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517B1 -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517B1
KR101966517B1 KR1020170053350A KR20170053350A KR101966517B1 KR 101966517 B1 KR101966517 B1 KR 101966517B1 KR 1020170053350 A KR1020170053350 A KR 1020170053350A KR 20170053350 A KR20170053350 A KR 20170053350A KR 101966517 B1 KR101966517 B1 KR 10196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worm
weight
ginger
dried
silkw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779A (ko
Inventor
류성선
Original Assignee
류성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선 filed Critical 류성선
Priority to KR102017005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5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누에를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5령3일 이상의 건조된 누에를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 결합시키고,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누에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제거하며, 누에에 생강의 영양성분을 흡착시켜 누에의 영양효과를 증대시키는 한편, 다양한 곡물, 야채, 채소 또는 양념 등과 혼합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식품원료를 가공하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Method of processing dried silkworms into foodstuffs using ginger detox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조된 누에를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5령3일 이상의 건조된 누에를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 결합시키고,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누에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제거하며, 누에에 생강의 영양성분을 흡착시켜 누에의 영양효과를 증대시키는 한편, 다양한 곡류, 야채, 채소 또는 양념 등과 혼합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식품원료를 가공하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하늘의 곤충인 천충(天蟲)이라고 불리는 누에는 사람들이 예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아릅답게 만드는 비단을 생산하기 위해 길러왔다. 그러나 누에는 기르기가 까다로우며 성장과정이 결백하기로 알려져 있다. 누에를 치기 위해서는 누에치는 도구, 잠실 등을 청결히 유지하고 누에가 먹는 뽕밭에는 절대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누에는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누에를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은 예로부터 널리 알려져 왔고, 누에고치 생산을 많이 할 시기에는 할머니, 할아버지 몰래 어린아이에게 누에 1~2마리를 먹이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옛이야기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누에는 비단을 얻기 위해 길러져 왔으나, 고품질, 고단백의 급원으로 그 기능이 높고,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으며,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누에(Silkworm)는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조 분말이나, 열수 가수분해 처리를 한 분말환, 정제파우치 형태의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누에는 동의보감을 비롯한 의학고서에서 누에번데기나 누에고치가 당뇨병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누에 자체를 혈당강하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례에 착안하여 누에분말의 약리효과 규명시험을 한 결과, 5령 3일째의 누에를 건조시켜 식품으로 이용시 당뇨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누에분말이 음식물과 같이 소장에 도달하게 되면, 이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중의 하나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줌으로써, 이당류가 단당류로 일시에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자연흡수를 유도하여 고혈당을 조절하는 약리적인 효능이 있으며, 누에가루는 혈당강화물질 DNJ(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jmycin])에 의해 식후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당화혈색소 정상화 효과, 변비 개선 효과, 간독성 회복효과가 있으며 피부의 노화를 막고 기타 골다공증과 관절염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누에가 먹고 자라는 뽕잎은 수천년동안 누에의 먹이로 이용되어 왔으나, 2200여년전에 쓰여진 세계 최초의 의약서인「신농본초경」과 조선시대의「동의보감」에 상백피와 함께 뽕잎의 효능과 먹는 방법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뽕잎은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에서 뽕잎에 대한 물질분석을 통하여 50여종의 각종 미네랄과 21종의 아미노산, 59종의 유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등 성인병과 현대병을 예방, 치료해주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능성 식품재료임이 밝혀졌다.
또한, 뽕잎은 영양가 높은 잎채소로 콩 다음으로 높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녹차보다 10배 이상의 혈압강화물질 GABA(Gamma Amino Butyric Acid)가 풍부하고 모세혈관 강화물질(Rutin)이 녹차의 3배, 메밀의 18배 풍부하며, 우유의 27배, 시금치의 50배에 해당하는 칼슘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뽕잎은 기타 아스파라긴산, 라이신, 콜린, 세린, 메티오닌, 글루타민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뽕잎의 효능으로는 고혈압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억제하며, 혈전을 예방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한편, 장을 활성화하고 변비를 개선하며, 다이어트 증진효과가 있다.
