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929A -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929A
KR20080078929A KR1020060134385A KR20060134385A KR20080078929A KR 20080078929 A KR20080078929 A KR 20080078929A KR 1020060134385 A KR1020060134385 A KR 1020060134385A KR 20060134385 A KR20060134385 A KR 20060134385A KR 20080078929 A KR20080078929 A KR 2008007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iosk
household
sig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805B1 (ko
Inventor
박상대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빌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빌,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빌
Priority to KR102006013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8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세대별 가전제품의 제어,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 가스누출, 화재 및 외부침입등의 방재/방범장치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부재와; 다수세대가 거주하는 단지내의 공동현관등에서 상기 홈네트워크부재와의 도어개방신호에 따른 도어락제어 및 세대의 거주유무의 상태정보와,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촬영 및 출력하는 키오스크와; 세대의 거주자에게 부여된 인증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인증을 요청하고, 비상호출정보를 송신하는 전자키와; 상기 홈네트워크부재로부터 검침정보을 요청 및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네트워크부재간의 통신, 각 세대별 통신, 외부단말기가 상기 홈네트윅부재로의 접속을 허여하고, 상기 전자키의 비상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에 근접한 비상카메라를 구동시켜 해당 영역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오스크, 홈네트워크, 아파트, 공동현관, 통합관리,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Kiosk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도 1은 종래의 공동현관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서 키오스크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전자키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원격검침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비상호출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세대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0 : 홈네트워크부재 110 : 홈서버
120 : 세대현관카메라 130 : 자동제어부
140 : 원격검침부 150 : 방범/방재부
200 : 키오스크 210 : 카메라
220 : 음향출력부 230 : 디스플레이
240 : 저장부 250 : 인증확인부
260 : 제어부 270 : 통신부
300 : 통합관리서버 310 : 관리모듈
320 : 비상호출모듈 330 : 웹제어모듈
340 : 커뮤니티모듈 350 : 원격검침모듈
360 : 문자송신모듈 370 : 데이타베이스
400 : 비상카메라 500 : 전자키
510 : 키메모리 520 : 비상신호송신부
530 : 위치신호송신부 540 : 키인증부
600 : 허브 700 : 도어락
본 발명은 대단위 단지별 홈네트워크의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지내의 공동현관 또는 외부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각 단지내의 세대별 홈네트워크와 연동되어 각 세대의 외출등 현재 상태나 세대별 홈네트워크를 통한 세대내의 가전기기나 계량기등에 대한 제어 및 검침이 가능한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가 적용된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관리비등에 대한 서비스는 외부업체가 위탁하여 관리하므로 세대인이 상기 관리비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데이타를 위탁업체로부터 받거나 온라인으로 다운받아 홈네트워크의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입력해야하는 중간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관리비등의 계산에 필요한 검침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위해서도 상기와 같은 중간처리과정이 필요하게된다.
또한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아파트등 대단위 주거지역에 보면 공동현관을 두고, 전자키 또는 음성송수신기를 통해 공동현관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시스템이 요즘 일반적이 추세이며 이와 같은 방식의 종래의 공동현관과 홈네트워크 방식은 하기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공동현관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동현관 관리시스템은 각 단지별 공동현관의 도어락(3)을 제어하는 공동현관장치(1)와, 상기 공동현관장치(1)의 구동 및 이상상황을 체크하는 통합관리서버(2)와, 상기 공동현관장치(1)와의 통신(TCP/IP)을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2)와의 송수신을 통하여 세대내의 가전기기등을 제어하는 홈서버(5)와, 외부라인을 통해 상기 공동현관장치(1)의 구동모듈등을 업그레이드하는 원격지피시(4)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동현관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공동현관장치는 사용자가 전자키를 통해 사용자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공동현관장치에서 저장된 메모리에 포함된 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내의 데이타베이스에 검색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확인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세대호수를 호출하면, 상기 공동현관장치는 해당 세대의 홈서버를 통해 호출신호를 출력하므로서 양자간의 통신을 이루도록 하여, 이후 상기 세대내의 홈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도어개방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각 세대내에 거주자가 없거나 하는 상황에선 방문자는 그 상황을 확인할 수 없고, 세대의 거주자는 귀가해서 자신이 자릴 비운사이에 누가 방문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가 없고, 특히 우편물등의 왔다가 수취인이 없어서 돌아갈겨우엔 집배원이 남긴메세지를 보고서야 비로서 알수 있기 때문에 그 불편함이 매우 크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공동현관장치의 경 우에는 단순한 방문자와의 세대간의 통신을 중개하거나, 도어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대의 거주자가 집밖에 나온후 가정내의 가전기기등의 온오프를 위해서면 다시 집안으로 들어가야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현관에서 방문자가 세대별 거주자의 외출등 거주상태와 방문자에 대한 영상이나 목적등이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거주자가 외출시에도 유무선단말기를 통한 원격제어로서 공동현관 내지 세대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키에 비상호출신호 및 위치확인 신호가 구분되어 송신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단지내의 거주자의 위급상황시 또는 위치확인시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케 하여 거주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내 관리자가 일일이 각 세대별 홈서버에 접속 또는 방문하여 각 세대의 전기, 가스등의 관리비부분에 해당되는 검침을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로서 구 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은 각 세대별 가전제품의 제어,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 가스누출, 화재 및 외부침입등의 방재/방범장치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부재와; 다수세대가 거주하는 단지내의 공동현관등에서 상기 홈네트워크부재와의 도어개방신호에 따른 도어락제어 및 세대의 거주유무의 상태정보와,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촬영 및 출력하는 키오스크와; 세대의 거주자에게 부여된 인증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인증을 요청하고, 비상호출정보를 송신하는 전자키와; 상기 홈네트워크부재로부터 검침정보을 요청 및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네트워크부재간의 