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203B1 -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203B1
KR102212203B1 KR1020200056338A KR20200056338A KR102212203B1 KR 102212203 B1 KR102212203 B1 KR 102212203B1 KR 1020200056338 A KR1020200056338 A KR 1020200056338A KR 20200056338 A KR20200056338 A KR 20200056338A KR 102212203 B1 KR102212203 B1 KR 10221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king
apartment
beac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화
허정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5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이고, 아파트 단지 내의 곳곳에 설치된 비콘과 사용자단말기 간의 통신에 의해 아파트에 진입한 입주자가 자신 소유의 차량을 주차장까지 주차하고 입주동까지 이동한 동선 정보를 수집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A system that generates big-data via collecting parking paths of apartment residents for reference data of apartment parking design}
본 발명은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 내 곳곳에 설치된 비콘과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입주자들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주자들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입주자들의 선호 주차 구역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한 입주자들의 선호 주차 구역 정보를 이용해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현대사회는 도시화로 인해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이를 위해 대도시 및 대도시 주변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되고 있다.
한편,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입주자들을 위해 단지내에 주차장을 부설하고 있으나 종래의 아파트 단지 주차장은 건축기준에 따라 아파트 세대수에 비례하여 일괄적으로 시공되었기 때문에 입주자의 주차 편의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향후 시공되는 아파트에 반영함으로서 아파트 단지내에 부설되는 주차장의 시공 시, 입주자의 주차 편의성이 반영되도록 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0496호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4958호 주거 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094호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비콘(200)들로부터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비콘 아이디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100)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송출하는 복수의 비콘(20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어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 주차를 감지하고, 차량 주차 여부에 따른 주차감지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주차감지센서(300)와;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입주자인지를 인증하고,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파악하는 발명이기 때문에 현재 건설된 아파트 단지내 주차 구역의 단점과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신규 아파트 건설시 생성된 빅 데이터를 반영하면 입주자의 주차 편의성이 증대된 아파트 단지 내 주차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주자 주차 동선 정보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자별 최다 주차구역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지리적 위치관계 그래프 1
도 7은 본 발명의 지리적 위치관계 그래프 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발명이기 때문에, 신규 아파트 건설시 생성된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반영하면 입주자의 주차 편의성이 증대된 아파트 단지 내 주차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도 2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 비콘(200), 주차감지센서(300), 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비콘(200)들로부터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비콘 아이디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100)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송출하는 복수의 비콘(20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어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 주차를 감지하고, 차량 주차 여부에 따른 주차감지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주차감지센서(300)와;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입주자인지를 인증하고,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인 아파트의 입주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사용하기 위한 전용앱(110)이 탑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탑재된 전용앱(110)은 도 3과 같이,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비콘(200)들로부터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비콘 아이디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예: 헨드폰 번호)를 관리서버(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software)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비콘(200)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송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비콘(200)은 적어도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정문과 후문), 주차구역(30), 각 입주동(20)의 현관에 설치되며, 아파트 단지를 출입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송출한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에 진입한 이후부터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자택으로 들어가기까지 지속적으로 다수의 비콘(200)들로부터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전용 앱(110)은 비콘 아이디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예: 헨드폰 번호)를 관리서버(400)로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관리서버(400)에는 아파트 단지내에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비콘(200)들의 설치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가 전송하는 비콘 아이디 정보와 비콘(200)들의 설치위치 정보를 이용해 해당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콘(200)들의 설치위치 정보는 비콘 아이디와 설치 위치가 매칭 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01-비콘 : 아파트 정문 A, #02-비콘 : 아파트 정문 B, #03-비콘 : 아파트 후문 A, #04-비콘 : 아파트 후문 B, #10-비콘 : 101동 주차장, #11-비콘 : 101동 1~2라인 동 출입현관, #12-비콘 : 101동 3~4라인 동 출입현관, #20-비콘 : 102동 주차장, #21-비콘 : 102동 1~2라인 동 출입현관, #22-비콘 : 102동 3~4라인 동 출입현관 등일 수 있다.
