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271B1 -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271B1
KR101966271B1 KR1020180073145A KR20180073145A KR101966271B1 KR 101966271 B1 KR101966271 B1 KR 101966271B1 KR 1020180073145 A KR1020180073145 A KR 1020180073145A KR 20180073145 A KR20180073145 A KR 20180073145A KR 101966271 B1 KR101966271 B1 KR 10196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acon
parking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류승삼
왕현곤
김문평
정찬완
박승정
김현정
서선화
허정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8007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15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비콘영역(아파트단지 주출입구, 대형건물 지상 또는 지하 주차장 출입구 등)과 주차영역과 제3비콘영역(아파트의 지상 또는 지하 공동현관문 출입구, 건물로비 현관 출입구, 대형시설 정문 출입구 등)에 설치된 비콘들이 송출하는 비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차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관한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주차완료를 감지함과 동시에 해당 사용자의 주차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A intelligent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출입구에 설치된 비컨 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차영역으로의 진입 정보와 주차 정보와 주차 완료 후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주차완료를 감지함과 동시에 해당 사용자의 주차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필요 시 사용자에게 자신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주차 관제 관련 산업은 주차 관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요소 모듈, 즉 주차센서, 차량 번호판 인식 카메라, 주차 유도 및 안내 전광판, 차량 주차유도 모듈, 주차위치안내 모듈, 무인주차 요금 정산기, 입차 및 출차 차단기, 주차요금 전자 결제 시스템 등이 있으며, 주차 관제 관련 요소 모듈 제품들은 전체 시스템에서의 역할로 상품의 의미를 많이 가지며 그 자체 단품만으로는 마켓이 크지 않은 편이며, 주차 관제 시스템 솔루션 산업은 주차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해당 주차 관제 관리 업체/기관에서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즈니스 위주이며, 주차 관제 서비스 산업은 주차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기업 활동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주차관제 솔루션은 ICT와의 융합으로 스마트 주차관제 서비스로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광역에 걸쳐 주차장 공유, 카쉐어링 등을 포함한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통합되어 갈 전망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로 통합되어 가는 부분에서 IoT 기술을 접목한 사용자 중심의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주차관제 시스템에 대한 기술에 대한 것이며, 이를 이용하여 주차장 정보 관리 및 여유 주차 공간 탐색 및 안내를 지원하는 지능형 주차관제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33370호(비콘과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선행문헌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4335호(지능형 주차관제시스템) (선행문헌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5773호(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복합건물 내 복수개소(주출입구, 주차장, 공동현관문 등)에 설치된 비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파트내 진입과 주차영역에의 주차와 주차 완료후 공동 현관문을 통해 사용자 호실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콘 기술과 지그비 무선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주차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관리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요시 사용자에게 자신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은,
주차관리앱(App)이 탑재되고 탑재된 주차관리앱(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1비콘영역에 설치된 제1비콘으로부터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으로부터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시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운전자 자세 변화 정보에 의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며, 제3비콘영역에 설치된 제3비콘으로부터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주차 감지 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제1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1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1비콘(31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 쌍을 이루며 외부로 제2비콘정보를 송출하고, 매칭된 주차감지센서(200)의 제어에 따라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변경되는 제2비콘(320)과,
제3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3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3비콘(330)과,
동일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관제를 위해 주출입구, 주차장, 공동현관문 등에 설치된 비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거주 지역으로의 진입과 주차영역에의 주차와 주차 완료후 공동 현관문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정확히 주차 완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비콘 기술과 지그비 무선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주차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관리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의 동작설명 개념도.
