(12)과 포트(63)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할 수도 있다.
또,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중첩된 서로의 금속링(12)은, 각각의 컷아웃부(13)가 둘레 방향으로 엇갈림으로써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10)이 수지(R)를 가압할 때(도 2 참조), 만약, 제1 금속링(12A)의 컷아웃부(13)에 수지(R)가 침입했다고 하여도, 제2 금속링(12B)으로 정지시켜, 플런저 후단 측으로 수지(R)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2 금속링(12B)의 컷아웃부(13에) 수지(R)가 침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링 오목부(14)의 내벽면에 의해, 수지(R)의 침입을 정지할 수 있고, 플런저 후단 측으로 수지(R)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금속링(12) 중 플런저 선단 측으로부터 제1 금속링(12A), 제2 금속링(12B)의 순서로 이들이 중첩되어 링 오목부(14)에 조립되어 있다. 도 6의 (a)에 제1 금속링(12A)의 평면도, 도 6의 (b)에 제1 금속링(12A)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7의 (a)에 제2 금속링(12B)의 평면도, 도 7의 (b)에 제2 금속링(12B)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1 금속링(12A)의 하단면[제2 금속링(12B)측 단면]에는, 내주를 따라 단면 둘레 볼록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금속링(12B)의 상단면[제1 금속링(12A)측 단면]에는, 내주를 따라 단면 둘레 오목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금속링(12)[제1 금속링(12A), 제2 금속링(12B)]이,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에서는, 제1 금속링(12A)과 제2 금속링(12B)은, 단면 둘레 오목부(16)에 단면 둘레 볼록부(15)가 끼워져 있다(도 5 참조). 이것에 의하면, 플런저(10)가 수지(R)를 가압할 때, 수지(R)가 제1 금속링(12A)의 컷아웃부(13)에 침입하는(들어가는) 것에 의한 제1 금속링(12A)의 개방(내압에 의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면 둘레 오목부(16)에 단면 둘레 볼록부(15)가 끼워짐으로써, 제1 금속링(12A)과 제2 금속링(12B)은, 단차에 의해 걸어맞추어진다. 여기서, 플런저(10)의 선단부(11)가 수지(R)를 가압하면, 반작용에 의해 몰드 금형(60)의 내압이 선단부(11)에 가하여진다. 그러면, 제1 금속링(12A)의 컷아웃부(13)에 침입한 수지(R)가, 제1 금속링(12A)을 개방, 즉 확경하려고 한다.
만일, 제1 금속링(12A)이 그 컷아웃부(13)에 침입한 수지(R)에 의해 크게 개방되려고 하여도, 제1 금속링(12A)과 제2 금속링(12B)이 단차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제1 금속링(12A)이 확경하려고 하여도, 제2 금속링(12B)이 그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10)가 상사점 위치인 상태에서는, 제2 금속링(12B)의 외주측면은, 포트(63)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일, 제1 금속링(12A)이 확경하려고 하여도, 포트(63)의 내경보다 넓어지지 않는 제2 금속링(12B)에 의해,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금속링(12A)가 포트(63)로부터 돌출된 상태로부터 되돌리려고 했을 때, 예를 들면, 제1 금속링(12A)과 제2 금속링(12B)이 단차 형성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은 구성이면, 제1 금속링(12A)이 그 컷아웃부(13)에 침입한 수지(R)의 압력에 의해 제1 금속링(12A)이 확경되고, 포트(63)의 단면에서 걸려,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제1 금속링(12A)의 확경을 방지하고,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금속링(12) 중, 가장 플런저 선단 측의 최선단 링인 금속링(12)[제1 금속링(12A)]을 제외한 다른 금속링(12)[제2 금속링(12B)]은, 플런저 축(1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둘레 홈부(17)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최선단의 링[제1 금속링(12A)]에서 수지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포트(63)의 내주면에 대한 플런저(10)의 선단부(11)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만일, 최선단의 링[제1 금속링(12A)]에서 수지가 샌 경우에도 다른 금속링(12)[제2 금속링(12B)]의 링 둘레 홈부(17)를 수지 받이로서 사용하여 플런저 후단 측으로의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금속링(12)은, 선단부(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홀더(20)와 제2 홀더(30)를 조립함으로써, 링 오목부(14)를 형성하고, 당해 링 오목부(14)의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플런저(10)가 구비하고 있는 제1 홀더(20) 및 제2 홀더(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홀더(20)는, 플랜지부(21)와, 테이퍼부(22)와, 원기둥부(23)와, 로드부(24)를 가지며, 이들이 이 순서대로 일체가 되도록, 예를 들면, 합금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플랜지부(21)는, 포트(63)의 내경과 대략 동일 또는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테이퍼부(22)는, 플랜지부(21)에 연결하여 연장 돌출 측이 축경하여 형성된다. 원기둥부(23)는, 테이퍼부(22)의 축경 측에 연결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다. 로드부(24)는, 원기둥부(23)로부터 원기둥부(23)보다 가는 지름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로드부(24)에는, 그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노크 핀 구멍(25)이 형성된다.