통신, 각 세대별 통신, 외부단말기가 상기 홈네트윅부재로의 접속을 허여하고, 상기 전자키의 비상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에 근접한 비상카메라를 구동시켜 해당 영역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및 외부접속단말기에 제공되는 커뮤니티로서 각 세대별 화상통신, 지역정보, 교통정보, 단지내의 위치정보 및 단지별행사에 따른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모듈과; 상기 홈네트워크부재에서 각 세대별 홈서버를 호출하여 각 세대의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원격검침모듈과; 상기 전자키에 포함되는 각 세대별 거주자의 인증정보의 등록 및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목적정보를 저장하고, 각 세대별 홈서버간의 통신과 세대별 홈서버와 키오스크, 외부접속단말기와 내부의 홈서와의 저보을 허여하는 관리모듈과; 상기 전자키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서 근접된 비상카메라를 구동시켜 해당위치의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이를 관리자의 단말기에 출력하고, 경비원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비상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비상호출모듈과;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외부단말기로부터 외부 인터넷 라인의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허여하여 외부에서 외부단말기의 홈네트워크의 접속을 허여하는 웹제어모듈과; 상기 비상호출모듈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비상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전자키의 인증정보에 등록된 휴대전화에 긴급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문자송신모듈을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모듈은 상기 전자키로부터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자키의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인증정보와 일치되는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문자송신모듈을 통해 인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차량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은,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송신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방문정보와 메세지를 저장하고, 상기 홈네트워크부재로부터 송신되는 각 세대의 거주자의 외출정보와 각 전자제품, 검침정보, 방범/방재장치의 온오프의 여부가 포함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은 공동현관문의 도어를 제어하는 키오스크로부터 인증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인증정보 를 확인하고, 상기 키오스크에 인증확인신호를 송신하므로서 도어락을 제어하는 인증 및 도어락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또는 홈서버와 세대주의 휴대용 또는 유무선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외출 또는 거주여부에 대한 상태정보와 외출중의 방문자에게 남기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방문자에게 이를 출력하여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와; 각 세대의 홈서버를 통해 세대내의 전기,수도,가스계량기를 포함하는 검침장치가 포함되는 그룹으로부터 세대의 검침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원격검침단계와; 전자키, 홈서버,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경비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비상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세대거주자들에게 문자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키를 통해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주차장에 주차된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키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세대거주자의 휴대전화에 문자로서 송신하는 비상호출단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통합관리방법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는 방문자의 세대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해당 영상정보와 방문일시를 저장하는 카메라구동단계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요청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키오스크에 송신함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에 요청된 세대의 외출여부, 실내가전제품의 온오프상황, 방범/방재장치의 온오프,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세대별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세대별 상태정보출력단계와; 상기 홈서버와 상기 키오스크가 연결되므로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방문자의 영상과 음향신호를 상기 홈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홈서버에서 출력되는 상기 세대의 거주자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기 키오스크에 송신하는 통신단계와; 상기 홈서버로부터 도어락해제요청신호가 발신되어 상기 키오스크가 도어락을 해제시켯는지를 확인하는 도어락 상태확인단계와; 상기 통신단계에서 방문자가 상기 세대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자가 외출중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메세지 및 정보입력판단단계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방문자의 영상정보 및 도어락 해제 일시, 그리고 방문자의 메세지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제7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통합관리방법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는 상기 키오스크 또는 홈서버와 외부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세대의 상기 상태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정보요청단계와;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검색하고, 정보를 요청한 홈서버,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거주자의 외출여부와 세대내의 전자제품의 구동상태 및 현재 실내온도와, 조명, 가스밸브의 개방유무, 방문자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문자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가 송신되는 정보검색 및 송신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연결시킴으로 상기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신호에 의해 세대내의 전자제품 및 방범/방재장치의 구동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정보와 실내온도와 조명조절 및 가스밸브의 개폐선택의 변경정보와, 방문자에 대한 거주자의 메세지가 포함된 신규정보가 수신 되는 지를 판단하는 상태정보변경판단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외부접속단말기에서 입력한 상태변경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입력확인 및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제8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통합관리방법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단계는 상기 전자키에서 발생된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확인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 신호수신단계와; 상기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된 전자키의 위치를 확인하고, 근접된 카메라를 온 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위치확인 및 카메라구동단계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관리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송신하는 영상출력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및 홈서버, 관리실, 외부경비업체, 또는 같은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의 단말기에 문자를 송신하는 비상경보단계를 포함한다.
