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31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31B1
KR101969731B1 KR1020177025154A KR20177025154A KR101969731B1 KR 101969731 B1 KR101969731 B1 KR 101969731B1 KR 1020177025154 A KR1020177025154 A KR 1020177025154A KR 20177025154 A KR20177025154 A KR 20177025154A KR 101969731 B1 KR101969731 B1 KR 10196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nozzle
unit
ultraviolet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088A (ko
Inventor
토시나리 야오카
요이치 무라세
히로아키 아메모리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05B12/008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integrated in or attached to a discharge apparatus, e.g. a spray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노즐에 이르는 관로를 갖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에 안내하는 도수부와, 도수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도수부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버큠 브레이커와, 도수부의 경로 상에 있어서 버큠 브레이커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물을 흘리는 유로와,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갖는 자외선 조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양식 좌식 변기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물로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의 세정수로서 사용되는 수돗물에서는 병이나 부패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균(미생물)을 염소에 의해 사멸 또는 불활성화시킴으로써, 균을 줄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염소의 혼입만으로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균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설치하여 세정수에 포함되는 균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신체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로부터의 물의 역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유로에 버큠 브레이커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버큠 브레이커를 갖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보다 안전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공고 평 05-004499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안전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노즐에 이르는 관로를 갖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노즐에 안내하는 도수부와,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수부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상기 관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있어서 상기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물을 흘리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갖는 자외선 조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버큠 브레이커가 도입한 공기에 균이 포함되어 있다해도 버큠 브레이커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자외선 조사부에 의해, 물에 포함되는 균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설치된 유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복수의 토수구를 갖고, 상기 유로 스위칭부는 상기 관로에 연통시킨 상태와, 상기 관로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상기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스위칭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유로 스위칭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유로 스위칭부보다 상류측에 자외선 조사부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토수구의 어느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이어도 균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자외선 조사부로 복수의 토수구에 대응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자외선에 대한 상기 반사부의 반사율은 상기 본체부의 반사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유로 내에 있어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유로 내면에서의 광의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의 세부까지 광을 널리 퍼지게 해서 물에 포함되는 균을 효율 좋게 줄일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직관상이며, 상기 발광부는 발광소자이며, 상기 발광소자의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상기 유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자외선이 물에 닿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균을 줄일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수은등이며, 상기 유로는 상기 수은등의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자외선이 물에 닿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중,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는 서양식 좌식 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변기」라고 칭한다)(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덮개(300)를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덮개(300)는 케이싱(40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앉은 것을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를 조작하면,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노즐」이라고 칭한다)(473)을 변기(800)의 볼(801) 내에 진출시킬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볼(801) 내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 만만 아니라, 가열된 온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소프트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비데 세정」과 「엉덩이 세정」과 「소프트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설치 위치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데 세정 토수구(474a)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2개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에 안내한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밸브(431), 열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의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수부(20)의 상류측에는 전자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밸브(431)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전자밸브(431)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밸브(431)를 개방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에 흐른다.
전자밸브(431)의 하류에는 조압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압밸브(432)는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 관로(20a) 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범위로 조정한다. 조압밸브(432)의 하류에는 체크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밸브(433)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 저하했을 경우 등에 체크밸브(433)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체크밸브(433)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440)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갖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며, 저탕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 열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의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시킨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카리수이어도 좋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버큠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흘리기 위한 유로와,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갖는다. 밸브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막아 물의 흐름의 정지와 함께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즉, 버큠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밸브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의 부분의 배수를 촉진시킨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배수를 촉진한다. 이렇게, 버큠 브레이커(452)는 노즐(473) 내의 물을 빼서 노즐(473)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볼(801) 내에 고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버큠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 장치(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 장치(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부여하고,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나 노즐 세정실(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부여한다. 즉, 압력 변조 장치(454)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 장치(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 장치(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 장치(454)의 하류에는 자외선 조사부(460)가 설치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부(460)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부(460)는 예를 들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에 포함되는 균의 적어도 일부를 사멸 또는 불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460)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에 포함되는 살아 있는 균을 줄인다. 자외선 조사부(460)는 예를 들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세정수를 제균한다. 자외선 조사부(460)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부(460)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자외선의 조사를 행한다.
자외선 조사부(460)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실(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 해서 설치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볼(801) 내에 진출하거나 후퇴하거나 한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킨다.
