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10B1 -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10B1
KR101967110B1 KR1020180101537A KR20180101537A KR101967110B1 KR 101967110 B1 KR101967110 B1 KR 101967110B1 KR 1020180101537 A KR1020180101537 A KR 1020180101537A KR 20180101537 A KR20180101537 A KR 20180101537A KR 101967110 B1 KR101967110 B1 KR 10196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uxiliary signal
signal
crosswalk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민수
이준석
Original Assignee
길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민수 filed Critical 길민수
Priority to KR102018010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매립되어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신호부; 및 보행 신호등에 보행신호가 점등될시 복수의 보조신호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모두 돌출되도록 제어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복수의 보조신호부를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나씩 매립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보행자가 보조신호부를 통해 보행신호의 변동상황을 빨리 감지하여 도로의 횡단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Subsidiary Traffic Signal Device installed in WalkerSignal Lamp of Pedestrian Crossing}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보행자 횡단을 위해 설치된 보행 신호등과 연동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알려주는 보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고 보행자가 차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교통신호등과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신호등으로 구분된다.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는 교통신호등의 경우에는 녹색, 주황 및 적색의 램프가 구비되어 차량의 통행 및 정지신호를 발하게 되며,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보행 신호등의 경우에는 녹색과 적색의 램프가 구비되어 보행자의 횡단을 허용하거나 금하는 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중 보행 신호등의 경우에 차량의 통행으로 보행을 정지시킬 때에는 적색램프가 점등되고 보행을 허용할 때에는 적색램프가 소등됨과 동시에 녹색램프가 점등된다. 보행신호가 끝날 무렵에는 녹색램프가 수초동안 깜박거리는 점멸 작동을 하고 적색등이 점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행 신호등의 경우에는 신호가 바뀌는 과정에서 녹색램프가 깜박거림으로써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주의를 주게 되는데, 그 신호가 너무 짧아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즉, 보행자는 보행 신호등의 녹색신호를 확인하고 길을 건너다가 녹색램프가 깜박거리면 당황하게 되고 적색신호로 바뀌더라도 미쳐 길을 건너지 못해 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출발하는 차량에 치이는 등의 사고가 종종 있다.
특히, 걸음걸이가 빠르지 않거나 신호의 변동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노약자나 어린이, 장애우의 경우 그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301호 (등록일자: 2003.09.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자가 보행신호의 변동상황을 빨리 감지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는, 횡단보도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매립되어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신호부; 및 보행 신호등에 보행신호가 점등될시 복수의 보조신호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모두 돌출되도록 제어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복수의 보조신호부를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나씩 매립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있어 보조신호부는,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매립홈에 삽입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삽입되며, 하측에 실린더의 내부에 접촉되어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연장편이 설치된 리프트와,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리프트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제1유체공급관과, 실린더의 하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리프트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제2유체공급관과, 각 리프트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기립되되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의 내부에 매립되고, 실린더의 하측에 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있어 보조신호부는,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매립홈에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측이 실린더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지게 삽입되는 제1로드와, 하측이 실린더의 내부에 접촉되어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제2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로드와,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승하강 로드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유체관로와, 실린더의 내부 공간 하측과 승하강 로드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어 승하강 로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와, 제1로드의 상측에 반원 형태로 설치되되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 공급시 실린더의 내부에 매립되고, 실린더의 상측에 공급된 유체가 유체관로를 통해 회수되면 탄성체에 의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는,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지지대; 및 횡방향 지지대에 설치되되 콘트롤부의 제어로 보조신호부의 돌출된 부분에 빛을 조사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보조신호부의 돌출된 부분에 조사된 빛을 단계적으로 소등시키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는, 각 보조신호부에 설치되되 각 보조신호부 상측의 사물을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신호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행자가 보조신호부를 통해 보행신호의 변동상황을 빨리 감지하여 도로의 횡단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보조신호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야간이나 눈, 비가 오더라도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도 보행신호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의 보행신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신호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조신호부의 매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조신호부가 남은시간에 연동하여 일부 매립된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의 보조신호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보조신호부의 매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의 보행신호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보조신호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조신호부의 매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보조신호부가 남은시간에 연동하여 일부 매립된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는 보행 신호등(110); 복수의 보조신호부(120); 횡방향 지지대(130); 조명부(140); 감지센서(150, 도 3); 및 콘트롤부(160);를 포함한다.