제9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통합관리방법은,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차량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판단단계와; 차량의 위치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의 GPS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한 전자키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하는 위치정보송신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0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통합관리방법은, 제5내지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은 상기 주변 및 생활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상기 키오스크 및 홈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주변지역의 특산품 이나 관광, 주요관공서등의 지역정보와 단지내 지리정보, 주변교통정보, 상가정보, 주변의 행사정보등을 제공하는 주변 및 생활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세대별 홈서버, 외부단말기등으로부터 특정 세대 또는 키오스크나, 외부단말기간의 접속을 허여하여 쌍간의 통신을 허여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은 각 세대별 홈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홈네트워크부재(100)와, 단지내의 공동현관등에서 도어락(700)제어 및 세대정보와 방문자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200)와, 홈네트워크부재와 키오스크(200)의 제어 및 비상호출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경보하고, 외부로부터의 단말기의 접속을 허여하는 통합관리서버(300)와, 상기 키오스크(200)와, 홈네트워크부재와 통합관리서버(300)의 신호를 전달하는 허브(600)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여 비상호출신호 및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키오스크(200)에 전자인증을 요청하는 전자키(500)와,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촬영영상을 송신하는 비상카메라(400)를 포함한다.
상기 홈네트워크부재(100)는 각 세대별 전자장비의 제어 및 검침계량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200)의 통신요청신호에 따라 실내의 통신기와 상기 키오스크(200)간의 화상통신을 중개하는 홈서버(110)와, 각 세대별 방문자의 영상 및 현관의 영상을 촬영하는 세대현관카메 라(120)와, 실내의 냉난방기기등의 온도제어와 조명제어, 가스의 밸브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130)와, 가스나 전기등의 계량정보를 확인 및 송신하는 원격검침부(140)와, 실내의 화재나 침입등을 감지하는 방범/방재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서버(11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세대현관카메라(120)의 영상, 상기 원격검침부(140)의 검침데이타를 송신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 및 키오스크(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부(130)를 제어하여 실내의 각종 전자제품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홈서버(110)는 상기 방범/방재부(150)를 통하여 화재 또는 침입등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한다.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키오스크(200)를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 및 세대별 상태정보(외출, 거주중, 방문자의 일시 및 목적)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200), 홈네트워크부재(100)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다면 해당 요청자를 인증후 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단지내의 비상카메라(400)를 구동제어하며 인터넷 또는 기타 통신방법을 통해 설정된 단말기에 문자 또는 비상경보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각 구성을 제어하는 관리모듈(310)과, 상기 키오스크(200) 또는 외부단말기등에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모듈(340)과, 각 세대별 원격검침부(140)로부터 검침데이타의 요청 및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원격검침모듈(350)과, 상기 전자키(500) 또는 홈서버(110), 키오스크(200)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상카메라(400)의 제어 및 외부기관으로의 비상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비상호출모듈(320)과,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의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해당 세대정보에서 포함된 휴대전화에 긴급메세지를 송신하는 문자송신모듈(360)과,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요청된 웹접속요청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을 허여하거나 외부단말기로부터의 접속요청을 허여하는 웹제어모듈(330)과,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및 방문자정보,각 세대의 상태정보, 단지내의 거주자등의 인증정보 및 전화번호와, 상가와 주변지도등의 지역정보와, 교통정보, 날씨등의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370)를 포함한다.
상기 커뮤니티모듈(340)은 상기 키오스크(200), 홈서버(110) 및 외부접속단말기에 제공되는 커뮤니티로서 각 세대별 화상통신, 지역정보, 교통정보, 단지내의 위치정보 및 단지별행사에 따른 커뮤니티를 제공한다.
상기 원격검침모듈(350)은 각 세대별 홈서버(110)를 호출하여 각 세대의 계측 및 계량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각 세대별관리정보에 저장한다.
