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19B1 - 변좌 장치 - Google Patents

변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19B1
KR102031019B1 KR1020190026586A KR20190026586A KR102031019B1 KR 102031019 B1 KR102031019 B1 KR 102031019B1 KR 1020190026586 A KR1020190026586 A KR 1020190026586A KR 20190026586 A KR20190026586 A KR 20190026586A KR 102031019 B1 KR102031019 B1 KR 10203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user
seating
toilet sea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762A (ko
Inventor
타케시 타카키
히로시 츠보이
히토아키 히구치
코지 소노다
케이스케 타시로
토모히로 하라
요 모로토미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541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25654B2/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2Compensating for temperature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Abstract

(과제)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이 상이한 경우이어도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는 변좌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와, 제어부와, 기억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등록 모드와 통상 사용 모드를 갖고, 등록 모드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하는 제 1 공정과,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2 공정과, 제 1 하중값과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구하고, 추정값을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 3 공정을 갖고, 통상 사용 모드는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4 공정과, 추정값과 제 3 하중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Description

변좌 장치{TOILET SEAT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변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좌식 대변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좌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 가능한 변좌 장치가 알려져 있다. 체중을 측정 가능한 변좌 장치는 일반 체중계와 비교해서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측정할 때마다 수납 장소로부터 꺼내 넣는 수고도 들지 않는다. 또한, 좌식 대변기는 사용자가 매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의식하는 일 없이 계속해서 날마다의 체중 관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공고 평 6-85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9-119859호 공보
간이적인 구성에 의해 변좌 장치에서 체중을 측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하중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설치한 하중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가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변좌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화장실의 바닥에 사용자의 발이 닿아버릴 가능성이 있으며, 화장실의 바닥에 사용자의 발이 닿아버리면 사용자의 체중이 발을 통해 바닥에 분산되어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변좌에 가해지지 않게 되어버린다. 또한, 변좌는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축부로부터도 사용자의 체중이 빠져나가버려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가해지지 않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체중 측정 전에 변좌 이외의 부분에 가해지는 체중 상당분의 중량을 실험 등으로 미리 구해 두고, 변좌가 측정한 착좌 하중에 대하여 그 체중 상당분의 중량을 할증하는 변좌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화장실의 바닥이나 변좌의 회동 축부에 분산되는 사용자의 체중은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 등에 의해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실험 등에서 구한 값을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똑같이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하중 센서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이 상이한 경우이어도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는 변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착좌부와, 상기 착좌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갖는 변좌와, 상기 지지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다리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와, 상기 하중 센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행하는 제어부와,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중 측정에 있어서 등록 모드와 통상 사용 모드를 갖고, 상기 등록 모드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하는 제 1 공정과,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하중값과 상기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구하고, 상기 추정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 3 공정을 갖고, 상기 통상 사용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추정값과 상기 제 3 하중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등록 모드에 있어서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미리 구해진 일반적인 실험값이 아니라 사용자의 착좌 하중과 전체 체중에 의거해서 구하여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을 고려하여 바닥이나 회동 축부에 분산되는 하중을 추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을 추정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공정은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해서 착좌 자세를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 및 상기 자세 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에 관한 복수의 상기 제 2 하중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 3 공정은 상기 제 1 하중값과 복수의 상기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상기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복수의 상기 추정값을 구하여 복수의 상기 추정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제 4 공정은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상기 제 3 하중값과, 상기 자세 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착좌 자세를 측정하고, 상기 제 5 공정은 복수의 상기 추정값과, 상기 제 3 하중값과, 상기 제 4 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등록 모드에 있어서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사용자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과 전체 체중에 의거해서 구하여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고려하여 바닥이나 회동 축부에 분산되는 하중을 추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을 추정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자세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하중 분포에 의거하여 상기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착좌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전용의 센서를 설치하는 일 없이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하중 센서에 의해 착좌 자세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변좌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적어도 1개는 상기 변좌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다른 적어도 1개는 상기 변좌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자세 측정부는 전방측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1개의 하중 센서의 검출값과, 후방측에 설치된 상기 다른 적어도 1개의 하중 센서의 검출값의 비율에 따라 상기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하중 센서에 의해 보다 정확한 착좌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식별된 사용자마다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기억부는 식별된 사용자마다 상기 추정값을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식별된 사용자마다의 상기 추정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변좌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추정값을 기억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체격이나 앉는 법이 상이했다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상기 추정값을 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는 추정값은 사용자의 체격의 변화에 의해 상이해져버린다. 그 때문에 아이의 성장, 다이어트 또는 비만화 등에 의해 큰 체격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는 이전에 기억된 추정값으로는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게 되어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큰 체격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도 추정값을 갱신함으로써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상기 제어부에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임의의 타이밍에서 등록 모드를 실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의 추정값을 사용자의 소망의 타이밍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소망의 타이밍에서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어 변좌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추정값을 정기적으로 최신의 값으로 갱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값의 갱신을 잊어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추정값을 정기적으로 최신의 값으로 갱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값의 갱신을 잊어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계시(計時)하는 계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시부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8 내지 제 10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에 실행된 상기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총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변좌 장치를 소정 횟수 이용할 때마다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제 8 내지 제 11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중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이 변좌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격이 소정값 이상 변화되었을 때에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제 1 내지 제 12 중 어느 1개의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상기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이다.
전회의 사용 시로부터 전체 체중의 추정값이 크게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정말로 변화된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자세가 등록 모드의 실행 시와 대폭 상이한 자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변좌 장치에서는 추정된 제 4 하중값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통지부로부터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착좌 자세를 고치도록 통지하거나 측정 에러인 것을 통지하거나 하여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재촉한다. 이에 따라 자세의 변화 등에 의한 측정 오차의 발생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변좌의 지지 다리부에 하중 센서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이 상이한 경우이어도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는 변좌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착좌 하중의 특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a) 및 도 7(b)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착좌 자세 교정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a)~도 13(c)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추정값의 계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추정값의 계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추정값의 계산 방법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구비한 토일렛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일렛 장치(2)는 좌식 대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변기」라고 칭한다)(4)와 변좌 장치(10)를 구비한다. 변좌 장치(10)는 변기(4)의 상부에 설치된다. 변좌 장치(10)는 변기(4)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부착해도 좋고, 변기(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해도 좋다.
