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48B1 - 핸드레일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48B1
KR101969448B1 KR1020180095027A KR20180095027A KR101969448B1 KR 101969448 B1 KR101969448 B1 KR 101969448B1 KR 1020180095027 A KR1020180095027 A KR 1020180095027A KR 20180095027 A KR20180095027 A KR 20180095027A KR 101969448 B1 KR101969448 B1 KR 10196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wall
handrail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선
박인근
장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9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25Lighting syste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볼트공을 구비하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결합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LED 모듈;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ED 모듈로부터의 빛(光)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광 확산용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조명장치{Handrail lamp device}
본 발명은,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엘리베이터와 함께 건물 내에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최적의 교통수단이다. 승객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에 마련되는 핸드레일(handrail)을 잡고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에 탑승한 후, 상하층 혹은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에스컬레이터는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많은 승객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백화점, 공항, 호텔 등 각종 대형 건물이나 지하철 등에서 널리 이용된다.
한편, 종전과 달리, 최근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는 고객을 유치하면서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물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특히 조명수단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존하는 조명수단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특히, 부피가 커서 설치와 유지보수 측면에서 상당히 부족하며, 특히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아 실질적으로 기피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0261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212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588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70278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볼트공을 구비하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결합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LED 모듈;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ED 모듈로부터의 빛(光)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광 확산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지지되되 상기 볼트공이 형성되는 외측벽 스커트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촉지지되게 단부가 절곡되는 내측벽 절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이 슬라이딩 결합되게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서 상호간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광 확산용 커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다수의 볼트공을 구비하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결합되는 장치 프레임;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는 고휘도 LED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LED 모듈;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ED 모듈로부터의 빛(光)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광 확산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은, 횡단면의 폭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 U자형 폭과 동일한 사이즈를 이루며,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메인 공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지지되되 상기 볼트공이 형성되는 외측벽 스커트부; 상기 격벽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벽 스커트부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촉지지되게 단부가 절곡되되 상기 레일 프레임과의 사이에 서브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내측벽 절곡 지지부; 상기 격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모듈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서 상호간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광 확산용 커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용 커버는, 상기 고휘도 LED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조명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단계적인 시공 공정도이다.
도 7은 장치 프레임과 광 확산용 커버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확산시트의 배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이미지,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단계적인 시공 공정도, 도 7은 장치 프레임과 광 확산용 커버의 단면 분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는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는 승객의 이동수단 중에서도 특히, 에스컬레이터(1)의 핸드레일(40) 영역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1)는 연속 체인의 구조로서 상하로 움직이되 승객이 밟고 올라서는 디딤판(10)과, 디딤판(10)의 측벽을 이루는 강화유리(20)와, 강화유리(20)와 핸드레일(40)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30, 도 3 참조)과, 레일 프레임(3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드레일(40)을 포함한다. 강화유리(20)와 레일 프레임(30) 사이에는 유리지지부(25)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1)의 구조에서 레일 프레임(30)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100)가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특히, 도 3처럼 핸드레일 조명장치(100)가 강화유리(20)의 외측에 배치되기는 하지만 핸드레일 조명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고효율 빛이 강화유리(20)의 바깥쪽은 물론이거니와 강화유리(20)의 내측을 투과해서 디딤판(10) 쪽으로 향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40) 영역을 비롯해서 디딤판(10)을 포함하는 그 주변까지 밝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적인 아름다움은 물론 승객 안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에스컬레이터(1)가 도시되었으나 무빙워크가 에스컬레이터(1)와 디딤판(10)의 형태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미도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10), LED 모듈(130), 그리고 광 확산용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10)은 핸드레일(40)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30)의 외벽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장치 프레임(110)은 볼트(B)에 의해 레일 프레임(30)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도록 장치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프레임(110)은 프레임 바디(112), 격벽부(115), 외측벽 스커트부(116), 내측벽 절곡 지지부(117),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118), 그리고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10)이 프레임 바디(112), 격벽부(115), 외측벽 스커트부(116), 내측벽 절곡 지지부(117),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118), 그리고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들 구조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의 압출성형에 의해 장치 프레임(110)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12)는 장치의 외관을 이룬다. 