제2 홀더(30)는, 금속링(12)을 받는 수납부(31)와, 이에 이어지는 동체부(32)(축부)를 가지며, 이들이 일체가 되도록, 예를 들면 합금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납부(31)는, 포트(63)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금속링(12)을 지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21)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동체부(32)는, 수납부(31)에 연결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고, 수납부(31)보다 축경되어 형성된다. 이 동체부(32)에는, 수납부(31)의 단면으로부터 플런저 축(10a) 방향으로 로드부(24)가 삽입되는 삽입부(33)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삽입부(33)는, 로드부(24)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로드부(24)의 전체 길이가 삽입되는 깊이로 형성된다. 또, 동체부(32)에는, 복수의 금속링(12)을 홀딩한 상태에서 제1 홀더(20)의 노크 핀 구멍(25)과 구멍 위치가 일치하고, 동체부(32)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노크 핀 구멍(34)이 형성된다.
삽입부(33)에 로드부(24)가 삽입된 상태(삽입 방향을 도 4 중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다.)에서는, 플랜지부(21)나 수납부(31)에 대하여, 테이퍼부(22), 원기둥부(23)가 가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즉, 플런저(10)의 선단부(11)에는, 플런저 축(1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14)가 형성된다. 이 링 오목부(14)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의 금속링(12)은, 로드부(24)에 통과되어 제1 홀더(20) 및 제2 홀더(30)로 홀딩되어 있다. 이처럼 복수의 금속링(12)을 로드부(24)에 통과시킴으로써, 복수의 금속링(12)을 플런저(10)의 선단부(11)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처럼, 플런저(1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서로 위치 맞춤된 노크 핀 구멍(25) 및 노크 핀 구멍(34)을 통과하도록, 노크 핀(19)이 삽입됨으로써, 제1 홀더(20)가 제2 홀더(30)에 빠짐 방지된다(도 5 참조). 또, 제1 홀더(20)와 제2 홀더(30)가 조립됨으로써, 플런저(10)의 선단부(11)의 외주를 따라 링 오목부(14)가 형성된다. 플런저(10)에는, 이 링 오목부(14)의 둘레에 설치된 금속링(12)이 시일 구조로서 설치된다.
그런데, 제1 홀더(20)와 제2 홀더(30) 사이에 형성되는 링 오목부(14)의 둘레에는, 내측 링(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링(40)은, 선단부(11)의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의 금속링(12)(외측 링이 된다.)의 내측에 끼워 넣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금속링(12)은, 내측 링(40)과 동심상(同心狀)으로, 내측 링(40)을 개재하여 링 오목부(14)에서 조립되어 있다. 또한, 내측 링(40)도 복수의 금속링(12)과 함께 로드부(24)에 통과시킴으로써, 내측 링(40)도 선단부(11)의 둘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속링(12)에는, 플런저 축(10a)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8)의 내경은, 내측 링(4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링(1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부[제1 금속링(12A), 제2 금속링(12B)]를 조합하여 내측 링(40)과 동등한 폭(두께)이 되도록, 내측 링(40)보다 가늘게(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2개의 금속링(12)을 사용할 때에는, 2개의 금속링(12)의 폭을 더한 폭이 내측 링(40)의 폭과 동등해진다.