변좌 장치(10)는 본체부(12)와, 변좌(14)와, 변기 덮개(16)를 구비한다. 변기 덮개(16)는 변좌 장치(10)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생략 가능하다. 변좌(14)와 변기 덮개(16)는 본체부(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상방」, 「하방」, 「전방」, 「후방」, 「좌측방」, 및 「우측방」 각각은 개방한 변기 덮개(16)에 등을 지고 변좌(14)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변기(4)는 보울부(4a)를 갖는다. 보울부(4a)는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이다. 변기(4)는 보울부(4a)에 있어서 사용자의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을 받는다. 변좌 장치(10)의 본체부(12)는 변기(4)의 보울부(4a)보다 후방의 부분의 위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착좌하기 위한 변좌(14)는 보울부(4a)를 노정시키는 개구부(14a)를 갖는다. 변좌(14)는 내린 상태에 있어서 보울부(4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변기(4) 위에 설치되어 개구부(14a)를 통해 보울부(4a)를 노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좌(14)에 앉은 상태로 보울부(4a)에 배설을 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관통 구멍상의 개구부(14a)가 형성된 소위 O자형의 변좌(14)를 나타내고 있다. 변좌(14)는 O자형에 한정되는 일 없이 U자형 등이어도 좋다. 개구부(14a)는 관통 구멍상에 한정되는 일 없이 노치상이어도 좋다. 사용 상태(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상태)의 변좌(14)를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은 환상 또는 U자상이다.
변좌(14)는 착좌부(14b)를 갖는다. 착좌부(14b)는 본체부(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부분이다. 개구부(14a)는 착좌부(14b)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착좌부(14b)는 O자형 또는 U자형이다.
착좌부(14b)는 회동 축부(14c)를 갖고, 회동 축부(14c)를 통해 본체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회동 축부(14c)는 바꾸어 말하면 힌지부이다. 착좌부(14b)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회동 축부(14c)를 갖는다. 한 쌍의 회동 축부(14c)는 착좌부(14b)의 후단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본체부(12)의 일부는 한 쌍의 회동 축부(14c)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회동 축부(14c)와, 이들 사이의 본체부(12)의 일부가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착좌부(14b)(변좌(14))가 본체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착좌부(14b)의 후단의 중앙 부근에 1개의 회동 축부(14c)를 설치하고, 이 1개의 회동 축부(14c)를 본체부(12)에서 끼움으로써 착좌부(14b)(변좌(14))를 본체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시켜도 좋다.
변좌 장치(10)는 리모컨(18)을 더 구비한다. 리모컨(18)은, 예를 들면 복수의 스위치나 센서 등을 갖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리모컨(18)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본체부(12)와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작 지시를 본체부(12)에 송신한다. 본체부(12)는 리모컨(18)으로부터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본체부(12)로의 조작 지시의 입력은, 예를 들면 본체부(12)에 설치된 조작 패널 등을 통해 행해도 좋다. 즉, 리모컨(18)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생략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는 지지 다리부(14d)를 갖는다. 또한, 변좌 장치(10)는 복수의 하중 센서(20a~20d)를 더 구비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는 편의적으로 변기 덮개(1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14d)는 착좌부(14b)의 저면에 형성되어 착좌부(14b)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다리부(14d)는 변좌(14)를 내려 변기(4) 위에 재치된 상태의 변좌(14)에 사용자 등이 착좌했을 때에 착좌부(14b)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변좌(14)는,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 다리부(14d)를 갖는다.
변좌(14)는, 예를 들면 4개의 지지 다리부(14d)를 갖는다. 4개의 지지 다리부(14d) 중 2개의 지지 다리부(14d)는 변좌(14)의 전방측에 형성되며, 나머지 2개의 지지 다리부(14d)는 변좌(14)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지 다리부(14d) 중 적어도 1개는 변좌(14)의 전방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지지 다리부(14d) 중 다른 적어도 1개는 변좌(14)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4개의 지지 다리부(14d)를 나타내고 있지만, 지지 다리부(14d)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임의의 수이면 좋다. 지지 다리부(14d)의 수는 1개이어도 좋다.
하중 센서(20a~20d)는 지지 다리부(14d)에 설치되어 지지 다리부(14d)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한다. 변좌 장치(10)는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에 의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체중의 측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중 센서(20a~20d)는, 예를 들면 변좌(14)의 지지 다리부(14d)와 변기(4)의 상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지지 다리부(14d)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한다. 하중 센서(20a~20d)에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나 변형 게이지 등이 사용된다. 단, 하중 센서(20a~20d)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중 센서(20a~20d)의 구성은 지지 다리부(14d)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 가능한 임의의 구성이면 좋다.
하중 센서(20a~20d)는, 예를 들면 4개의 지지 다리부(14d) 각각에 설치된다. 하중 센서(20a, 20b)는 변좌(14)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하중 센서(20c, 20d)는 변좌(14)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변좌(14)의 전방측이란, 예를 들면 변좌(14)의 착좌부(14b)(회동 축부(14c) 등을 제외한 부분)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중앙보다 전방측의 부분이다. 하중 센서(20c, 20d)의 위치는 바꾸어 말하면 하중 센서(20a, 20b)보다 후방측의 위치이다. 하중 센서(20c, 20d)의 위치는 하중 센서(20a, 20b)보다 후방측의 임의의 위치이면 좋다.
또한, 하중 센서(20a, 20c)는 변좌(14)의 좌측에 설치되며, 하중 센서(20b, 20d)는 변좌(14)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하중 센서(20a, 20b)는, 예를 들면 변좌(14)의 좌우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중 센서(20c, 20d)는, 예를 들면 변좌(14)의 좌우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단, 하중 센서(20a~20d)의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지지 다리부(14d)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검출 가능한 임의의 위치이면 좋다. 또한, 하중 센서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지지 다리부(14d)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검출 가능한 임의의 수이면 좋다. 하중 센서의 수는 1개이어도 좋다. 하중 센서의 수는 반드시 지지 다리부(14d)의 수와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하중 센서의 수는 지지 다리부(14d)의 수보다 많아도 좋고, 적어도 좋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장치(10)의 본체부(12)는 제어부(30)와, 기억부(32)와, 송수신기(34)와, 국부 세정부(36)와, 노즐(38)과, 자세 측정부(40)와, 전체 체중 추정부(42)와, 계시부(44)와, 카운터(46)를 구비한다. 또한, 변좌 장치(10)의 리모컨(18)은 제어부(50)와, 기억부(52)와, 송수신기(54)와, 표시부(56)(통지부)와, 스피커(58)(통지부)와, 조작부(60)와, 사용자 식별부(62)와, 통신기(64)를 구비한다.