즉, 누에는 앞서 설명한 좋은 효과와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건조누에환, 건조누에분말 등 제한된 가공품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영양성분이 높아 음료로 개발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누에의 성질상 보관이 어렵고, 제조가공하여도 보존기간이 짧아 유통의 어려움이 따르는 한편, 연중 오랫동안 섭취하기 위해서는 가공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오늘날 기능성 건강양잠산업으로의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온 누에는 1995년 농촌진흥청과 경희대학교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여 발표한 누에분말 혈당강하제로 오늘날까지 소비자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아오고 있으나, 정부의 의료보호 대책으로 노인들에게 당뇨병 약이 지급되고 있어 그 소비가 줄어들었으며, 누에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 때문에 먹기를 기피하는 현상이 있어 양잠농가의 폐농이 늘어만 가는 실정이다.
1998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혈당강하제용 누에분말을 특허 등록하고 동결건조누에분말을 2005년부터 인체시험 및 기능성과 유해물질에 대한 안정성등을 오랜 검증기간을 거처 2009년 식품의약품안정청 규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로 등재되었다. 현재는 익힌 숙잠을 분말 및 과립, 정재등으로 공급되고 있으나,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제거한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55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15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압력과 열을 가할 수 있는 압력솥을 이용하여 생강법제방법으로 생강에서 휘발되는 50여종의 영양성분이 누에에 충분히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영양효과가 증진되고,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제거할 수 있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거친 건조누에 15~25중량%, 에탄올 10~20중량%, 액상의 이온미네랄 65~75중량%을 혼합한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3시간동안 칼날회전교반기로 누에실샘을 분해함과 동시에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결합시켜 누에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솔비톨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액상가공액을 60~70℃의 온도로 7~10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는 제4단계와 세척 및 박피하고, 2~3mm 두께로 썰은 생강 2~10중량%를 압력솥 바닥에 넣어 바닥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한 후 상기 생강의 상부에 스테인레스망을 깔고 상기 제4단계의 건조가공누에 90~98중량%를 넣은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0~40분 처리하고, 압력제거 후 100~110℃의 온도로 30~50분동안 가열하여 누에원료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과당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단계는 5령3일이상의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조된 식품원료를 분말화시킴으로써,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를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은 누에에 포함된 영향성분에 의해 소염효과, 염증완화, 미네랄흡수율증대의 효과와, 올리고당 및 과당의 첨가로 장내 유효한 효소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와, 현미, 검은콩, 건조도라지, 건조초석잠, 건조우엉, 건조무, 건조늙은 호박, 건조마, 마늘, 파, 양파, 미역, 다시마, 소금 등을 생강을 이용하여 법제화하여 영양흡습을 촉진하고, 이에 따른 농산물 소비촉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현대인들의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기능성 물질을 공급하여 영양균형을 유지하여 혈당강화, 혈압관리, 콜레스테롤저하, 동맥경화예방, 골다공증 예방, 변비개선, 청소년의 두뇌개발, 노인성 치매예방, 기력증진과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뽕잎을 먹고 자라 뽕잎의 함유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누에의 단백질과 지방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저분자화하여 인체 이용률을 높이고, 건강식품, 화장품 산업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가공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이 제거된 식품원료를 제조하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한편,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Peptide)에서 펩타이드 결합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효소로서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며 다양한 생리학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테아제(Protease)는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Ca2 +,Zn2 +,Mg2 +,Mn2 +과 같은 금속 양이온에 의해 효소 활성이 조절되는데, 대부분 Zn2 +을 포함하는 단백질로서 효소활성을 위해 Zn2+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프로테아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누에(Silkworm)의 장에서 분리된 세라티아 마르센스(Serratia marcescens ;ATCC 21074)에서 생산되는 세라펩타제(Serrapeptase:누에효소)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세라펩타제는 피브린(fibrin) 분해능 및 면역성 펩타이드(inflammatory peptide)인 브라디키닌(bradykinin), 히스타민(histamin)에 의한 가수 분해 기능을 가지고 있기 대문에 소염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누에 내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세라펩타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기제로 치유적 효과를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조직의 손상 시에 형성되는 염증을 일으키는 점액질을 희석시킴으로 염증을 저하시켜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손상된 조직의 치유가 빨라지게 만든다.
둘째, 통증을 일으키는 브라디키닌이라 불리는 아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가 있다.
셋째,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의 부산물인 피브린이라는 단백질을 분해함으로 심혈관계의 건강을 도와줄 수 있고, 세라펩타제는 살아있는 조직을 그대로 두고 피브린과 손상이 난 조직을 녹여버림(분해)으로 혈관에 문제를 전혀 일으키지 않으면서 동맥경화문제를 상당히 완화시켜 줄 수가 있다.