한편, 내측 링(40)은, 금속링(1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링(40)에는,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1)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41)의 내경은, 제1 홀더(20)에 설치된 원기둥부(23)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 링(40)에는, 관통 구멍(41)의 내주 단면 측에 제1 홀더(20)의 테이퍼부(22)가 감합되는 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링(40)에는, 수지(50)의 성형 온도에 있어서 금속링(12)(외측 링)보다 열팽창 계수(또는 선팽창 계수)가 큰 탄성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링(40)에는, 성형 온도에 있어서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몰드 금형(60)의 포트(63)를 형성하는 재질에 비하여 더 큰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이나 고무(예를 들면, 합성 고무)와 같은 수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내측 링(40)을 중첩된 복수의 금속링(12)의 내측에 끼워 넣음으로써, 용융된 수지(R)를 플런저(10)로 가압할 때, 몰드 금형(60)에 의해 내측 링(40)이 가열되어 열 팽창되어, 금속링(12)을 직경 방향(바깥 둘레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용융된 수지(R)를 플런저(10)로 가압할 때, 내측 링(40)이 금속링(12)을 지지할 수 있다. 또, 금속링(12)과 포트(63)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다. 또, 플런저(10) 내부도 내측 링(40)으로 메워지게 되어, 플런저(10) 내부 측으로의 수지(R)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대표적인 것의 신규 특징 및 이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런저(10)의 선단부(11)에는, 플런저 축(1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14)가 설치된다. 링 오목부(14)에는,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13)를 가지는 복수의 금속링(외측 링)(12)이, 플런저 축(10a)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링 오목부(14)에서 조립된다. 중첩된 서로의 금속링(외측 링)(12, 12)은, 각각의 컷아웃부(13, 13)가 비연속이 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조립된다.
이것에 의하면, 금속링(외측 링)(12)을 사용하여, 플런저(10)와 포트(63)의 클리어런스를 가급적으로 적게 하고, 슬라이딩이 가능한 범위에서 매우 적은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10)의 슬라이딩성을 유지하면서, 수지(R)의 종류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유동성이 높은 투명한 LED용으로 사용되는 매우 점도가 낮고 수지 누설이 발생하기 쉬운 액상 수지에 있어서도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몰드 금형(60)의 캐비티(67)에서 워크(W)의 판재에 플립 칩이 실장된 반도체칩의 칩 아래를 충전하여 수지 봉지(封止)하는 몰드 언더필에 있어서 사용되는 점도가 낮은 수지 등이어도 플런저(10)로 가압할 수 있다. 또, 외측 링으로서 금속링(12)을 사용하는 경우, 수지 링으로 플런저(10)와 포트(63)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링 파손에 의한 수지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수지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포트(63)의 내주면의 수지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0)의 슬라이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런저(10)를 수지 몰드 장치(100)에 적용함으로써, 수지 몰드 장치(100)의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링(12)의 컷아웃부(13)는, 일방의 단면(표면 측의 링면)으로부터 타방의 단면(이면 측의 링면)으로 일직선으로 소정폭으로 컷아웃한 형상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컷아웃 형상으로 한 경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컷아웃 형상을, 표면 측을 좁고, 이면 측을 넓게 한 테이퍼 형상(도 8 참조), 단차 형상(도 10 참조), 경사 형상(도 10 참조) 등으로 한 경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테이퍼 형상의 컷아웃부(13)로 함으로써, 컷아웃부(13) 내에 수지(R)를 모아 넣어 경화시켜, 클리어런스가 적은 상태에서 안정시킬 수도 있다. 또, 역방향의 테이퍼 형상의 컷아웃부(13)로 함으로써 컷아웃부(13) 내의 수지(R)에 접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지(R)에 가하여진 압력에 따라, 금속링(12)과 포트(63)의 클리어런스를 적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컷아웃 형상을 긴 경사 형상으로 함으로써 금속링(12)이 스프링 형상(도 11 참조)이 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또한, 컷아웃 형상은 직선적이 아니라 확경용 간극을 설치한 맞물림 형상(도 12 참조)으로 한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10)의 선단 측에 설치된 제1 금속링(12A)(선단 측 링)과, 플런저(10)의 후단 측에 설치된 제2 금속링(12B)(후단 측 링)은, 단면 둘레 오목부(16)에 단면 둘레 볼록부(15)가 끼워져 중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둘레 볼록부나 단면 둘레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고 선단 측 링과 후단 측 링을 중첩한 경우이어도 된다. 