상기 관리모듈(310)은 각 세대별 거주자에게 배포되는 인증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수신된느 영상 및 방문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고, 각 세대별 홈서버(110)간의 통신과 세대별 홈서버(110)와 키오스크(200)간의 데이타입출력을 허여 및 제어한다.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은 상기 전자키(500)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서 근접된 비상카메라(400)를 구동시켜 해당위치의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이를 관리자의 단말기에 출력하고, 경비원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비상호출신호를 송신한다. 또는 상기 비상 호출모듈(320)은 상기 전자키(500)로부터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자키(500)의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인증정보와 일치되는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문자송신모듈(360)을 통해 인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차량의 위치정보를 송신토록 한다.
상기 웹제어모듈(330)은 상기 키오스크(200), 홈서버(110), 외부단말기로부터 외부 인터넷 라인의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허여하여 외부에서 외부단말기를 이용한 거주자의 실내의 전자장비나 방범/방재장치, 검침장치의 원격제어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문자송신모듈(360)은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의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해당 인증정보에 등록된 휴대전화에 긴급메세지를 송신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송신모듈(360)은 비상호출문자 뿐만 아니라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정보도 송신함도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200)는 아파트의 공동현관 또는 건물의 공동현관등에 설치되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와 홈서버(11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른 정보의 제공 및 세대별홈서버(110)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제어부(130)를 통해 실내의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각 세대별의 상태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 및 기록을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하며, 사용자는 이를 실내에서 홈서버(11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함도 가능하고 상기 키오스크(200)에서 이를 확인함도 가능하다.
상기 키오스크(200) 및 전자키(500)의 구성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서 키오스크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전자키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키오스크(200)는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10)와, 음향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음향출력부(220)와, 터치스크린기능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30)와, 각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와, 상기 전자키(50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인증확인부(250)와, 키오스크(200)의 통신 및 도어락(700)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60)와, 홈서버(110) 및 통합관리서버(30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서 온되어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상기 제어부(260)에 출력한다.
상기 인증확인부(250)는 상기 전자키(500)가 접촉되면, 상기 전자키(5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26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인증확인부(250)등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통합관리서버(300)에 해당 상기 홈서버(110)와의 화상통신을 요청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를 경유하여 상기 홈서버(110)로부터 화상통신의 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향출력부(220)와 카메라(210)를 통해서 공동현관에 위치된 사용자의 영상과 음성메세지를 상기 통신부(270)를 통해 해당 홈서버(110)에 출력하고, 또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상기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입력되는 방문자의 신상정보 및 목적을 송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이를 저장케 하고, 아울러 상기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방문자의 영상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하여 저장케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인증확인부(250)의 인증확인신호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해당 인증정보를 요청하여 이에 인증확인되면, 상기 도어락(700)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커뮤니티모듈(340)에 의해 제공되는 지역, 생활, 세대상태정보등이 커뮤니티를 저장한다.
상기 전자키(500)는 인증코드를 저장하는 키메모리(510)와, 상기 키메모리(510)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함께 비상신호를 송신하는 비상신호송신부(520)와, 차량내에 설치된 차량 위치정보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코드와 인증코드를 송신하여 자신의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신호송신부(530)와, 상기 인증정보를 내장하여 상기 키오스크(200) 또는 세대별 홈서버(110)에 인증확인을 요청하는 키인증부(5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한 작용설명은 하기의 도 5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200) 통합관리방법은 전자 키(500)를 통한 인증확인 후 도어락(700)을 제어하는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S110)와, 상기 홈서버(110) 또는 상기 키오스크(200)를 통해 세대별거주자가 자신의 외출, 또는 각 전자제품의 구동정보를 제공하는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S120)와, 각 세대내의 가스, 전기등의 검침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총체적으로 검침 및 확인하여 이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원격검침단계(S130)와, 해당 단지내의 지리 및 교통정보와 지역내의 관광정보나 주변 상가, 행사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 및 생활정보제공단계(S140)와, 세대간의 화상통신, 방문자와 실내의 거주자간의 화상통신, 외부접속자와 실내거주자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지 및 세대간의 통신단계(S150)와, 상기 전자키(500), 키오스크(200) 홈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 및 위치확인신호에 따라서 경보발령 및 비상신호와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비상호출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S110)는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인증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된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키오스크(200)에서 이를 수신하여 도어락(700)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S120)는 상기 키오스크(200) 또는 홈서버(110)와 세대주의 휴대용 또는 유무선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외출 또는 거주여부와 함께 외출중의 방문자에게 남기는 메세지등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해당 세대의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세대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홈네트워크 원격검침단계(S13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홈서버(110)를 호출하여 각 세대의 전기, 가스, 수도등의 검침장치를 포함하는 검침그룹으로부터 검침정보를 수집하여 관리비로 정산하여 이를 저장 