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045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045B1
KR102445045B1 KR1020200144136A KR20200144136A KR102445045B1 KR 102445045 B1 KR102445045 B1 KR 102445045B1 KR 1020200144136 A KR1020200144136 A KR 1020200144136A KR 20200144136 A KR20200144136 A KR 20200144136A KR 102445045 B1 KR102445045 B1 KR 102445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irradiation mode
water
loca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881A (ko
Inventor
카즈마 바바
토시나리 야오카
케이스케 타시로
사토루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과제]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에 같은 조광부로부터 제균광을 조사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변기의 내부로 진출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와, 상기 조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같은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벽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국부 세정 노즐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는 국부 세정 노즐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국부 세정 노즐을 향해서 제균수(살균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자외광)을 조사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3-83141호 공보
분사된 제균수는 시간 경과와 함께 제균 성분의 농도가 저하한다. 제균 효과가 저하한 제균수가 잔류한 개소는 수분의 영향에 의해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에 제균수가 잔류한 경우, 이들의 개소에도 제균광을 조사하여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광부는 제균광을 국부 세정 노즐의 상방으로부터 조사하고 있으므로, 국부 세정 노즐의 음이 되는 노즐 수납부의 내벽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균광에서는 노즐 수납부에 발생하는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즐 수납부의 내벽에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별도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제균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을 복수개 사용하는 것은 비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노즐 수납부의 주위에 복수개의 조광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국부 세정 노즐을 수납하는 케이싱이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에 같은 조광부로부터 제균광을 조사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기의 내부로 진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를 갖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와, 상기 조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같은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벽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에 같은 조광부로부터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양방을 제균하기 위한 조광부를 복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케이싱이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에 같은 조광부로부터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3(a), 도 3(b)는 국부 세정 노즐,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 중의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5(a), 도 5(b)는 제 1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6(a), 도 6(b)는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균수 모드, 제 1 조사 모드, 제 2 조사 모드의 경과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8(a), 도 8(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로부터의 제 1 조사 모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9(a), 도 9(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로부터의 제 2 조사 모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0(a), 도 10(b)는 제 2 변형예에 의한 국부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해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일렛 장치는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변기」라고 칭함)(800)와, 변기(8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뚜껑(300)을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뚜껑(300)은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각각 축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의 변좌(200)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노즐」이라고 칭함)(473)을 변기(800)의 내부(보울(801) 내)로 진출시키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보울(801) 내로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끓인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부드러운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비데 세정」과, 「엉덩이 세정」과, 「부드러운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설치 위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데 세정 토수구(474a)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2개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토수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합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로 이끈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 밸브(431), 열 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의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수부(20)의 상류측에는 전자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1)는 개폐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뀌 말하면, 전자 밸브(431)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 밸브(431)를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로 흐른다.
전자 밸브(431)의 하류에는 압력 조정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정 밸브(432)는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 관로(20a) 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 범위로 조정한다. 압력 조정 밸브(432)의 하류에는 역지 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3)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 저하한 경우 등에, 역지 밸브(433)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 밸브(433)의 하류에는 열 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 유닛(440)는 히터를 가지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 교환기 유닛(440)는 온수를 생성한다.
열 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 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의 열 교환기는 저탕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의 열 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 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의 열 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 교환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열 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열 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한다.
열 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 교환기 유닛(440)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제균수(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본 발명의 제균수 생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이어도 좋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버큠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와, 유로 내에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다. 밸브 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막고, 물의 흐름 정지와 함께 흡기구를 개방하여 유로 내에 공기를 받아들인다. 즉, 버큠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 내에 공기를 받아들인다. 밸브 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로(20a) 내에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 부분의 물 제거를 촉진시킨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물 제거를 촉진한다. 이와 같이, 버큠 브레이커(452)는 노즐(473) 내의 물을 빼내서 노즐(473) 내에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모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버큠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주고,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준다. 즉,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진출하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노즐 모터(476)는 본 발명의 노즐 구동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노즐(473)을 진출 또는 후퇴시킨다.