프레임 바디(112)는 그 횡단면의 폭이 레일 프레임(30)의 일측 U자형 폭, 예컨대 12mm와 동일한 사이즈를 이룬다. 따라서 장치 프레임(110)을 레일 프레임(30)에 설치했을 때,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아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특히, 협소한 장소인 레일 프레임(30)에 프레임 바디(112)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 바디(112)의 내부에는 메인 공간부(113)가 형성된다. 메인 공간부(113)는 빛이 확산되기 위한 충분한 장소를 이룬다. 물론, 메인 공간부(113)에 전선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격벽부(115)는 프레임 바디(1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프레임 바디(11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시킨다. LED 모듈(130)이 격벽부(115)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벽 스커트부(116)는 격벽부(115)의 상부 영역에서 프레임 바디(112)의 일측에 형성되며, 레일 프레임(30)의 외벽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외측벽 스커트부(116)에 다수의 볼트공(111)이 형성된다.
내측벽 절곡 지지부(117)는 격벽부(115)의 상부 영역에서 프레임 바디(112)의 타측에 형성되되 외측벽 스커트부(116)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내측벽 절곡 지지부(117)는 레일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접촉지지되게 단부가 절곡되되 레일 프레임(30)과의 사이에 서브 공간부(114)가 형성되게 한다. 서브 공간부(114)에도 LED 모듈(130)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118)는 격벽부(115)와의 사이에 LED 모듈(130)의 인쇄회로기판(13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모듈 결합 공간부(119)가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112)의 내벽에서 상호간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
LED 모듈(130)이 모듈 결합 공간부(119)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LED 모듈(130)이 흔들리지 않고 제자리를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는 프레임 바디(11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광 확산용 커버(1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에 광 확산용 커버(140)의 걸림 결합부(142)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LED 모듈(130)은 장치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일종의 광센서이다. 이러한 LED 모듈(130)은 장치 프레임(110)의 모듈 결합 공간부(119)에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131, PCB)과, 인쇄회로기판(131)에 탑재되는 고휘도 LED(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휘도 LED(132)가 적용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넓은 장소로의 빛 발산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암부 즉 흑점이 발생하지 않는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부 환경이 한층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휘도 LED(132)가 적용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고휘도 LED(132)는 인쇄회로기판(131) 상에 다수 개 탑재될 수 있는데, 고휘도 LED(132)는 무색을 비롯하여 여러 칼라의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선택사항이다.
광 확산용 커버(140)는 장치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LED 모듈(130)의 고휘도 LED(132)로부터의 빛(光)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 확산용 커버(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광 확산용 커버(140)는 고휘도 LED(132)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는 커버 바디(141)와, 커버 바디(141)의 일측에 형성되고 장치 프레임(110)의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광 확산용 커버(140)가 장치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라서 LED 모듈(130)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손상되기 쉬운 LED 모듈(13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를 에스컬레이터(1)의 레일 프레임(3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도 4 내지 도 6의 구조와 달리, 장치 프레임(110), LED 모듈(130), 그리고 광 확산용 커버(140)가 모두 조립된 완제품 상태에서 핸드레일 조명장치(100)를 에스컬레이터(1)의 레일 프레임(30)에 볼트(B)로 한 번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핸드레일 조명장치(100)가 조립된 후, 핸드레일 조명장치(100)의 LED 모듈(130)로 전원을 인가하면 LED 모듈(130)에 마련되는 고휘도 LED(132)로부터의 빛(光)이 강화유리(20)의 바깥쪽은 물론이거니와 강화유리(20)의 내측을 투과해서 디딤판(10) 쪽으로 향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40) 영역을 비롯해서 디딤판(10)을 포함하는 그 주변까지 밝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적인 아름다움은 물론 승객 안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40)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40)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의 설치 상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확산시트의 배치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200) 역시, 레일 프레임(3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프레임(210)과, 인쇄회로기판(131) 및 고휘도 LED(131)를 구비하는 LED 모듈(130)과, 장치 프레임(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 확산용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프레임(210)은 프레임 바디(112), 격벽부(115), 외측벽 스커트부(116), 내측벽 절곡 지지부(117),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118), 그리고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구성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200)는 프레임 바디(112)의 내벽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형 반사판(270)과, 광 확산용 커버(140)가 위치되는 프레임 바디(112)의 내벽에 마련되는 시트 지지대(223)와, 광 확산용 커버(140)와 시트 지지대(223) 사이에 차례로 배치되어 LED 모듈(130)의 고휘도 LED(131)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서로 다른 형태의 제1 및 제2 확산시트(291,292)를 포함한다.