노즐 세정실(478)은 그 내부에 설치된 토수부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분무 노즐(479)은 세정수나 기능수를 미스트상으로 해서 볼(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트상의 액체를 볼(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소프트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 및 소프트 세정 유로(22)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 안내한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 안내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실(478)의 토수부로 안내한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로 안내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을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소프트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와,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렇게, 유로 스위칭부(472)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회로(40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밸브(431)나, 열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 장치(454)나, 자외선 조사부(460)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모터(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체 검지 센서(40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형성부(409)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변좌(200)에 근접한 사용자(인체)를 검지한다. 또한 변기덮개(300)의 후방부에는 투과창(310)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기덮개(30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403)는 투과창(310)을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에 응답해서 변기덮개(300)를 자동적으로 연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분사해서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 등의 각종 기구가 적당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당하게 설치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그 밖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460)는 유로(461)와, 발광소자(462)(발광부)를 갖는다. 유로(461)는 예를 들면, 압력 변조 장치(454)로부터 보내진 물을 내부에 흘려 유량 조정부(471)로 보낸다. 발광소자(462)는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발광소자(462)가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예를 들면, 200nm 이상 400n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250nm이다. 이에 따라 유로(461)를 흐르는 물에 포함되는 균을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발광소자(462)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발광소자(462)는 LE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LD(Laser Diode)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어도 좋다.
유로(461)는 직관상이다. 유로(461)의 일단에는 개구(461a)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461)의 타단에는 개구(461b)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461)는 개구(461a)와 개구(461b) 사이에 물을 흘린다. 개구(461a)는 예를 들면, 압력 변조 장치(454)에 접속된다. 개구(461b)는 예를 들면, 유량 조정부(471)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압력 변조 장치(454)를 나온 물이 개구(461a)로부터 유로(461) 내에 들어가고, 개구(461b)를 통해 유량 조정부(471)에 흐른다. 즉, 유로(461)는 관로(20a)의 일부를 형성한다. 유로(461)에 있어서, 물은 개구(461a)로부터 개구(461b)를 향해서 흐른다. 이것과는 반대로, 개구(461b)로부터 개구(461a)를 향해서 물이 흘러도 좋다.
개구(461b)는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한다. 한편, 개구(461a)는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다. 즉, 이 예에 있어서, 유로(461)는 대략 L자상의 관로이다. 유로(46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또한 유로(461)의 개구(461a)가 형성된 일단에는 개구(461c)가 더 형성되어 있다. 개구(461c)는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한다. 개구(461c)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오목부(461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61d)에는 자외선 조사창(463)이 끼워 넣어진다. 자외선 조사창(463)의 형상은 오목부(461d)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자외선 조사창(463)은 발광소자(462)가 조사하는 자외선에 대해서 투과성이다. 자외선 조사창(463)은 유로(461)의 외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을 유로(461)의 내부에 입사시킨다. 자외선 조사창(463)에는 예를 들면, 석영유리 등의 무기 유리가 사용된다.
이렇게, 이 예에서는 발광소자(462)가 유로(46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발광소자(462)가 수지나 금속 등의 패키지로 밀봉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광소자(462)의 적어도 일부를 유로(461) 내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창(463)은 발광소자(462)의 패키지에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발광소자(462)(발광부)는 자외선 조사창(463)을 가져도 좋다.
오목부(461d)에는 오목부(461e)가 더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61e)는 개구(461c)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환상이다. 오목부(461e)에는 패킹(464)이 끼워 넣어진다. 패킹(464)에는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패킹(464)은 오목부(461e)에 들어가서 유로(461)와 자외선 조사창(463)에 끼워지고 약간 탄성 변형되어 유로(461)와 자외선 조사창(463)의 사이에 비어 있는 간극을 막는다. 이에 따라 패킹(464)은 자외선 조사창(463)으로부터의 누수를 억제한다.
또한 유로(461)의 일단에는 덮개부(465)가 부착된다. 덮개부(465)는 유로(461)의 일단에 부착되어 유로(461)와 함께 자외선 조사창(463) 및 패킹(464)을 끼운다. 이에 따라 덮개부(465)는 자외선 조사창(463) 및 패킹(464)을 유지한다. 덮개부(465)에는 자외선 조사창(463)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465a)가 형성되어 있다.
