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918B1 -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 Google Patents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918B1
KR101966918B1 KR1020170049528A KR20170049528A KR101966918B1 KR 101966918 B1 KR101966918 B1 KR 101966918B1 KR 1020170049528 A KR1020170049528 A KR 1020170049528A KR 20170049528 A KR20170049528 A KR 20170049528A KR 101966918 B1 KR101966918 B1 KR 10196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vehicle
roller
uni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807A (ko
Inventor
김창한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창한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한, 김광석 filed Critical 김창한
Priority to KR102017004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9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1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a device to audibly, visibly, or otherwise signal the existence of unusual or unintend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2031/0091Speed limiters or speed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정상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 없이 검사할 수 있고, 검사 중에 차량이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장치는 차량의 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갖는 제1 차대동력계유닛; 차량의 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를 갖는 제2 차대동력계유닛;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회전연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Inspection apparatus for speed limiter}
본 발명은 차량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정상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 없이 검사할 수 있고, 검사 중에 차량이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속도 제한장치(speed limiter)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이를 감지하여 엔진의 연료 분사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자동 제동기(auto breake system)을 구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기설정된 제한속도 이하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차량 속도 제한장치는 교통사고 발생시 인명피해가 많은 대형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버스, 대형화물차, 대형특수차 및 건설중기 등에 주로 설치되고, 소정의 제한속도(예를 들면, 110km/h 또는 90km/h)가 속도 제한장치에 설정되어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차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차량 속도 제한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주기적인 검사가 행해진다.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 방법은 차량의 엔진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속도 제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에 속도 제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속도 제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과 속도 제한장치 사이에 연결된 신호선(예를 들면 속도 신호선 및/또는 회전속도 신호선)에 검사기(tester)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신호선에 소정의 속도 설정 값을 입력하고, 입력된 속도에 반응하는 속도 제한장치의 동작을 확인함으로써 속도 제한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이처럼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신호선에 임의로 속도 값을 입력하여 반응을 체크하는 방식은 차량이 실제로 주행하는 것이 아니어서 검사의 정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차량 속도 제한장치가 교묘하게 변조된 경우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 속도 제한장치를 정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09-0021656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584호는 차대동력계유닛을 이용해서 차량이 실제로 주행하는 환경을 만들고 차량 속도 제한장치를 검사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09-0021656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584호는 한대의 차대동력계유닛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륜구동의 차량에는 사용할 수 없고, 전륜구동이나 후륜구동의 차량의 경우에도 ABS(자동 제동기)가 반대측의 후륜이나 전륜에 구비된 차량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차량의 속도 제한장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전륜과 후륜을 위한 차대동력계가 각각 필요하고 두 차대동력계 롤러의 회전은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량은 종류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의 구동방식, ABS의 설치위치, 전륜과 후륜의 거리 등에 관계 없이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검사가 가능한 검사장치가 필요한다.
차량 제한기에 의해 제한되는 속도는 상당한 고속이다. 그래서 검사 중에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이 차대동력계를 이탈하여 돌진하게 되는 때에는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검사 중에 차량이 차대동력계유닛을 이탈하여 돌진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차대동력계유닛을 이용한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차량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 중에 차량이 차대동력계유닛을 이탈하여 돌진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는
차량의 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갖는 제1 차대동력계유닛;
차량의 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를 갖는 제2 차대동력계유닛;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회전연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동유닛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와,
상기 제2 롤러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 풀리와,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을 연동시키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서 각각 상기 타이밍벨트의 내면과 외면을 지지하는 고정풀리와 이동풀리,
상기 이동풀리를 전후진시켜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전방에서 승강하여 차량의 이탈을 차단하는 제1 차단블럭과 제2 차단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차단블럭과 제2 차단블럭의 경사진 내측면에는 공회전롤러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구동방식이 다르고, ABS의 설치 위치가 다르고, 전륜과 후륜의 거리가 다르더라도 그 차량에 설치된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검사가 가능하고, 고속으로 검사 중에 제1 롤러나 제2 롤러에 이상에 발생되어 차량이 제1,2 롤러를 이탈하더라도 즉시 경사블럭과 공회전롤러가 차량의 돌진을 차단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차량 속도 제한장치 검사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연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는 제1,2 차대동력계유닛(10, 20), 거리조절유닛(30), 회전연동유닛(40)으로 구성요소가 대별된다.
참고로, 도면은 단순화하여 본 발명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10)은 차량의 전륜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차대동력계유닛(20)은 차량의 후륜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차량의 전륜과 후륜은 각각 좌우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처럼 상기 제1,2 차대동력계유닛(10, 20)도 좌우에 하나씩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하나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10)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20)은 대동소이한 구성과 구조를 갖는 바, 이하에서는 이들의 구분이 굳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제1', '제2'는 생략한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대동력계유닛(10, 20)은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에 접촉지지 되어서 전륜이나 후륜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11, 21)와,
한 쌍의 롤러(11, 21) 사이에서 승하강하고, 승강시에는 롤러(11, 21)에 밀착되어 회전을 구속하여 전륜이나 후륜이 롤러(11, 21) 위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고, 하강시에는 롤러(11, 21)의 구속을 해제하여 전륜이나 후륜의 한 쌍의 롤러(11, 21) 위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리프트(13, 23)와,
한 쌍의 롤러(11, 21) 전방(또는 전후방 양측 모두)에서 승하강하고, 승강시에는 전륜이나 후륜을 막아서 차량이 차대동력계유닛(10, 20)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블럭(15, 25)을 포함한다.
