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046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046B1
KR102445046B1 KR1020200149830A KR20200149830A KR102445046B1 KR 102445046 B1 KR102445046 B1 KR 102445046B1 KR 1020200149830 A KR1020200149830 A KR 1020200149830A KR 20200149830 A KR20200149830 A KR 20200149830A KR 102445046 B1 KR102445046 B1 KR 10244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unit
local cleaning
d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886A (ko
Inventor
토시나리 야오카
카즈마 바바
사토루 마츠모토
케이스케 타시로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과제)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해 노즐 수납부의 청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변기의 내부에 진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 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 및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상기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국부 세정 노즐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국부 세정 노즐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제균수(살균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자외광)을 조사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3-83141호 공보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분사된 제균수는 국부 세정 노즐이 수납되는 노즐 수납부로 확장된다. 분사된 제균수는 시간 경과와 아울러 제균 성분의 농도가 저하한다. 제균 효과가 저하한 제균수가 잔류한 개소는 수분의 영향에 의해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에 제균수가 잔류한 경우, 이들의 개소에도 제균광을 조사하여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균광은 기본적으로 직진하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 내의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것은 곤란하다. 노즐 수납부 내의 광범위하게 제균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광원이나 반사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케이싱이 대형되하거나, 비용이 증가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해 노즐 수납부의 청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기의 내부에 진출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 및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균수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세정, 제균할 수 있다. 즉, 제균수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내부의 광범위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는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잔류한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해서 제균한다. 즉, 조광부는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광원이나 반사재 등을 다수 설치하지 않아도, 제균수와 제균광을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이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해 노즐 수납부의 청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국부 세정 노즐이 케이싱 내에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국부 세정 노즐이 케이싱 내로부터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의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측을 확대해서 국부 세정 노즐의 내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도 7(c)는 제균수에 의해 제균되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 도 8(b)는 노즐 수납부에 잔류하는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와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 도 9(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노즐 수납부의 노즐 뚜껑에 잔류하는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와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 도 10(b)는 제 2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를 국부 세정 노즐의 상방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a)∼도 11(c)는 제 3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는 좌우 방향의 반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설치한 설명도이다.
도 12(a), 도 12(b)는 제 4 변형예에 의한 국부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실 장치는 의자 대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변기」라고 한다)(800)와, 변기(8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기 시트(200)와, 변기 뚜껑(300)을 갖는다. 변기 시트(200)와 변기 뚜껑(300)은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의 변기 시트(200)에의 착석을 검지하는 착석 검지 센서(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석 검지 센서(404)가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 상, 단지 「노즐」이라고 한다)(473)을 변기(800)의 내부(보울(801)내)에 진출시키거나, 보울(801)내로부터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보울(801)내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고,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외통(473a)과, 외통(473a)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내통(473b)을 갖고 있다. 즉, 노즐(473)은 외통(473a)과 내통(473b)이 전후 방향으로 진후퇴하는 2단 노즐로 되어 있다. 노즐(473)의 내통(473b)의 선단부에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부터 물을 분사하고, 변기 시트(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하고,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끓인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의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도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부드러운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비데 세정」과, 「엉덩이 세정」과, 「부드러운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도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져 있지만,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설치 위치는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데 세정 토수구(474a)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도 노즐(473)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2개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합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로 안내한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 밸브(431), 열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의 각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수부(20)의 상류측에는 전자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1)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고,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1)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 밸브(431)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에 흐른다.