따라서 세라펩타제는 혈액응고물질, 낭종, 동맥에 생기는 플래그와 같은 죽은 조직들을 분해해 줌으로 삔 곳, 손상된 인대, 수술 후 부은 곳, 다리에 생긴 혈액응고, 그리고 귀, 인후, 코에 생기는 염증과 동맥 경화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세라펩타제는 누에를 기를때 누에가 번데기에서 나방이 되어 고치를 뚫고 나올때 알카리점액물질과 세라펩타제를 이용해 밖으로 나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를 거친 건조누에 15~25중량%, 에탄올 10~20중량%, 액상의 이온미네랄 65~75중량%을 혼합한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3시간동안 칼날회전교반기로 누에실샘을 분해함과 동시에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결합시켜 누에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솔비톨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의 액상가공액을 60~70℃의 온도로 7~10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는 제4단계(S40);와 세척 및 박피하고, 2~3mm 두께로 썰은 생강 2~10중량%를 압력솥 바닥에 넣어 바닥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한 후 상기 생강의 상부에 스테인레스망을 깔고 상기 제4단계(S40)의 건조가공누에 90~98중량%를 넣은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0~40분 처리하고, 압력제거 후 100~110℃의 온도로 30~50분동안 가열하여 누에원료를 제조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S30)는 상기 제2단계(S20)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과당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단계(S10)는 5령3일이상의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조된 식품원료를 분말화시킴으로써,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를 제조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단계(S10)는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것으로서, 건조된 누에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그 중에서도 5령3일 이상의 누에를 선별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백질이 30%이상 함유된 누에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2단계(S20)는
상기 제1단계(S10)를 거친 건조누에 15~25중량%, 에탄올 10~20중량%, 액상의 이온미네랄 65~75중량%를 혼합한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3시간동안 칼날회전교반기로 누에실샘을 분해함과 동시에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결합시켜 누에액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칼날회전교반기를 이용하여 건조누에와 이온미네랄을 킬레이트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농도 95%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누에는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조누에가 15중량%미만으로 포함되면, 누에의 영양성분이 미미하여 누에를 통한 영양성분 향상 효과가 다소 미흡하고, 건조누에가 2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이후의 생강법제방법을 통해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맛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온미네랄은 인체에 풍부한 무기영양소를 더욱 쉽게 섭취 및 흡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온미네랄이 6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이온미네랄의 조성비가 미미하여 이온미네랄에 의한 영양성분 향상 효과가 다소 미흡해지고, 이온미네랄이 7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이온미네랄에 의한 영양성분 향상 효과는 향상되나, 건조누에의 조성비가 낮아져 누에에 의한 영양성분 향상효과가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3단계(S30)는
상기 제2단계(S20)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솔비톨 또는 과당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단맛을 부가하여 누에의 불쾌한 냄새와 역겨운 냄새를 일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4단계(S40)는
상기 제3단계(S30)의 액상가공액을 60~70℃의 온도로 7~10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액상가공액을 용기에 담고 건조기에 넣은 후 열풍을 이용하여 충분히 건조함으로써, 이후의 생강법제를 진행시 생강에서 휘발되는 50여종의 영양성분이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단계(S50)는
세척 및 박피한 생강을, 2~3mm 두께로 썰은 후 2~10중량%를 압력솥 바닥에 넣어 바닥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한 후 상기 생강의 상부에 스테인레스망을 깔고 상기 제4단계(S40)의 건조가공누에 90~98중량%를 넣은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0~40분 처리하고, 압력제거 후 100~110℃의 온도로 30~50분동안 가열하여 누에원료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생강법제방벙으로 생강에서 50여종의 영양성분이 휘발되어 상기 건조가공누에에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압력을 제거한 후 다시 가열함으로써, 생강의 영양성분이 휘발된 건조가공누에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5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누에원료를 압력솥에서 꺼낸 후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서 자연냉각시키는 추가건조단계(S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추가건조단계(S55)를 통하여 누에원료를 다시 한번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추가건조단계(S55)까지 거쳐 건조된 누에원료를 제조한 후 분쇄기 또는 맷돌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화시킴으로써,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를 제조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단계(S60)를 거친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는 현미, 검은콩, 도라지, 초석장, 우엉, 늙은 호박, 마, 미역, 다시마, 소금 등과 같은 곡류, 야채, 채소 등과 혼합하여 영양제 또는 다식(茶食) 등의 음식품, 사료, 비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된 곡물, 야채, 채소 등은 본 발명의 건조누에와 마찬가지로 건조된 상태로 만들고,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영양제 또는 다식(茶食), 과립 등의 음식품, 사료, 비료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를 거친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는 구연산,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타우린 및 정제수 등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혼합물을 95℃~100℃의 온도로 1~2시간 가열하고, 냉각시켜 건강음료로 제조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강은 수분 함량이 80~90%이며, 당질이 약 12~13%, 섬유질이 약 2g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과 무기질은 비교적 적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생강은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약리 성분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을 간직하고 있다. 생강(Zingiber officiti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근경을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며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를 지닌 향신료이다. 생강의 풍미 성분은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으로 분류된다. 정유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g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효과가 높다.