도 3은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는 주차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은,
주차관리앱(App)이 탑재되고 탑재된 주차관리앱(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1비콘영역에 설치된 제1비콘으로부터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으로부터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시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운전자 자세 변화 정보에 의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며, 제3비콘영역에 설치된 제3비콘으로부터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주차 감지 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제1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1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1비콘(31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 쌍을 이루며 외부로 제2비콘정보를 송출하고, 매칭된 주차감지센서(200)의 제어에 따라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변경되는 제2비콘(320)과,
제3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3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3비콘(330)과,
동일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3비콘정보는 비콘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는 운전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는 운전자의 주차 전 자세 정보와 주차 후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전후의 자세 변화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설정된 패턴의 자세 변화가 있으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감지센서(200)에 의한 제2비콘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 제어는 주차가 감지되지 않은 평상시 보다 송출 주기를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등(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 감지 시, 상기 주차등(210)의 색을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비콘우선순위정보는 수신된 제2비콘들의 고유 아이디들에 우선순위가 부여된 정보이고, 상기 비콘우선순위정보는 주차완료 직전 일정시간 동안 주변의 제2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 중 송출 주기가 가장 짧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2비콘정보를 우선순위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 해당 사용자의 주차정보를 제공하고, 제1~3비콘(310,320,330)들의 고유 아이디와 제1~3비콘(310,320,330)들이 설치된 설치장소정보를 매칭 시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차량번호, 사용자 주소정보, 사용자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별 주차정보는 사용자의 차량번호와 주차영역정보와 주소정보와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의 동작설명 개념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 제1~3 비콘(310,320,330), 주차감지센서(200), 관리서버(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비콘영역, 주차영역, 제3비콘영역에서의 구성수단들(사용자단말기(100), 제1~3 비콘(310,320,330), 주차감지센서(200), 관리서버(500))의 동작 특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주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공동 현관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2의 제1비콘영역에서의 각 구성수단들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주 출입구를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거주할 수 있는 공간과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건물로 차량을 이용하여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는 주차관리앱(App)이 탑재되고, 탑재된 주차관리앱(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100)는 제1비콘영역에 설치된 제1비콘(310)으로부터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제1비콘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여 제1비콘영역 통과시 제1비콘영역에 설치된 제1비콘(310)으로부터 제1비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비콘정보는 비콘 고유 아이디 정보(예:B1-1234***)일 수 있으며, 수신한 제1비콘정보는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제1비콘정보 송신 시, 사용자정보도 함께 전송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전에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차량번호, 주소정보,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소정보는 동호수 정보나 거주공간의 호실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비콘정보 수신,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 전송은 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된 주차관리앱(App)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함께 수신받게 된다.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비콘설치장보 정보를 이용해 수신된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어느 제1비콘영역을 통과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가 B1-1234***이라는 제1비콘이 정문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이라는 비콘설치장소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B1-1234***이라는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비콘설치장보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는 차량을 이용해 정문 출입구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제1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제1비콘영역 통과 정보인 제1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
상기 제1보안관리정보는 예를 들어, "**동**호 또는 **호에 거주하는 사용자 A는 **년**월**일 *시에 정문 출입구 통과" 라는 제1보안관리정보가 생성되어 저장 관리되는 것이다.
생성된 제1보안관리정보는 후술하게 될 보안관리정보 생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다음으로, 도 2의 단지 주차영역에서의 각 구성수단들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감지센서(200)는 단지내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주차 감지 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2비콘의 제2비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등(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 감지 시, 상기 주차등(210)의 색을 변경(예: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영역마다 주차감지센서(200)와 제2비콘(320)이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자신의 주차 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고, 주차되는 차량 감지 시, 자신과 매칭 쌍을 이루고 있는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비콘정보는 제1비콘정보와 마찬가지로 제2비콘(320)의 비콘 고유 아이디 정보(예:B2-1234***)일 수 있으며, 제2비콘정보는 이더넷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더넷 통신망 상에는 수신기(400)와 중계기(410)가 설치될 수 있고,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이용해 제2비콘정보가 주차감지센서(200)에서 수신기(400)와 중계기(410)를 거쳐 관리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감지센서(200)가 전송하는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여 중계기(410)로 전송하는 수신기(400)와, 상기 수신기(400)가 전송한 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중계기(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200)가 전송하는 제2비콘정보는 상기 수신기(400)와 중계기(410)를 경유하여 관리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감지센서(200)는 차량의 주차 감지 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를 제어한다.
주차영역마다에는 주차감지센서(200)와 제2비콘(320)이 쌍으로 매칭되어 설치되는데, 평상시 제2비콘(320)은 설정된 주기(예: 20초)로 자신의 비콘정보인 제2비콘정보를 외부로 송출한다.