및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변 및 생활정보 제공단계(S14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 및 홈서버(110)로부터 요청되는 주변지역의 특산품이나 관광, 주요관공서등의 지역정보와 단지내 지리정보, 주변교통정보, 상가정보, 주변의 행사정보등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지 및 세대별 통신단계(S150)는 상기 키오스크(200), 세대별 홈서버(110), 외부단말기등으로부터 특정 세대 또는 키오스크(200)나, 외부단말기 간의 접속을 허여하여 화상통신이나 음성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상기 비상호출단계(S160)는 상기 전자키(500), 홈서버(110), 키오스크(200)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경비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비상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세대거주자들에게 문자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전자키(500)를 통해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주차장에 주차된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키(500)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세대거주자의 휴대전화에 문자로서 송신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이는 인증정보를 갖지 않은 방문자를 인증 및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 및 도어락(700) 제어단계는 상기 키오스크(200)에서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210)가 온됨에 따라 그 영상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수신하는 카메라 구동단계(S111)와,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송신되는 동수 및 호수정보에 따라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키오스크(200)로 송신하는 상태정보출력단계(S112)와,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해당 세대의 통신을 요청하는 지를 판단하는 통신판단단계(S113)와,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통신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홈서버(110)와 접속되어 상기 키오스크(200)와 세대내의 화상전화기를 연결시키는 화상통신단계(S114, S115)와,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도어락(700)의 해제 또는 그 반대인것으로 확인하는 도어락상태확인단계(S116)와,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확인 후,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방문자의 메세지 및 방문목적등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메세지 및 정보입력판단단계(S118)와, 상기 카메라(210)의 영상정보 및 방문일시등의 정보와 상기 메세지 및 정보입력단계(S118)에서 입력된 메세지 및 방문정보가 있으면 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S117)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구동단계(S111)는 방문자가 키오스크(200)를 통해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동호수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카메라(210)를 구동시키고,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세대별 거주자가 상기 키오스크(200)에 상기 전자키(500)를 밀착 시키면, 상기 전자키(500)의 키인증부(540)로부터 해당 전자키(500)의 인증정보가 상기 키오스크(200)의 인증확인부(250)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기 키오스크(200)의 인증확인부(250)는 상기 전자키(500)의 인증코드를 확인하여 이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로서 변환시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통신부(270)를 통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해당 인증코드의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해당 키오스크(200)로부터 요청된 인증정보와 데이타베이스(370)에서 일치되는 인증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신호를 상기 키오스크(200)에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키오스크(200)의 제어부(260)는 상기 전자키(500)의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700)을 구동시켜 현관문을 개방한다.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출력단계(S112)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가 상기 키오스크(200)로부터 요청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370)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키오스크(200)에 송신하면, 상기 키오스크(200)의 제어부(260)는 상기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화면의 일예는 도 10의 도면부호 11의 상태정보항에서 표시된다.
상기 통신단계(S113)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와 상기 세대별 홈서버(110)간의 화상통신이 개시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200)는 터치스크린방식의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방문자가 해당 세대를 호출을 요청하면, 상기 호출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한다.
상기 홈서버호출단계(S114)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를 통해 요청된 세대의 통신요청신호를 해당 세대의 홈서버(110)로 송신하 므로서 상기 홈서버(110)를 통해 세대내의 통신장치에서 호출음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상기 통신단계(S115)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를 경유하여 상기 홈서버(110)와 상기 키오스크(200)가 연결되므로서 쌍방간에 통신이 개시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음향출력부(220)와 카메라(210)를 통해 방문자의 영상과 음향신호를 상기 홈서버(110)에 송신하고, 상기 홈서버(110)에서는 상기 세대의 거주잔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기 키오스크(200)에 송신다. 따라서 상기 키오스크(200)의 제어는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음향출력부(220)를 통하여 상기 세대의 거주자의 음향 및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도어락상태확인단계(S116)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홈서버(110)로부터 도어락해제요청신호가 발신되어 상기 키오스크(200)의 제어부(260)가 도어락(700)을 해제시켯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홈서버(110)로부터 도어락(700)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60)에서 통신부(270)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서 도어를 개방하고, 개방된 시간 및 도어락(700)을 요청한 세대의 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송신한다.
또는 상기 메세지 및 정보입력판단단계(S118)는 상기 통신판단단계(S113)에서 방문자가 상기 세대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자가 외출중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3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보저장단계(S117)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 로부터 수신된 방문자의 영상정보 및 도어락(700) 해제 일시, 그리고 방문자의 메세지를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세대별 상태정보 제공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세대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제공 및 입력단계는 상기 홈서버(110) 또는 키오스크(200)로부터 세대별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세대별 정보요청단계(S121)와, 상기 정보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홈서버(110) 또는 키오스크(200)에 송신하는 단계(S122)와, 상기 세대상태정보에서 상태정보의 변경요청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23)와, 수신된 변경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S124)를 포함한다.