상기 주차감지센서(300)는 도 3과 같이, 아파트 단지내 부설된 주차구역(30)의 주차 영역마다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거나 출자되는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주차구역(30) 각각은 도 1,3과 같이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주차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A 주차구역은 A-1, A-2, A-3...A-n 주차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감지센서(300)가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감지정보는 해당 주차구역(30)의 주차영역에 차량이 주차 감지 시 전송하는 주차감지정보와 차량의 주차 해제 시 전송하는 주차해제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주차감지센서(300)는 도 4와 같이, 차량의 주차 여부에 따라 주차감지정보와 주차해제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데, 상기 주차감지정보는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고, 상기 주차해제정보는 자신의 주차영역에 주차되었던 차량이 출차하여 주차가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주차감지정보 또는 주차해제정보를 통해, 해당 주차영역에 주차가 되어 있는지 아니면 비어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서버(400)는 아파트 단지 내의 일정한 장소(예: 관리사무소)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내로 진입하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아파트 단지내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입주자인지를 인증하고,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관리서버(400)가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내로 진입하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파트 단지 출입구(정문 또는 후문)에는 2개의 비콘(200)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아파트 단지 진출입 시, 사용자단말기(100)는 2개의 비콘(200)으로부터 제1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 받고, 사용자단말기(100)의 전용 앱(110)은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아파트 단지 출입구에 설치된 2개의 비콘(200)은 각각 제1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를 전송하는데, 상기 제1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은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정문 또는 후문)에 설치되고, 제2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은 제1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보다 아파트 단지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로 진입하면 사용자단말기(100)는 제1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외부로 진출하면 사용자단말기(100)는 제2 비콘 아이디 정보와 1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서버(400)는 도 3과 같이 사용자단말기(100)가 제1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면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사용자단말기(100)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1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면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외부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관리서버(400)가 아파트 단지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가 입주자인지를 인증하는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입주자 정보속의 아이디 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입주자 정보속의 아이디 정보에 해당되면 해당 사용자를 적법한 아파트 단지의 입주자로 인증한다.
관리서버(400)에는 등록된 입주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된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입주자 정보속의 아이디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주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와 동 호수가 매칭 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는 헨드폰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주자 정보는 “ 1동 201호 - 사용자 아이디(010-1234-****, 010-1235-****, 010-1236-****), 2동 304호 - 사용자 아이디(010-1234-****, 010-1235-****, 010-1236-****) 등일 수 있다.
상기 입주자 정보는 1인 가정은 단수의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다수의 가족 구성원이 있는 가정은 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관리서버(400)가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는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관리서버(400)는 인증된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가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전 저장된 비콘 설치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입주자별로 저장한다.
생성하는 주차동선 정보는 출입구 정보(정문 또는 후문), 주차한 주차구역 정보, 입주동 정보를 포함하는데, 도 3을 예를 들면,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동선 정보는 정문(또는 후문) → A주차구역 → 사용자 입주동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차동선 정보를 입주자별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이유는 관리서버(400)가 누적 저장된 입주자들의 주차동선 정보를 학습하여 입주자별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특히, 관리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주차구역(예:A구역)에 설치된 비콘(200)의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특정 주차구역(예:A구역)의 주차 영역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300)로부터 주차감지정보가 수신되면 인증된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A 주차구역(A-1, A-2, A-3...A-n 주차영역을 포함하는 주차 구역)에 설치된 비콘(200)의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예:3분) 이내에 동일한 주차구역인 A주차구역의 A-1 주차영역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300)로부터 주차감지정보가 수신되면 인증된 사용자가 A 주차구역에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관리서버(400)가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인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관리서버(400)는 누적 저장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학습하여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와 아파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한다.
먼저, 상기 관리서버(400)는 누적 저장되어 있는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다수의 입주자들의 주차 동선 정보를 학습하여 도 5와 같이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1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은 A 주차구역이고, #2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은 F 주차구역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400)는 생성된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1 입주자가 자신의 최다 주차구역인 A 주차구역에 주차하였을 때의 주차동선 정보(예: 출입구(정문 또는 후문) → A 주차구역 → #1 사용자의 입주동)를 추출하거나 #2 사용자가 자신의 최다 주차구역인 F 주차구역에 주차하였을 때의 주차동선 정보(예: 출입구(정문 또는 후문) → F 주차구역 → #2 사용자의 입주동)를 추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서버(400)는 추출된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와 아파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상기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는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과 해당 입주자가 진입했던 아파트 출입구의 지리적 위치 관계 정보,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과 해당 입주자 입주동의 지리적 위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1 입주자가 자신의 최다 주차구역인 A 주차구역에 주차하였을 때 진입했던 출입구(정문 또는 후문)와 최다 주차구역인 A 주차구역과의 지리적 위치관계, 또는 도 7과 같이, #1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인 A 주차구역과 #1 입주자의 입주동과의 지리적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생성된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통해 현재 정해진 아파트 구조상에서 입주자들이 어떠한 주차 구역을 선호하는지, 예를 들어 출입구에 가까운 주차 구역을 선호하는지 아니면 입주동에 가까운 주차 구역을 선호하는지 아니면 지하 주차구역을 선호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정보를 향후 시공되는 아파트에 반영하게 되면 입주자들의 주차 편의성이 향상된 아파트 주차 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시스템
