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301B1 -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9301B1 KR100399301B1 KR10-2001-0035120A KR20010035120A KR100399301B1 KR 100399301 B1 KR100399301 B1 KR 100399301B1 KR 20010035120 A KR20010035120 A KR 20010035120A KR 100399301 B1 KR100399301 B1 KR 100399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rian
- pedestrian crossing
- traffic light
- housing
- lam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보행자 횡단을 위해 설치된 보행자용 신호등에 보조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행자 통행신호가 보행자 진행상태인지 정지상태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알려주는 보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1)는, 적색램프(3)와 녹색램프(4)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상기 적색램프(3)와 상기 녹색램프(4)의 점멸 주기에 따라 작동하는 전동기구(20), 및 상기 전동기구(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자 신호등(2)의 상기 녹색램프(4)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2)의 상기 적색램프(3)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10) 안으로 수납되는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조신호장치(1)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위치 및 햇빛에 따라 눈에 잘 띄지 않게 될 수 있었던 기존의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을 보완하여 보행자 특히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상태임을 매우 명료하게 표시함으로, 종래 보행자 신호등의 식별력 불량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술분야)
본 발명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보행자 횡단을 위해 설치된 보행자용 신호등에 보조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행자 통행신호가 보행자 진행상태인지 정지상태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알려주는 보조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교통신호등은 교통을 규제, 지시 및 안내하여 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교통흐름에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통행우선권을 할당함으로써 교통사고발생을 예방하고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제외하고 차량용 교통신호등과 함께 보행자의 도로횡단을 위한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이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도로횡단용 교통신호등은 보행자의 안전에 다소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도3은 도로에 설치된 종래의 일반적인 보행자 교통신호등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행자 교통신호등(100)은 횡단보도(10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교통신호등(100)은 지면에 세워진 포스트(110)의 상단에 적색(정지)과 녹색(진행)의 2색 램프가 상하로 배치되어 프로그램된 시간간격에 따라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가 교대로 점멸함으로써 보행자의 도로횡단을 승인 및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100)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행자 진행상태인지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오로지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의 점멸뿐이고 이런 램프의 점멸은 보는 사람의 위치와 시간에 따라서는 쉽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유발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횡단보도(101)에 접근해 있는 차량(102)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100)의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에 대하여 대략 90도 위치에 있기 때문에 보행자 신호등의 현재 신호가 적색인지 녹색인지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보행신호에 대한 식별의 어려움은 램프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램프 상측에 부착한 갓(140)으로 인하여 더욱 가중되고, 특히 햇빛이 강한 주간이나 아침저녁에 햇빛이 램프(120, 130)를 직접 비칠 때에는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고개를 내밀어 보행신호를 확인하거나 보행신호가 아닌 전방의 차량용 신호를 보고 보행신호를 짐작하게 되고, 일부 운전자는 차단선을 넘어서까지 조금씩 차를 주행시키곤 한다. 보행신호의 식별 어려움은 보행자에게도 마찬가지다. 보행자는 차량과는 달리 램프(120, 130)가 잘 보이는 방향에 위치하기는 하지만 주간에 햇빛이 강할 때에는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식별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보행자 신호등의 식별력(시인성) 불량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와 보행자의 위치나 햇빛의 강도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에서도 보행자 진행 신호가 들어온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안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 보조신호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가 장착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 및 사용상태도,
도3은 도로에 설치된 종래 일반적인 보행자 교통신호등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보조신호장치 2: 신호등
3: 적색램프 4: 녹색램프
5: 신호등점멸회로 10: 하우징
20: 전동기구 21: 모터
22: 나사축 23: 가이드
30: 보행자횡단인식부재 31: 나사공
32: 적색조명 33: 가이드홀
본 발명에 따라, 적색램프와 녹색램프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적색램프와 상기 녹색램프의 점멸 주기에 따라 작동하는 전동기구, 및 상기 전동기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상기 녹색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상기 적색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 안으로 수납되는 보행자횡단인식부재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동기구로서는, 상기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된 상기 적색램프와 상기 녹색램프의 점멸을 위한 신호등점멸회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적색램프와 상기 녹색램프의 점멸 주기에 따라 상기 보행자횡단인식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하우징으로 수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랙-피니언 기구, 전동실린더 및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횡단인식부재는 운전자에게 정지의 인상을 강하게 표시하는 예를 들어 적색의 손 형상으로 형성하고 눈에 잘 띄도록 적색 조명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탄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 보조신호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가 장착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1)는 기존의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 일측, 예를 들어 상측에 위치한 적색램프(3)의 바로 위에 설치되며, 하우징(10), 전동기구(20) 및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적색램프(3)와 녹색램프(4)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소재(예, 철판)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는 전동기구(20)와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의 수납을 위해 비어 있고, 전동기구(20)의 보호를 위해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인출 및 수납되는 전방의 입구(11)를 제외하고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의 중공 내부에는 소정의 전동기구(20)가 설치된다. 본 전동기구(20)는 상기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 적색램프(3)와 상기 녹색램프(4)의 점멸 주기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인출 및 수납시키는 작용을 한다.