보행 신호등(110)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행 신호등(110)은 인도와 횡단보도의 경계에 설치된 각각의 기둥(111)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콘트롤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행 신호등(110)에는 차량의 통행으로 보행을 정지시킬 때에는 적색램프가 점등되고, 차량의 통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보행을 허용할 때에는 적색램프가 소등됨과 동시에 녹색램프가 점등된다.
횡단보도에는 보행자 및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백색도료(112)가 일정간격으로 도포되며, 횡단보도의 중간 외측에는 양방향 차량의 진행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분리선을 나타내는 또 다른 도료(112-1)가 백색도료(112)와 직교하게 도포된다.
복수의 보조신호부(120)는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매립되어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신호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매립홈(113)에 삽입되는 실린더(121)와, 실린더(121)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삽입되며 하측에 실린더(121)의 내부에 접촉되어 실린더(12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연장편(122-1)이 설치된 리프트(122)와, 실린더(121)의 상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리프트(122)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제1유체공급관(123)과, 실린더(121)의 하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리프트(122)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제2유체공급관(124)과, 각 리프트(122)의 상측에 일체로 기립되며 실린더(121)의 내부에 매립 또는 실린더(12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수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1)는 내부가 밀폐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실린더(121)는 그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리프트(12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실린더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실린더(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22)가 완전히 매립될 시 하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유체공급관(124)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실린더(121)의 내부에는 리프트(122)의 승강을 제한하는 연장편(121-1)이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122)는 그 길이방향으로 실린더(121) 내부에 상시 매립되게 위치하며, 그 하측에는 실린더(121)의 내부에 설치된 연장편(121-1)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12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유체공급관(123)과 제2유체공급관(124)은 미도시한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어느 한 쪽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다른 한 쪽으로 유체가 회수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콘트롤부(160)의 제어로 제2유체공급관(124)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121)의 하부의 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실린더(121) 상부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어 리프트(122)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도 4를 참조하면, 콘트롤부(160)의 제어로 제1유체공급관(123)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121)의 상부의 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실린더(121) 하부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어 리프트(122)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돌출수단(125)은 리프트(122)의 상단에서 일정높이로 연장되며,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되어 조명부(14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들인 후, 외부로 산란시킬 수 있다. 각 돌출수단(125)은 콘트롤부(160)와 연결되어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에 따라 보조신호부(120)가 매립됨과 동시에 소등될 수 있다.