또한, 이들 분획(fraction)이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면역능력을 증진시키며 만병의 원인이 되는 혈액의 오염을 정화시키는 효능이 뛰어나다. 생강의 핵심적인 효능은 백혈구의 수를 늘려 혈액의 활동을 촉진하고 면역력을 높이며, 위장 내벽의 혈액 순환을 도와 위장 활동을 촉진시켜 소화 흡수력을 높인다.
생강의 진저롤 성분은 담즙을 촉진시켜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없애며, 체온 상승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를 예방하고 발한, 배뇨, 배변 작용을 촉진시켜 체내의 음식물(식독)이나 혈액(어혈, 오염된 피), 체액(수독)을 정화시키고, 에너지가 과도하게 축적된 경우에는 혈액순환을 도와 체내 세포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이 생강은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의 저하효과, 종양억제, 소염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1. 건조된 5령3일 누에 15~25중량%, 에탄올 10~20중량%, 액상의 이온미네랄 65~75중량%를 혼합한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3시간동안 칼날회전교반기로 누에실샘을 분해함과 동시에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결합시켜 누에액을 제조하였다.
2. 상기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솔비톨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액상가공액을 60~70℃의 온도로 7~10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였다.
4. 세척 및 박피한 생강을 2~3mm의 두께로 썰고, 상기 생강 2~10중량%를 압력솥 바닥에 넣어 바닥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한 후 상기 생강의 상부에 스테인레스망을 깔고 상기 제4단계(S40)의 건조가공누에 90~98중량%를 넣은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0~40분 처리하고, 압력제거 후 100~110℃의 온도로 30~50분동안 가열하여 누에원료를 제조하고, 충분히 자연건조시켰다.
5. 상기 누에원료를 분쇄기 또는 맷돌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들어 식품원료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형태의 식품원료와 앞서 설명된 생강법제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현미, 소금 등을 분말형태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전병, 다식, 과립 등의 음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구연산,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타우린 및 정제수를 배합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누에에 함유된 22종의 아미노산의 성분 및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고, 주요 아미노산의 작용을 표 2에 기재하였으며, 지방산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 내지 3은 누에사육 및 익힌 숙잠 생산기술(2015.08.10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지상덕연구원의 발표)로 충북 보은군 농업기술센터 6차 산업 농민교육에서 배포한 자료를 참고한 것이다.
[표 1] 아미노산의 성분 및 함량과 아미노산의 주요작용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1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용의 아미노산과 비교하여 볼 때, 누에에도 많은 양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식품원료에도 많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표 2] 주요 아미노산의 작용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3
상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에에 포함된 주요 아미노산의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원료를 섭취함으로써, 누에의 아미노산에 의한 영양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표 3] 지방산의 함량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용의 지방산과 비교하여 볼 때, 누에에도 많은 양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식품원료에도 많은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온미네랄은 기 공지된 이온미네랄을 사용하고, 그 성분은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이온미네랄(상품명:뉴다미미네랄[제조원:유디아미네랄, 충북 보은군 보은읍 남부로 4809-14, 보은등록허가 1064호]) 성분표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5
[표 5] 이온미네랄 영양효과표(바이오미네랄)
Figure 112017040712950-pat00006
원소기호명: Si(규소), Ca(칼슘), Mg(마그네슘), K(칼륨), Mn(망간), Ti(티타늄), Na(나트륨), P(인), Zn(아연), S(유황), I(요오드), V(바나듐), Cu(구리), Co(코발트), Cr(크롬), Sr(스트롬튬)
※ 본 인체에대한 영양효과표는 특허발명 제16025호에서 발취한 것으로 1988. 보사부 문서대호 감시 제31154-12521(1998. 9. 16시행)에 의거 사용 승낙. 1993. 보사부 문서대호 위정 제65407-857호(1993. 7. 9시행)에 의거 재확인 하였음.