경사형 반사판(270)들은 프레임 바디(112)의 내벽에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고휘도 LED(131)에서 발생되는 빛 중에서 LED 모듈(130) 측으로 향하는 반사광을 다시 광 확산용 커버(14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빛의 사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시트 지지대(223)는 프레임 바디(112)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 및 제2 확산시트(291,292)를 지지한다.
제1 및 제2 확산시트(291,292)는 LED 모듈(130)의 고휘도 LED(131)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형태가 서로 다르다.
제1 확산시트(291)는 제1 시트 지지대(291a)와, 제1 시트 지지대(291a)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사다리꼴 단면 프리즘 패턴(29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확산시트(292)는 제2 시트 지지대(292a)와, 제2 시트 지지대(292a)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 프리즘 패턴(292b)을 포함한다.
이때, 사다리꼴 단면 프리즘 패턴(291b)들의 배열 방향과 삼각형 단면 프리즘 패턴(292b)들의 배열 방향은 상호간 교차된다. 따라서 빛의 확산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확산시트(291,292)를 광 확산용 커버(140)의 내벽에 개치하여 시트 지지대(223)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빛의 확산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즉 고휘도 LED(131)에서 발생되는 빛이 제2 확산시트(292)와 제1 확산시트(291)에 순차적으로 부딪힌 후, 외부로 확산됨에 따라 좀 더 넓은 상태로 빛이 확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좀 더 밝은 빛을 넓은 범위로 확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에스컬레이터(1)는 전력이 낭비되지 않게 승객이 탑승할 때만 움직이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LED 모듈(130) 역시, 계속 온(on)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에스컬레이터(1)의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면 좋다. 즉 에스컬레이터(1)의 동작, 즉 핸드레일(40)의 움직임이 정지되어 있을 때는 LED 모듈(130) 역시 오프(off)되고, 핸드레일(40)이 움직일 때만 LED 모듈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조명장치(200)는 서브 공간부(114)에 배치되되 레일 프레임(30)과 접촉되고 레일 프레임(30)로 전달되는 핸드레일(4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핸드레일 움직임 감지부(250)와, LED 모듈(130)의 인쇄회로기판(131)과 연결되되 인쇄회로기판(131)로 전력을 선택해서 공급하는 전력 선택 공급부(260)와, 핸드레일 움직임 감지부(2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선택 공급부(260)를 통한 LED 모듈(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80)는 중앙처리장치(281, CPU), 메모리(2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81)는 본 실시예에서 핸드레일 움직임 감지부(2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선택 공급부(260)를 통한 LED 모듈(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81)와 연결된다. 메모리(2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8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핸드레일 움직임 감지부(2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선택 공급부(260)를 통한 LED 모듈(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매우 슬림(slim)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인 핸드레일(40)의 주변에 설치하기에 용이함은 물론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탁월하며, 특히 고효율 제품이라서 핸드레일(40)을 비롯한 그 주변이 환하고 밝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이동 중인 승객 안전은 물론이거니와 미관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에스컬레이터 10 : 디딤판
20 : 강화유리 30 : 레일 프레임
40 : 핸드레일 100 : 핸드레일 조명장치
110 : 장치 프레임 111 : 볼트공
112 : 프레임 바디 113 : 메인 공간부
114 : 서브 공간부 115 : 격벽부
116 : 외측벽 스커트부 117 : 내측벽 절곡 지지부
118 :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 119 : 모듈 결합 공간부
121 :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 130 : LED 모듈
131 : 인쇄회로기판 132 : 고휘도 LED
140 : 광 확산용 커버 141 : 커버 바디