전자 밸브(431)의 하류에는 조압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압 밸브(432)는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 관로(20a) 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 범위로 조정한다. 조압 밸브(432)의 하류에는 역지 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3)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 저하한 경우 등에, 역지 밸브(433)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 밸브(433)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갖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는 저탕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의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으로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의 열교환기이어도 된다. 또한, 가열부는 열교환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서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로 설정된 온도에 물을 승온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본 발명의 제균수 생성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제균수(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된다. 또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된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이어도 된다. 전해조 유닛(450)은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및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에 제균수(기능수)를 공급한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배큐엄 브레이커vacuum breaker)(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흘리기 위한 유로와,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다. 밸브 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폐쇄하고, 물의 흐름의 정지와 아울러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즉,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밸브 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배큐엄 브레이커(452)보다도 하류 부분의 드레인을 촉진시킨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드레인을 촉진한다. 이와 같이,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노즐(473) 내의 물을 빼서 노즐(473)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고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배큐엄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부여하고,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부여한다. 즉,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에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해도 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변기(800)의 보울(801) 내에 진출하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노즐(473)을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이다.
노즐 세정부(478)는 토수부(478a)로부터 제균수(기능수)를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내통(473b)의 외주면(동체)을 세정 및 제균한다. 또한, 노즐 세정부(478)는 토수부(478a)로부터 물를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내통(473b)의 외주표면(동체)을 세정해도 된다. 또한,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473)의 외통(473a)의 외주면을 세정 및 제균해도 된다. 분무 노즐(479)은 물이나 기능수를 미스트 형상으로 해서 보울(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트 형상의 액체를 보울(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부드러운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 및 부드러운 세정 유로(22)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 안내한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 안내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로 안내한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로 안내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부드러운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와 같이, 유로 스위칭부(472)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등의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석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431)나, 열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부(454)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모터(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석 검지 센서(404)의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조광부(600)를 제어한다. 조광부(600)는 노즐(473)의 주변(후술의 노즐 수납부(480) 등)에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한다. 조광부(6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체 검지 센서(40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 형성부(409)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변기 시트(200)로 다가온 사용자(인체)를 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인체 검지 센서(403)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근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한다. 또한, 변기 뚜껑(300)의 후방부에는 투과 창(310)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기 뚜껑(300)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403)는 투과 창(310)을 통해서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에 응답하여 변기 뚜껑(300)을 자동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향해서 온풍을 블로잉해서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등의 각종의 기구가 적당히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당히 설치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그 밖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국부 세정 노즐이 케이싱 내에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국부 세정 노즐이 케이싱 내로부터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의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측을 확대해서 국부 세정 노즐의 내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도 7(c)는 제균수에 의해 제균되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7(a)에서는 노즐 뚜껑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c)는 노즐 뚜껑의 내면측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a), 도 8(b)는 노즐 수납부에 잔류하는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와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8(a)에서는 노즐 뚜껑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b)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토수부(478a)의 선단측을 생략하고 있다.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480)를 갖는다. 즉, 노즐 수납부(480)는 케이싱(400)의 내부 중 노즐(473)이 수납되는 부분이다.
노즐 수납부(480)는 케이싱(400)의 저면을 구성하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중 노즐(47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부(481)와,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482)를 개폐 가능한 노즐 뚜껑(483)을 갖는다. 또한, 노즐 뚜껑(483)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노즐 수납부(480)는 상방이 케이스 커버(400b)에 의해 덮여 있다. 노즐 수납부(480)에는 노즐(473)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484)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수납부(480)는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와, 후술의 조광부(600)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에 의해 제균된다.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에 공급되는(흐르는) 것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세정 및 제균한다. 도 7 중에 나타내는 격자 형상의 해칭과 같이, 제균수 범위(S1)는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에 더해서, 노즐 수납부(480)의 저부(481)나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 등의 넓은 범위가 되어 있다.