그러나 특정 주차영역에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면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의 비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비주차시인 평상시보다 짧게 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평상시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20초 였다면, 주차가 감지되면 송출 주기를 평상시보다 짧은 10초 또는 5초 등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제2비콘의 송출 주기를 짧게 제어하는 이유는 후술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등(210)을 더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 감지 시, 상기 주차등(210)의 색을 변경(예: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 시켜 주차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차된 영역과 빈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평상시에는 주차등 색을 녹색으로 하고,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이 주차되면 주차등 색을 붉은색으로 변화시켜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장을 이동중인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차된 주차영역과 주차되지 않은 주차영역을 시각적으로 정보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비콘(320)은 주차영역에 설치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 쌍을 이루며 단지내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외부로 제2비콘정보를 송출하고, 매칭된 주차감지센서(200)의 제어에 따라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변경된다.
즉, 외부로 송출되는 상기 제2비콘정보는 제1비콘정보와 마찬가지로 제2비콘(320)의 비콘 고유 아이디 정보(예:B2-1234***)일 수 있으며, 외부로 송출되는 제2비콘정보의 송출 주기는 평상시(비 주차시)에는 설정된 주기(예:20초)로 송출되고 있다가 해당 주차영역에 차량 주차시에는 주차감지센서(200)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보다 짧은 주기(예: 10초, 5초)로 송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100)는 특정 주차영역에 차량 주차시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으로부터 제2비콘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으로부터도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복수의 주차영역으로 구분된 주차장이 오픈된 공간이기 때문에 전파 신호인 제2비콘정보(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의 비콘정보와 주변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의 비콘정보)들이 모두 수신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신되는 제2비콘정보들은 각기 다른 비콘 정보들로서 수신되는 고유 아이디 정보와 수신 주기와 수신 신호세기가 각기 다른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제2비콘정보들은 아래표 1과 같은 특징을 갖을 수 있다.(평상시 제2비콘들의 비콘정보 송출주기가 20초이고, 주차시 송출주기가 10초로 제어되는 경우)
제2비콘정보 수신주기 수신세기 비고
B2-12345*** 10초 10 주차되는 A주차영역의 제2비콘정보
B2-23456*** 20초 7 A 주차영역 바로 옆 B주차영역의 제2비콘정보
B2-34567*** 20초 4 A 주차영역에서 떨어진 C 주차영역의 제2비콘정보
상기 표1과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에 수신되는 제2비콘정보들은 현재 사용자 차량이 주차되고 있는 주차영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인 B2-12345***과 주변의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들의 비콘 정보인 B2-23456***, B2-34567*** 일 수 있다.(실제로는 더 많은 제2비콘정보들이 수신되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3개가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함)
그러나 수신되는 제2비콘정보들의 수신 주기와 수신 세기가 각기 다르게 된다. 수신 주기에 있어서, 상기 표1의 예와 같이 현재 사용자 차량이 주차되고 있는 주차영영역(상기 표1의 A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인 B2-12345***는 해당 주차감지센서(200)에 의해 송출주기가 20초(평상시)에서 10초(주차시)로 제어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단말기(100)는 제2비콘정보인 B2-12345***를 10초인 수신주기로 수신하게 되고, 다른 제2비콘의 비콘 정보인 B2-23456***, B2-34567***들은 20초인 수신 주기로 수신하게 된다.
또한, 수신 세기 역시, 사용자단말기와 가장 가까이 있는 현재 사용자 차량이 주차되고 있는 주차영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인 B2-12345***는 수신 신호세기가 가장 큰 10이고, 주변의 다른 제2비콘들의 비콘 정보인 B2-23456***, B2-34567***들은 사용자단말기와 떨어져 있는 순으로 7, 4 등의 세기로 수신되는 것이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주차시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운전자 자세 변화 정보에 의해 운전자의 주차 완료를 판단하고, 주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기(100)에는 운전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예: 자이로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는 일정 시간동안 운전자의 자세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사용자단말기(100)는 감지센서가 획득한 운전자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전 자세 정보와 주차 후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차 전후의 자세 정보를 이용해 자세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한 자세 변화 패턴이 저장된 주차시 발생하는 자세 변화 패턴과 일치하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인 사용자는 주차시 두 가지 자세 패턴을 보이게 된다.