본체부(12)의 제어부(30)는 변좌 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기억부(32)는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제어부(30)는 기억부(32)로부터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판독함으로써 변좌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30)는 하중 센서(20a~20d)와 접속되어 있다. 하중 센서(20a~20d)는 하중의 검출값을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제어부(30)는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행한다. 기억부(32)는 제어부(30)에 의한 체중 측정의 결과를 기억한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의 정보를 순차 기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날마다의 체중의 변화 등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모컨(18)의 제어부(50)는 리모컨(18)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52)는 제어부(50)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 및 기억부(52)의 구성은 제어부(30) 및 기억부(3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 및 기억부(5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기(34)는 리모컨(18)의 송수신기(54)와의 신호의 송수를 행한다. 송수신기(34)는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기(34)는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리모컨(18)의 송수신기(54)에 송신함과 아울러, 리모컨(18)의 송수신기(5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34, 54)를 통해 본체부(12)와 리모컨(18)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송수신기(34, 54)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유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체부(12)로부터 리모컨(18)에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송수신기(34, 54) 대신에 본체부(12)에 수신기를 설치하고, 리모컨(18)에 송신기를 설치하여 리모컨(18)으로부터 본체부(12)로의 신호의 송신만을 행해도 좋다.
리모컨(18)에 설치된 표시부(56) 및 스피커(58)는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거하여 문자, 도안 또는 영상 등의 소정의 표시를 행한다. 표시부(56)에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임의의 표시장치가 사용된다. 스피커(58)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거하여 소정의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부(56)는 문자 등의 표시에 의해 사용자 등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스피커(58)는 음성의 출력에 의해 사용자 등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56) 및 스피커(58)는 사용자 등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로서 기능한다. 단, 통지부는 표시부(56) 및 스피커(58)에 한정되는 일 없이 소정의 통지가 가능한 임의의 부재이면 좋다. 또한, 통지부는 리모컨(18)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체부(12) 등에 형성해도 좋다.
조작부(60)는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60)는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소정의 조작 지시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조작부(60)는, 예를 들면 스위치나 센서 등의 복수의 조작 부재를 갖고, 각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른 복수의 조작 지시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 또한, 조작부(60)는 리모컨(18)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본체부(12) 등에 설치해도 좋다.
본체부(12)에 형성된 국부 세정부(36)는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를 향해 세정수를 토수함으로써 사용자의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국부 세정부(36)는 노즐(38)과 접속되어 있다. 노즐(38)은 선단부에 토수구(38a, 38b)를 갖는다. 또한, 국부 세정부(36)는, 예를 들면 본체부(12) 내에 수납된 위치와, 본체부(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울부(4a) 내에 진출한 위치로 노즐(38)을 진퇴 이동시킨다. 또한, 도 1에는 노즐(38)이 보울부(4a) 내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국부 세정부(36)는 노즐(38)을 보울부(4a) 내에 진출시킨 상태로 토수구(38a) 또는 토수구(38b)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함으로써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한다. 토수구(38a)는, 예를 들면 변좌(14)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하는 비데 세정 토수구이다. 토수구(38b)는, 예를 들면 변좌(14)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하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할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더운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국부 세정부(36)는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리모컨(18)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지시에 의거하여 국부 세정부(36)를 동작시킨다. 리모컨(18)의 조작부(60)는, 예를 들면 세정 버튼이나 정지 버튼 등 국부 세정부(36)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갖는다. 제어부(50)는 조작부(60)로부터 국부 세정부(36)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지시가 입력되면 그 조작 지시를 송수신기(34, 54)를 통해 본체부(12)의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제어부(30)는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라 국부 세정부(36)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컨(18)의 조작부(60)의 조작에 따라 국부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자세 측정부(40)는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한다. 자세 측정부(40)는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있다. 자세 측정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하고, 측정한 착좌 자세를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착좌 자세를 측정한다.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이 후방측의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가 앞으로 기운 착좌 자세라고 측정한다. 반대로, 후방측의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이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가 뒤로 기운 착좌 자세라고 측정한다. 또한,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좌측의 하중 센서(20a, 20c)의 검출값이 우측의 하중 센서(20b, 20d)의 검출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가 좌측으로 기운 착좌 자세라고 측정한다. 반대로 우측의 하중 센서(20b, 20d)의 검출값이 좌측의 하중 센서(20a, 20c)의 검출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가 우측으로 기운 착좌 자세라고 측정한다.
이와 같이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의 비율에 의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한다. 단, 자세 측정부(40)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를 촬영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자세 측정부(40)의 구성은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 가능한 임의의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착좌 자세를 측정할 경우에는 자세 측정부(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별도로 형성해도 좋고, 제어부(3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0)가 자세 측정부(40)로서 기능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자세 측정부(40)에 카메라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자세 측정부(40)는 본체부(12)에 한정되는 일 없이 리모컨(18)에 형성해도 좋고, 본체부(12)나 리모컨(18)과는 별도로 화장실의 벽면 등에 부착해도 좋다. 자세 측정부(40)는 본체부(12)나 리모컨(18)과 별개로 구성되어 유선이나 무선 등을 통해 본체부(12) 또는 리모컨(18)과 접속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자세 측정부(4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 가능하다.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이 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보다 클 때에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한다. 그리고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이 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 이하일 때에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한다. 또한, 자세 측정부(40)는, 예를 들면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이 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보다 소정 이상 클 때에도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한다.
즉, 자세 측정부(40)는 후방 경사로부터의 착좌 자세일 때에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하고, 전방 경사로부터의 착좌 자세일 때에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한다. 그리고 자세 측정부(40)는 과도하게 뒤로 기운 착좌 자세일 때에도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한다. 예를 들면, 과도하게 우측으로 기울었을 때나 과도하게 좌측으로 기울었을 때 등에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해도 좋다.
자세 측정부(4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의 측정 결과를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제어부(30)는 자세 측정부(40)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했을 때에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의 착좌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하중을 보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화장실의 바닥에 발을 댄 상태의 하중(이하, 착좌 하중이라고 칭한다)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이때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보정의 비율을 변경한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예를 들면 국부 세정부(36)의 토수 중에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하중 및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단, 전체 체중 추정부(42)에 의한 사용자의 전체 체중의 추정의 타이밍은 상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임의의 타이밍이면 좋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있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제어부(30)로부터 자세 측정부(40)의 측정 결과가 입력되어 제어부(30)의 제어에 의거하여 전체 체중의 추정을 행한다. 그리고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추정한 전체 체중을 제어부(30)에 입력한다. 또한,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별도로 형성해도 좋고, 제어부(3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0)가 전체 체중 추정부(42)로서 기능해도 좋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를 제어부(30)와 별도로 형성할 경우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본체부(12)에 한정되는 일 없이 리모컨(18) 등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자세 측정부(40)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측정했을 때에 전체 체중의 추정을 실행하여 자세 측정부(40)가 소정의 범위 외라고 측정했을 때에 전체 체중의 추정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되었을 때에 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과,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의 비율에 따라 보정의 비율을 변경한다.