저부(481)는 변기(800)의 보울(801) 내를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균수는 저부(481)의 전단(481a)으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흘러내린다. 이 경우, 제균수는 예를 들면, 노즐 수납부(480)의 재질, 형상 및 제균수의 표면 장력 등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에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저부(481)의 전단(481a)측은 표면 장력에 의해 제균수가 변기(800)의 내부에 낙하하지 않고 잔류되기 쉽다. 노즐 수납부(480)에 잔류된 제균수는 시간 경과와 아울러 농도 쇠퇴가 진행된다. 따라서, 제균수가 잔류된 잔수 발생부에서는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이 경우, 잔수 발생부는 예를 들면, 제균수가 흐르는 범위(유로)를 특정하고, 소정 기간에 걸쳐 방치했을 때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수납부(480)의 저부(481)의 전단(481a)측을 제균수가 잔류되기 쉬운 잔수 발생부(S2)로 하고 있다. 도 8에서는 저부(481)의 전단(481a)측의 전체를 잔수 발생부(S2)로 하고 있지만, 저부(481)의 전단(481a)측의 일부를 잔수 발생부(S2)로 해도 된다. 이 잔수 발생부(S2)에는 후술의 조광부(600)로부터 제균광이 조사된다.
노즐 지지부(484)는 노즐(473)의 하방에 있어서 노즐(473)을 지지한다. 노즐 지지부(48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노즐(473)은 노즐 지지부(484)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진출 및 후퇴한다. 노즐 수납부(480)에는 예를 들면, 노즐(473)을 수납하는 통형상의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 지지부(484)의 전단에 부착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세정부(478)는 제균수나 물을 토수하는 토수 구멍이 형성된 토수부(478a)와, 그 지지체(478b)를 포함한다.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는 개구(48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482)는 케이싱(400)의 전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노즐 세정부(478)는 개구(482)의 후방에 위치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노즐(473)이 진퇴할 때에, 토수부(478a)로부터 제균수나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노즐 뚜껑(483)은 노즐(473)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뚜껑(483)은 케이싱(400)의 케이스 커버(400b)에 축지지되고, 케이스 커버(400b)의 전면 중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48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 뚜껑(48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이 진출된 상태에서는 개구(482)를 여는 개방 상태이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의 전체가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개구(482)를 닫는 폐쇄 상태이다. 예를 들면, 노즐 뚜껑(483)이 폐쇄 상태일 때, 개구(482)는 노즐 뚜껑(483)에 의해 닫혀 있다.
노즐 뚜껑(483)은 내면(483a)과 외면(483b)을 갖는다. 내면(483a)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노즐(473)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외면(483b)은 내면(483a)과는 반대측(변기(800)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내면(483a)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후방측에 위치하는 면이고, 외면(483b)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노즐(473)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473b)이 외통(473a)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되어 있다. 노즐(473)에 의해 국부 세정이 행해지는 경우, 노즐 수납부(480)에 대하여 노즐(473)이 전측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노즐(473)이 전측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노즐(473)이 노즐 세정부(478)에 접촉하고,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 및 노즐 뚜껑(483)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토수부(478a)로부터의 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내통(473b)이 외통(473a)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내통(473b)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이 토출되어 세정이 행해진다. 국부 세정이 완료되면, 노즐(473)은 노즐 수납부(480)을 향해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될 때까지의 사이에, 토수부(478a)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 및 제균된다. 이 경우, 토수부(478a)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저부(481)나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에 접촉되고, 변기(800)의 내부(보울(801) 내)에 흘러 내린다. 따라서,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도 제균한다.
조광부(600)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케이싱(4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저부(48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조광부(600)는 노즐 지지부(484)의 하방에서 좌우 방향의 1측(좌측)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의 타측(오른쪽)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고 있다. 또한, 조광부(600)는 우측에 설치되어서 좌측에 제균광을 조사해도 된다.
