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96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96B1
KR102193396B1 KR1020190054746A KR20190054746A KR102193396B1 KR 102193396 B1 KR102193396 B1 KR 102193396B1 KR 1020190054746 A KR1020190054746 A KR 1020190054746A KR 20190054746 A KR20190054746 A KR 20190054746A KR 102193396 B1 KR102193396 B1 KR 10219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light
cleaning
d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685A (ko
Inventor
토시나리 야오카
미노루 사토
케이스케 타시로
사토루 마츠모토
쇼고 칸다
요 모로토미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6Peroxide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과제) 노즐 덮개를 열었을 때에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토출하는 토수 구멍을 갖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 및 후퇴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조광부는 적어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국부 세정 노즐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국부 세정 노즐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국부 세정 노즐에 대하여 세정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제균 작용을 갖는 UV광을 조사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3-8314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의 오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UV광을 국부 세정 노즐의 상방으로부터 조사하여, 국부 세정 노즐뿐만 아니라 그 주변부에도 조사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부 세정 노즐은 경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국부 세정 노즐의 상방으로부터 UV광을 조사해도 국부 세정 노즐의 상부가 그늘이 져서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이나 국부 세정 노즐의 하방에 위치하는 노즐 수납부에 UV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노즐 수납부의 오염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노즐 수납부의 오염에는 대변이나 소변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 오염과, 노즐 수납부에 국부 세정이나 노즐의 셀프 클리닝 등에 의해 부착된 물에 토일렛 공간 중에 부유하는 균이나 곰팡이가 부착하여 증식함으로써 발생한 가시 오염이 존재한다. 이 노즐 수납부는 위생 세정 장치를 청소할 때 등에 사용자가 노즐 덮개를 열었을 경우나, 노즐 청소 시에 노즐을 진출시켰을 경우에 노즐 덮개가 열려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즐 수납부에 균이나 곰팡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면, 국부 세정 노즐 자체가 깨끗했다고 해도 그 국부 세정 노즐의 청결성에 대해서 사용자가 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청결 의식이 높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국부 세정 노즐을 사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노즐 덮개가 열렸을 때에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토출하는 토수 구멍을 갖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 및 후퇴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적어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조광부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과,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들 영역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시인 가능 영역이며, 제균광의 조사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 및 노즐 수납부 내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 영역에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국부 세정 노즐이 청결하며, 또한 그것이 수납되는 노즐 수납부도 청결하다고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결 의식이 높은 사용자에 있어서도 국부 세정 노즐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평균 조도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평균 조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 및 노즐 수납부의 시인 가능 영역에 중점적으로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청결성이 높게 요구되는 시인 가능 영역에 오염이 보다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 대해서는 최근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형화가 요망되어 있다.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평균 조도를 노즐 수납부의 시인 가능 영역보다 작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제균광의 조사가 억제되어, 조광부에 인가하는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전력이 작아지면, 조광부의 발열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의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 싱크 등을 작게 할 수 있어 조광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생 세정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수납부의 시인 가능 영역에 중점적으로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청결성이 높게 요구되는 시인 가능 영역에 오염이 보다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 대해서는 최근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형화가 요망되어 있다.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평균 조도를 노즐 수납부의 시인 가능 영역보다 작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제균광의 조사가 억제되어 조광부에 인가하는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전력이 작아지면, 조광부의 발열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의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 싱크 등을 작게 할 수 있어 조광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생 세정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 덮개로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 수납부 내를 열고,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 수납부 내를 닫도록 설치된 상기 노즐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덮개에 있어서의 상기 노즐 수납부측에 위치하는 이면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덮개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의 상기 이면에 대하여 상기 제균광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덮개의 이면에 제균광이 직접 조사되기 때문에 노즐 덮개의 이면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덮개의 이면은 국부 세정 노즐 및 노즐 수납부의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면한다. 이 이면을 반사재로 형성함으로써 이면에서 반사된 제균광이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를 소형화해도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가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덮개의 이면에 직접 조사되는 제균광의 조사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 덮개의 이면에서 반사된 제균광을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제6 발명은 제4 또는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균광에는 상기 노즐 덮개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과, 상기 노즐 덮개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직접광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상기 저면부의 전단 부분에 대하여 상기 직접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본 발명자들은 노즐 수납부 내의 잔여수가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전단 부분에 발생하기 쉬운 것, 그 전단 부분이 가장 오염되기 쉬운 것을 발견했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가장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전단 부분에 제균력이 강한 직접광을 조사할 수 있어 전단 부분에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기 전단 부분에 대하여 상기 직접광과 상기 반사광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가장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저면부의 전단 부분에 직접광과 반사광 양쪽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시인 가능 영역의 잔여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에 대해서도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제4~제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은 반사광이 확산되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덮개의 이면이 평면상일 경우에 비해 이면에서 반사한 제균광을 보다 확산시켜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9 발명은 제4~제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부에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면으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노즐 세정 구멍을 갖는 노즐 세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세정부는 상기 제균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세정부를 투과한 제균광(L)이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세정부 사이의 간극이나, 조광부에 대하여 그늘에 위치하는 시인 가능 영역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제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부는 투과 시에 상기 제균광이 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세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광의 확산 작용을 갖는 노즐 세정부를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보다 전방에 배치한 것에 의해, 노즐 세정부의 광의 확산 작용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닿게 할 수 있다.