도 4(a) 및 도 4(b)는 착좌 하중의 특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체중에 대한 착좌 하중의 비율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뒤로 기울게 됨에 따라 커진다. 또한, 착좌 하중의 변화의 비율은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게 될수록 커진다. 이것은 앞으로 기울게 될수록 바닥 등에 가해지는 하중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사용자가 과도하게 뒤로 기울게 되면 사용자의 등이 변기 덮개(16)나 후방에 설치되는 탱크 등에 접촉하여 전체 체중에 대한 착좌 하중의 비율이 다시 작아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체중에 대한 착좌 하중의 비율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착좌 위치가 후방측이 됨에 따라 커진다. 따라서,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되었을 때에 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과,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의 비율에 따라 보정의 비율을 변경한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예를 들면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작아지는 보정 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에 이 보정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보정의 비율을 변경하면서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또는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작아지는 보정값을 기억시켜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에 이 보정값을 가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체부(12)의 제어부(30)는 체중 측정에 있어서 등록 모드와 통상 사용 모드를 갖는다. 등록 모드는 제 1 공정과, 제 2 공정과, 제 3 공정을 갖는다. 제 1 공정은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하는 공정이다. 제 2 공정은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바닥에 발을 댄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하는 공정이다. 제 3 공정은 제 1 하중값과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구하고, 추정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키는 공정이다.
통상 사용 모드는 제 4 공정과, 제 5 공정을 갖는다. 제 4 공정은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바닥에 발을 댄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하는 공정이다. 제 5 공정은 추정값과 제 3 하중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공정이다.
또한,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제 4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추정된 제 4 하중값이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통지한다.
리모컨(18)에 형성된 사용자 식별부(62)는 사용자의 식별을 행한다. 사용자 식별부(62)는,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나 제 2 사용자 등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부재를 갖는다. 선택 부재는, 예를 들면 버튼이나 다이얼식의 스위치 등이다. 사용자 식별부(62)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부재의 조작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의 버튼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로 식별하고, 제 2 사용자의 버튼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식별한다.
사용자 식별부(62)는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식별부(62)는 제어부(50)에 사용자의 식별 결과를 입력한다. 제어부(50)는 사용자 식별부(62)로부터 식별 결과가 입력되면 그 식별 결과를 송수신기(34, 54)를 통해 본체부(12)의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제어부(30)는 입력된 사용자의 식별 결과를 바탕으로 식별된 사용자마다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 기억부(32)는 식별된 사용자마다 추정값을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식별된 사용자마다의 추정값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마다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부(62)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식별부(62)는, 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를 촬영하여 얼굴 인증 등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 식별부(62)는 본체부(12)에 설치해도 좋고, 본체부(12) 및 리모컨(18)과는 별개로 설치해도 좋다. 또는 사용자 식별부(62)는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을 바탕으로 체중의 대소 등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 식별부(62)는 제어부(3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0)가 사용자 식별부로서 기능해도 좋다. 사용자 식별부(62)의 구성은 복수의 사용자를 적절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이면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부(62) 및 자세 측정부(40) 각각에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등에는 이들을 겸용시켜도 좋다. 즉, 1대의 카메라를 사용자 식별부(62) 및 자세 측정부(40)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 등록 모드의 동작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추정값을 갱신 가능하다. 조작부(60)는, 예를 들면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제어부(30)에 지시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갖는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조작부(60)의 소정의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른 임의의 타이밍에서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또는 제어부(30)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조작부(60)의 조작에 의거하는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통지한다.
본체부(12)에 형성된 계시부(44)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계시한다. 계시부(44)는, 예를 들면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복수의 사용자마다 계시한다. 제어부(30)는 계시부(44)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고,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 또는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의 통지를 행한다.
본체부(12)에 설치된 카운터(46)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에 실행된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횟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터(46)는, 예를 들면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횟수를 복수의 사용자마다 카운트한다. 제어부(30)는 카운터(46)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여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 또는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제 1 공정에 있어서 제 1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제 4 하중값이 기억부(32)에 기억된 제 1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여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 또는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의 통지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으로부터의 소정 시간의 경과, 등록 모드 실행 후의 통상 사용 모드의 소정 횟수의 실행, 및 등록 모드 실행 후의 사용자의 전체 체중의 소정 이상의 증감 중 어느 하나를 충족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한다. 단, 소정의 조건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정의 조건은 등록 모드의 동작을 다시 실행하여 추정값을 갱신할 필요가 발생하는 임의의 조건이면 좋다.
리모컨(18)에 설치된 통신기(64)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외부 단말(6)과 접속되어 외부 단말(6)과의 통신을 행한다. 변좌 장치(10)는 통신기(64)를 통해 외부 단말(6)과 통신을 행함으로써 외부 단말(6)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기(64)는 제어부(50)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통신기(64)로부터 입력된 전체 체중의 정보를 송수신기(34, 54)를 통해 본체부(12)의 제어부(30)에 입력한다. 외부 단말(6)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 통신 기능을 구비한 체중계 또는 의료 기관에 설치된 단말 등이다. 단, 외부 단말(6)은 이들에 한정되는 일 없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의 정보를 변좌 장치(10)에 입력 가능한 임의의 단말이면 좋다. 또한, 통신기(64)는 리모컨(18)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체부(12)에 설치해도 좋고, 본체부(12) 및 리모컨(18)과는 별개로 설치해도 좋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 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행할 경우에는 우선 사용자 식별 공정이 실행된다(도 5의 스텝(S101)). 사용자는 변좌 장치(10)에서 체중 측정을 행하고 싶을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부(62)에 설치된 선택 부재를 조작하여 자신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식별부(62)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되고, 그 식별 결과가 제어부(30)에 입력된다. 예를 들면, 얼굴 인증 등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사용자의 화장실로의 입실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식별되도록 해도 좋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식별 결과가 입력되면 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5의 스텝(S102)). 즉, 제어부(30)는 기억부(32)에 추정값이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라고 판정했을 경우,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60)를 조작하여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선택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5의 스텝(S103)).
제어부(30)는 등록되어 있지 않는 사용자라고 판정했을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이 선택되었을 경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도 5의 스텝(S104)).
한편, 제어부(30)는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이며, 또한 사용자로부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이 선택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도 5의 스텝(S105)).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a) 및 도 7(b)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사용자 등록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1)). 사용자 등록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와 사용자 식별부(62)의 선택 부재가 관련지어져서 사용자의 등록이 행해진다. 또는 얼굴 인증의 경우 등에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얼굴의 정보가 관련지어져서 사용자의 등록이 행해진다. 등록된 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부(32)에 기억된다.