여기서, 제 1 로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면(473c)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노즐(473)이 전면(473c)이 상단(473d)으로부터 하단(473e)을 향하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그 일부가 전면(473c)의 하단(473e)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A-A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로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면(473c)의 중심(O)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그 일부가 전면(473c)의 중심(O)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B-B)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으로,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면(473c)의 하단(473e)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그 일부가 전면(473c)의 하단(473e)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길어지는 가상선(C-C)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제 3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조광부(600)를 잔수 발생부(S2)와 가깝게 설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광부(600)는 잔수 발생부(예를 들면, 잔수 발생부(S2))로의 조사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잔수 발생부(S2)에서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제 3 모든 조건을 충족시킨 위치에 조광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흐르는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S2)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제균광의 조사에 의해, 잔수 발생부(S2)에 부착된 균의 적어도 일부가 사멸 또는 불활성화해서 제균된다. 이 경우,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제균광의 지향 방향을 잔수 발생부(S2)를 향한다. 이 지향 방향은 제균광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광부(600)는 도 8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S3)를 갖는 제균광의 최대 강도가 되는 광축(L1)을 잔수 발생부(S2)를 향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잔수 발생부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강도가 가장 큰 광축(L1)은 예를 들면, 제균광의 조사 폭의 중심(지향각의 중심축)이다. 또한, 조광부(600)의 전방에 렌즈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강도가 가장 큰 광축이 복수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광축 중 적어도 1개의 광축이 잔수 발생부(S2)를 향하고 있으면 된다.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620)(발광체)를 갖는다. 발광 소자(620)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발광 소자(620)는 LE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LD(Laser Diode)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이도 된다. 발광 소자(620)는 예를 들면,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이어도 된다. 발광 소자(620)에 의해 방사되는 제균광의 파장은 예를 들면, 250nm∼480nm이다.
발광 소자(620)는 기판을 통해서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05)의 제어에 기초해서 점등 및 소등한다. 제어부(405)는 발광 소자(62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함으로써 조광부(6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발광 소자(620)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발광 소자(620)의 방사 강도를 제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고, 다음에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한 노즐(473) 및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변기 시트(2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조작부(500)(리모컨)를 조작하면, 노즐(473)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이 토출됨으로써 국부 세정이 행해진다. 국부 세정이 완료되면, 노즐(473)은 노즐 수납부(480)를 향해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될 때까지의 사이에, 토수부(478a)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가 노즐(473)에 공급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면이 세정 및 제균된다. 또한, 노즐(473)이 후퇴된 후에는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제균수 및 물이 토출됨으로써, 비데 세정 토수구(474a)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를 세정, 제균한다(셀프 클리닝). 이 경우,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흐르고, 개구(482)로부터 변기(800)의 내부(보울(801) 내)에 흘러내린다. 따라서, 제균수는 노즐(473)에 더해서, 노즐 수납부(480)의 내면, 저부(481) 및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도 제균한다. 즉, 도 7 중의 제균수 범위(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균수는 노즐(473) 및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의 넓은 범위를 제균할 수 있다.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는 그 대부분이 개구(482)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내에 흘러 내린다. 그러나, 도 8 중의 잔수 발생부(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균수의 표면 장력 등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저부(481)의 전단(481a)측에서는 제균수가 잔류하기 쉽다. 잔수 발생부(S2)에서는 시간 경과와 함께 농도 쇠퇴가 진행된다. 그렇다면, 잔수 발생부(S2)에서는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광부(600)는 잔수 발생부(S2)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조광부(600)는 소정의 조사 범위(S3)를 가진 제균광을 잔수 발생부(S2)에 조사한다. 조광부(600)는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가장 큰 광축(L1)(최대 지향 방향)을 잔수 발생부(S2)를 향해서 조사한다. 강도가 가장 큰 광축(L1)은 예를 들면 제균광의 조사폭의 중심(지향각의 중심축)이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600)는 잔수 발생부(S2)에 강도가 높은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잔수 발생부(S2)로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600)는 최대 지향 방향을 잔수 발생부(S2)를 향하지 않고 있어도 되고, 제균광의 일부가 잔수 발생부(S2)를 조사하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의 넓은 범위를 제균할 수 있다. 한편, 제균광은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S2)에 조사된다. 즉, 제균광은 제균수에 의해 제균되는 범위보다 좁은 범위를 제균한다. 