또, 후단 측 링의 단면(선단 측 링과 접하는 측의 단면) 내에 설치한 복수의 오목부에, 선단 측 링의 단면(후단 측 링과 접하는 측의 단면) 내에 설치한 복수의 볼록부를 끼워넣고, 선단 측 링과 후단 측 링을 중첩한 경우이어도 된다. 이러한 볼록부 및 오목부를 설치하는 경우,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으로의 선단 측 링 또는 후단 측 링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회전 운동을 방지할 수 있어, 각각의 컷아웃부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금속링(12)의 재질을 동일한 것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금속링의 재질을 다른 것으로 한 경우이어도 된다.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면, 후단 측 링에 대하여 선단 측 링의 열팽창 계수를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된 수지를 플런저가 가압할 때, 더욱 플런저 선단 측에 있는 선단 측 링으로 포트의 내주면과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링(12)을 2개 중첩하여 2단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링을 2개 이상 중첩한 경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금속링을 3개(제1 금속링, 제2 금속링, 제3 금속링) 중첩한 경우, 제 1 금속링이 최선단 링이 된다. 또, 제 1 금속링과 제2 금속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플런저 선단 측의 제 1 금속링이 선단 측 링이 되고, 플런저 후단 측의 제2 금속링이 후단 측 링이 된다. 또, 제2 금속링과 제3 금속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플런저 선단 측의 제2 금속링이 선단 측 링이 되고, 플런저 후단 측의 제3 금속링이 후단 측 링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금속링(12A)을 제외한 다른 제2 금속링(12B)은, 플런저 축(1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둘레 홈부(17)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링의 전부에 링 둘레 홈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링(12)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링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링(40)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경우, 복수의 금속링(12)은, 내측 링(40)을 개재하여 링 오목부(14)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링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이어도 된다. 즉, 복수의 금속링은, 내측 링을 개재하지 않고 오목부에 배치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내측 링의 영역분을 메우도록, 제1 홀더부의 테이퍼부나 원기둥부의 형상을 바꾸어(직경 방향으로 두껍게 하여)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홀더(20)와 제2 홀더(30)를 조립할 때, 복수의 금속 링(12)은, 로드부(24)에 통과되어, 링 오목부(14)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조립한 후, 링 오목부에 컷아웃부로부터 끼워 넣도록 하여 복수의 금속링을 조립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몰드 장치(100)에 플런저(1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 등의 액체를 가압하여 소정 지점까지 액체를 압송하는 장치에 플런저를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21)에는, 금속링(12)의 앞쪽으로 두께가 얇은 플랜지부(21)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랜지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플랜지 둘레 홈부를 형성한 플랜지부를 설치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플런저 슬라이딩 시, 플랜지 둘레 홈부가 수지 받이가 되어, 플런저 본체 측으로의 수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링(12)의 외경은, 포트(63)의 내경보다 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링의 외경과 포트의 내경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컷아웃부(13)를 가지는 금속링(12)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 나선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또는, 컷아웃부 대신 확폭부를 설치하는 경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금속링(외측 링)의 외경을 확실하게 확대시켜 포트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금속링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넓히기 위한 확폭부로서, 금속링(1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측면 시 파형으로서 수지압으로 신장시킴으로써 금속링(12)이 확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물결의 높이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주면을 원형으로 유지하면서 수지압으로 금속링(12)을 신장시켜 포트(63)와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할 수도 있다.