제11 발명은 제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조광부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노즐 세정부를 움직임으로써 노즐 세정부에 의한 광의 확산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2 발명은 제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를 여는 일 없이 상기 노즐 세정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 덮개가 열리지 않도록 노즐 세정부를 움직인다. 조광부의 작동 중에 노즐 덮개를 열지 않음으로써 제균광이 케이싱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즐 덮개를 열었을 때에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수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조광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제균광의 파장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일렛 장치는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변기」라고 칭함)(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를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는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의 변좌(200)로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콘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노즐」이라고 칭함)(473)을 변기(800)의 보울(801) 내에 진출시키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보울(801) 내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세정수)을 토출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데운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부드러운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비데 세정」과, 「엉덩이 세정」과, 「부드러운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설치 위치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데 세정 토수구(474a)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2개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에 이끈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 밸브(431), 열 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수부(20)의 상류측에는 전자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1)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1)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 밸브(431)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로 흐른다.
전자 밸브(431)의 하류에는 조압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압 밸브(432)는 급수압이 높을 경우에 관로(20a) 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 범위로 조정한다. 조압 밸브(432)의 하류에는 역지 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3)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등에 역지 밸브(433)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 밸브(433)의 하류에는 열 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가지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다시 말해, 열 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열 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 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의 열 교환기는 저탕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의 열 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 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의 열 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 교환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열 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서 열 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한다.
열 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 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다시 말해,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 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이어도 좋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진공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흘리기 위한 유로와, 유로 내에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다. 밸브 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막고, 물의 흐름의 정지와 함께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 내로 공기를 받아들인다. 다시 말해, 진공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 내에 공기를 받아들인다. 밸브 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진공 브레이커(452)는 상기와 같이 관로(20a) 내에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진공 브레이커(452)보다 하류 부분의 물 빠짐을 촉진시킨다. 진공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물 빠짐을 촉진한다. 이와 같이 진공 브레이커(452)는 노즐(473) 내의 물을 빼서 노즐(473) 내에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모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진공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부여하고,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부여한다. 다시 말해,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안을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 내에 진출하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이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토수부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면(동체)을 세정한다. 노즐(473)의 외면은, 예를 들면 노즐(473)의 앞면 및 노즐(473)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분무 노즐(479)은 세정수나 기능수를 미스트상으로 해서 보울(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미스트상의 액체를 보울(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부드러운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 및 부드러운 세정 유로(22)는 도수부(20)를 개재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 이끈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도수부(20)를 개재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비데 세정 토수구(474a)에 이끈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개재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 이끈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개재하여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에 이끈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부드러운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와 같이, 유로 스위칭부(472)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 각각에 대하여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 유량 센서(442), 조작부(500) 등으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 밸브(431)나 열 교환기 유닛(440), 전해조 유닛(450), 압력 변조부(454), 유량 조정부(471), 유로 스위칭부(472), 노즐 모터(476)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의 검지 정보에 의거하여 조광부(700)를 제어한다. 조광부(700)는 노즐(473)의 주변(후술하는 노즐 수납부)에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한다. 조광부(7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체 검지 센서(40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 형성부(409)에 메워 넣어지도록 설치되며, 변좌(200)에 접근한 사용자(인체)를 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인체 검지 센서(403)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근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한다. 또한, 변기 덮개(300)의 후방부에는 투과 창(310)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기 덮개(30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403)는 투과 창(310)을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에 응답하여 변기 덮개(300)를 자동적으로 연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세차게 불어서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 등의 각종 기구가 적당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당히 설치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그 밖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3(a), 도 3(b), 도 6,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수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노즐(473) 이외의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도 3(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480)를 갖는다. 노즐 수납부(480)는 노즐(473)을 수납하기 위한 부재이며, 노즐(473)의 전체가 수납된 상태로 노즐(473)에 인접한다. 이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로서 노즐 지지부(482) 및 노즐 세정부(478)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지지부(482)는 노즐(473)의 하방에 있어서 노즐(473)을 지지한다. 노즐 지지부(482)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노즐(473)은 노즐 지지부(482)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진출 및 후퇴한다. 노즐 수납부(480)에는, 예를 들면 노즐(473)을 수납하는 통형상의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 지지부(482)의 전단에 부착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세정부(478)는 세정수를 토수하는 토수 구멍이 형성된 토수부(478a)와, 그 지지체(478b)를 포함한다. 케이싱(400)의 전단의 하부에는 도 3(a)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481)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세정부(478)는 개구(481)의 후방에 위치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노즐(473)이 진퇴할 때에 토수부(478a)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셀프 클리닝).