횡방향 지지대(130)는 기둥(111)의 상단에서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는 교통 신호등(135)이 설치되며, 교통 신호등(135)에는 녹색, 주황 및 적색의 램프가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콘트롤부(160)와 연결되어 차량의 통행과 정지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조명부(140)는 횡방향 지지대(140)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콘트롤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돌출수단(125)으로 빛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으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각 돌출수단(125)에 조사된 빛을 단계적으로 소등시킬 수 있다. 보행신호가 종료됨과 동시에 모든 돌출수단(125)에 대한 조명을 소등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명부(140)는 집광성이 우수한 레이저가 이용됨이 바람직하며, 조명부(140)는 각각의 보조신호부(120) 내에 전기신호에 의해 자체발광하는 LED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실린더(12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각 보조신호부(120) 상측의 사물을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신호부(120)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일, 보행자신호(녹색램프)가 점등되어 모든 보조신호부(120)가 돌출될 시점에 각 보조신호부(120)의 상측에 사물이 존재하면 감지센서(150)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부(160)가 해당되는 보조신호부(120)의 승강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콘트롤부(160)는 보행 신호등(110)과 연결되어 보행 신호등(110)에 보행신호가 점등될시 도 1과 같이 복수의 보조신호부(120)가 지면의 상측으로 모두 돌출되도록 제어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도 5와 같이 복수의 보조신호부(120)를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나씩 매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의 일 실시예는 횡단보도 외에도 차량의 통행로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교차로에 활용될 경우, 진입이 가능한 차선의 보조신호부는 매립시키고 진입을 차단하는 차선에 대해서는 보조신호부가 돌출되어 교차로에서의 무분별한 꼬리물기식 운전을 막을 수 있고, 교통법규에 미숙한 초보운전자들로 하여금 교차로에서의 진입가능여부를 쉽고 확실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이용하여 도주하는 범죄자의 도주를 막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 되어있는 보조신호부를 인위적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도로를 통제하여 범죄자를 잡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차량의 통제가 필요한 경우(시위, 마라톤, 환자이송 등), 본 발명의 콘트롤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보조신호부를 운용함으로써 밤과 낮에 상관없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관하여 살펴본다. 다만,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앞서 일 실시예를 참조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보조신호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보조신호부의 매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의 보조신호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매립홈(113)에 삽입되는 실린더(221)와, 상측이 실린더(221)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지게 삽입되는 제1로드(222-1)와 하측이 실린더(221)의 내부에 접촉되어 실린더(22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제2로드(222-2)를 포함하는 승하강 로드(222)와, 실린더(221)의 상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승하강 로드(222)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유체관로(223)와, 실린더(221)의 내부 공간 하측과 승하강 로드(222)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어 승하강 로드(2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224)와, 제1로드(222-1)의 상측에 반원 형태로 설치되며 실린더(221)의 내부에 매립 또는 실린더(22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수단(2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21)는 내부가 밀폐되게 형성되며, 그 내측 상부에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실린더(221)는 그 상단이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제1로드(222-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실린더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실린더(2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로드(222)가 완전히 매립될 시 그 하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탄성체(224)가 압축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실린더(221)의 내부에는 승하강 로드(222)의 승강을 제한하는 연장편(221-1)이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 로드(222)의 제1로드(222-1)와 제2로드(222-2)는 실린더(221) 내부에 상시 매립되게 위치하며, 제2로드(222-2)의 상단은 승강시 실린더(121)의 내부에 설치된 연장편(221-1)에 걸림되어 승강이 제한될 수 있다.
유체관로(223)는 미도시한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유체가 공급 또는 회수될 수 있으며, 이 유로 상에는 밸브(223-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콘트롤부(160)의 제어로 유체관로(223)를 통한 유체 공급이 중단되고 공급밸브(223-2)가 개방되면 탄성체(224)가 신장되어 실린더(221) 상부의 유체가 유체관로(223)를 통해 회수됨과 동시에 승하강 로드(222)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도 7을 참조하면, 콘트롤부(160)의 제어로 유체관로(223)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221)의 상부의 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탄성체(224)가 압축되어 승하강 로드(222)가 하강하게 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콘트롤부(160)는 공급밸브(223-2)를 차단시켜 승하강 로드(222)의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돌출수단(225)은 불투명한 물질로 설치되어 콘트롤부(160, 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부(140, 도 1 참조)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들인 후, 외부로 산란시킬 수 있다. 각 돌출수단(225)은 콘트롤부(160)와 연결되어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에 따라 보조신호부(220)가 매립됨과 동시에 소등될 수 있다. 아울러, 조명부는 각각의 보조신호부(220) 내에 전기신호에 의해 자체발광하는 LED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수단(225)은 보조신호부(220)가 오작동되거나 고장으로 의도치 않게 작동될 경우,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륜의 하중에 의해 강제로 눌려질 때, 탄성체(224)가 압축되어 실린더(221)의 내부로 매립됨으로써 오작동된 보조신호부(220)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는 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250)는 실린더(22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각 보조신호부(220) 상측의 사물을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신호부(220)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일, 보행자신호가 점등되어 모든 보조신호부(220)가 돌출될 시점에 각 보조신호부(220)의 상측에 사물이 존재하면 감지센서(250)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보조신호부(220)의 승강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에 의하면, 보행자가 보조신호부를 통해 보행신호의 변동상황을 빨리 감지하여 도로의 횡단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신호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야간이나 눈, 비가 오더라도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도 보행신호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보행 신호등