주차전에는 자신의 차량을 특정 주차영역에 주차시키기 위해 차량 내부에 앉은 자세로 운전하는 자세 패턴을 보이고, 주차완료 후에는 차량에서 내리는 자세 패턴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단말기(100)는 감지센서가 획득한 운전자의 자세 정보로부터 주차전 자세 정보와 주차후 자세 정보를 각각 추출하게 되고, 추출한 주차전 자세 정보와 주차후 자세 정보를 이용해 자세 변화 패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생성된 자세 변화 패턴 정보가 사전에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된 주차시 발생하는 자세 변화 패턴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주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에 의한 비콘우선순위정보 생성은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생성하게 된다.
이는 무분별한 비콘우선순위정보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 완료는 사용자의 단지내 주자차장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아파트 단지내가 아닌 다른 곳에서도 주차 완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아파트 단지내에 형성된 주차영역에 주차 완료시(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들로부터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고 운전자의 자세 변화에 의해 주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게 된는 것이다.
상기 비콘우선순위정보는 수신된 제2비콘들의 고유 아이디들에 순위가 부여된 정보로서,주차완료 직전 일정시간 동안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 중 수신 주기가 가장 짧고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2비콘정보를 우선순위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1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영역에 주차시 사용자단말기(100)는 주차되고 있는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 뿐만 아니라, 주변의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320)들로부터도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되는데 우선순위 부여 기준은 수신 신호 세기와 수신 주기를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 중에서 가장 짧은 수신 주기를 갖는 제2비콘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2비콘정보가 10개이고, 이중 수신 주기가 10초(평상시 제2비콘들의 송출 주기가 20초이고, 주차 감지시 주차감지센서에 의해 송출 주기가 10초로 제어되는 경우를 예로 듬)인 제2비콘정보가 3개라면(이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는 영역과 주변에 있는 주차영역 2개에서 주차가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함) 수신 주기가 10초인 제2비콘정보를 우선순위(예: 1~3위)에 링크시킨다.
예를 들어, 평상시 송출 주기인 20초 보다 짧은 10초 주기로 수신되는 제2비콘정보들은 해당 비콘정보를 송출하고 있는 제2비콘들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가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3개의 제2비콘정보들 중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비콘정보 순서로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신 주기와 수신 신호세기를 기준으로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에 순위를 부여한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가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비콘우선순위정보는 5순위까지의 제2비콘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순위 갯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는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된 조건이 충족된 경우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사전에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즉, 관리서버(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영역에 주차를 감지한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주차감지센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고, 동시에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관리서버(500)는 수신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후술할 사용자별 주차정보 생성을 위해 저장 관리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제3비콘영역에서의 각 구성수단들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주차영역에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는 자신의 거주 호실로 이동하기 위해 제3비콘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3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공동 현관 출입구를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가 주차영역에서 거주공간(거주 호실)으로 이동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비콘영역에는 제3비콘(3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비콘영역을 통과해 자신의 거주 호실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는 제3비콘영역에 설치된 제3비콘(330)으로부터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 주차영역에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가 자신의 거주 호실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이동하기 위해서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지하 공동현관문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제3비콘영역인 지하 공동현관문 출입구에 설치된 제3비콘으로부터 사용자단말기는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제3비콘영역에서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에서 동일한 사용자단말기인지 여부는 제1,3비콘정보 전송시 함께 전송된 사용자정보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이면 제1,3비콘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가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서버(500)가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주차정보 생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주차영역에 주차를 완료한 조건(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만으로 주차정보를 생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주차영역에 차량을 주차할때마다 불필요하게 주차정보가 생성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별 주차정보 생성 조건을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 을 적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주차정보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왜냐하면, 주차영역에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는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다른 주차영역에 다시 주차할 수 도 있고, 주차후 갑작스런 볼일이 생겨 주차된 차량을 아파트 단지 외부로 이동시킬 수 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차완료 후 제3비콘영역을 통과(제3비콘정보 수신) 하였다는 것은 자신이 거주하는 호실로 입실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즉, 이미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다른 주차영역에 다시 주차하지도 않는 상태이거나, 주차된 차량을 외부로 다시 이동시키지 않는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서버(500)는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이 충족되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관리서버는 제2비콘들이 설치된 비콘설치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비콘설치장소 정보와 수신한 