노즐(473) 및 노즐 세정부(478)의 전방에는 노즐 덮개(600)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덮개(600)는 개구(48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 덮개(600)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이 진출한 상태에서는 개구(481)를 여는 열림 상태이며,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의 전체가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개구(481)를 닫는 닫힘 상태이다. 예를 들면, 노즐 덮개(600)가 닫힘 상태일 때,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481)는 노즐 덮개(600)에 의해 막혀 있다.
노즐(473)은 사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되어 있다. 노즐(473)에 의해 국부 세정이 행해질 경우, 노즐 수납부(480)에 대하여 노즐(473)이 앞측 하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노즐(473)이 앞측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 노즐(473)이 노즐 세정부(478)에 접촉하여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478a) 및 노즐 덮개(600)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토수부(478a)로부터의 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이 토출되어 세정이 행해진다. 국부 세정이 완료되면, 노즐(473)은 노즐 수납부(480)를 향해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될 때까지의 동안에 토수부(478a)로부터의 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된다. 노즐(473)은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하여 도 3(a)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된다.
도 3(a), 도 3(b),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700)를 구비한다. 제균광의 조사에 의해 대상에 부착된 균의 적어도 일부가 사멸 또는 불활성화되어 제균된다. 제균광의 파장은 250㎚~480㎚이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의 결과, 250㎚~300㎚ 부근의 파장에 있어서는 균·곰팡이 등의 DNA를 바꿈으로써 증식할 수 없도록 하여 제균 하고, 300~480㎚ 부근에 있어서는 균·곰팡이 등이 체내에 갖는 수분에 광이 작용하여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그 라디칼에 의해 균을 사멸 또는 불활성화하여 제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명자는 수돗물에 대하여 300㎚~480㎚의 파장을 조사함으로써 수돗물 중에 과산화수소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것은 라디칼 생성에 있어서의 과정 중에서 수중에 과산화수소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중의 균에 대하여 300㎚~480㎚의 파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중의 균을 제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조광부(700)는, 예를 들면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조광부(700)는 2개의 발광부(710)를 갖고 있다. 2개의 발광부(710)는 각각 노즐 지지부(482)의 하방의 좌우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광부(700)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720)(발광체)를 갖는다. 발광 소자(720)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발광 소자(720)는 LED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LD(Laser Diode)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어도 좋다. 또한, 발광 소자 대신에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을 사용해도 좋다. 발광 소자(720)는, 예를 들면 기판을 개재하여 도 2에 나타낸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05)의 제어에 의거하여 점등 및 소등한다. 제어부(405)는 발광 소자(72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함으로써 조광부(7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720)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발광 소자(720)의 전체 광속을 제어해도 좋다. 발광 소자(720)는, 예를 들면 발광부(710)에 설치된다.
발광부(710)는 노즐(473) 및 노즐 수납부(480) 각각의 전방측(개구(481)측)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제균광에 의해 노즐(473)의 앞면과, 노즐 수납부(480)의 노즐(473)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시인 가능 영역이 제균된다.
시인 가능 영역에 대해서,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a)는 노즐(473)의 전체가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b)는 사용자가 노즐 덮개(600)를 전부 열림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시인 가능 영역이란 도 7(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사용자를 시인할 수 없고, 도 7(b)에 나타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는 노즐(473)의 앞면과, 노즐 수납부(480)의 노즐(473)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화살표(A1)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위생 세정 장치(100)를 보았을 경우에 시인 가능한 노즐(473)의 앞면의 영역(R1)과, 노즐 수납부(480)의 영역(R2)이 시인 가능 영역이다.
시인 가능 영역에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70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노즐 덮개(600)를 열었을 때에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부위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 의하면, 도 7(b)에 나타낸 영역(R1) 및 영역(R2)과 같이 노즐(473)의 앞면이나 노즐 수납부(480)의 노즐(473)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 등에도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들 부분은 노즐 덮개(600)가 열렸을 때에 사용자로부터 보이기 쉽지만, 반면에 노즐(473)에 대한 통상의 제균광의 조사에서는 제균광이 충분히 조사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부분에도 제균광을 조사해서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즐(473)이 청결한 장소에 수납되어 있다고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결 의식이 높은 사용자에 있어서도 노즐(473)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광부(700)는 시인 가능 영역의 전체에 대하여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는 「시인 가능 영역의 전체에 대하여 제균광을 조사한다」란 시인 가능 영역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에 대하여 24시간에서 균이 99% 감소하도록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조광부(700)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전체가 실질적으로 제균된다.