또, 확폭부로서, 금속링의 소정 각도분에 대하여 플런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가늘게 함과 함께 금속링의 폭의 사이에서 구불구불한 형상이나 사행(蛇行) 형상과 같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이 확폭부가 그 양단으로부터 잡아당겨짐으로써 절곡된 부분이 일직선으로 신장되어 폭이 넓혀짐으로써 금속링의 외경을 확실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측 링으로서, 강재 등의 금속링을 사용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 또는,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1종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링(40)의 일부(43)의 외형이 외측 링(12)과 동일한 정도가 되는 플랜지 형상으로서, 포트(63)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언더 필에 사용되는 필러 직경이 작은 수지나 LED의 렌즈 성형에 사용되는 점도가 낮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수지가 새기 쉬운 조건이어도 수지 누설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트(63)가 설치되고, 포트(63)로부터 연통되는 캐비티(67)가 형성되는 몰드 금형(60)을 구비한 수지 몰드 장치(100)에, 플런저(1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몰드 금형(60)은, 성형품[워크(W)]의 종류에 맞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더 필에 사용하는 몰드 금형(60)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61)은, 캐비티(67)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티 다이(69)를 탄성체(70)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워크(W) 및 플립 칩 실장된 반도체 칩의 클램프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반도체 칩 아래의 범프 사이에 충전 가능한 필러 직경이 작은 수지(R)를 사용한 성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금형의 간극으로부터의 수지 누설의 방지용에 상형(61)의 클램프면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필름(68)을 사용하여 성형이 행하여진다. 이처럼, 릴리스 필름(68)이 필요해지는 수지가 새기 쉬운 성형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63)와 플런저(10)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하여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LED의 렌즈 성형에 사용하는 몰드 금형(60)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몰드 금형(60)과 마찬가지로, 워크(W)의 클램프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몰드 금형(60)에서는, 캐비티 다이(69)의 단면에 LED칩의 배치에 맞추어 파여진 렌즈 성형용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주위 부분에서 릴리스 필름(68)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워크(W)를 클램프 하게 된다. 릴리스 필름(68)에 의한 탄성적인 클램프에 의해 캐비티 다이(69)의 단면으로부터의 수지 누설을 방지해야하는 수지가 새기 쉬운 수지(R)에 의한 성형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63)와 플런저(10)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하여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예로서 LED의 리플렉터 성형에 사용하는 몰드 금형(60)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6에 나타내는 몰드 금형(60)과 마찬가지로, 워크(W)의 클램프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캐비티 다이(69)의 단면에는 LED칩의 배치에 맞추어 워크(W)를 클램프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다. 또, 캐비티 다이(69)의 외형에 상당하는 직사각형의 봉지 영역 내에 있어서 이 돌기부에서 릴리스 필름(68)에 의해 탄성적인 클램프를 하면서 봉지함으로써 오목부(리플렉터)가 형성된다. 릴리스 필름(68)에 의한 탄성적인 클램프에 의해 돌기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수지 누설을 방지해야 하는 성형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63)와 플런저(10)의 클리어런스를 적게 하여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수지가 공급되는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저로서,
    상기 선단부에는,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링 오목부에는,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가지는 복수의 외측 링이, 플런저 축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조립되고,
    중첩된 서로의 상기 외측 링은, 각각의 상기 컷아웃부가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은, 중첩된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의 내측에 상기 외측 링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내측 링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내측 링을 개재하여 상기 링 오목부에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2. 수지가 공급되는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는 플런저로서,
    상기 선단부에는,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링 오목부에는,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가지는 복수의 외측 링이, 플런저 축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조립되고,
    중첩된 서로의 상기 외측 링은, 각각의 상기 컷아웃부가 비연속이 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링 오목부에는, 플런저 선단 측으로부터 제1 상기 외측 링과 제2 상기 외측 링이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1 외측 링과 상기 제2 외측 링은, 상기 제2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오목부에, 상기 제1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볼록부가 끼워져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외측 링이 상기 포트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링이 상기 포트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경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플런저 선단 측의 상기 외측 링을 제외하는 다른 상기 외측 링에는, 플런저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둘레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측 링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를 구성하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에는, 로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로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외측 링은, 상기 로드부에 통과되어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홀더로 홀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런저와,
    상기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트로부터 연통되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몰드 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몰드 장치.
  7. (a) 수지를 포트 내에 공급하는 공정과,
    (b) 상기 포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플런저의 선단부에서 상기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수지를 상기 포트와 연통하는 캐비티로 압송하는 공정과,
    (c) 상기 캐비티를 상기 수지로 충전하여 가열·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지 몰드 방법으로서,
    상기 (a), (b), (c) 공정 전에, 일부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 외측 링을 상기 플런저의 선단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상기 플런저의 축의 방향으로 중첩되어 서로의 상기 컷아웃부가 비연속이 되도록, 상기 제2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오목부에 상기 제1 외측 링의 내주를 따른 단면 둘레 볼록부를 끼워,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서 상기 플런저의 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된 링 오목부에 상기 제1 외측 링 및 상기 제2 외측 링을 조립해 두고,
    상기 (b)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외측 링을 상기 포트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수지를 가압하고, 상기 포트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기 제2 외측 링에 의해 상기 수지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포트 내에서 상기 제2 외측 링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몰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로서, 저점도의 액상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몰드 방법.