제어부(30)는 사용자를 등록한 후 전체 체중 취득 공정(제 1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2)). 전체 체중 취득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자세를 취하게 한다. 즉, 변좌(14)에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가해진 자세를 취하게 한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상기 자세를 사용자에게 취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이 상태에 있어서의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한다.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을 취득한 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에 발을 댄 자세를 취하게 한다.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은 상기 측정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외부 단말(6)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취득해도 좋다. 또는 조작부(6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체 체중의 정보를 입력시킴으로써 취득해도 좋다.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을 취득한 후 전체 체중 등록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3)). 전체 체중 등록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전체 체중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한 제 1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때 제어부(30)는 취득한 제 1 하중값, 즉 측정한 전체 체중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 후 착좌 자세 측정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4)). 제어부(30)는 바닥에 발을 대고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자세 측정부(40)에 측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자세 측정부(40)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6의 스텝(S205)).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외라고 판정했을 경우, 자세 측정부(40)에 의한 착좌 자세의 측정 및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반복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에 발을 대고 변좌(14)에 착좌하고, 또한 등근육을 늘린 옳은 착좌 자세를 취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계속해서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2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6)).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바닥에 발을 댄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한다.
제어부(30)는 제 2 하중값을 측정한 후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제 3 공정)을 실행한다(도 6의 스텝(S207)).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과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구하고, 추정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제 1 하중값으로부터 제 2 하중값을 감산한 값을 추정값으로서 구한다. 이에 따라 이하의 통상 사용 모드에서는 착좌 하중에 추정값을 가산함으로써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용이하게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사용자 식별 공정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01)). 제어부(30)는 사용자 식별부(62)로부터 입력되는 식별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추정값을 기억부(32)로부터 판독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식별된 사용자마다의 추정값을 사용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그 사용자의 추정값을 판독한 후 착좌 자세 측정 공정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02)). 통상 사용 모드에서는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에 발을 댄 자세를 취하게 한다(도 7(b) 참조). 착좌 자세 측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바닥에 발을 대고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자세 측정부(40)에 측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자세 측정부(40)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03)).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외라고 판정했을 경우, 자세 측정부(40)에 의한 착좌 자세의 측정 및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반복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에 발을 대고 변좌(14)에 착좌하고, 또한 등근육을 늘린 옳은 착좌 자세를 취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의 착좌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도 8의 스텝(S304)).
제어부(30)는 착좌 자세의 유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한 후 국부 세정부(36)가 토수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05)).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0)는 국부 세정부(36)(노즐(38))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기 위한 조작 지시가 조작부(60)로부터 입력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0)는 토수 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이것에 응답하여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4 공정)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06)).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바닥에 발을 댄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국부 세정부(36)의 토수 중에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착좌 하중을 검출한다.
제어부(30)는 제 3 하중값을 측정한 후 전체 체중 추정 공정(제 5 공정)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07)). 전체 체중 추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제 3 하중값을 바탕으로 전체 체중 추정부(42)에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시킨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제 3 하중값 및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이때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보정의 비율을 변경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제 3 하중값을 보정한다. 이후 제어부(30)는 추정값과 보정 후의 제 3 하중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제 3 하중값을 보정하면서 등록 모드에 있어서 취득된 추정값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 후 추정된 체중이 등록 모드에서 등록된 체중(제 1 하중값)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08)). 제어부(30)는 소정 범위 외라고 판정했을 경우, 착좌 자세 교정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09)).
제어부(30)는 소정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계속해서 추정된 체중(보정 후의 제 4 하중값)이 등록 모드에서 등록된 전체 체중(제 1 하중값)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10)).
제어부(30)는 소정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계속해서 계시부(44)의 계시를 참조함으로써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11)).
제어부(30)는 소정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계속해서 카운터(46)의 횟수를 참조함으로써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통상 사용 모드를 실행한 횟수가 소정 횟수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의 스텝(S312)).
제어부(30)는 소정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전체 체중 등록 공정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13)). 전체 체중 등록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추정한 전체 체중의 정보(보정 후의 제 4 하중값)를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때 제어부(30)는 취득한 제 4 하중값, 즉 측정한 전체 체중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한편, 제어부(30)는 스텝(S310~S312)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있어서 소정 범위 외라고 판정했을 경우,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 또는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도 8의 스텝(S314)).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할지 또는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할지는, 예를 들면 조작부(60)의 조작 등에 의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스텝(S310~S312)의 처리는 순서부동이며, 교체 가능하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착좌 자세 교정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착좌 자세 교정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사용자에게 착좌 자세를 고치게 하도록 통지한다(도 9의 스텝(S401)).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전체 체중(제 4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추정된 전체 체중이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의 통지부로부터 통지를 행한다.
제어부(30)는 통지를 행한 후 착좌 자세 측정 공정을 실행한다(도 9의 스텝(S402)). 착좌 자세 측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바닥에 발을 대고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자세 측정부(40)에 측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자세 측정부(40)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9의 스텝(S403)).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외라고 판정했을 경우, 착좌 자세를 고치게 하기 위한 통지, 자세 측정부(40)에 의한 착좌 자세의 측정, 및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반복한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판정했을 경우, 착좌 하중 측정 공정 및 전체 체중 추정 공정의 동작을 다시 실행한다(도 9의 스텝(S404, S405)). 착좌 하중 측정 공정 및 전체 체중 추정 공정의 동작은 도 8의 스텝(S306, S307)에 관해서 설명한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착좌 자세 교정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사용자에게 등록 모드를 행하는 것을 통지한다(도 10의 스텝(S501)).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자세를 취하게 하도록 통지한다.
제어부(30)는 통지를 행한 후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도 10의 스텝(S502)).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자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의 변화 등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자세를 취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자가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자세를 취했다고 판정된 것에 응답하여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등록 모드를 다시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도 11의 스텝(S601)).