발광소자(462)는 기판(466)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466)은 유로(461)과 반대측으로부터 덮개부(465)에 부착된다. 발광소자(462)는 기판(466)이 덮개부(465)에 부착된 상태에서 덮개부(465)의 개구(465a)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462)가 자외선 조사창(463)과 대향하고, 발광소자(462)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자외선 조사창(463)을 통해 유로(461) 내에 입사한다. 발광소자(462)는 예를 들면, 기판(466)을 통해 제어부(405)에 접속되고, 제어부(40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를 행한다. 발광소자(462)의 점등 및 소등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발광소자(462)는 직관상의 유로(461)의 일단에 부착된다. 따라서,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462)의 광축은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다.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의 조사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461)를 흐르는 물에 대해서 자외선을 조사 가능한 임의의 방향이면 좋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을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게 한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462)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방향이 적어도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성분을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이 물에 닿는 시간이 길어져서 물에 포함되는 균을 보다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직관상의 유로(461)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로(461)의 형상은 물이 흐르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유로(461)의 적어도 일부에 직관상의 부분을 설치하고, 이 직관상의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이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의 조사 방향과 같아지도록 해도 좋다.
유로(461)는 본체부(467)와, 반사부(468)를 갖는다. 반사부(468)는 본체부(467)의 내측에 설치된다. 반사부(468)는 유로(46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반사부(468)는 발광소자(462)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반사성이다. 발광소자(462)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반사부(468)의 반사율은 본체부(467)의 반사율보다 높다. 본체부(467)에는 예를 들면, 수지재료가 사용된다. 반사부(468)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은 등의 금속재료가 사용된다. 반사부(468)의 재료는 금속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전체 다층막 등이어도 좋다. 반사부(468)의 재료는 발광소자(462)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반사성이며, 또한 본체부(467)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임의의 재료이면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좌 검지 센서(404)가 사용자를 검지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노즐(473)은 케이싱(400)에 수납되어 있다(타이밍 t0∼t1).
인체 검지 센서(403)가 화장실에 입실한 사용자를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전자밸브(431)를 개방함과 아울러, 분무 노즐(479)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으로써, 상수를 볼(801)의 표면에 분무한다(타이밍 t1). 상수가 분무되는 시간은 예를 들면, 약 4초간 정도이다(타이밍 t1∼t2). 이렇게,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볼(801)의 표면을 적심으로써 볼(801)의 표면에 부착되는 오물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어부(40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부(500)로부터 인체 세정의 지시가 입력되면, 전자밸브(431)를 개방함과 아울러,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한다(타이밍 t3). 이에 따라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수납한 상태에서 급수원(10)으로부터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 이르는 경로를 세정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이 타이밍에서 열교환기 유닛(440)을 동작시킴으로써, 온수의 생성을 개시함과 아울러, 자외선 조사부(460)의 발광소자(462)를 점등시켜 유로(461)에 흐르는 물에 대한 자외선의 조사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유로(461)에 흐르는 물에 포함되는 균을 줄여서 안전한 세정수를 노즐(473)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소정 시간 세정을 행한 후, 노즐 세정실(478)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과 아울러, 노즐 모터(476)를 구동함으로써, 노즐(473)의 동체 세정을 행하면서 노즐(473)을 볼(801) 내에 진출시킨다(타이밍 t4).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볼 내에 진출시킨 후,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중 어느 한쪽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으로써, 인체 세정을 개시한다(타이밍 t5).
제어부(405)는 조작부(500)로부터 인체 세정의 정지가 지시되면, 노즐 세정실(478)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과 아울러, 노즐 모터(476)를 구동함으로써, 노즐(473)의 동체 세정을 행하면서 노즐(473)을 케이싱(400) 내에 수납한다(타이밍 t6).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수납을 완료시킨 후,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경로를 세정한다(타이밍 t7).
제어부(405)는 소정 시간 세정을 행한 후, 전자밸브(431)를 폐쇄함과 아울러, 열교환기 유닛(440) 및 자외선 조사부(46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타이밍 t8).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의 해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의 각각을 관로(20a)와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으로써, 노즐(473) 내에 고인 물의 배수 동작을 행한다(타이밍 t9). 이 때, 버큠 브레이커(452) 내의 물이 줄어들면, 버큠 브레이커(452)의 흡기구가 개방되어 관로(20a) 내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의 부분의 배수가 촉진된다.
제어부(405)는 소정 시간 배수를 행한 후,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하여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의 각각과 관로(20a)의 연통을 폐쇄한다(타이밍 t10).
제어부(405)는 배수 동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더 경과한 후, 전자밸브(431)를 개방함과 아울러,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한다(타이밍 t11). 또한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을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수납한 상태에서, 급수원(10)으로부터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 이르는 경로를 기능수로 세정한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전해조 유닛(450)과 노즐(473) 사이의 경로를 기능수로 제균한다.