즉, 본 발명의 식품원료는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가공함으로써,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로 제조되고, 상기 표 1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체에 유용한 단백질 효소, 이온미네랄, 비타민뿐만 아니라 생강의 50여종의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건강식생활을 충족시켜주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S10 : 제1단계
S20 : 제2단계
S30 : 제3단계
S40 : 제4단계
S50 : 제5단계
S55 : 추가건조단계
S60 : 제6단계

Claims (4)

  1.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를 거친 건조누에 15~25중량%, 에탄올 10~20중량%, 액상의 이온미네랄 65~75중량%를 혼합한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3시간동안 칼날회전교반기로 누에실샘을 분해함과 동시에 이온미네랄과 킬레이트결합시켜 누에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의 누에액 80~90중량%, 올리고당 5~10중량%, 솔비톨 5~10중량% 또는 과당 5~10중량%를 교반하여 이온결합시킴으로써, 액상가공액을 제조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의 액상가공액을 60~70℃의 온도로 7~10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건조가공누에를 제조하는 제4단계(S40);와
    세척 및 박피하고, 2~3mm 두께로 썰은 생강 2~10중량%를 압력솥 바닥에 넣어 바닥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한 후 상기 생강의 상부에 스테인레스망을 깔고 상기 제4단계(S40)의 건조가공누에 90~98중량%를 넣은 후 100~110℃의 온도와 2~3kgf/㎠의 압력으로 20~40분 처리하고, 압력제거 후 100~110℃의 온도로 30~50분동안 가열하여 누에원료를 제조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누에원료를 압력솥에서 꺼낸 후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서 자연냉각시키는 추가건조단계(S55); 및
    상기 추가건조단계(S55)까지 거쳐 건조된 누에원료를 분쇄하여 분말화시킴으로써, 분말형태의 식품원료를 제조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단계(S10)는
    5령3일 이상의 건조누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53350A 2017-04-26 2017-04-26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KR10196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50A KR101966517B1 (ko) 2017-04-26 2017-04-26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50A KR101966517B1 (ko) 2017-04-26 2017-04-26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79A KR20180119779A (ko) 2018-11-05
KR101966517B1 true KR101966517B1 (ko) 2019-04-05

Family

ID=6432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350A KR101966517B1 (ko) 2017-04-26 2017-04-26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5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66A (ko) * 2001-12-24 2002-03-29 이성희 누에고치 소재 단백가수분해법에 의한 실크 아미노산과 실크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항암, 항유전독성 효과
KR101115510B1 (ko) 2009-07-27 2012-03-13 정철헌 저온에서 액상으로 효소 추출하는 누에 등의 효소 분해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130017746A (ko) * 2011-08-11 2013-02-20 박지호 귀뚜라미, 땅강아지, 굼벵이가 포함된 환 제조방법
KR101541516B1 (ko) 2013-02-07 2015-08-05 류재석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27221A (ko) * 2015-09-01 2017-03-09 유춘봉 누에 단백질을 이용한 미네랄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79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4654B1 (ko)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KR20070000573A (ko) 혈당저하 및 변비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930863B1 (ko)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170027221A (ko) 누에 단백질을 이용한 미네랄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음료
KR101728243B1 (ko) 유산균 발효 통마늘 제조방법
KR102085436B1 (ko) 생누에를 이용한 식품원료의 가공방법
KR101966517B1 (ko)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KR101182696B1 (ko) 전복두부와 그 제조방법
KR101690416B1 (ko)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4339911B2 (ja) 大根及びカボチャの成分を含有するエキスの製造方法とそのエキスを用いた顆粒及び錠剤の製造方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882229B1 (ko) 실크 단백질이 혼합된 이유식 제조방법
JPH07170937A (ja) 天然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KR101737692B1 (ko) 버섯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Yellowdawn The sun, human & food: A self-treatment and practice with natural food
KR102596821B1 (ko) 닭다리살을 이용한 소시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소시지
CN102499375A (zh) 一种保健食品的制备方法
KR102397024B1 (ko)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KR20070081222A (ko) 해조류를 이용한 유효균 증대 건조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716B1 (ko) 전복젓갈과 그 제조방법
KR101174723B1 (ko) 생콩 청국장 조성물
KR20100118296A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5709A (ko) 말뼈와 산호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