환언하면, 제균광은 제균수의 잔수가 원인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한다. 따라서, 조광부(600)나 반사재 등을 다수 설치하지 않아도, 제균수와 제균광을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노즐(473)과 노즐 수납부(480)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점 수를 가급적으로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400)이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600)는 노즐 수납부(480)의 개구(482)의 측방에 위치하고, 개구(482)를 가로지르도록 제균광을 조사하고 있다. 따라서, 조광부(6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잔수에 효율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9(a), 도 9(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노즐 수납부의 노즐 뚜껑에 잔류하는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와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b)는 노즐 뚜껑의 내면측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잔수 발생부(S2)를 노즐 수납부(480)의 저부(481)의 전단측으로서, 이 잔수 발생부(S2)에 제균광을 조사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조광부(600)는 다른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조사해도 된다. 예를 들면,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 세정부(478)에 제균광을 조사해도 된다. 잔수 발생부는 노즐 수납부(480) 및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 부품의 재질, 형상 및 제균수의 유량 등에 의해, 실험, 시뮬레이션을 행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의 하단측을 잔수 발생부(S4)(도 9 중의 격자 형상의 해칭)로해도 된다. 도 9에서는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의 하단측의 전체를 잔수 발생부(S4)로 하고 있지만, 노즐 뚜껑(483)의 내면(483a)의 하단측의 일부를 잔수 발생부로 해도 된다.
그리고, 조광부(600)는 잔수 발생부(S4)를 향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S5)를 갖는 제균광을 조사함으로써, 잔수 발생부(S4)에서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조광부(600)는 제균광의 최대 지향 방향을 잔수 발생부(S4)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제균광의 조사 범위 내로 복수의 잔수 발생부(예를 들면, 잔수 발생부(S2)와 잔수 발생부(S4))를 넣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이 큰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의 최대 지향 방향을 향하여 다른 잔수 발생부를 제균광의 조사 범위 내에 넣는 것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제 2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를 노즐의 상방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광부(600)를 노즐 수납부(480)의 좌측방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의 상방에 조광부(650)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광부(650)는 케이스 커버(400b)에 설치할 수 있다. 조광부(65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면(473c)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광부(65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면(473c)의 하단(473e)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효율적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도 11(a), 도 11(b)는 제 3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란 좌우 방향의 반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설치한 설명도이다. 도 11(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1(b)에서는 노즐 뚜껑을 생략하고 있다. 도 11(c)는 노즐 뚜껑의 내면측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광부(600)로부터 잔수 발생부(S2)를 향해서 직접 제균광을 조사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a)∼도 11(c)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는 조광부(600)와는 좌우 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우측(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700)를 가져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1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에 의한 제균광의 조사 범위(S6)를 넓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잔수 발생부로의 제균광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사재(700)는 예를 들면,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반사재(700)의 표면(조광부(600)에 대향하는 면)은 경면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재(700)는 반사율이 높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불소계의 화합물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이사용된다. 반사재(700)의 모두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반사재(700)의 일부만이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 형성되는 반사재(700)는 반사율이 1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율이 50%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반사율이 80% 이상의 반사재(700)를 사용함으로써,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조광부(600)는 제균광을 반사재(700)에 반사시켜서 잔수 발생부(S2)에 조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잔수 발생부(S2)에 2중으로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제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잔수 발생부(S2) 중 조광부(600)로부터 벗어난 위치는 제균광의 강도가 약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11의 (b)의 광축(L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재(700)에 의해 조광부(60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2중으로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조광부(600)가 직접 조사할 수 없는 것 같은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제균하여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a), 도 12(b)는 제 4 변형예에 의한 국부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노즐(473)이 2단으로 신축하는 2단 노즐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와 같이, 1개의 노즐이 변기(800)의 내부로 진출, 후퇴하는 노즐(485)이어도 된다. 이 경우, 노즐(485)이 케이싱(400) 내로 후퇴된 상태에서, 노즐(485)의 선단측에는 통형상의 노즐 세정부(486)가 배치된다. 노즐 세정부(486)는 노즐(485)의 외주면을 향해서 제균수 및 물을 토출하는 토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의 것이 생각된다.