  9. 삭제
KR1020130091529A 2012-10-31 2013-08-01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KR101972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0098 2012-10-31
JP2012240098A JP6078873B2 (ja) 2012-10-31 2012-10-31 プランジャ、樹脂モールド装置および樹脂モール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55A KR20140055955A (ko) 2014-05-09
KR101972960B1 true KR101972960B1 (ko) 2019-04-26

Family

ID=5066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529A KR101972960B1 (ko) 2012-10-31 2013-08-01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78873B2 (ko)
KR (1) KR101972960B1 (ko)
CN (1) CN103786319B (ko)
TW (1) TWI579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533B1 (en) * 2017-03-16 2018-09-24 Besi Netherlands Bv Plunger for feeding encapsulating material to a mould cavity
KR102545290B1 (ko) 2018-08-29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몰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119A (ja) * 2005-07-05 2007-01-25 Apic Yamada Corp 樹脂モール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661A (en) * 1978-04-07 1979-10-15 Hitachi Ltd Transfer molding of thermosetting resin
JPS6056520A (ja) * 1983-09-07 1985-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ランスフア−モ−ルド装置
JPS6158955U (ko) * 1984-09-21 1986-04-21
JPH06190859A (ja) * 1992-12-25 1994-07-12 Nec Kansai Ltd 樹脂モールド装置
JP3296619B2 (ja) * 1993-02-26 2002-07-02 トーワ株式会社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H07137082A (ja) * 1993-11-16 1995-05-30 Towa Kk 樹脂成形用金型
JP4425538B2 (ja) 2002-10-11 2010-03-03 新日本無線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
NL1026000C2 (nl) * 2004-04-22 2005-10-25 Fico Bv Plunjer, omhul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dichten van een aansluiting van een plunjer op een plunjerbehuiz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119A (ja) * 2005-07-05 2007-01-25 Apic Yamada Corp 樹脂モール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7998A (ja) 2014-05-15
JP6078873B2 (ja) 2017-02-15
TWI579130B (zh) 2017-04-21
CN103786319A (zh) 2014-05-14
CN103786319B (zh) 2017-06-23
TW201416213A (zh) 2014-05-01
KR2014005595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4742B1 (en) In-mold molded product coating mold and in-mold molded product coating forming method
TWI593538B (zh) 樹脂成型模具與樹脂成型裝置
KR101972960B1 (ko) 플런저, 수지 몰드 장치 및 수지 몰드 방법
US7396227B2 (en) Hot runner sprue
WO2015159743A1 (ja) 樹脂モールド金型および樹脂モールド方法
US20190232539A1 (en) Method for producing roller member, roller-member mold, roller shaft, and roller member
KR20160106614A (ko) 수지 몰드 금형 및 수지 몰드 방법
JP6470599B2 (ja) 成形金型
JP5981536B2 (ja) コンタクトまたは眼内レンズを製造する鋳型および方法
JP5055326B2 (ja) 樹脂封止型及び樹脂封止方法
JP6749286B2 (ja) モールド金型及び樹脂モールド方法
EP2090417B1 (en) Seal ring
JP6111459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KR20160132977A (ko) 의료 기능 디바이스를 위한 예압된 밸브 및 의료 기능 디바이스
JP2018099795A (ja) コアを備えた積層成形用金型
JP6564227B2 (ja) 樹脂成形金型、樹脂成形装置および樹脂成形方法
JP6028465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JP2009023260A (ja) 樹脂モールド金型
JP4853626B2 (ja) ホットランナースプルー
WO2024111242A1 (ja) インサート部材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2187159A (ja) 樹脂成形装置のプランジャ
WO2017188067A1 (ja) スライド駒の駆動機構
US20210308920A1 (en) Ultrasonic Device For A Polymer Injector Apparatus
JP2018094773A (ja) プランジャおよび成形金型
KR20110005548A (ko) 전자부품 제조용 몰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