20 : 입주동
30 : 주차구역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비콘
300 : 주차감지센서
400 : 관리서버

Claims (7)

  1. 아파트 입주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비콘(200)들로부터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비콘 아이디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100)와;
    아파트 단지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송출하는 복수의 비콘(200)과;
    주차영역마다 설치되어 자신의 주차영역에 차량 주차를 감지하고, 차량 주차 여부에 따른 감지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주차감지센서(300)와;
    비콘 아이디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입주자인지를 인증하고, 입주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센서(300)가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감지정보는 차량 주차 감지 시 전송하는 주차감지정보와, 차량 주차 해제 시 전송하는 주차해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누적 저장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학습하여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주자별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최다 주차구역 정보에 매칭된 입주자별 주차 동선 정보와 아파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콘(200)은,
    적어도 아파트 단지의 정문 출입구, 후문 출입구, 복수의 주차구역, 각동 출입 현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주차구역 각각은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주차영역을 포함하고, 각 주차영역마다 주차감지센서(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제1 비콘 아이디 정보와 제2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2 비콘 아이디 정보는 아파트 단지의 정문 출입구 또는 후문 출입구 주변에 설치된 비콘(200)들의 아이디 정보로서, 제1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은 아파트 단지의 정문 출입구 또는 후문 출입구에 설치되고, 제2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은 제1 비콘 아이디를 갖는 비콘(200)보다 아파트 단지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400)는,
    아파트 단지 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사전 저장된 입주자 정보속의 아이디 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입주자 정보속의 아이디 정보이면 해당 사용자를 적법한 입주자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400)는,
    인증된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0)가 순차적으로 전송한 비콘 아이디 정보들과 사전 저장된 비콘 설치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주차 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되,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주차구역에 설치된 비콘(200)의 비콘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특정 주차구역의 주차 영역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300)로부터 주차감지정보가 수신되면 인증된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차 동선 정보는 출입구 정보(정문 또는 후문), 주차한 주차구역 정보, 입주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400)가 생성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참고 정보는,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과 해당 입주자가 진입했던 아파트 출입구의 지리적 위치 관계 정보, 입주자의 최다 주차구역과 해당 입주자 입주동의 지리적 위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0200056338A 2020-05-12 2020-05-12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21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38A KR102212203B1 (ko) 2020-05-12 2020-05-12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38A KR102212203B1 (ko) 2020-05-12 2020-05-12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203B1 true KR102212203B1 (ko) 2021-02-04

Family

ID=7455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38A KR102212203B1 (ko) 2020-05-12 2020-05-12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8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911A (ko) * 2011-03-09 2012-09-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단위 주차시스템의 적용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시스템 적용 평가방법
KR20160020665A (ko) * 2014-08-13 2016-02-24 서정호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20160033370A (ko) * 2014-09-17 2016-03-28 서정호 비콘과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101690496B1 (ko) 2015-05-08 2016-12-28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KR20170004958A (ko) 2014-02-10 2017-01-11 이운, 섯 판 주거 시스템
KR20180057801A (ko)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1094A (ko) 2017-04-28 2018-11-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271B1 (ko) * 2018-06-26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911A (ko) * 2011-03-09 2012-09-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단위 주차시스템의 적용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시스템 적용 평가방법
KR20170004958A (ko) 2014-02-10 2017-01-11 이운, 섯 판 주거 시스템
KR20160020665A (ko) * 2014-08-13 2016-02-24 서정호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20160033370A (ko) * 2014-09-17 2016-03-28 서정호 비콘과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KR101690496B1 (ko) 2015-05-08 2016-12-28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KR20180057801A (ko)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1094A (ko) 2017-04-28 2018-11-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271B1 (ko) * 2018-06-26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8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KR102651472B1 (ko) 2021-02-01 2024-03-26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9745B2 (en) Validation i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visual objects
CN101043400B (zh) 使用智能通信装置的进入验证系统和方法
AU2015215965B2 (e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CN105159107B (zh)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5182767B (zh)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KR102097755B1 (ko)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
CN111047754A (zh) 一种基于访客身份识别的访客管理系统及控制方法
CN113053013B (zh) 基于人脸识别的门禁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CN204832939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5915723B (zh) 一种楼宇对讲方法、系统及门口机
CN105551125A (zh) 城市安全系统的控制方法及该城市安全系统
CN106651676A (zh) 一种管理小区业务的方法及装置
KR102212203B1 (ko) 아파트 주차구역 설계용 빅 데이터 생성 시스템
Dixit et al. Smart parking with computer vision and IoT technology
CN110473320A (zh) 一种出租房人员管理系统、常住人员及其对应的房门的判断方法
KR20080078929A (ko)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60355A (ko) 공동주택 주차관리시스템
CN106815910B (zh) 门禁管理方法及门禁系统
US11821236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dynamic lock assembly
JP2008025278A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12186B1 (ko) 입주자에게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KR20220160755A (ko)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20134182A (ko) 방문예약을 제공하는 주차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30107444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위치 추적 시스템
KR101354179B1 (ko) 공동 주거 단지 방범 시스템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