노즐 세정부(478)는 토수부로부터 제균수(기능수)를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면(473c)(몸체)을 세정 및 제균한다. 또한, 노즐 세정부(478)는 토수부로부터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면(473c)을 세정해도 좋다. 분무 노즐(479)은 물이나 기능수를 미스트상으로 해서 보울(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트상의 액체를 보울(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부드러운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 및 부드러운 세정 유로(22)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 이끈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비데 세정 토수구(474a)로 이끈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로 이끈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통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로 이끈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부드러운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와 같이, 유로 스위칭부(472)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전자 밸브(431)나, 열 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부(454)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모터(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의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조광부(600)를 제어한다. 조광부(600)는 노즐(473)의 주변(후술의 노즐 수납부(480) 등)에 제균 작용을 갖는 광인 제균광을 조사한다. 제어부(405)는 조광부(600)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노즐(473)의 외주면(473c)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제 1 조사 모드와 같은 조광부(600)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균수에 의해 노즐(473)을 제균하는 제균수 모드를 갖는다. 제 1 조사 모드, 제 2 조사 모드 및 제균수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체 검지 센서(40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 형성부(409)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변좌(200)에 가까워진 사용자(인체)를 검지한다. 바뀌 말하면, 인체 검지 센서(403)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근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한다. 또한, 변기뚜껑(300)의 후방부에는 투과창(310)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기뚜껑(300)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403)는 투과창(310)을 통해서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센서(403)에 의한 사용자의 검지에 응답하여 변기뚜껑(300)을 자동적으로 연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 등의 각종 기구가 적당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당히 설치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기타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3(a), 도 3(b)는 국부 세정 노즐,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국부 세정 노즐이 후퇴해서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국부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 중의 국부 세정 노즐의 전단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는 제 1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a), 도 6(b)는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6(b)는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a),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480)를 갖는다. 즉, 노즐 수납부(480)는 케이싱(400)의 내부 안에, 노즐(473)이 수납되는 부분이다.
노즐 수납부(480)는 케이싱(400)의 저면을 구성하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 안에, 노즐(47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부(481a)와, 저부(481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481b)와,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482)를 개폐가능한 노즐뚜껑(483)을 갖는다. 또한, 노즐뚜껑(483)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저부(481a)와 측벽부(481b)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이 구성되어 있다. 노즐 수납부(480)는 상방이 케이스 커버(400b)에 의해 덮여져 있다. 노즐 수납부(480)에는 노즐(473)을 진퇴가능하게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484)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481a)는 변기(800)의 보울(801) 내를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 세정부(478)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a)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는 저부(481a)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흘러내린다.
노즐 지지부(484)는 노즐(473)의 하방에 있어서 노즐(473)을 지지한다. 노즐 지지부(48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노즐(473)은 노즐 지지부(484)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진출 및 후퇴한다. 노즐 수납부(480)에는, 예를 들면 노즐(473)을 수납하는 통상의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473)을 케이싱(400) 내로 후퇴시킨 상태로, 노즐(473)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세정부(478)는 노즐(473)의 외주면(473c)을 향해서 제균수 및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멍이 형성된 토수부를 갖는다.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는 개구(482)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482)는 케이싱(400)의 전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세정부(478)는 개구(482)의 후방에 위치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노즐(473)이 진퇴할 때에, 토수부로부터 제균수나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면(473c)(몸체)을 세정한다.
노즐뚜껑(483)은 노즐(473)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뚜껑(483)은 케이싱(400)의 케이스 커버(400b)에 축지되어, 케이스 커버(400b)의 전면 안에, 노즐 수납부(48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482)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뚜껑(483)은 노즐(473)이 변기(800)의 내부로 진출한 상태에서는 개구(482)를 연 열린 상태이며, 노즐(473)의 전체가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개구(482)를 닫은 닫힌 상태이다.
노즐(473)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a),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되어 있다. 노즐(473)에 의해 국부 세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480)에 대하여 노즐(473)이 전측 하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노즐 세정부(478)로부터의 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된다.