제어부(405)는 소정 시간 세정을 행한 후, 노즐 세정실(478)만을 도수부(20)의 관로(20a)에 연통시키도록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함과 아울러, 노즐 모터(476)를 구동함으로써, 노즐(473)을 진퇴시켜서 노즐(473)의 동체를 기능수로 세정한다(타이밍 t11∼t12). 예를 들면, 노즐(473)의 동체를 기능수로 제균한다.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동체를 세정한 후, 전해조 유닛(450)과 노즐(473) 사이의 경로를 다시 기능수로 세정하고, 전자밸브(431)를 폐쇄함과 아울러 전해조 유닛(4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타이밍 t13∼t14).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제균을 행한 후, 다시 배수 동작을 행한다(타이밍 t15). 이 때,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를 구동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킨다(타이밍 t16∼t17).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버큠 브레이커(452)와 각 토수구(474a,474b) 사이의 고저차가 커져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의 부분의 배수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버큠 브레이커(452)와 노즐(473) 사이에 자외선 조사부(460)를 배치했으므로, 버큠 브레이커(452)가 도입한 공기에 균이 포함되어 있다해도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자외선 조사부(460)에 의해 물에 포함되는 균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유로 스위칭부(472)보다 상류측에 자외선 조사부(46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토수구(474a,474b)의 어느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로도 균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자외선 조사부(460)로 복수의 토수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보다 하류의 부분에 자외선 조사부(460)를 배치하려고 하면, 노즐(473) 내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자외선 조사부(460)의 배치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유로 스위칭부(472)보다 상류측에 자외선 조사부(460)를 배치함으로써, 자외선 조사부(460)를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부(460)의 배치에 따른 노즐(473)의 대형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자외선 조사부(460)의 유로(461)에 반사부(46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유로(461) 내에 있어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유로(461)의 내면에서의 광의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461)의 세부까지 광을 널리 퍼지게 하여 물에 포함되는 균을 효율 좋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발광소자(462)의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유로(46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하고 있으므로, 자외선이 물에 닿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균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변조 장치(454)와 유량 조정부(471) 사이에 자외선 조사부(460)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조사부(4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큠 브레이커(452)와 압력 변조 장치(454)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자외선 조사부(460)를 배치하는 위치는 버큠 브레이커(452)와 노즐(473) 사이의 임의의 위치이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 버큠 브레이커(452)를 설치하고 있다. 버큠 브레이커(452)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수부(20)의 경로 상의 임의의 위치이면 좋다. 단, 버큠 브레이커(452)는 되도록이면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0) 내로의 오수의 침입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인체 세정의 종료 후,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경로의 세정을 개시하는 타이밍 t7에 있어서, 열교환기 유닛(4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의 에너지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t8에 있어서 열교환기 유닛(440)의 동작을 정지시켰을 경우,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상류측의 도수부(20)에 고이는 물이 온수가 된다. 이 때문에, 버큠 브레이커(452)로부터 관로(20a) 내에 도입된 공기에 균이 포함되어 있었을 경우에, 관로(20a) 내에 있어서 균이 번식하기 쉬워져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이에 대해서 타이밍 t7로 열교환기 유닛(440)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상류측의 도수부(20)에 고이는 물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냉수가 된다. 이에 따라 관로(20a) 내에 균이 들어간 경우에도,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열교환기 유닛(440)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은 조작부(500)로부터 인체 세정의 정지가 지시된 타이밍 t6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타이밍 t8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부(46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지만, 자외선 조사부(46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밍 t6이어도 좋고, 타이밍 t7이어도 좋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600)는 유로(601)와, 냉음극관(602)(발광부)을 갖는다. 유로(601)는 내부에 물을 흘린다. 냉음극관(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602)은 유로(601)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냉음극관(602)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냉음극관(602)이 연장되는 일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다. 냉음극관(602)은 예를 들면, 원기둥상의 직관이다. 냉음극관(602)은 유로(601) 내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유로(601)는 냉음극관(60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즉, 유로(601)는 냉음극관(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을 흘린다.