142 : 걸림 결합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다수의 볼트공을 구비하며,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결합되는 장치 프레임;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는 고휘도 LED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LED 모듈;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ED 모듈로부터의 빛(光)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광 확산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은,
    횡단면의 폭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 U자형 폭과 동일한 사이즈를 이루며,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메인 공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외벽에 지지되되 상기 볼트공이 형성되는 외측벽 스커트부;
    상기 격벽부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벽 스커트부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촉지지되게 단부가 절곡되되 상기 레일 프레임과의 사이에 서브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내측벽 절곡 지지부;
    상기 격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모듈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벽에서 상호간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모듈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광 확산용 커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용 커버는,
    상기 고휘도 LED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슬라이딩 결합부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조명장치.
KR1020180095027A 2018-08-14 2018-08-14 핸드레일 조명장치 KR10196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27A KR101969448B1 (ko) 2018-08-14 2018-08-14 핸드레일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27A KR101969448B1 (ko) 2018-08-14 2018-08-14 핸드레일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448B1 true KR101969448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27A KR101969448B1 (ko) 2018-08-14 2018-08-14 핸드레일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97B1 (ko) 2019-12-17 2020-06-25 (주)이엘스카이뷰 전선보호기능을 갖는 핸드레일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221A (ko)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저압주조에 의한 라이너리스 실린더블록의 제조방법
KR20090055885A (ko)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플레이 동영상 서비스 방법
JP2013133215A (ja) * 2011-12-27 2013-07-08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JP2013173615A (ja) * 2012-02-27 2013-09-05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221A (ko)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저압주조에 의한 라이너리스 실린더블록의 제조방법
KR20090055885A (ko)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플레이 동영상 서비스 방법
JP2013133215A (ja) * 2011-12-27 2013-07-08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JP2013173615A (ja) * 2012-02-27 2013-09-05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97B1 (ko) 2019-12-17 2020-06-25 (주)이엘스카이뷰 전선보호기능을 갖는 핸드레일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1479B2 (ja) 照明装置
KR200449070Y1 (ko) 엘이디 조명기구
MY152517A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led illumination
JP2016066449A (ja) 発光装置
KR101969448B1 (ko) 핸드레일 조명장치
KR101285691B1 (ko) 주차장용 조명장치
JP55788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照明装置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JP2019129082A (ja) 照明装置
JP4450465B2 (ja) 照明器具
JP2014072077A (ja) 照明装置
JP5975442B2 (ja) 発光装置
JP5990441B2 (ja) 照明装置
JP2012218837A (ja) 乗客コンベアの照明装置
JP2009195526A (ja) 照明装置付きパネル
JP2019106338A (ja) 間接照明構造
JP2015148106A (ja) 浴室における照明装置兼点検口蓋
KR200304885Y1 (ko) 비상유도등의 투광구조
TW201435260A (zh) 照明裝置
JP2006321585A (ja) 乗客コンベア
JP6864065B1 (ja) スカートガードパネル照明装置
JP6375432B2 (ja) 照明装置
JP6298252B2 (ja) 照明器具
KR102647849B1 (ko) 듀얼조명장치
KR200304883Y1 (ko) 투광판이 내장된 비상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