노즐(473)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이 토출되어 세정이 행해진다. 국부 세정이 완료되면, 노즐(473)은 노즐 수납부(480)를 향해서 후상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예를 들면,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될 때까지의 사이에,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에 의해, 노즐(473)이 세정 및 제균된다. 이 경우,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이나 노즐뚜껑(483)의 내면에 접촉하여, 변기(800)의 내부(보울(801)내)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도 제균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과 노즐뚜껑(483) 사이에는 공간 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 S1은, 예를 들면 노즐(473)을 진출시켰을 때에, 노즐뚜껑(483)에 접촉하기 전에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노즐(473)은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분리되는 위치까지 노즐 수납부(480) 내를 진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광부(600)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케이싱(4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스 커버(400b)에 부착되어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조광부(600)는 노즐(473)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로 노즐(473)의 전면(473a)의 상단(473b)보다 상방 또한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광부(600)는 노즐(473)과 노즐뚜껑(483) 사이의 공간 S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진출시킨 제 1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노즐(473)의 외주면(473c)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상방에 조광부(600)가 위치하므로, 비데 세정 토수구(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및 그 주위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한편,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제 2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제균광의 조사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 및 노즐(473)의 외주면(473c)에 부착된 균의 적어도 일부가 사멸 또는 불활성화되어 제균된다. 이 경우,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제균광의 지향방향(광축)이 제 1 조사 모드인 경우에는 노즐(473)의 외주면(473c)이나,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광축이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향방향은 제균광의 방사 조도가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광부(600)는 노즐(473)의 외주면(473c)과,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의 제균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방사 조도가 가장 큰 광축은, 예를 들면 제균광의 조사 폭의 중심(지향각의 중심축)이다. 또한, 조광부(600)의 전방에 렌즈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방사 조도가 가장 큰 광축이 복수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조광부(600)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620)(발광체)를 갖는다. 발광 소자(620)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발광 소자(620)는 LE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LD(Laser Diode)이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어도 좋다. 발광 소자(620)는, 예를 들면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이어도 좋다. 발광 소자(620)에 의해 방사되는 제균광의 파장은, 예를 들면 250㎚∼480㎚이다.
발광 소자(620)는 기판을 통해서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05)의 제어에 근거하여 점등 및 소등한다. 제어부(405)는 발광 소자(62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조광부(6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발광 소자(620)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하는 것으로, 발광 소자(620)의 방사 조도를 제어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제어부(405)가 실행하는 제균수 모드, 제 1 조사 모드, 제 2 조사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균수 모드, 제 1 조사 모드, 제 2 조사 모드의 경과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가 조작부(500)(리모컨)를 조작하면, 노즐(473)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이 토출됨으로써 국부 세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시간 t0에서는 국부 세정이 완료(OFF)가 되고,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를 향해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한다. 거기에 따라서, 제어부(405)는 제균수 모드를 실행(OFF로부터 ON)한다. 제균수 모드에서는 노즐(473)이 노즐 수납부(480)에 수납될 때까지의 사이에,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에 의해, 노즐(473)의 외주면(473c)이 세정 및 제균된다.
또한, 노즐(473)의 전단이 노즐 세정부(478)의 내부에 수납될 때까지 후퇴한 후에는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토출되는 제균수에 의해,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세정, 제균된다.
이 경우, 제균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흐르고, 개구(482)로부터 변기(800)의 내부(보울(801)내)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제균수는 노즐(473)에 추가해서,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 및 노즐뚜껑(483)의 내면(483a)도 제균한다.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를 흐르는 제균수는 그 대부분이 개구(482)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내로 흘러내린다. 그러나, 예를 들면 노즐 수납부(480)의 형상이나 제균수의 표면 장력 등에 의해,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 제균수가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잔류한 제균수는 시간 경과와 함께 농도 쇠퇴가 진행한다. 그러면, 노즐 수납부(480)의 내부는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버린다.
여기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조광부가 노즐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의 음이 되는 노즐 수납부의 내벽은 제균광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노즐 수납부의 내벽에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를 별도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제균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을 복수개 사용하는 것은 비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노즐 수납부의 주위에 복수개의 조광부를 설치하기 위해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노즐을 수납하는 케이싱이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균수 모드 후에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된다.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의 위치를 변하게 함으로써,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시간 t1에서는 제균수 모드가 종료(ON으로부터 OFF)하는 동시에, 제 1 조사 모드가 실행(OFF로부터 ON)된다. 또한, 제 1 조사 모드는 제균수 모드가 종료한 나중에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실행되어도 좋다. 일례를 들면, 제 1 조사 모드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ON으로부터 OFF가 되었을 때에 실행되어도 좋다.