제2비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차량이 어느 주차영역에 주차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설치장소 정보는 비콘들의 고유 아이디와 비콘들의 설치장소를 상호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콘설치장소 정보가 B2-1234***이라는 고유 아이디를 갖는 제2비콘이 지상 A-2** 주차영역에 설치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이 충족되면,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인 지상 A-2** 주차영역에 주차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별 주차정보는 사용자의 차량번호와 주차영역정보와 주소정보와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별 주차정보에 사용자의 주소정보와 헨드폰번호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킬 상황이 발생시 해당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별 주차정보가 생성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로 생성된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요청 시,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해당 사용자의 주차정보를 제공하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주차정보가 생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사용자의 주차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제공하거나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주차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사용자의 주차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면,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제3비콘영역 통과 정보인 제2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
관리서버(500)는 제3비콘이 설치된 비콘설치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3비콘설치장소 정보와 수신한 제3비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주차 완료후 최종적으로 어느 제3비콘영역을 통과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콘설치장소 정보가 B3-3456***이라는 고유 아이디를 갖는 제3비콘이 지하 A-2** 주차영역과 연결된 지하 공동현관문 출입구에 설치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관리서버(500)는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지하 A-2** 주차영역에 연결된 지하 공동현관문 출입구 *시 통과" 라는 제2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상기 제2보안관리정보 생성 후, 이미 생성된 제1보안관리정보와 사용자별 주차영역정보와 제2보안관리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관한 정보인 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제1비콘영역단계에서 생성한 제1보안관리정보와 주차영역단계에서 생성한 사용자별 주차영역정보와 제3비콘설치장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관한 정보인 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관리정보는 예를 들어, "**동**호에 사는 사용자A는 **년**월**일 *시에 정문을 통해 아파트단지내로 진입후 *시에 주차영역 **에 주차하고 지하 공동현관문 통과" 라는 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
따라서, 관리서버(500)는 제1보안관리정보와 사용자별 주차영역정보와 제2보안관리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어느 제1비콘영역을 통과해 어느 주차영역에 주차하고 어느 제3비콘영역을 통과해 자신의 거조 호실로 이동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이동 동선에 관한 정보인 보안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주차감지센서
310 : 제1비콘, 320 : 제2비콘, 330 :제3비콘
400 : 수신기, 410 : 중계기
500 : 관리서버

Claims (9)

  1.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차관리앱(App)이 탑재되고 탑재된 주차관리앱(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1비콘영역에 설치된 제1비콘으로부터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제1비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1비콘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 주차영역에 설치된 제2비콘으로부터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시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운전자 자세 변화 정보에 의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고 제2비콘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비콘우선순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콘우선순위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며, 제3비콘영역에 설치된 제3비콘으로부터 제3비콘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제3비콘정보와 사용자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주차 감지 시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자신과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의 제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제1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1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1비콘(31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고, 해당 주차영역에 설치되는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 쌍을 이루며 외부로 제2비콘정보를 송출하고, 매칭된 주차감지센서(200)의 제어에 따라 비콘정보 송출 주기가 변경되는 제2비콘(320)과,
    제3비콘영역에 설치되고, 외부로 제3비콘정보를 송출하는 제3비콘(330)과,

    동일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비콘정보와 제3비콘정보가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었고 주차감지센서(200)로부터 전송된 제2비콘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우선순위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정보속의 해당 사용자 차량이 제2비콘정보를 전송한 주차감지센서(200)와 매칭되어 있는 제2비콘(320)이 설치된 주차영역에 주차한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별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500)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감지센서(200)에 의한 제2비콘의 비콘정보 송출 주기 제어는 주차가 감지되지 않은 평상시 보다 송출 주기를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관리서버(500) 전송하는 비콘우선순위정보는 수신된 제2비콘들의 고유 아이디들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정보로서,주차완료 직전 일정시간 동안 수신된 제2비콘정보들 중 수신 주기가 가장 짧고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2비콘정보를 우선순위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3비콘정보는 비콘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는 운전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감지센서는 일정 시간동안 운전자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단말기(100)는 감지센서가 획득한 운전자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전 자세 정보와 주차 후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차 전후의 자세 정보를 이용해 자세 변화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세 변화 패턴 정보가 저장된 주차시 발생하는 자세 변화 패턴 정보와 일치하면 운전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등(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200)는 주차 감지 시, 상기 주차등(210)의 색을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 해당 사용자의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500)는 제1~3비콘(310,320,330)들의 고유 아이디와 제1~3비콘(310,320,330)들이 설치된 설치장소정보를 매칭 시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차량번호, 사용자 주소정보, 사용자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별 주차정보는 사용자의 차량번호와 주차영역정보와 주소정보와 헨드폰번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감지센서(200)가 전송하는 제2비콘정보를 수신하여 중계기(410)로 전송하는 수신기(400)와,