시인 가능 영역에는 도 7(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거울 등을 사용했을 때에 시인 가능한 영역이 더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b)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덮개(600)를 전부 연 상태에 있어서, 화살표(A1)의 방향으로부터 육안으로 직시 가능한 영역(R1 및 R2)에 추가하여 손 거울 등을 사용해서 시인 가능한 노즐 덮개(600)의 이면(600a)의 영역(R3)이 시인 가능 영역에 포함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조광부(700)는 영역(R1 및 R2)에 추가하여 이면(600a)에도 제균광(L)을 조사한다.
이것은 청결 의식이 높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청소할 때에 육안으로 직시할 수 없는 영역을 손 거울 등을 사용해서 확인하면서 청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면(600a)에도 제균광(L)이 조사됨으로써 이면(600a)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면(600a)을 관찰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노즐(473)이 청결한 장소에 수납되어 있다고 인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노즐(473)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광부(700)는 노즐 수납부(480) 내의 시인 가능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시인 가능 영역에서도 시인 가능 영역에 대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면, 조광부(700)는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평균 조도가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평균 조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조광부(700)는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사 범위가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청결성이 높게 요구되는 시인 가능 영역의 오염 제거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 대해서는 최근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형화가 요망되어 있다. 비시인 가능 영역보다 시인 가능 영역에 중점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함으로써 불필요한 제균광의 조사가 억제되어 조광부(700)에 인가하는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전력이 작아지면 조광부(700)의 발열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700)의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 싱크 등을 작게 할 수 있어 조광부(7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생 세정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평균 조도는 시인 가능 영역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도를 평균화함으로써 산출된다.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평균 조도는 비시인 가능 영역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도를 평균화함으로써 산출된다.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사 범위는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조도 이상으로 제균광이 조사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으로 나타내어진다.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의 제균광의 조사 범위는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조도 이상으로 제균광이 조사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소정의 조도는 예를 들면 5mW/㎠이다.
또한, 노즐 수납부(480)의 비시인 가능 영역은 국부 세정이나 노즐(473)의 셀프 클리닝 등에 의해 발생한 비시인 가능 영역의 물이 노즐 수납부(480)의 시인 가능 영역에 유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노즐 수납부(480)를 구성하는 노즐 지지부(482)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다시 말해, 비시인 가능 영역인 노즐 지지부(482)의 후방측으로부터 시인 가능 영역인 노즐 지지부(482)의 전방측으로 물이 유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요인이 되는 잔여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비시인 가능 영역에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 비시인 가능 영역에서 발생한 곰팡이로부터 포자가 노즐 수납부 내로 방출되어 시인 가능 영역에 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지지부(482) 하방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710)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측에 설치되어도 좋지만,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수납부(480) 내에는 노즐(473)이 세정되었을 때나, 세정된 노즐(473)이 수납될 때에 물이 비산된다. 따라서, 발광부(710)가 노즐 수납부(48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면, 발광부(710)에 물이 튀어 발광부(710)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발광부(710)가 노즐 수납부(480)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발광부(710) 및 발광부(710)로의 급전부에 물이 튀지 않게 되어 발광부(71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부(710)가 노즐 수납부(480)의 외측에 설치될 경우,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광이 조사되는 부분은 광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노즐 수납부(480)는 발광부(710)로부터 발광된 제균광을 노즐 수납부(480) 내로 이끌기 위한 투과부(480a)(도 6에 나타낸다)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부(480a)가 설치됨으로써 노즐 수납부(480) 내의 시인 가능 영역에 조사되는 제균광의 조도를 향상시켜 제균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도 9(a)~도 9(c)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도 9(c)에 있어서는 제균광이 조사되는 시인 가능 영역에 도트를 붙이고 있다.
조광부(700)는,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인 가능 영역 전체에 제균광(L)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부(740)를 갖는다. 반사부(740)는 발광부(710)로부터 방사된 제균광(L)을 시인 가능 영역을 향해서 반사시킨다. 반사부(740)는, 예를 들면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반사부(740)의 표면(발광부(710)에 대향하는 면)은 경면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반사부(740)는 반사율이 높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불소계의 화합물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반사부(740) 전체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반사부(740)의 일부만이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조광부(700)는 도광 수단(750)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광 수단(750)은, 예를 들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 재료로 형성된 노즐 세정부(478)이다. 노즐 세정부(478)가 도광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노즐 세정부(478)에 조사된 제균광(L)이 노즐 세정부(478)의 내부를 통과하여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방사된다.
도광 수단(750)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 재료로 형성된 노즐 덮개(600)이어도 좋다. 노즐 덮개(600)가 도광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노즐 덮개(600)에 조사된 제균광(L)이 노즐 덮개(6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노즐 덮개(600)로부터 방사된다.
노즐 세정부(478) 또는 노즐 덮개(600)를 구성하는 도광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부재나, 실리콘계 수지, 또는 유리 등이 사용된다.