제 1 형태는 변기 내부에 진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 및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를 향하여 제균광을 조사한다.
제 1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세정, 제균할 수 있다. 즉, 제균수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광범위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는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잔류한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해서 제균한다. 즉, 조광부는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광원이나 반사재 등을 다수 설치하지 않아도, 제균수와 제균광을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이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토수구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한다.
제 2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는 국부 세정 노즐의 비데 세정 토수구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를 제균해서 노즐 수납부에 흐른다. 한편, 조광부는 국부 세정 노즐로부터 노즐 수납부에 흐른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제 3 형태는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토출하는 토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토수부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한다.
제 3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는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동체)을 제균해서 노즐 수납부에 흐른다. 한편, 조광부는 국부 세정 노즐로부터 노즐 수납부로 흐른 제균수의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균수와 제균광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제 4 형태는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부의 전단측을 포함하고 있다.
제 4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의 잔수가 발생하기 쉬운 노즐 수납부의 저부의 전단측에 제균광을 조사하고, 노즐 수납부 내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형태는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 가능한 노즐 뚜껑을 갖고,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뚜껑의 내면의 하단측을 포함하고 있다.
제 5 형태에 의하면, 제균수의 잔수가 발생하기 쉬운 노즐 뚜껑의 내면의 하단측에 제균광을 조사하여 노즐 수납부 내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형태는 제 1∼제 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6 형태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의 장해가 되고 그늘이 되는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잔수 발생부가 제 2, 제 3 형태인 경우에는 잔수 발생부와 가깝게 조광부가 설치되므로,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잔수 발생부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형태는 제 1∼제 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중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7 형태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의 장해가 되고 그늘이 되는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잔수 발생부가 제 2, 제 3 형태인 경우에는 잔수 발생부와 가깝게 조광부가 설치되므로, 잔수 발생부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잔수 발생부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8 형태는 제 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8 형태에 의하면,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의 조사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잔수 발생부를 조사 범위 내에 효과적으로 넣을 수 있다. 또한, 조광부가 케이싱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케이싱이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9 형태는 제 1∼제 8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제 9 형태에 의하면, 조광부는 노즐 수납부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효율적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제 10 형태는 제 9 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상기 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갖고, 상기 조광부는 제균광을 상기 반사재에 반사시켜서 잔수 발생부에 조사한다.
제 10 형태에 의하면, 잔수 발생부에 2중으로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제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광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조광부가 직접 조사할 수 없도록 잔수 발생부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제균하여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더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될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20 도수부, 20a 관로,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부드러운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기 시트, 300 변기 뚜껑, 310 투과 창, 400 케이싱, 400a 케이스 플레이트, 400b 케이스 커버, 401 전원 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석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07 배기구, 408 배출구, 409 오목 형성부, 431 전자 밸브, 432 조압밸브, 433 역지 밸브, 440 열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제균수생성부), 452 배큐엄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국부 세정 노즐), 473a 외통, 473b 내통, 473c 전면, 473d 상단, 473e 하단, 474a 비데 세정 토수구, 474b 엉덩이 세정 토수구, 476 노즐 모터, 478노즐 세정부, 478a 토수부, 478b 지지체, 479 분무 노즐, 480 노즐 수납부, 481 저부, 481a 전단, 482 개구, 483 노즐 뚜껑, 483a 내면, 483b 외면, 484 노즐 지지부, 485 노즐, 486 노즐 세정부, 500 조작부, 600 조광부, 620 발광 소자, 650 조광부, 700 반사재, 800 변기, 801 보울, L1, L2 광축, S1 제균수 범위, S2, S4 잔수 발생부, S3, S5, S6 조사 범위

Claims (19)