제어부(30)는 통지를 행한 후, 예를 들면 조작부(60)의 소정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선택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11의 스텝(S602)).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다(도 11의 스텝(S603)).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수동 재등록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의 통지부로부터 통지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10)에서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미리 구해진 일반적인 실험값이 아니라 사용자의 착좌 하중과 전체 체중에 의거해서 구하여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매회 발을 올리는 일 없이 화장실의 바닥에 발을 댄 상태로 사용자의 체격이나 앉는 법의 습관을 고려한 정확한 전체 체중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변좌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추정값을 기억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체격이나 앉는 법이 상이했다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는 추정값은 사용자의 체격의 변화에 의해 상이해져버린다. 그 때문에 아이의 성장, 다이어트 또는 비만화 등에 의해 큰 체격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는 이전에 기억된 추정값으로는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게 되어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이 변좌 장치(10)에 의하면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큰 체격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도 추정값을 갱신함으로써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조작부(60)의 조작에 따른 임의의 타이밍에서 등록 모드를 실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의 추정값을 사용자의 소망의 타이밍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소망의 타이밍에서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어 변좌 장치(10)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제어부(30)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에 따라 추정값을 정기적으로 최신의 값으로 갱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값의 갱신을 잊어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제어부(30)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의 통지부로부터 통지한다. 이에 따라 추정값을 정기적으로 최신의 값으로 갱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값의 갱신을 잊어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제어부(30)가 계시부(44)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제어부(30)가 카운터(46)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좌 장치(10)를 소정 횟수 이용할 때마다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제어부(30)가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제 4 하중값이 기억부(32)에 기억된 제 1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격이 소정값 이상 변화되었을 때에 추정값을 갱신할 수 있거나 또는 갱신의 필요를 사용자에게 의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전회의 사용 시로부터 전체 체중의 추정값이 크게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이 정말로 변화된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자세가 등록 모드의 실행 시와 대폭 상이한 자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변좌 장치(10)에서는 추정된 제 4 하중값이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의 통지부로부터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착좌 자세를 고치도록 통지하거나 측정 에러인 것을 통지하거나 해서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재촉한다. 이에 따라 자세의 변화 등에 의한 측정 오차의 발생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착좌 자세에 따라 변동하는 화장실의 바닥에 분산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고려하면서 전체 체중 추정부(42)가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하중을 보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원 발명자는 변좌(14)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체중을 측정하는 변좌 장치(10)에 있어서는 모든 자세로부터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극단적인 뒤로 기운 자세이었을 경우,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뿐만 아니라 변좌(14)의 힌지의 부분 등으로부터도 사용자의 체중이 분산되어버린다. 또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극단적인 앞으로 기운 자세이었을 경우, 바닥에 분산되는 하중의 비율이 증가해버린다. 또한, 사용자가 앞으로 기운 자세를 취하여 난간 등을 쥐고 있을 경우에는 난간 등으로부터도 사용자의 체중이 분산되어버린다. 이에 대하여 이 변좌 장치(10)에서는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전체 체중의 추정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많은 시행의 결과, 전체 체중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적합한 자세란 하중 센서(20a~20d)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자세인 것을 발견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근육을 확실히 늘린 상태로 착좌한 자세인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자세를 하고 있을 경우, 엉덩이로부터 등, 머리에 이르기까지의 착좌 하중이 후방측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에 대하여 가해지고, 허벅지의 착좌 하중이 전방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에 대하여 가해지기 때문에 변좌(14)의 후방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 쪽이 전방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이 변좌 장치(10)에서는 후방에 설치된 하중 센서(20c, 20d)의 검출값 쪽이 전방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 20b)의 검출값보다 큰 착좌 자세가 측정되었을 때의 착좌 하중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변좌 장치(10)에서는 전후에 설치된 하중 센서(20a~20d)의 검출값의 비에 따라 사용자가 전후로 기운 자세를 하고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자세의 기울기에 따라 전체 체중을 추정할 때의 하중의 보정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다.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소정 기간에 걸쳐서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 내의 착좌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변좌 장치(10)에서는 자세 측정부(40)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측정했을 때에 소정의 범위 내의 착좌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표시부(56), 스피커(58))를 구비함으로써 착좌 자세의 유지를 사용자에게 재촉하여 보다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많은 시행의 결과, 전체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착좌 자세뿐만 아니라 착좌 위치도 중요한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는 매회 동일 위치를 의식해서 착좌하는 것은 어렵지만 사용자가 국부 세정부(36)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국부 세정부(36)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위치와 국부의 위치를 맞추기 때문에 대체로 동일 위치에 착좌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변좌 장치(10)에서는 국부 세정부(36)의 토수 중에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하중 및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좌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보다 정확한 체중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국부 세정부(36)의 토수 중에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4 공정)을 실행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착좌 자세가 소정의 범위 내라고 판정된 것에 응답하여 착좌 하중 측정 공정을 실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체 체중 추정 공정(제 5 공정)에 있어서 등록 모드에서 취득된 지령값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면서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제 4 하중값을 더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고 있다. 전체 체중의 추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지령값과 제 3 하중값에 의거하는 추정만이어도 좋고, 전체 체중 추정부(42)에 의한 착좌 하중의 보정에 의거하는 추정만이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변좌 장치의 등록 모드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a)~도 13(c)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개시하면 우선 사용자 등록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1)). 사용자 등록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와 사용자 식별부(62)의 선택 부재가 관련지어져서 사용자의 등록이 행해진다. 또는 얼굴 인증의 경우 등에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얼굴의 정보가 관련지어져서 사용자의 등록이 행해진다. 등록된 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부(32)에 기억된다.
제어부(30)는 사용자를 등록한 후 전체 체중 취득 공정(제 1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2)). 전체 체중 취득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계(WS)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체 체중을 측정시킨 후 외부 단말(6) 또는 리모컨(18)의 조작부(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체 체중의 정보를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외부 단말(6) 또는 조작부(60)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체중계(WS)를 외부 단말(6)로 함으로써 체중계(WS)에서의 전체 체중의 측정에 따라 제어부(30)에 자동적으로 전체 체중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해도 좋다.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을 취득한 후 전체 체중 등록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3)). 전체 체중 등록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전체 체중 취득 공정에 있어서 취득한 제 1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 후 제 1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2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4)). 제 1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제 1 착좌 자세를 취하게 한다.
제 1 착좌 자세는,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기운 후방 경사의 자세이다. 제 1 착좌 자세는 바꾸어 말하면 발을 올린 후방 경사 자세이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착좌 자세를 사용자에게 취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이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제 1 착좌 자세를 자세 측정부(40)에 측정시킨다.
제어부(30)는 제 1 착좌 자세에 있어서의 제 2 하중값을 측정한 후 제 2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2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5)). 제 2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제 2 착좌 자세를 취하게 한다.
제 2 착좌 자세는 제 1 착좌 자세와 상이한 자세이다. 제 2 착좌 자세는, 예를 들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기운 전방 경사의 자세이다. 제 2 착좌 자세는 바꾸어 말하면 발을 올린 전방 경사 자세이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제 1 착좌 자세를 발을 올린 전방 경사 자세로 하고, 제 2 착좌 자세를 발을 올린 후방 경사 자세로 해도 좋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표시부(56) 및 스피커(58)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착좌 자세를 사용자에게 취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이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제 2 착좌 자세를 자세 측정부(40)에 측정시킨다.