유로(601)는 냉음극관(6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601a)를 갖는다. 냉음극관(602)은 본체부(601a)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유로(601)의 일단에는 개구(601b)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601)의 타단에는 개구(60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601b,601c)는 본체부(601a)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다. 즉, 이 예에 있어서, 유로(601)는 단면 대략 U자상의 관로이다. 유로(60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냉음극관(60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유로(601)에는 예를 들면, 금속재료 등의 냉음극관(60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반사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601)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 본체부(467) 및 반사부(468)와 같이, 반사성의 부분과, 수지재료 등을 사용한 반사성이 낮은 부분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지재료를 사용한 기재에 도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자외선에 대한 반사성을 갖게 해도 좋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610)는 유로(611)와, 냉음극관(612)과, 자외선 조사창(613)을 갖는다. 냉음극관(612)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직관상이다. 유로(6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611a)와, 한쌍의 개구(611b,611c)를 갖는 단면 대략 U자상의 관로이다. 또한 유로(611)의 본체부(611a)에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개구(611d)가 형성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창(613)은 유로(611)의 개구(611d)를 막는다. 자외선 조사창(613)은 냉음극관(61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투과성이다. 냉음극관(612)은 자외선 조사창(613)을 사이에 두고 유로(611)의 본체부(611a)와 대향한다. 이에 따라 냉음극관(612)은 자외선 조사창(613)을 통해 유로(611)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렇게, 냉음극관(612)은 유로(611)의 외측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창(613)으로 유로(611)의 개구(611d)를 막고, 자외선 조사창(613)을 통해 자외선을 유로(611) 내에 입사시킨다. 예를 들면, 냉음극관(612)의 유리관으로 개구(611d)를 막고, 유리관을 자외선 조사창으로 해서 자외선을 유로(611) 내에 입사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유로(611) 자체를 석영유리 등의 자외선에 대해서 투과성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유로(611)의 일부를 조사창으로 해서 사용해도 좋다.
자외선 조사부(610)는 반사재(614)를 더 갖는다. 반사재(614)는 냉음극관(612)을 사이에 두고 자외선 조사창(613)과 대향한다. 반사재(614)는 냉음극관(61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해서 반사성이다. 반사재(614)는 냉음극관(612)으로부터 유로(611)와 반대측을 향해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서 유로(611)측을 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냉음극관(61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사재(614)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생략 가능하다.
이렇게, 유로에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는 발광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냉음극관 등의 수은등이어도 좋다. 수은등이란 예를 들면, 고압 수은등이나 저압 수은등 등이다. 고압 수은등이란 예를 들면,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다. 저압 수은등이란 예를 들면,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이다. 발광부에 수은등을 사용할 경우, 수은등은 유로 내에 삽입통과해도 좋고, 자외선 조사창을 통해 유로 내에 자외선을 조사해도 좋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은등을 사용할 경우, 유로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유로를 흐르는 물로 자외선이 닿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은등으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을 유로를 흐르는 물에 효율 좋게 입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은등을 발광부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균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와 변기(800)가 일체로 된 일체형의 변기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위생 세정 장치는 예를 들면, 변기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소위 시트형의 변좌 장치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하게 설계변경을 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안전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10: 급수원
20: 도수부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소프트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300: 변기 덮개
310: 투과창
400: 케이싱
401: 전원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07: 배기구
408: 배출구
409: 오목형성부
431: 전자밸브
432: 조압밸브
433: 체크밸브
440: 열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
452: 버큠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 장치
460: 자외선 조사부
461: 유로
462: 발광소자
463: 자외선 조사창
464: 패킹
465: 덮개부
466: 기판
467: 본체부
468: 반사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
474a: 비데 세정 토수구
474b: 세정 토수구
476: 노즐 모터
478: 노즐 세정실
479: 분무 노즐
500: 조작부
600: 자외선 조사부
601: 유로
602: 냉음극관
610: 자외선 조사부
611: 유로
612: 냉음극관
613: 자외선 조사창
614: 반사재
800: 변기
801:볼

Claims (6)

  1.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노즐에 이르는 관로를 갖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노즐에 안내하는 도수부와,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수부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상기 관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있어서 상기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물을 흘리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갖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체 세정의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노즐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유로에 물을 흘리는 전세정 모드와, 상기 전세정 모드의 후이고, 상기 노즐을 진출한 상태에서 상기 유로에 물을 흘려서 인체 국부에 물을 토출하는 인체 세정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상기 전세정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세정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부의 경로 상에 설치된 유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복수의 토수구를 갖고,