  1. 변기의 내부에 진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 및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토수구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토출하는 토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토수부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부의 전단측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 가능한 노즐 뚜껑을 갖고,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뚜껑의 내면의 하단측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중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상기 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갖고,
    상기 조광부는 제균광을 상기 반사재에 반사시켜서 잔수 발생부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변기의 내부에 진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 및 상기 노즐 수납부에 공급되는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제균수가 잔류하는 잔수 발생부를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균광은 상기 제균수가 흐르는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토수구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토출하는 토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균수 생성부는 상기 토수부를 향해서 상기 제균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부의 전단측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 가능한 노즐 뚜껑을 갖고,
    상기 잔수 발생부는 상기 노즐 뚜껑의 내면의 하단측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중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면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의 타측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상기 타측에 제균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재를 갖고,
    상기 조광부는 제균광을 상기 반사재에 반사시켜서 잔수 발생부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200149830A 2019-11-29 2020-11-11 위생 세정 장치 KR102445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7489 2019-11-29
JP2019217489A JP7398048B2 (ja) 2019-11-29 2019-11-29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86A KR20210067886A (ko) 2021-06-08
KR102445046B1 true KR102445046B1 (ko) 2022-09-20

Family

ID=7604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830A KR102445046B1 (ko) 2019-11-29 2020-11-11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6453B2 (ko)
JP (1) JP7398048B2 (ko)
KR (1) KR102445046B1 (ko)
CN (1) CN112878450B (ko)
TW (1) TWI7685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23031550A (ja) * 2021-08-25 2023-03-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189849A (ja) * 2009-02-16 2010-09-0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422A (ja) * 1998-09-09 2000-03-28 Toto Ltd 局部洗浄装置
JP2008038475A (ja) 2006-08-07 2008-02-21 Toshiba Corp 局部洗浄装置
JP2010084335A (ja)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US8065755B2 (en) 2009-04-24 2011-11-29 David Ch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JP5093762B2 (ja) 2010-07-28 2012-12-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101320585B1 (ko) * 2011-10-10 2013-10-2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노즐어셈블리의 위생 상태 개선을 위한 온수세정기
KR101320586B1 (ko) 2011-10-12 2013-10-2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CN103088891B (zh) * 2011-11-07 2016-01-20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喷嘴清洁方法和温水便座装置
JP6318370B2 (ja) * 2013-09-10 2018-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369609B1 (ja) 2017-07-25 2018-08-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19196644A (ja) * 2018-05-10 2019-11-14 株式会社Lixil 局部洗浄装置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US10907334B2 (en) * 2018-06-01 2021-02-0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CN209285423U (zh) 2018-09-20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uv杀菌组件的洗碗机
CN209236088U (zh) * 2018-11-16 2019-08-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排水泵及洗碗机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189849A (ja) * 2009-02-16 2010-09-0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4211A1 (en) 2021-06-03
JP7398048B2 (ja) 2023-12-14
JP2021085309A (ja) 2021-06-03
KR20210067886A (ko) 2021-06-08
TW202128069A (zh) 2021-08-01
CN112878450A (zh) 2021-06-01
US11976453B2 (en) 2024-05-07
TWI768523B (zh) 2022-06-21
CN112878450B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045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558021B2 (ja) 衛生洗浄装置
CN110552407A (zh) 卫生洗净装置
KR102445046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578622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8009301A (ja) 衛生洗浄装置
JP7003524B2 (ja) 衛生洗浄装置
JP7124463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193396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668925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213489B1 (ko) 위생 세정 장치
JP2019210658A (ja) 衛生洗浄装置
JP2022180742A (ja) 衛生洗浄装置
JP7118360B2 (ja) 衛生洗浄装置
JP676412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6186175A (ja) 衛生洗浄装置
JP2017197992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