    상기 수신기(400)가 전송한 2비콘정보를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는 중계기(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200)가 전송하는 제2비콘정보는 상기 수신기(400)와 중계기(410)를 경유하여 관리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주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비콘영역은 아파트, 주상복합, 대형마트 등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공동 현관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KR1020180073145A 2018-06-26 2018-06-26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KR10196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45A KR101966271B1 (ko) 2018-06-26 2018-06-26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45A KR101966271B1 (ko) 2018-06-26 2018-06-26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271B1 true KR101966271B1 (ko) 2019-04-05

Family

ID=6610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45A KR101966271B1 (ko) 2018-06-26 2018-06-26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2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03B1 (ko) * 2020-05-12 2021-02-0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212186B1 (ko) * 2020-05-12 2021-02-0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입주자에게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9-06 주식회사 블루앤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2022011098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KR102556036B1 (ko) 2023-03-29 2023-07-18 주식회사 로드맵 Ai 딥러닝 영상 분석 기술 및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야외 주차장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9960A (ja) * 2012-12-03 2014-06-12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場システム
KR101535773B1 (ko) 2015-03-05 2015-07-24 노명섭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3370A (ko) 2014-09-17 2016-03-28 서정호 비콘과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20160142216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마이티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94335B1 (ko) 2017-03-03 2017-11-06 삼성하나넷 (주) 지능형 주차관제시스템
KR20180026951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차 방지 장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9960A (ja) * 2012-12-03 2014-06-12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場システム
KR20160033370A (ko) 2014-09-17 2016-03-28 서정호 비콘과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101535773B1 (ko) 2015-03-05 2015-07-24 노명섭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2216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마이티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951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차 방지 장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방지 시스템
KR101794335B1 (ko) 2017-03-03 2017-11-06 삼성하나넷 (주) 지능형 주차관제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03B1 (ko) * 2020-05-12 2021-02-0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212186B1 (ko) * 2020-05-12 2021-02-0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입주자에게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9-06 주식회사 블루앤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2022011098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KR102651472B1 (ko) * 2021-02-01 2024-03-26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KR102556036B1 (ko) 2023-03-29 2023-07-18 주식회사 로드맵 Ai 딥러닝 영상 분석 기술 및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야외 주차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271B1 (ko)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EP286786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cellular parking with occupancy control
JP5264062B2 (ja) 環境内、特に建物内でユーザを案内する方法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CN111052198A (zh) 停放物体检测系统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20130090207A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US11423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access and intent identification using mobile phones
US10417853B2 (en)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system
US119782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parking management and invitation-based permitting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170132105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45486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WO2020005465A1 (en) A system of conditional access where access is granted to other users when primary accessor is present in room
WO2019221612A1 (en) A parking system and method
KR20190119945A (ko)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US11348424B2 (en) Method to notify a host the current position of a visitor
US10832508B2 (en) Intent driven building occupant path and system interaction optimization
US10997807B2 (en) Method to create a building path for building occupants based on historic information
KR102150938B1 (ko) 소규모 공동주택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3219A (ko) 저전력 무선 장거리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4계절 환경극복형 실외형 주차 유도 시스템
KR20190022970A (ko) 주차위치 자동 인식방법과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KR20240045014A (ko)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25625A (ko) 요금 지불을 포함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