상기 세대별 정보요청단계(S121)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 또는 홈서버(110)를 통해 상기 상태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전자키(500)의 키인증부(540)를 통해 상기 인증확인부(250)가 해당 전자키(500)의 인증코드를 인지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상기 인증코드의 확인신호와 함께 해당 코드를 갖는 세대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검색 및 송신단계(S122)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홈서버(110), 키오스크(200),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등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관리모듈(310)은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서 상기 인증코드에 일치되는 세대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키오스크(200)와 홈서버(110)에 이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웹제어모듈(330)은 단지내의 네크워크와 인터넷 라인을 개방하여 상기 관리모듈(310)에 의해 검색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접속단말기에 송신된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된 상태정보를 도 10과 같은 페이지로서 출력하게 되며, 해당화면에서 출력된 상태정보는 현재 거주자의 외출여부와 자동제어부(130)의 현재 구동상태, 예를들면, 현재 실내온도와, 조명, 가스밸브의 개방유무, 방문자리스트, 바람직하게는 방문자의 메세지등을 포함한 방문자리스트등이 출력된다.
상기 상태정보변경판단단계(S123)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홈서버(110)와 키오스크(200)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신규입력된 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200)와 외부접속단말기는 원격으로 세대내의 자동제어 및 방범/방재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세대내의 전자제품등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온./오프 또는 온도나 타이머, 조명상태등의 정보를 변경하게 되며, 예를들면, 상기 홈서버와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원격으로 세대내의 자동제어 및 방범/방재부등을 직접제어하여 실내의 전자제품의 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정보와 실내온도, 조명, 가스밸브의 개폐선택, 방문자에 대한 거주자의 메세지를 등록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합관리서버(300)는 이전 상태정보에서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에 의해 변경된 신규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뿐만아니라 공동현관내의 키오스 크(200)를 통해서도 홈네트워크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입력확인 및 저장단계(S124)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 홈서버(110), 외부접속단말기에서 입력한 상태변경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후에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는 신규로 저장된 정보가 검색되어 송신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홈네트워크 원격검침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원격검침단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각 세대의 홈서버(110)를 호출하는 홈서버호출단계(S131)와, 상기 홈서버(110)에 검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32)와, 수신된 검침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는 (S133)단계와, 상기 검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서버호출단계(S131)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원격검침모듈(350)이 구동되어 각 세대별 홈서버(110)를 호출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검침정보요청단계(S132)는 상기 원격검침모듈(350)에서 상기 홈서버(110)의 검침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검침모듈(350)에서 검침된 전기, 가스, 수도등의 사용량에 대한 검침데이타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신 및 저장단계(S133)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홈서버(110)로부터 검침데이타를 수신하면 이를 관리비로 환산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3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출력단계(S134)는 상기 관리모듈(310)에서 상기 데이타베이스(370)를 검색하여 각 세대별 검침정보와 함께 관리비정보를 독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웹제어모듈(330)에 의해 상기 외부접속단말기등에 의한 검침정보요청에 따른 검침정보의 출력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비상호출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비상호출단계(S160)는 상기 통합관리모듈(310)에서 상기 전자키(500)로부터 발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161)와, 수신된 신호가 비상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비상호출신호판단단계(S162)와, 상기 비상신호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여 근접된 위치의 카메라(210)를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단계(S163)와,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S164)와, 상기 비상경보를 발하는 단계(S165)와,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판단계(S166)와, 비상경보의 발생시에 등록된 휴대전화에 문자를 송신하는 문자송신단계(S16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신호수신단계(S161)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이 상기 전자키(500)의 비상신호송신부(520)에서 발생된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확인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 단계이다.
상기 비상호출판단단계(S162)는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에서 수신된 신호가 비상호출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위치확인 및 카메라구동단계(S163)는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에서 상기 전자키(5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근접된 카메라(210)를 온 또는 촬영방향을 변경시 켜 영상을 촬영케 한다.
상기 영상출력단계(S164)는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에서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관리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때 웹제어모듈(330)은 상기 외부경비업체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단지네의 네트워크를 개방한다.
상기 비상경보단계(S165)는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에서 상기 키오스크(200) 및 홈서버(110), 관리실, 외부경비업체, 또는 같은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의 단말기에 문자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판단단계(S166)와 문자송신단계(S167)는 상기 비상호출모듈(320)에서 수신된 신호가 위치정보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즉 거주자가 자신의 차안에 위치확인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네비게이션이나 GPS와 같은 장비를 차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키(500)의 위치신호송신부(530)를 조작하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서는 상기 전자키(50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주차장에서 해당 인증코드에 부합되는 차량을 검색하고 이를 상기 정보요청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지역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에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커뮤니티모듈(340)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200)에 각종 커뮤니티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키오 스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정보, 상가정보, 생활편의시설 등에 대한 단지안내와, 부녀회, 등 단지의 소식을 제공하기도 하며, 단지주변의 교통정보 등을 키오스크(200)를 통해 출력케 한다.