사용 가능한 전동기구(20)로서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에 구비된 신호등점멸회로(5)의 작동에 따른 상기 적색램프(3)와 상기 녹색램프(4)의 점멸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상기 하우징(10)으로 수납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보행자의 횡단보도 통행을 표시하는 녹색램프(4)가 점등되는 순간 하우징(10)에 수납되어 있던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시켜 운전자와 보행자의 눈에 띄게 하고, 보행자의 횡단보도 통행을 정지시키는 적색램프(3)가 점등될 때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하우징(10)으로 수납시켜 보이지 않게 하는 전동기구(20)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동기구(20)로서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공지의 랙-피니언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도시생략). 즉, 모터로 랙을 회전시켜 피니언을 왕복운동시키는 한편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전후진하는 피니언에 연결하거나 피니언을 따라 전후진하는 모터에 연결함으로써,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 신호등점멸회로(5)에 따라 작동하는 상기 모터에 의해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하우징(10)에 대해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작동 원리로 공지의 전동실린더를 전동기구(20)로 사용할 수도 있다(도시생략).
또 다른 전동기구(20)로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터(21)와, 상기 모터(21)에 의해 회전되고 일단이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22)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신호등점멸회로(5)의 작동으로 모터(21)가 정역 회전하여 나사축(22)을 좌우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나사축(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31)이 형성된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하우징(10)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여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도2에서 도면부호 23은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의 좌우 이동(수납 및 인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기구(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2)의 녹색램프(4)가 점등될 때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고 보행자 신호등(2)의 적색램프(3)가 점등될 때 하우징(10) 안으로 수납되는 부재로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눈에 잘 띄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의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강한 정지의 인상을 표시하는 적색의 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눈에 잘 띄도록 적색조명(예, 적색발광소자: 32)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색조명(32)은 상기 신호등점멸회로(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될 때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의 소재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탄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33은 상기 가이드(23)가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1)는 기존의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에 보조적으로 장착되어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에 녹색조명(4)이 점등되는 것과 동시에 전동기구(20)의 작동으로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노출됨으로써 보행자와 특히 운전자에게 보행자 통행신호가 작동중임을 보이기 좋게 표시하고, 이어서 적색조명(4)이 점등되는 것과 동시에 전동기구(20)의 작동으로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가 사라짐으로써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보행자 정지신호가 작동중임을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1)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위치 및 햇빛에 따라 눈에 잘 띄지 않게 될 수 있었던 기존의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을 보완하여 보행자 특히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상태임을 매우 명료하게 표시함으로, 종래 보행자 신호등의 식별력(시인성) 불량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적색램프(3)와 녹색램프(4)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2)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상기 적색램프(3)와 상기 녹색램프(4)의 점멸 주기에 따라 작동하는 전동기구(20), 및 상기 전동기구(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자 신호등(2)의 상기 녹색램프(4)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2)의 상기 적색램프(3)가 점등될 때 상기 하우징(10) 안으로 수납되는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횡단인식부재(30)는, 적색의 손 형상이고 적색조명(3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120A KR100399301B1 (ko) | 2001-06-20 | 2001-06-20 |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120A KR100399301B1 (ko) | 2001-06-20 | 2001-06-20 |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7342A KR20020097342A (ko) | 2002-12-31 |
KR100399301B1 true KR100399301B1 (ko) | 2003-09-26 |
Family
ID=2771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5120A KR100399301B1 (ko) | 2001-06-20 | 2001-06-20 |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930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9916A (ko) | 2015-01-20 | 2016-07-29 | 주식회사 한동테크 |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
KR101967110B1 (ko) | 2018-08-28 | 2019-04-11 | 길민수 |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
KR20190110760A (ko) | 2018-03-21 | 2019-10-01 | 박광열 |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
-
2001
- 2001-06-20 KR KR10-2001-0035120A patent/KR1003993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9916A (ko) | 2015-01-20 | 2016-07-29 | 주식회사 한동테크 |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
KR20190110760A (ko) | 2018-03-21 | 2019-10-01 | 박광열 |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
KR101967110B1 (ko) | 2018-08-28 | 2019-04-11 | 길민수 | 횡단보도용 보조신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7342A (ko) | 2002-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5133302A1 (ja) |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システム | |
US6952162B2 (en) | Multidirectional cluster lights for motor vehicles | |
US20140301101A1 (en) | Multifunctional Multiple Color Center High Mounted Stop Lamp | |
KR101258326B1 (ko) |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 |
KR100399301B1 (ko) |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의 보조신호장치 | |
JPH05238307A (ja) | 車両用前方視認装置 | |
KR200420047Y1 (ko) |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 |
KR20220087634A (ko) |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 |
EP2474447A1 (en) | Safety signal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 |
KR20130128831A (ko) |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 |
CN114872611A (zh) | 一种led灯汽车晴雨挡 | |
CN201049607Y (zh) | 一种安装在汽车侧面的指示灯系统 | |
KR101911921B1 (ko) | 교통 신호 기능을 갖는 분리대 | |
CN112927531A (zh) | 一种与红绿灯同步显示的地面交通信号装置 | |
KR200426097Y1 (ko) | 야간 횡단보도 보행등기구 | |
KR200255628Y1 (ko) |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장치 | |
KR20050097002A (ko) |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 |
KR200365472Y1 (ko) | 교통안전 신호장치 | |
CN216786921U (zh) | 一种市政工程用道路警示灯 | |
CN117308018B (zh) | 一种多功能型汽车大灯 | |
CN209956127U (zh) | 一种具有警示功能的非机动车保险杠 | |
KR102568530B1 (ko) | 바닥신호등과 연동되는 횡단보도조명장치 | |
US9150266B1 (en) | Laterally oscillating motorcycle headlight assembly | |
KR200188397Y1 (ko) | 표지병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전달 시스템 | |
CN207931862U (zh) | 电动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