조광부(700)가 반사부(740) 또는 도광 수단(750)을 가짐으로써 발광부(710)로부터는 그늘이 지는 노즐(473)의 전단면 등에도 효율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작은(또는 적은) 발광부(710)에서 시인 가능 영역의 전체에 효율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어 위생 세정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700) 구체적 구성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도 10(a)~도 10(c)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도 10(c)에 있어서는 제균광이 조사되는 시인 가능 영역에 도트를 붙이고 있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조광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부(710)가 노즐(473)의 전단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에 있어서는 노즐(473)의 상방에 노즐(473)의 측방이나 하방에 비해 공간적인 여유가 존재한다. 따라서, 노즐(473)의 전단보다 상방에 발광부(710)를 설치함으로써 노즐(473)의 하방이나 측방에 발광부(710)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위생 세정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발광부(710)가 노즐(473)의 전단보다 상방에 설치될 경우, 발광부(710)는 하방을 향해서 제균광(L)을 조사한다. 이 경우에도 도 10(a)~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부(700)는 반사부(740) 또는 도광 수단(75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740) 또는 도광 수단(750)이 설치됨으로써 발광부(710)로부터는 그늘이 지는 노즐(473)의 전단면이나 노즐(473)의 하방에 위치하는 노즐 수납부(480) 등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제균광(L)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소자(720)는 노즐 수납부(480)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노즐 수납부(480)로부터 좌우로 멀어진 위치에 2개의 발광 소자(720)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발광 소자(720)는 각각 광 섬유(730)를 통해 노즐 수납부(480)의 좌우의 측부에 설치된 2개의 발광부(710)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발광 소자(720)로부터 광 섬유 등으로 발광부(710)에 제균광을 도광하고, 노즐 수납부(480) 부근에 설치된 발광부(710)로부터 노즐 수납부(480)에 제균광을 조사해도 좋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세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노즐 세정부(478)의 구조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노즐 세정부(478)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 지지부(482)의 선단에 부착된 통형상의 부재이다. 노즐(473)이 완전히 후퇴한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의 전단은 노즐 세정부(478)에 둘러싸인다. 노즐 세정부(478)의 내벽에는 노즐(473)의 외주를 향해서 세정수를 토수하기 위한 토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노즐 수납부(480)는 이 노즐 세정부(478)와, 노즐 지지부(482)로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노즐 세정부(478)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위생 세정 장치(100)에는 노즐 덮개(600)를 전부 열었을 경우에 시인 가능하게 되는 시인 가능 영역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의 앞면의 영역(R1)과, 노즐(473) 하방에 위치하는 노즐 수납부(480)의 영역(R2)이 시인 가능 영역이다. 조광부(700)는 이 시인 가능 영역에 대하여 제균광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 근방의 구조는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어느 구조에 있어서도, 노즐(473)의 앞면과 노즐 수납부(480)의 노즐(473)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 영역에 제균광이 조사됨으로써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제균광의 파장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균광은 약 360㎚~약 420㎚의 파장의 광을 포함하고, 피크 파장은 약 385㎚이다. 이와 같이, 제균광의 피크 파장을 가시광역과 자외광역의 경계 부근에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자외광 성분인 UV-A 성분(315㎚ 이상 400㎚ 이하)과 자(紫)~청(靑)의 가시광 성분(400㎚ 이상 480㎚ 이하)을 포함하는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제균광이면, 제균광에 의한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 효과와 사용자로의 시인 효과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균광의 광원은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균광으로서 1개의 광원으로부터 자외광 성분을 포함하고 가시광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광을 조사함과 아울러, 다른 광원으로부터 가시광 성분을 포함하고 자외광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광을 조사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제균광에 포함되는 자외광 성분과 가시광 성분은 각각 다른 광원으로부터 동시에 조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균광은 자외광 성분과 가시광 성분을 포함하는 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즐 덮개(600)가 파장 변환 재료를 포함할 경우, 제균광은 자외광 성분을 포함하고 가시광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광이어도 좋다.
이어서,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광부(700)는 작동하고 있지 않다(타이밍(t0)).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예를 들면, LED)는 소등되어 있다(OFF).
인체 검지 센서(403)가 위생 세정 장치(100)에 접근한 사용자를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조광부(700)를 작동시킨다(타이밍(t1)).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점등시킨다(ON).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위생 세정 장치(100)에 접근한 것을 검지한 타이밍에 조광부(700)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하기 전에 노즐 수납부(480)를 제균광으로 제균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조광부(700)는, 예를 들면 착좌 검지 센서(404)가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할 때까지 계속해서 작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여 또한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조광부(700)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타이밍(t2)).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소등시킨다(OFF).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한 후에는 개구(481)로부터 케이싱(400)의 외측에 제균광이 누설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제균광의 일부가 조사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한 타이밍에서 조광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균광이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조광부(700)는, 예를 들면 착좌 검지 센서(404)가 사용자의 좌석에서 멀어짐을 검지할 때까지 작동을 계속해서 정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405)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광부(700)의 작동을 계속해서 정지시킨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사용자의 좌석에서 멀어짐을 검지하면(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착좌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405)는 조광부(700)를 작동시킨다(타이밍(t3)).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점등시킨다(ON). 이것에 의해, 좌석으로부터 멀어진 사용자에게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이 재개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조광부(700)는 소정 시간(TM1)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해서 작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타이밍(t4))가 되어도, 소정 시간(TM1)이 경과할 때까지 조광부(700)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소정 시간(TM1)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타이밍(t5)).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소등시킨다(OFF).