따라서 단지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홈네트워크를 통해 장비의 구동유무등을 제어하기 위래서라면 종래에서처럼, 통신단말기등을 통한 네트워크접속 또는 다시 실내로가서 조절 및 제어하지 않고도 공동현관에서 홈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자동제어부(130), 검침부, 방재/방법부등을 제어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공동현관의 방문정보 및 세대별 상태정보를 제공가능함에 따라 거주자와 방문자는 모두 확실한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거주자는 공동현관에서 실내의 홈네트워크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키를 이용한 비상호출 및 위치확인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키의 사용자의 차량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문자로 송신함과 함께, 비상호출신호시에 해당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비상사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지역정보등의 커뮤니티를 출력함에 따라 종래와 달리 처음 방문하는 외지사람들의 편의를 크게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각 세대별 가전제품의 제어,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 가스누출, 화재 및 외부침입등의 방재/방범장치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부재와;
    다수세대가 거주하는 단지내의 공동현관등에서 상기 홈네트워크부재와의 도어개방신호에 따른 도어락제어 및 세대의 거주유무의 상태정보와,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촬영 및 출력하는 키오스크와;
    세대의 거주자에게 부여된 인증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인증을 요청하고, 비상호출정보를 송신하는 전자키와;
    상기 홈네트워크부재로부터 검침정보을 요청 및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네트워크부재간의 통신, 각 세대별 통신, 외부단말기가 상기 홈네트윅부재로의 접속을 허여하고, 상기 전자키의 비상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에 근접한 비상카메라를 구동시켜 해당 영역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및 외부접속단말기에 제공되는 커뮤니티로서 각 세대별 화상통신, 지역정보, 교통정보, 단지내의 위치정보 및 단지별행사에 따른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커뮤니티모듈과;.
    상기 홈네트워크부재에서 각 세대별 홈서버를 호출하여 각 세대의 가스, 수 도, 전기등의 검침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원격검침모듈과;
    상기 전자키에 포함되는 각 세대별 거주자의 인증정보의 등록 및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목적정보를 저장하고, 각 세대별 홈서버간의 통신과 세대별 홈서버와 키오스크, 외부접속단말기와 내부의 홈서와의 저보을 허여하는 관리모듈과;
    상기 전자키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서 근접된 비상카메라를 구동시켜 해당위치의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이를 관리자의 단말기에 출력하고, 경비원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해당 영상신호와 함께 비상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비상호출모듈과;.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외부단말기로부터 외부 인터넷 라인의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허여하여 외부에서 외부단말기의 홈네트워크의 접속을 허여하는 웹제어모듈과;
    상기 비상호출모듈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비상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전자키의 인증정보에 등록된 휴대전화에 긴급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문자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모듈은
    상기 전자키로부터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전자키의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인증정보와 일치되는 차량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문자송신모듈을 통해 인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차량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송신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방문정보와 메세지를 저장하고, 상기 홈네트워크부재로부터 송신되는 각 세대의 거주자의 외출정보와 각 전자제품, 검침정보, 방범/방재장치의 온오프의 여부가 포함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5. 공동현관문의 도어를 제어하는 키오스크로부터 인증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키오스크에 인증확인신호를 송신하므로서 도어락을 제어하는 인증 및 도어락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또는 홈서버와 세대주의 휴대용 또는 유무선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외출 또는 거주여부에 대한 상태정보와 외출중의 방문자에게 남기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방문자에게 이를 출력하여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와;
    각 세대의 홈서버를 통해 세대내의 전기,수도,가스계량기를 포함하는 검침장치가 포함되는 그룹으로부터 세대의 검침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원격검침단계와;
    전자키, 홈서버,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경 비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비상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세대거주자들에게 문자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키를 통해 위치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주차장에 주차된 해당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키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세대거주자의 휴대전화에 문자로서 송신하는 비상호출단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및 도어락제어단계는
    방문자의 세대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해당 영상정보와 방문일시를 저장하는 카메라구동단계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요청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키오스크에 송신함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에 요청된 세대의 외출여부, 실내가전제품의 온오프상황, 방범/방재장치의 온오프,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세대별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세대별 상태정보출력단계와;
    상기 홈서버와 상기 키오스크가 연결되므로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방문자의 영상과 음향신호를 상기 홈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홈서버에서 출력되는 상기 세대의 거주자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기 키오스크에 송신하는 통신단계와;
    상기 홈서버로부터 도어락해제요청신호가 발신되어 상기 키오스크가 도어락을 해제시켯는지를 확인하는 도어락 상태확인단계와;
    상기 통신단계에서 방문자가 상기 세대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세대에 거주자가 외출중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메세지 및 정보입력판단단계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방문자의 영상정보 및 도어락 해제 일시, 그리고 방문자의 메세지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 상태정보 입력 및 제공단계는