120, 220: 보조신호부
130: 횡방향 지지대
140: 조명부
150, 250: 감지센서
160: 콘트롤부

Claims (5)

  1. 횡단보도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매립되어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신호부; 및
    상기 보행 신호등에 보행신호가 점등될시 상기 복수의 보조신호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모두 돌출되도록 제어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신호부를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나씩 매립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신호부는,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매립홈에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지게 삽입되는 제1로드와, 하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제2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로드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유체관로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 하측과 상기 승하강 로드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 로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1로드의 상측에 반원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유체 공급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공급된 유체가 유체관로를 통해 회수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수단은 차륜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면서 강제로 눌려져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매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지지대; 및
    상기 횡방향 지지대에 설치되되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로 상기 보조신호부의 돌출된 부분에 빛을 조사하며,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동하여 상기 보조신호부의 돌출된 부분에 조사된 빛을 단계적으로 소등시키기 위한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신호부에 설치되되 상기 각 보조신호부 상측의 사물을 식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신호부가 지면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KR1020180101537A 2018-08-28 2018-08-28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KR10196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37A KR101967110B1 (ko) 2018-08-28 2018-08-28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37A KR101967110B1 (ko) 2018-08-28 2018-08-28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110B1 true KR101967110B1 (ko) 2019-04-11

Family

ID=6616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537A KR101967110B1 (ko) 2018-08-28 2018-08-28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868B1 (ko) * 2019-06-12 2020-12-07 주식회사 토이코스 횡단보도 조명 제어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2335546B1 (ko) 2021-05-13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KR102335547B1 (ko) 2021-06-08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바닥형 보행 신호기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01B1 (ko) 2001-06-20 2003-09-26 김경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KR20110049423A (ko) * 2009-11-05 2011-05-12 이두용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30048823A (ko) * 2011-11-03 2013-05-13 장익식 횡단보도 신호장치
KR20170113508A (ko) * 2017-09-17 2017-10-12 박경준 차단기 연동 매설형 장애물의 작동 방법 및 장치
KR20180009016A (ko) * 2016-07-15 2018-01-25 김필동 스쿨 존 안전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01B1 (ko) 2001-06-20 2003-09-26 김경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KR20110049423A (ko) * 2009-11-05 2011-05-12 이두용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30048823A (ko) * 2011-11-03 2013-05-13 장익식 횡단보도 신호장치
KR20180009016A (ko) * 2016-07-15 2018-01-25 김필동 스쿨 존 안전가이드장치
KR20170113508A (ko) * 2017-09-17 2017-10-12 박경준 차단기 연동 매설형 장애물의 작동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868B1 (ko) * 2019-06-12 2020-12-07 주식회사 토이코스 횡단보도 조명 제어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2335546B1 (ko) 2021-05-13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KR102335547B1 (ko) 2021-06-08 2021-12-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바닥형 보행 신호기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110B1 (ko)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KR101115965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1829220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829214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20090085239A (ko)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100962309B1 (ko)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0448358Y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램프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0822066B1 (ko)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JP5390367B2 (ja) 踏切照明装置
KR101713157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147872B1 (ko) 횡단보도용 차량 진입방지 스크린 장치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099285B1 (ko) 교통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89916A (ko)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KR20060088433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
KR20170059839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신호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