조광부(700)는 토일렛 장치가 미사용의 상태로 소정 시간(TM2)이 경과하면 작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으며, 또한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소정 시간(TM2)이 경과하면, 조광부(700)를 작동시킨다(타이밍(t6)).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점등시킨다(ON). 이와 같이,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조광부(700)를 작동시켜도 좋다.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제균광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를 제균함으로써 제균광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균광에 의한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균광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피크 파장이 비교적 긴 제균광을 조사하는 경우이어도 제균광에 의한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균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소정 시간(TM3)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타이밍(t7)).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조광부(700)의 발광 소자(720)를 소등시킨다(OFF).
소정 시간(TM1~TM3)은 임의의 시간이면 좋다. 소정 시간(TM1~TM3)은,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조광부(700)의 작동 시간이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조광부(700)의 작동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조광부(700)의 작동 시간이 인체 검지 센서(403)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조광부(700)의 작동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조광부(70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균광에 의한 노즐 수납부(480)의 제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17~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a)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부(700)의 발광부(710)가 노즐(473) 및 노즐 덮개(600)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는 저면부(480b)를 갖는다. 저면부(480b)는 케이싱(400)의 내면의 일부이며, 노즐 지지부(482)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발광부(710)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서 제균광(L)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 덮개(600)의 이면(600a)이나, 저면부(480b)의 일부, 노즐(473)의 상면 등에 제균광(L)이 조사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은 앞면(473a)을 갖는다. 앞면(473a)은 노즐(473)의 진출 방향을 전방이라고 했을 때에 노즐(473)의 전방에 위치하는 면이다. 앞면(473a)은, 예를 들면 노즐(473)의 진출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다. 저면부(480b)는 앞면(473a)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480c)을 갖는다. 예를 들면, 부분(480c)의 적어도 일부와 발광부(710) 사이에는 노즐(473)의 앞면(473a)이 위치한다. 다시 말해, 부분(480c)의 적어도 일부에는 발광부(710)로부터 조사된 제균광이 직접적으로는 조사되지 않는다.
도 19(b)에서는 발광부(710)로부터 조사되고, 이면(600a)에서 반사된 제균광(L)을 나타내고 있다. 이면(600a)에 제균광(L)이 조사되면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균광(L)의 일부는 반사된다. 예를 들면, 이면(600a)에서 반사된 제균광(L)은 적어도 노즐(473)의 앞면(473a), 및 노즐 수납부(480)에 있어서의 앞면(473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조사된다. 노즐 수납부(480)에 있어서의 앞면(473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구체적으로는 노즐 세정부(478)의 일부 및 저면부(480b)를 포함한다.
앞면(473a)이나 부분(480c)에 대하여 제균광(L)이 조사됨으로써 노즐(473) 및 노즐 수납부(480)에 있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영역인 시인 가능 영역에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이 청결하며, 또한 그것이 수납되는 노즐 수납부(480)도 청결하다고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결 의식이 높은 사용자에 있어서도 국부 세정 노즐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노즐(473)은 노즐(473)의 진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주면(473b)을 갖는다. 예를 들면, 노즐(473)의 형상은 진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기둥상이며, 외주면(473b)은 만곡하고 있다. 조광부(700)는 앞면(473a)과, 노즐 수납부(480)에 있어서의 앞면(473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제균광(L)의 평균 조도가 외주면(473b)에 대한 제균광(L)의 평균 조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조광부(700)는 앞면(473a)과, 노즐 수납부(480)에 있어서의 앞면(473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제균광(L)의 조사 범위가 외주면(473b)에 대한 제균광(L)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473) 및 노즐 수납부(480)의 시인 가능 영역에 중점적으로 제균광(L)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청결성이 높게 요구되는 시인 가능 영역에 오염이 보다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 대해서는 최근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형화가 요망되어 있다. 상술한 평균 조도 또는 조사 범위의 관계에 의하면, 불필요한 제균광(L)의 조사를 억제할 수 있어 조광부(700)에 인가하는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전력이 작아지면, 조광부(700)의 발열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700)의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 싱크 등을 작게 할 수 있어 조광부(7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생 세정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노즐(473)의 외주면(473b)에 대해서는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토수되는 물이나 제균수에 의해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균광(L)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지 않더라도 외주면(473b)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면(600a)의 적어도 일부는 앞면(473a) 등으로의 제균광(L)의 조사 강도를 크고, 또는 조사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서 반사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면(600a)의 전체가 반사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면(600a)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저면부(480b)의 반사율, 또는 이면(600a)에 인접하는 케이싱(400) 내면의 반사율보다 크다. 반사재로서는 상술한 반사부(740)의 재료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료, 또는 반사율이 높은 수지 재료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면(600a)은 경면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600a)에 제균광(L)이 직접 조사되면, 이면(600a)에 있어서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600a)은 노즐(473)의 앞면(473a)이나, 노즐 세정부(478), 저면부(480b) 등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면한다. 이면(600a)을 반사재로 형성함으로써 이면(600a)에서 반사된 제균광(L)이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700)(발광부(710))를 소형화해도 시인 가능 영역의 광범위에 제균광(L)을 조사할 수 있다.