이와 같이 이 예에 있어서 제 2 공정은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해서 착좌 자세를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 및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에 관한 복수의 제 2 하중값을 측정한다.
제어부(30)는 복수의 제 2 하중값을 측정한 후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제 3 공정)을 실행한다(도 12의 스텝(S216)).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제 1 하중값과 복수의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복수의 추정값을 구하고, 복수의 추정값을 기억부(32)에 기억시킨다. 이상으로부터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14 및 도 15는 추정값의 계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Mg는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나타낸다.
F1은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가 지지하는 하중을 나타낸다.
F2는 후방측의 하중 센서(20c, 20d)가 지지하는 하중을 나타낸다.
F3은 변좌(14)의 회동 축부(14c)가 지지하는 하중을 나타낸다.
L1은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로부터 체중의 중심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L2는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로부터 후방측의 하중 센서(20c, 20d)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L3은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로부터 변좌(14)의 회동 축부(14c)까지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중 하중(F1, F2)은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취득 가능하다. 거리(L2, L3)는 변좌(14)를 측정함으로써 취득 가능하다. 또한, 등록 모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체중 취득 공정에 있어서 전체 체중(Mg)(제 1 하중값)이 취득된다. 한편, 하중(F3) 및 거리(L1)는 미지의 변수이다.
전체 체중(Mg)은 다음 (1)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Mg=F1+F2+F3···(1)
또한,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 주위의 모멘트의 균형은 다음 (2)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Mg×L1=F2×L2+F3×L3···(2)
상기 (1)식 및 (2)식으로부터 거리(L1)는 다음 (3)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1=(F2×L2+(Mg-F1-F2)×L3)/Mg···(3)
제어부(30)는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 있어서 제 1 하중값과 복수의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3)식에 의해 제 1 착좌 자세일 때의 거리(L1)(이하, 거리(L1a)라고 칭한다)와, 제 2 착좌 자세일 때의 거리(L1)(이하, 거리(L1b)라고 칭한다)를 복수의 추정값으로서 취득한다.
또한, 사용자의 전방 경사 및 후방 경사의 상태(착좌 자세)는 전방측의 하중 센서(20a, 20b)의 하중(F1)과 후방측의 하중 센서(20c, 20d)의 하중(F2)의 비율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자세 측정부(40)는 다음 (4)식으로 표현되는 전방 하중비(Z)를 착좌 자세로서 구한다.
Z=F1/(F1+F2)···(4)
자세 측정부(40)는 복수의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4)식에 의해 제 1 착좌 자세일 때의 전방 하중비(Z)(이하, 전방 하중비(Za)라고 칭한다)와, 제 2 착좌 자세일 때의 전방 하중비(Z)(이하, 전방 하중비(Zb)라고 칭한다)를 구한다.
제어부(30)는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 있어서 거리(L1a, L1b)를 복수의 추정값으로서 구함과 아울러, 전방 하중비(Za, Zb)를 복수의 추정값으로서 구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한 거리(L1a, L1b) 및 전방 하중비(Za, Zb)를 바탕으로 전방 하중비(Z)와 거리(L1)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CC)을 구한다. 제어부(30)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 등록 공정에서 등록된 사용자마다 상기 검량선(CC)을 구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부(30)는 통상 사용 모드의 착좌 하중 측정 공정(예를 들면, 도 8의 스텝(S306))일 때에 변좌(14)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자세를 취하게 한다. 이 예의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서는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변좌(14)에 착좌하고, 바닥으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 있어서 하중 센서(20a~20d)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함과 아울러, 자세 측정부(40)에 전방 하중비(Z)를 착좌 자세로서 측정시킨다.
그리고 이 예의 전체 체중 추정 공정(예를 들면, 도 8의 스텝(S307))에서는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제 3 하중값과, 복수의 지령값과, 자세 측정부(4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한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사용자 식별 공정(예를 들면, 도 8의 스텝(S301))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복수의 추정값을 기억부(32)로부터 판독하고, 그 사용자의 검량선(CC)을 복수의 추정값으로부터 구한다.
이후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자세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전방 하중비(Z)와 검량선(CC)을 바탕으로 통상 사용 모드의 착좌 하중 측정 공정일 때의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대응하는 거리(L1)를 구한다.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착좌 하중 측정 공정일 때의 거리(L1)를 구한 후 상기 (1)식 및 (2)식으로부터 산출한 다음 (5)식에 의해 변좌(14)의 회동 축부(14c)에 가해지는 하중(F3)을 추정한다.
F3=(F2×L2-F1×L1-F2×L1)/(L1-L3)···(5)
그리고 전체 체중 추정부(42)는 상기 (1)식에 의해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한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등록 모드에 있어서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복수의 추정값을 사용자의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과 전체 체중에 의거해서 구하여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고려하여 회동 축부(14c)에 분산되는 하중을 추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착좌 하중 측정 공정(제 2 공정)에 있어서 제 1 착좌 자세 및 제 2 착좌 자세의 2개의 자세에 의거하는 추정값을 취득하고 있다.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의 착좌 자세의 추정값을 취득해도 좋다. 이 경우 검량선(CC)은 복수의 추정값에 의거하는 곡선상으로 해도 좋고, 복수의 추정값에 의거하는 근사 직선으로 해도 좋다. 착좌 하중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착좌 자세의 수(취득하는 추정값의 수)는 적어도 직선상의 검량선(CC)을 생성 가능한 임의의 수이면 좋다.
도 16은 추정값의 계산 방법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 있어서 제 1 착좌 자세일 때의 거리(L1a)와, 제 2 착좌 자세일 때의 거리(L1b)를 복수의 추정값으로서 취득하고, 거리(L1a, L1b) 및 전방 하중비(Za, Zb)를 바탕으로 전방 하중비(Z)와 거리(L1)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CC)을 구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체중 추정값 취득 공정에 있어서 제 1 착좌 자세일 때의 회동 축부(14c)의 하중(F3a)과, 제 2 착좌 자세일 때의 회동 축부(14c)의 하중(F3b)을 복수의 추정값으로서 취득하고, 하중(F3a, F3b) 및 전방 하중비(Za, Zb)를 바탕으로 전방 하중비(Z)와 하중(F3)의 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CC)을 구해도 좋다.