    상기 키오스크 또는 홈서버와 외부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세대의 상기 상태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정보요청단계와;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를 검색하고, 정보를 요청한 홈서버,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거주자의 외출여부와 세대내의 전자제품의 구동상태 및 현재 실내온도와, 조명, 가스밸브의 개방유무, 방문자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문자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가 송신되는 정보검색 및 송신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연결시킴으로 상기 키오스크 또는 외부접속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신호에 의해 세대내의 전자제품 및 방범/방재장치의 구동상태를 변경하는 입력정보와 실내온도와 조명조절 및 가스밸브의 개폐선택의 변경정보와, 방문자에 대한 거주자의 메세지가 포함된 신규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상태정보변경판단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홈서버, 외부접속단말기에서 입력한 상태변경정보를 수신하 여 이를 저장하는 입력확인 및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단계는
    상기 전자키에서 발생된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확인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 신호수신단계와;
    상기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된 전자키의 위치를 확인하고, 근접된 카메라를 온 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위치확인 및 카메라구동단계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관리실 또는 외부경비업체등에 송신하는 영상출력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및 홈서버, 관리실, 외부경비업체, 또는 같은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의 단말기에 문자를 송신하는 비상경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차량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판단단계와;
    차량의 위치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의 GPS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한 전자키에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하는 위치정보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은
    상기 주변 및 생활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에서 상기 키오스크 및 홈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주변지역의 특산품이나 관광, 주요관공서등의 지역정보와 단지내 지리정보, 주변교통정보, 상가정보, 주변의 행사정보등을 제공하는 주변 및 생활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키오스크, 세대별 홈서버, 외부단말기등으로부터 특정 세대 또는 키오스크나, 외부단말기간의 접속을 허여하여 쌍간의 통신을 허여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방법.
KR1020060134385A 2006-12-27 2006-12-27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85A KR100859805B1 (ko) 2006-12-27 2006-12-27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85A KR100859805B1 (ko) 2006-12-27 2006-12-27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29A true KR20080078929A (ko) 2008-08-29
KR100859805B1 KR100859805B1 (ko) 2008-09-23

Family

ID=3988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385A KR100859805B1 (ko) 2006-12-27 2006-12-27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8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45B1 (ko) * 2009-10-22 2010-07-22 주식회사 유신테크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255839B1 (ko) * 2010-11-25 2013-04-17 도지용 무인경비 시스템
KR101305557B1 (ko) * 2012-03-22 2013-09-06 세호산전 주식회사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주차장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KR20180038151A (ko) * 2016-10-06 2018-04-16 (주) 하이엔티비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본인 인증 서버
KR102079532B1 (ko) *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11B1 (ko) 2010-08-09 2011-11-18 차보영 지능형 감시장치 및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대기전력차단 홈넷
KR101304617B1 (ko) 2011-10-07 2013-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댁내 에너지 표시장치의 사용자 인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46B1 (ko) * 2000-04-11 2003-03-26 주식회사 록센스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주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관리 방법
KR20060097844A (ko) *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네트워크 기반의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방문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45B1 (ko) * 2009-10-22 2010-07-22 주식회사 유신테크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255839B1 (ko) * 2010-11-25 2013-04-17 도지용 무인경비 시스템
KR101305557B1 (ko) * 2012-03-22 2013-09-06 세호산전 주식회사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주차장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KR20180038151A (ko) * 2016-10-06 2018-04-16 (주) 하이엔티비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본인 인증 서버
KR102079532B1 (ko) *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805B1 (ko) 2008-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9713B2 (en) Location monitoring via a gateway
US11782583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9997001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0859805B1 (ko)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7123142B2 (en) Integrated intercom and security system
US9336667B2 (en) Electronic mailbox system
US10146410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6563910B2 (en)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distribution
EP1806703A2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KR100867027B1 (ko)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TW200421210A (en) A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0300473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06774217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JP2005216186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JP4931131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IT201900002525A1 (it) Sistema e metodo di intercomunicazione in corrispondenza di punti d'ingresso in edifici o aree limitate e per la gestione e il controllo remoto degli ingressi
JP2009146449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JP2009260837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563229B1 (ko)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JP200600404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093023B2 (ja) 住宅監視システム
JP2023022614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060065087A (ko) 집주인 부재시 단지 서버를 통해 집주인과 방문자간연결시켜주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통한집주인과 방문자간 통화하는 방법 및 방문자 확인 방법
CA3154096A1 (en) Electronic lockbox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