이면(600a)에 추가하여 저면부(480b)나, 이면(600a)에 인접하는 케이싱(400)의 내면도 제균광(L)을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균광(L)을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조광부(700)는 이면(600a)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제균광(L)의 조사 범위가 케이싱(400)의 내부에 있어서 이면(600a)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제균광(L)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600a)에 직접 조사되는 제균광(L)의 조사 범위를 크게 함으로써 이면(600a)에서 반사된 제균광(L)을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조사할 수 있다.
케이싱(400) 내의 각 부에 조사되는 제균광(L)에는 반사광과 직접광이 포함된다. 반사광은 발광부(710)로부터 조사된 후, 이면(600a)에 의해 반사된 제균광(L)이다. 직접광은 발광부(710)로부터 조사되어, 이면(600a)이나 다른 부재에서 반사되지 않고 직접 조사되는 제균광(L)이다. 조광부(700)는 저면부(480b)의 전단 부분(480d)에 대하여 직접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부분(480d)은, 예를 들면 저면부(480b)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10㎜ 이내의 범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의 결과, 노즐 수납부(480) 내의 잔여수가 저면부(480b)의 전단 부분(480d)에 발생하기 쉬운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전단 부분(480d)이 가장 오염되기 쉬운 것을 발견했다.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가장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전단 부분(480d)에 대하여 제균력의 강한 직접광이 조사됨으로써 전단 부분(480d)에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단 부분(480d)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광부(700)는 전단 부분(480d)에 대하여 직접광과 반사광이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장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전단 부분(480d)에 직접광과 반사광 양쪽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시인 가능 영역에 있어서 잔여수가 발생하기 쉬운 전단 부분(480d)에 있어서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국부 세정 노즐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덮개(600)의 이면(600a)은 반사광이 확산되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면(600a)이 평면상인 경우에 비해 이면(600a)에서 반사된 제균광(L)을 보다 확산시켜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L)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세정부(478)는 투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균광(L)이 노즐 세정부(478)를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473)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노즐 세정부(478)를 투과한 제균광(L)은 노즐(473)과 노즐 세정부(478) 사이의 간극이나, 발광부(710)에 대하여 그늘에 위치하는 시인 가능 영역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세정부(478)의 투과율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세정부(478)는 투과 시에 제균광(L)이 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노즐 세정부(478)는 산란제가 첨가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세정부(478)의 적어도 일부는 노즐(473)의 전체가 노즐 수납부(480)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앞면(473a)보다 전방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노즐 세정부(478)에서 제균광(L)이 확산되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L)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광부(700)에 대하여 그늘에 위치하는 시인 가능 영역으로의 제균광(L)의 조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조광부(700)를 작동시켜서 제균광(L)을 조사한 상태에 있어서, 노즐 세정부(478)를 움직여도 좋다. 조광부(700)의 작동 중에 노즐 세정부(478)가 움직이면,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균광(L)의 조사 범위가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L)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473)의 슬라이딩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노즐 세정부(478)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구동부가 작동함으로써 노즐 세정부(478)가 움직이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광부(700)의 작동 중에는 노즐 덮개(600)를 열지 않도록 노즐 세정부(478)를 움직인다. 이것에 의해, 제균광(L)이 케이싱(400)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시인 가능 영역의 보다 광범위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a)가 노즐 덮개(600)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위생 세정 장치(100a)는 노즐 덮개(6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시인 가능 영역은 국부 세정 노즐이 진출 또는 후퇴하는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위생 세정 장치(100 또는 100a)가 노즐 덮개(600)를 구비할 경우, 시인 가능 영역은 노즐 덮개(600)를 전부 열림으로 했을 때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다. 노즐 덮개(600)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앞면(473a)이나, 저면부(480b)에 있어서의 앞면(473a)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480c)에 직접 제균광(L)이 조사되도록 조광부(700)가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가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20 도수부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부드러운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100a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300 변기 덮개
310 투과 창 400 케이싱
401 전원 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07 배기구 408 배출구
409 오목 형성부 431 전자 밸브
432 조압 밸브 433 역지 밸브
440 열 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 452 진공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국부 세정 노즐
473a 앞면 473b 외주면
474a 비데 세정 토수구 474b 엉덩이 세정 토수구
476 노즐 모터 478 노즐 세정부
478a 토수부 478b 지지체
479 분무 노즐 480 노즐 수납부
480a 투과부 480b 저면부
480c 부분 480d 전단 부분
481 개구 482 노즐 지지부
500 조작부 600 노즐 덮개
600a 이면 700 조광부
710 발광부 720 발광 소자
730 광 섬유 740 반사부
750 도광 수단 800 변기
801 보울 A1 화살표
L 제균광 R1~R3 영역
t0~t7 타이밍 TM1~TM3 소정 시간

Claims (14)