검사시에 차량은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상기 롤러(11, 21)는 직경이 300cm 이상의 대형롤러(11, 2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1, 21)의 직경이 작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롤러(11, 21)의 회전축(111, 211)을 회전가능하게 잡아주는 베어링(113, 213)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11, 21)는 벨트(12, 22)로 연결되어서 서로의 회전이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15, 25)은 자신이 승하강할 수도 있지만, 자신은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롤러(11, 21)와 리프트(13, 23)가 장착된 프레임이 승하강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블럭(15, 25)은 검사 중에 차량의 전륜이나 후륜이 전진하여 접촉하는 때에 그 충격을 완화하고, 전륜이나 후륜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도록, 내측면은 라운드 구조로 경사지도록 하였고, 경사진 내측면에는 공회전롤러(17, 27)들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블럭(15, 25)의 내측면은 라운드지게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진입하는 전륜이나 후륜은 경사진 내측면을 타고 오르게 되므로 초기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내측면을 타고 오르면 공회전롤러(17, 27)들이 회전하여 전륜이나 후륜이 더 이상 오르지 못하게 하여 차량의 돌진을 방지한다.
상기 거리조절유닛(30)은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10)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20)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기에, 이에 맞춰 상기 제1,2 차대동력계유닛(10, 20)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거리조절유닛(30)은 어느 한 차대동력계유닛(10 or 20)의 대대(19 or 29) 하부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회전함에 따라 대대(19 or 29)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스크류봉(31)과, 대대(19 or 29)의 하부 타측에 관통결합되어 대대(19 or 29)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동유닛(40)은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20)의 제1 롤러(11)와 제2 차대동력계유닛(20)의 제2 롤러(21)의 회전을 연동시킨다.
전륜과 후륜이 모두 동력으로 회전하는 사륜구동 방식의 차량과, 전륜구동의 차량에서 ABS(자동 제동기)가 후륜에 장착된 차량이나 후륜구동의 차량에서 ABS가 전륜에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 제1롤러(11)와 제2롤러(21)의 회전이 연동되어야 차량 속도 제한장치의 검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륜구동이고 ABS가 후륜에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 검사 중에 전륜의 회전 속도가 차량이 제한 속도를 넘게 되어 ABS가 작동되면 그 제동력이 전륜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제1 롤러(11)와 제2 롤러(21)의 회전이 독립되어 있으면 후륜의 ABS의 제동력이 제1 롤러(11)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제1 롤러(11)와 제2 롤러(21)의 회전을 연동시켜서 제1 롤러(11)의 회전을 제2 롤러(21)로 전달하고, 제2 롤러(21)의 제동을 제1 롤러(11)로 전달한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연동유닛(40)은
상기 제1 롤러(1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41)와,
상기 제2 롤러(2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 풀리(42)와,
상기 제1 풀리(41)와 제2 풀리(42)를 연결하여 회전을 연동시키는 타이밍벨트(46)와,
상기 제1 풀리(41)와 제2 풀리(42) 사이에서 각각 상기 타이밍벨트(46)의 내면과 외면을 지지하는 고정풀리(43)와 이동풀리(44),
상기 이동풀리(44)를 전후진시켜 상기 타이밍벨트(46)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스톤(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리조절유닛(30)에 의해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20)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20) 간의 거리가 조절되면, 그에 맞춰 상기 피스톤(45)의 로드가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상기 이동풀리(44)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타이밍벨트(46)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1,2 풀리(41, 42)와 고정풀리(43)는 제자리에서 고정되어 회전한다.
즉, 이동풀리(44)의 전후진으로 타이밍벨트(46)와 제1 풀리(41) 및 제2 풀리(42)의 밀착력을 조절하여, 제1 풀리(41) 회전하면 타이밍벨트(46)가 밀착력으로 이동되고, 타이밍벨트(46)가 이동하면 밀착력으로 제2 풀리(42)가 회전하도록 한다.
전륜구동이고 ABS가 전륜에만 장착된 차량이나 후륜구동이고 ABS가 후륜에만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는 제1 롤러(11)와 제2 롤러(21)의 회전을 연동시킬 필요가 없다. 오히려 연동시키면 부하를 반대측 롤러(11, 21)로 전달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롤러(11)와 제2 롤러(21)의 회전 연동을 해제시키는 연동해제수단(50)을 갖는다.
도3b는 연동해제수단(50)을 갖는 회전연동수단(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회전 연동의 해제를 위해 제1 롤러(11)에는 기어(51)가 구비되고, 기어(51)는 대응기어(53)와 치합되거나 치합이 해제되고, 제1풀리(41)는 대응기어(53)측에 구비된다.