하중(F3a, F3b)은 상기 (1)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는 자세 측정부(40)에서 측정된 전방 하중비(Z)와 검량선(CC)을 바탕으로 통상 사용 모드의 착좌 하중 측정 공정일 때의 사용자의 착좌 자세에 대응하는 하중(F3)을 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1)식에 의해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고려하여 회동 축부(14c)에 분산되는 하중을 추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전체 체중을 추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변좌 장치(1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 토일렛 장치 4: 변기
6: 외부 단말 10: 변좌 장치
12: 본체부 14: 변좌
16: 변기 덮개 18: 리모컨
20a~20d: 하중 센서 30: 제어부
32: 기억부 34: 송수신기
36: 국부 세정부 38: 노즐
40: 자세 측정부 42: 전체 체중 추정부
44: 계시부 46: 카운터
50: 제어부 52: 기억부
54: 송수신기 56: 표시부
58: 스피커 60: 조작부
62: 사용자 식별부 64: 통신기

Claims (13)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사용자가 착좌하는 착좌부와, 상기 착좌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를 갖는 변좌와,
    상기 지지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다리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와,
    상기 하중 센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행하는 제어부와,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중 측정에 있어서 등록 모드와 통상 사용 모드를 갖고,
    상기 등록 모드는,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1 하중값을 취득하는 제 1 공정과,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2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하중값과 상기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값을 구하고, 상기 추정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제 3 공정을 갖고,
    상기 통상 사용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제 3 하중값을 측정하는 제 4 공정과,
    상기 추정값과 상기 제 3 하중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제 5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의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공정은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해서 착좌 자세를 변화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 및 상기 자세 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착좌 하중에 관한 복수의 상기 제 2 하중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 3 공정은 상기 제 1 하중값과 복수의 상기 제 2 하중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착좌 자세마다의 상기 착좌 하중으로부터 사용자의 전체 체중을 추정하기 위한 복수의 상기 추정값을 구하여 복수의 상기 추정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제 4 공정은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착좌 하중에 관한 상기 제 3 하중값과, 상기 자세 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착좌 자세를 측정하고,
    상기 제 5 공정은 복수의 상기 추정값과, 상기 제 3 하중값과, 상기 제 4 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착좌 자세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전체 체중에 관한 제 4 하중값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자세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하중 분포에 의거하여 상기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적어도 1개는 상기 변좌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중 센서의 다른 적어도 1개는 상기 변좌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자세 측정부는 전방측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1개의 하중 센서의 검출값과, 후방측에 설치된 상기 다른 적어도 1개의 하중 센서의 검출값의 비율에 따라 상기 착좌 자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식별된 사용자마다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기억부는 식별된 사용자마다 상기 추정값을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식별된 사용자마다의 상기 추정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상기 추정값을 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상기 제어부에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의 실행을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계시하는 계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시부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드의 동작을 실행한 후에 실행된 상기 통상 사용 모드의 동작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총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중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1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추정된 상기 제 4 하중값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상기 제 4 하중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벗어났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KR1020190026586A 2018-03-23 2019-03-08 변좌 장치 KR102031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5711 2018-03-23
JP2018055711 2018-03-23
JPJP-P-2018-245412 2018-12-27
JP2018245412A JP7125654B2 (ja) 2018-03-23 2018-12-27 便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762A KR20190111762A (ko) 2019-10-02
KR102031019B1 true KR102031019B1 (ko) 2019-10-11

Family

ID=679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586A KR102031019B1 (ko) 2018-03-23 2019-03-08 변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36474B2 (ko)
KR (1) KR102031019B1 (ko)
CN (1) CN1102923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89048A1 (en) * 2019-03-13 2020-09-17 David R. Hall Toilet with soft tissue hardness tester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11617480B2 (en) 2020-09-29 2023-04-04 Harrell Edward Wimberly Ergonomic toilet seat apparatus and assembly
USD1017001S1 (en) 2021-07-22 2024-03-05 Harrell Edward Wimberly Ergonomic toilet seat and l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1A (ja)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体重測定機能付き便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656A (en) * 1984-04-02 1987-10-06 Canecaude Emmanuel De Device for weighing individuals on a toilet seat
JPH09119859A (ja) 1995-10-26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体重計
US7437781B2 (en) * 2005-09-16 2008-10-21 Pleo Originals, Llc Toilet seat cover scale device
KR20130027329A (ko) * 2011-09-07 2013-03-15 최지선 체중계가 장착된 변기커버 및 비데
JP6214078B2 (ja) * 2013-04-12 2017-10-18 株式会社Lixil 便器用体重計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便器
US10292658B2 (en) * 2015-06-23 2019-05-21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analyses of seated individual
KR20170097405A (ko) * 2016-02-18 2017-08-2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및 비데 제어 방법
US9867513B1 (en) * 2016-09-06 2018-01-16 David R. Hall Medical toilet with user authentication
US9927302B1 (en) * 2016-09-27 2018-03-27 David R. Hall In-toilet apparatus for discrimination of urine and feces
JP2018110607A (ja) * 2017-01-06 2018-07-19 株式会社Lixil 測定装置
CN106943071A (zh) * 2017-03-24 2017-07-14 中山市美图塑料工业有限公司 一种体重检测智能马桶系统及人体脂肪成分分析方法
CN107224239A (zh) * 2017-07-18 2017-10-03 上海勤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
CN107788896A (zh) * 2017-11-24 2018-03-13 张穗波 马桶盖及智能家居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1A (ja) 1999-09-07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体重測定機能付き便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2325B (zh) 2021-03-09
US20190290079A1 (en) 2019-09-26
CN110292325A (zh) 2019-10-01
KR20190111762A (ko) 2019-10-02
US10736474B2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019B1 (ko) 변좌 장치
JP5163197B2 (ja) 姿勢評価装置
JP7125654B2 (ja) 便座装置
JP6579351B2 (ja) 生体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状態推定方法
EP2017590B1 (en) Biometric apparatus
JP2009068984A (ja) 重量測定装置
JPH09119859A (ja) 体重計
JP7046313B2 (ja) 便座装置
US11504626B2 (en) Seat system and seat experience device
JP7339602B2 (ja) 便座装置
JP5590495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20100030427A (ko) 원격 건강관리를 위한 무자각적 변좌형 체중측정 시스템
JP2012085869A (ja) 洋式便器用便座装置
JP7208485B2 (ja) シートシステム
WO2020166248A1 (ja) シー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070201A (ja) 体重測定機能付き便座装置
JP2006247181A (ja) 便座装置
JPH04367638A (ja) 体重測定機能を備えた便器
JP2021151324A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5964B2 (ja) 体重計
JP2009055995A (ja) 生体測定装置
JP2021151317A (ja) 便座装置
KR200328178Y1 (ko)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US11371876B2 (en) Neonatal care system with weight measurement
KR100791445B1 (ko) 앉은키 측정기능을 갖는 선키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