    상기 유로 스위칭부는 상기 관로에 연통시킨 상태와, 상기 관로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상기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스위칭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버큠 브레이커와 상기 유로 스위칭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갖고,
    상기 자외선에 대한 상기 반사부의 반사율은 상기 본체부의 반사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직관상이며,
    상기 발광부는 발광소자이며,
    상기 발광소자의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상기 유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수은등이며,
    상기 유로는 상기 수은등의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77025154A 2015-03-27 2016-02-02 위생 세정 장치 KR101969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6630A JP6558021B2 (ja) 2015-03-27 2015-03-27 衛生洗浄装置
JPJP-P-2015-066630 2015-03-27
PCT/JP2016/053049 WO2016157992A1 (ja) 2015-03-27 2016-02-02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088A KR20170116088A (ko) 2017-10-18
KR101969731B1 true KR101969731B1 (ko) 2019-04-17

Family

ID=5700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54A KR101969731B1 (ko) 2015-03-27 2016-02-02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1922B2 (ko)
JP (1) JP6558021B2 (ko)
KR (1) KR101969731B1 (ko)
CN (1) CN107360722A (ko)
WO (1) WO2016157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0173A (zh) * 2017-01-17 2017-06-13 浙江星星便洁宝有限公司 智能马桶uvc杀菌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64630B1 (ko) 2017-09-11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JP7013764B2 (ja) * 2017-09-21 2022-02-0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003524B2 (ja) * 2017-09-21 2022-01-2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07975120A (zh) * 2017-12-28 2018-05-01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坐便器用智能加热杀菌装置
CN107938791A (zh) * 2017-12-28 2018-04-20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坐便器用多功能智能加热杀菌装置
JP6626930B1 (ja) * 2018-07-04 2019-12-25 オルガノ株式会社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JP2020084569A (ja) * 2018-11-26 2020-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洗浄便座装置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675A (ja) * 1998-09-21 2000-04-04 Toto Ltd 局部洗浄装置
JP2001259622A (ja) * 2000-03-16 2001-09-25 Toto Ltd 水の浄化装置
JP2007031983A (ja) * 2005-07-25 2007-02-08 Inax Corp 吐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9A (ja) 1990-09-17 1993-01-14 Hanamoto Kensetsu Kk 写真を用いたパネル板の製造方法
JP2009118918A (ja) * 2007-11-12 2009-06-04 Yukio Hirose 流動体の滅菌装置
KR20090084036A (ko) * 2008-01-31 2009-08-05 주식회사 케이원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비데기
JP2010084334A (ja) *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EP2463448B1 (en) * 2009-08-06 2020-09-09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US8978172B2 (en) * 2009-11-17 2015-03-17 Kohler Co. Plumbing fixture having modular control housing
EP2556813B1 (en) * 2010-04-08 2018-06-13 Curaco,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eating excre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720878B2 (ja) * 2010-12-06 2015-05-2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20130152295A1 (en) * 2011-12-15 2013-06-20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Adjustable water jet device
US10028766B2 (en) * 2014-02-18 2018-07-24 Tohoku University Jet stream generating device and jet stream generating method
JP6489759B2 (ja) * 2014-04-18 2019-03-27 株式会社Lixil 水洗式大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675A (ja) * 1998-09-21 2000-04-04 Toto Ltd 局部洗浄装置
JP2001259622A (ja) * 2000-03-16 2001-09-25 Toto Ltd 水の浄化装置
JP2007031983A (ja) * 2005-07-25 2007-02-08 Inax Corp 吐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58021B2 (ja) 2019-08-14
JP2016186176A (ja) 2016-10-27
WO2016157992A1 (ja) 2016-10-06
US20180002912A1 (en) 2018-01-04
KR20170116088A (ko) 2017-10-18
US10501922B2 (en) 2019-12-10
CN107360722A (zh)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731B1 (ko) 위생 세정 장치
TWI755124B (zh) 衛生洗淨裝置
KR102445046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578622B2 (ja) 衛生洗浄装置
JP6399355B2 (ja) 紫外線照射装置及び吐水装置
JP2018009301A (ja) 衛生洗浄装置
JP6670459B2 (ja) 衛生洗浄装置
JP6668925B2 (ja) 衛生洗浄装置
JP7003524B2 (ja) 衛生洗浄装置
JP6668924B2 (ja) 衛生洗浄装置
JP6764128B2 (ja) 衛生洗浄装置
TWI753249B (zh) 便座洗淨裝置
JP7124463B2 (ja) 衛生洗浄装置
TWI741282B (zh) 便座洗淨裝置
JP7118360B2 (ja) 衛生洗浄装置
JP6750191B2 (ja) 衛生洗浄装置
JP2021085313A (ja) 衛生洗浄装置
JP2021085311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