제어부(405)는 제 1 조사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을 진출시킨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는 노즐뚜껑(483)이 열린 상태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노즐(473)을 진출시킨다. 환언하면,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전단이 노즐뚜껑(483)에 접촉하기 전에 노즐(473)의 진출을 정지시킨다.
그 후, 제어부(405)는 조광부(600)를 점등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5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 S2와 같이, 노즐(473)의 외주면(473c)에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 경우, 노즐(473)은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가 노즐 세정부(478)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조광부(600)는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 및 그 주위의 외주면(473c)에 제균광을 조사하여 노즐(473)의 전단측을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제균광의 광축(L)을 노즐(473)의 외주면(473c)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a)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를 향하게 함으로써, 제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균광의 광축(L)이 노즐(473)의 외주면(473c), 비데 세정 토수구(474a), 및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에 각각 접촉하도록, 노즐(473)의 진출 위치를 변하게 해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시간 t2에서는 제 1 조사 모드가 종료(ON으로부터 OFF)하는 동시에,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OFF로부터 ON)된다. 제어부(405)는 제 1 조사 모드가 종료하면 조광부(600)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5)는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되었을 때에는 노즐 모터(476)에 의해 노즐(473)을 후퇴시킨다.
여기서, 조광부(600)는 노즐(473)을 후퇴시킨 상태(도 4의 상태)로, 노즐(473)과 노즐뚜껑(483) 사이의 공간 S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73)을 후퇴시켰을 때에는 조광부(600)의 하방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어부(405)는 조광부(600)를 점등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5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 S2와 같이, 제 1 조사 모드로 노즐(473)의 음으로 되어 있던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균광의 광축(L)을 제균수 모드에서의 제균수가 잔류하기 쉬운 저부(481a)의 전단측을 향하는 것으로, 잔류한 제균수가 원인으로 발생하는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광부(600)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을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조광부(600)는 제 1 조사 모드가 종료했을 때에 소등시키지 않고, 제 1 조사 모드가 종료했을 때부터 제 2 조사 모드가 종료할 때까지 점등 상태를 계속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시간 t3에서는 제 2 조사 모드가 종료(ON으로부터 OFF)한다. 제어부(405)는 제 2 조사 모드가 종료하면, 조광부(600)를 소등시킨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조사 모드 후에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조사 모드 후에 제 1 조사 모드를 실행해도 좋다. 즉,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의 순번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에는 노즐(473)과 노즐 수납부(480)를 1개의 조광부(600)로 제균할 수 있다. 즉, 제 1 조사 모드에서는 노즐(473)을 진출시켜, 노즐(473)의 외주면(473c)에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 2 조사 모드에서는 노즐(473)을 후퇴시켜, 노즐(473)이 진출하고 있을 때에 음이 되는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도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노즐뚜껑(483)이 닫힌 상태로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케이싱(400)의 외부에 제균광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는 노즐(473)을 제균수로 제균하는 제균수 모드 후에 실행되므로, 예를 들면 노즐 수납부(480)에 잔류한 제균수로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균수의 잔수에 의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a), 도 8(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로부터의 제 1 조사 모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b)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9(a), 도 9(b)는 제 1 변형예에 의한 조광부로부터의 제 2 조사 모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b)는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광부(600)를 노즐(473)보다 상방에 설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노즐(473)의 측방에 조광부(650)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제 1 조사 모드에서는 노즐(473)을 노즐뚜껑(483)을 향해서 진출시킨다. 그리고, 도 8(b)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 S3과 같이, 조광부(650)로부터 노즐(473)의 외주면(473c)을 향해서 제균광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의 비데 세정 토수구(474a)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b)의 주위의 외주면(473c)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제 2 조사 모드에서는 노즐(473)을 후퇴시켜, 조광부(650)의 전방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도 9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조사 범위 S3과 같이, 조광부(650)로부터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조사 모드에서는 제 1 조사 모드로 노즐(473)의 음으로 되어 있던 노즐 수납부(480)의 내벽(481)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제 2 변형예에 의한 국부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은 제 1 조사 모드에서의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 2 조사 모드에서의 노즐과 노즐 수납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노즐(473)이 진후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외통(700a)와 내통(700b)이 진후퇴하는 2단에 형성된 노즐(700)로서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노즐(473) 진후퇴시켜,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광부가 이동하는 것으로,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해도 좋다. 즉, 조광부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에 의해 조광부를 이동시켜 노즐의 외주면을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구동부에 의해 조광부를 제 1 조사 모드와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노즐 수납부의 내벽을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같은 조광부에 의해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근거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이하에 말하는 형태의 것이 고려된다.