  1.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토출하는 토수 구멍을 갖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 및 후퇴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광부는 적어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앞면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적어도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전단 부분에 대해 상기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평균 조도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평균 조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앞면과, 상기 노즐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가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한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 덮개로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 수납부 내를 열고,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 수납부 내를 닫도록 설치된 상기 노즐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덮개에 있어서의 상기 노즐 수납부측에 위치하는 이면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덮개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의 상기 이면에 대하여 상기 제균광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가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직접 조사되는 상기 제균광의 조사 범위보다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광에는 상기 노즐 덮개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과, 상기 노즐 덮개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직접광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조광부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상기 저면부의 전단 부분에 대하여 상기 직접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기 전단 부분에 대하여 상기 직접광과 상기 반사광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의 이면은 반사광이 확산되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부 근방에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면으로 세정수를 토출하는 노즐 세정 구멍을 갖는 노즐 세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세정부는 상기 제균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부는 투과 시에 상기 제균광이 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세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상기 앞면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덮개를 여는 일 없이 상기 노즐 세정부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90054746A 2018-06-01 2019-05-10 위생 세정 장치 KR102193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6338 2018-06-01
JP2018106338 2018-06-01
JP2019074091A JP7398039B2 (ja) 2018-06-01 2019-04-09 衛生洗浄装置
JPJP-P-2019-074091 2019-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85A KR20190137685A (ko) 2019-12-11
KR102193396B1 true KR102193396B1 (ko) 2020-12-21

Family

ID=6884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46A KR102193396B1 (ko) 2018-06-01 2019-05-10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98039B2 (ko)
KR (1) KR102193396B1 (ko)
CN (1) CN110552406B (ko)
TW (1) TWI753249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084335A (ja) *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0084356A (ja) * 2008-09-30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5407U (en) * 2004-10-07 2005-05-21 B O Lane Comfortech Co Ltd Computerized toilet with germicidal irradiation and cleaning nozzle head
WO2007114298A1 (ja) * 2006-03-31 2007-10-11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8038475A (ja) * 2006-08-07 2008-02-21 Toshiba Corp 局部洗浄装置
JP5478134B2 (ja) * 2008-07-03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機構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TWI365245B (en) * 2009-03-31 2012-06-01 David Ch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KR101320586B1 (ko) 2011-10-12 2013-10-2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TWM425897U (en) * 2011-10-27 2012-04-01 Tian-Qi Yao Microbial inhibition structure for hydro bidet shower
CN103088891B (zh) * 2011-11-07 2016-01-20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喷嘴清洁方法和温水便座装置
TWI559942B (en) * 2013-08-15 2016-12-01 Univ Nat Cheng Kung Ultraviolet laser sterilization system
JP6571457B2 (ja) * 2015-08-31 2019-09-04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CN205094305U (zh) * 2015-11-08 2016-03-23 蔡少锐 一种带杀菌功能的智能洁身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084335A (ja) *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0084356A (ja) * 2008-09-30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2406B (zh) 2022-02-08
KR20190137685A (ko) 2019-12-11
TW202003974A (zh) 2020-01-16
JP2019210802A (ja) 2019-12-12
JP7398039B2 (ja) 2023-12-14
CN110552406A (zh) 2019-12-10
TWI753249B (zh)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8021B2 (ja) 衛生洗浄装置
CN110552407B (zh) 卫生洗净装置
US10851533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20210067881A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45046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193396B1 (ko) 위생 세정 장치
JP2018009301A (ja) 衛生洗浄装置
JP7116909B2 (ja) 衛生洗浄装置
JP7124463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6186174A (ja) 衛生洗浄装置
JP6668925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213489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670459B2 (ja) 衛生洗浄装置
JP7333017B2 (ja) 衛生洗浄装置
JP7409052B2 (ja) 衛生洗浄装置
JP7118360B2 (ja) 衛生洗浄装置
JP7333016B2 (ja) 衛生洗浄装置
JP2022180742A (ja) 衛生洗浄装置
JP2017197991A (ja) 衛生洗浄装置
JP2017197992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