도4에는 상기 연동해제수단(50)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해제수단(50)은
제1 롤러(11)의 회전축(111)에 결합되는 기어(51)와,
제1 풀리(41)가 결합된 샤프트(52)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51)와 치합되는 치합기어(53)와,
상기 샤프트(52)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베어링블럭(55)과,
상기 베어링블럭(55)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57)와,
상기 다이(57)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블럭(55)을 밀거나 당겨 전후진시키는 피스톤(56)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56)을 통해 상기 베어링블럭(55)을 전후진시키면 상기 치합기어(53)가 이동하여 상기 기어(51)에 치합되거나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제1 롤러(11)의 회전이 제2 롤러(21)의 회전과 연동되거나 연동이 해제된다. 참고로, 상기 샤프트(52), 베어링블럭(55) 및 대응기어(52)는 전체가 한 덩어리로 상기 피스톤(56)에 의해 다이(57) 위에서 전후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차대동력계유닛 11 : 제1 롤러
13 : 제1 리프트 15 : 차단블럭
20 : 제2 차대동력계유닛 21 : 제2 롤러
30 : 거리조절유닛 31 : 스크류봉
40 : 회전연동유닛 41 : 제1 풀리
42 : 제2 풀리 43 : 고정풀리
44 : 이동풀리 45 : 피스톤
46 : 타이밍벨트 50 : 연동해제수단
51 : 기어 52 : 샤프트
53 : 치합기어 55 : 베어링블럭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갖는 제1 차대동력계유닛;
    차량의 후륜을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를 갖는 제2 차대동력계유닛;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회전연동유닛;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회전 연동을 해제시키는 연동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동유닛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풀리와,
    상기 제2 롤러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 풀리와,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연결하여 회전을 연동시키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서 각각 상기 타이밍벨트의 내면과 외면을 지지하는 고정풀리와 이동풀리,
    상기 이동풀리를 전후진시켜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해제수단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와,
    상기 제1 풀리가 결합된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치합기어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블럭을 밀거나 당겨 전후진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대동력계유닛과 제2 차대동력계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전방에서 승강하여 차량의 이탈을 차단하는 제1 차단블럭과 제2 차단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차단블럭과 제2 차단블럭의 경사진 내측면에는 공회전롤러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KR1020170049528A 2017-04-18 2017-04-18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KR10196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28A KR101966918B1 (ko) 2017-04-18 2017-04-18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28A KR101966918B1 (ko) 2017-04-18 2017-04-18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07A KR20180116807A (ko) 2018-10-26
KR101966918B1 true KR101966918B1 (ko) 2019-04-09

Family

ID=6409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28A KR101966918B1 (ko) 2017-04-18 2017-04-18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58B1 (ko) * 2019-02-21 2019-06-10 (주)대성지이-쓰리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상태 및 회생상태를 교육하기 위한 장치대
CN109849664B (zh) * 2019-03-25 2021-09-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限速方法、车辆限速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98981B (zh) * 2021-05-19 2021-11-05 星软集团有限公司 一种车辆智能限速装置防破坏的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KR101513369B1 (ko) * 2013-12-20 2015-04-20 교통안전공단 축간거리 자동 조정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520A (ja) * 1996-03-11 1997-09-19 Meidensha Corp 4輪駆動車用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KR101513369B1 (ko) * 2013-12-20 2015-04-20 교통안전공단 축간거리 자동 조정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07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918B1 (ko) 속도 제한장치용 검사장비
CN106553628A (zh) 车辆的制动控制方法、系统及车辆
EP3591368B1 (en) Chassis dynamomete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chassis dynamometer program
CN101701875B (zh) 机动车综合性能复合测试台
CN204882092U (zh) 一种新型乘用车abs制动检测平台
CN208951242U (zh) 一种四驱车速度检测台的轴距调整同步皮带传动结构
CN207540795U (zh) 一种适用不同轴距的四驱底盘测功检测设备
CN214200649U (zh) 一种轴距可调的四驱柴油车排放检测试验台
CN203961392U (zh) 仓储类停车设备
CN112082776A (zh) 一种带台体升降装置的无人驾驶汽车abs试验台
CN208184339U (zh) 一种平面移动类机械停车设备的搬运小车
JP2013160746A (ja) 車両複合試験装置及び車両試験方法
CN204575679U (zh) 汽车车速表检验台
CN203785826U (zh) 一种车辆制动性能检测装置
CN108444729B (zh) 一种电动汽车多功能性能试验台架
CN109765049B (zh) 自动扶梯主驱动链疲劳寿命试验装置
KR101498199B1 (ko) 전기차 충전용 컨넥터의 압축 시험장치
CN105181347A (zh) 一种新型乘用车abs制动检测平台
CN202631268U (zh) 一种滑板式侧滑检验台
CN107560872B (zh) 牵引车综合检测台及牵引车综合检测方法
CN208765970U (zh) 一种四驱车滚筒同步速度检测台
CN104266847A (zh) 一种车辆高速制动试验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964477A (zh) 一种机动车测功机
CN209689926U (zh) 一种单双轴自动切换的道路载荷模拟系统
CN111580176B (zh) 一种带防冲卡车底安全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