제 1 형태는 변기 내부로 진출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와, 상기 조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같은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벽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갖는다.
제 1 형태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에 같은 조광부로부터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양방을 제균하기 위한 조광부를 복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케이싱이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노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위치를 변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한다.
제 2 형태에 의하면, 조광부를 고정한 상태로, 조광부의 조사 범위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국부 세정 노즐과 노즐 수납부의 양방을 제균하기 위한 조광부를 복수개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케이싱이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형태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시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상기 외주면에 제균광을 조사시키고, 상기 제 2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켜 상기 노즐 수납부의 상기 내벽에 제균광을 조사시킨다.
제 3 형태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수납부의 내벽에 효율적으로 제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 4 형태는 제 2 또는 제 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가능한 노즐뚜껑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뚜껑이 닫힌 상태로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한다.
제 4 형태에 의하면, 제 1 조사 모드와 제 2 조사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도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이 노즐 수납부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형태는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기 위한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균수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균수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는 제균수 모드를 갖고, 상기 제균수 모드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된다.
제 5 형태에 의하면, 국부 세정 노즐이나 노즐 수납부에 제균수의 잔수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 잔수가 발생한 부분에 제균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부 세정 노즐 및 노즐 수납부의 내벽에 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20 도수부,
20a 관로,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부드러운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300 변기뚜껑, 310 투과창,
400 케이싱, 400a 케이스 플레이트,
400b 케이스 커버, 401 전원 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07 배기구,
408 배출구, 409 오목 형성부,
431 전자 밸브, 432 압력 조정 밸브,
433 역지 밸브, 440 열 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제균수 생성부),
452 버큠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국부 세정 노즐), 473a 전면,
473b 상단, 473c 외주면,
474a 비데 세정 토수구, 474b 세정 토수구,
476 노즐 모터(노즐 구동부), 478 노즐 세정부,
479 분무 노즐, 480 노즐 수납부,
481 내벽, 481a 저부,
481b 측벽부, 482 개구,
483 노즐뚜껑 483a 내면,
484 노즐 지지부, 500 조작부,
600 조광부, 620 발광 소자,
650 조광부, 700 노즐,
700a 외통, 700b 내통,
800 변기, 801 보울,
S1 공간, S2, S3 조사 범위,
L 광축

Claims (6)

  1. 변기의 내부로 진출한 상태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국부 세정 노즐과,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킨 상태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전체를 수납가능한 노즐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부를 향해서 제균 작용을 갖는 제균광을 조사하는 조광부와,
    상기 조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같은 상기 조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제균광을 상기 노즐 수납부의 내벽을 향해서 조사하는 제 2 조사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노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위치를 변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 2 조사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조사 모드에서 음이 되는 부분에 제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부는 상기 국부 세정 노즐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제균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진출시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의 상기 외주면에 제균광을 조사시키고,
    상기 제 2 조사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후퇴시켜 상기 노즐 수납부의 상기 내벽에 제균광을 조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가능한 노즐뚜껑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뚜껑이 닫힌 상태로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기 위해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균수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균수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는 제균수 모드를 갖고,
    상기 제균수 모드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기 위해 제균수를 생성하는 제균수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균수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균수에 의해 상기 국부 세정 노즐을 제균하는 제균수 모드를 갖고,
    상기 제균수 모드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 1 조사 모드와 상기 제 2 조사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200144136A 2019-11-29 2020-11-02 위생 세정 장치 KR102445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7494A JP7380147B2 (ja) 2019-11-29 2019-11-29 衛生洗浄装置
JPJP-P-2019-217494 2019-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81A KR20210067881A (ko) 2021-06-08
KR102445045B1 true KR102445045B1 (ko) 2022-09-20

Family

ID=7604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36A KR102445045B1 (ko) 2019-11-29 2020-11-02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9958B2 (ko)
JP (1) JP7380147B2 (ko)
KR (1) KR102445045B1 (ko)
CN (1) CN112878449B (ko)
TW (1) TWI7551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98048B2 (ja) * 2019-11-29 2023-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408056B2 (ja) * 2021-06-14 2024-01-0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23031550A (ja) * 2021-08-25 2023-03-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189849A (ja) * 2009-02-16 2010-09-0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42754Y (zh) * 2002-04-10 2003-04-02 卢松森 强力除菌卫生洗净机
TWM265407U (en) * 2004-10-07 2005-05-21 B O Lane Comfortech Co Ltd Computerized toilet with germicidal irradiation and cleaning nozzle head
KR20090098644A (ko) * 2008-03-14 2009-09-17 (주)아이리녹스 비데 노즐부 살균장치
JP2010084344A (ja)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0084335A (ja) * 2008-09-29 2010-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US8065755B2 (en) 2009-04-24 2011-11-29 David Ch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JP5093762B2 (ja) * 2010-07-28 2012-12-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101320586B1 (ko) 2011-10-12 2013-10-2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CN203188331U (zh) * 2013-03-21 2013-09-11 江苏富丝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座便器的喷嘴紫外消毒装置
JP2015143427A (ja) 2014-01-31 2015-08-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装置
CN104532933B (zh) * 2014-12-31 2016-04-27 科勒(中国)投资有限公司 智能座便器或智能马桶的喷水管系统
JP6558021B2 (ja) * 2015-03-27 2019-08-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862666B2 (ja) * 2016-03-22 2021-04-21 Toto株式会社 衛生機器
JP6541096B2 (ja) * 2016-08-24 2019-07-1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447889B2 (ja) * 2017-02-02 2019-01-09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620786B2 (ja) * 2017-06-02 2019-12-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69995B2 (ja) * 2017-06-02 2020-03-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73133B2 (ja) * 2017-06-02 2019-09-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14459B2 (ja) * 2017-06-02 2019-12-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58651B2 (ja) * 2017-12-06 2019-08-14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6551756B2 (ja) * 2017-12-06 2019-07-31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および水まわりシステム
KR102031019B1 (ko) * 2018-03-23 2019-10-11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변좌 장치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US10907334B2 (en) * 2018-06-01 2021-02-0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CN109113149A (zh) * 2018-08-31 2019-01-01 西马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清洗器的防污结构
TWM578312U (zh) * 2018-12-26 2019-05-21 和光工業股份有限公司 Washing toilet seat nozzle that can be sterilized after spraying water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6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39850B2 (ja) * 2019-07-05 2021-09-2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41A (ja) *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0189849A (ja) * 2009-02-16 2010-09-02 Toto Ltd 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6881A (zh) 2021-07-16
CN112878449B (zh) 2022-10-04
US20210164212A1 (en) 2021-06-03
JP2021085314A (ja) 2021-06-03
US11479958B2 (en) 2022-10-25
KR20210067881A (ko) 2021-06-08
CN112878449A (zh) 2021-06-01
TWI755124B (zh) 2022-02-11
JP7380147B2 (ja)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045B1 (ko) 위생 세정 장치
CN110552407B (zh) 卫生洗净装置
WO2016157992A1 (ja) 衛生洗浄装置
KR102445046B1 (ko) 위생 세정 장치
JP700352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9210658A (ja) 衛生洗浄装置
JP7124463B2 (ja) 衛生洗浄装置
CN110552406B (zh) 卫生洗净装置
JP7409052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213489B1 (ko) 위생 세정 장치
JP7333017B2 (ja) 衛生洗浄装置
JP7118360B2 (ja) 衛生洗浄装置
JP2022180742A (ja) 衛生洗浄装置
JP2021085310A (ja) 衛生洗浄装置
JP2022187080A (ja) 衛生洗浄装置
JP2019056250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