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229B1 -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229B1
KR100563229B1 KR1020030050996A KR20030050996A KR100563229B1 KR 100563229 B1 KR100563229 B1 KR 100563229B1 KR 1020030050996 A KR1020030050996 A KR 1020030050996A KR 20030050996 A KR20030050996 A KR 20030050996A KR 100563229 B1 KR100563229 B1 KR 10056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home
door
sign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924A (ko
Inventor
마수
Original Assignee
박인철
(주) 한국정보시스템
정의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주) 한국정보시스템, 정의붕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03005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의 각 방의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방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의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과, 가정의 중심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장소(방)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 서브 제어 패널별 신호 조작 상태를 자체 스위치 조작 상태와 더불어 표시하는 주 제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정, 통합, 홈, 오토메이션

Description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INTEGRATED HOME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출입 관리를 위한 관련 기능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중 주 제어 패널의 일 예시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 중 서브 제어 패널의 일 예시 외관 사시도
본 발명은 자동제어 기기의 한 분야인 홈 오토메이션(가정 자동화), 홈 네트워크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댁내의 난방, 전등, 전력, 출입문 등의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통신 네트워크 및 자동화 기술의 발달로 가정에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전기/전자기기 등을 다룰 수 있도록 한 홈 오토메이션, 홈 네트워크 기술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방문객을 비디오 화면으로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비디오 도어폰(Video Door-Phone), 허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를 촬영 및 녹화하는 방범(防犯) 장치가 포함되며, 가스 누출 감지 및 방지, 화재 발생 감지 및 방지 기능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실내 조명 조절 및 각종 계량기의 원격 검침 등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최근 인터넷 등과 연계되어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가정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누출, 화재, 불법 침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외부에서도 집안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종 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집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Sensor)를 통하여 옥내 및 옥외의 상황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혹은 연속적으로 체크하고, 상황에 따른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가정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전등, 난방 등의 기본 시설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그 설치 비용이 비교적 고가이며, 특히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가정의 기본 시설과는 별도로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자동화나 무인 방범을 위한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댁내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정의 기본 시설을 관리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 구비되는 전등, 난방 등의 기본 시설을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에 구비되는 보다 저 비용으로 설치되어 전등, 난방 등의 기본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의 각 방의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방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의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과, 가정의 중심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장소(방)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 서브 제어 패널별 신호 조작 상태를 자체 스위치 조작 상태와 더불어 표시하는 주 제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은 해당 방의 난방 상태를 조작받기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상기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개폐 및 출입자의 신원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입문 장치와, 각 방의 난방을 위한 난방 배관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난방 장치와, 상기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난방 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방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관리실 서버에 제공하며, 또한 관리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주 제어 패널, 서브 제어 패널, 난방 장치 및/또는 상기 출입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중앙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첨부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아파트 등의 각 가정에 구비되는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가정의 각 방이나 욕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방의 전등 온/오프 및 난방 상태의 설정을 조작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의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130)과, 거실 등과 같이 댁내의 중심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거실 등의 전등 온/오프 및 난방 상태의 설정을 조작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1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 서브 제어 패널(130)별 신호 조작 상태를 자체 스위치 조작 상태와 더불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적절한 표시부에 표시하는 주 제어 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개폐 및 출입자의 신원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입문 장치(110)와, 각 방의 난방을 위한 난방 배관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난방 장치(142) 및 상기 각 기능부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홈 중앙 제어 장치(150)를 구비한다.
상기 홈 중앙 제어 장치(150)는 서브 제어 패널(130) 및 주 제어 패널(12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난방 장치(14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방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홈 중앙 제어 장치(150)는 서브 제어 패널(130) 및 주 제어 패널(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관리실 등에 구비된 서버(160)에 제공하여 관리실 서버(160)에서 각 가정의 관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관리실 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각 가정의 관리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 제어 패널(120)이나 서브 제어 패널(130) 및 난방 장치(110) 또는 출입문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관리실 서버(160)는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컴퓨터 또는 인터넷 무선 단말기 등을 통해 관리실 서버(160) 에 로그인 등과 같은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쳐 접속하며 해당 가정의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 관리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각 가정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인터넷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실 서버(160)에 접속하여 해당 가정의 출입문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출입문 열쇠를 가지지 않고서도 해당 가정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자신의 가정에 있지 않고 원격지에 있는 상태에서도 자신의 가정에 찾아온 믿을 수 있는 방문객에게 자신의 가정의 출입문을 열어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각의 기능부들의 구성 및 동작을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 방이나 욕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서브 제어 패널(130)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해당 설치된 방의 전등 온/오프 및 난방 상태의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조작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부(138)와, 스위치부(138)의 각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해당 전등의 온/오프를 위한 전력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릴레이(136)를 구비한다. 또한 서브 제어 패널(130)은 서브 제어 패널(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스위치부(138)의 각 스위치에 조작에 따른 신호를 RS-482 규격에 따라 주 제어 패널(120)로 전송하는 제어부(132) 및 통신부(134)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해당 방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39)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시각 및 온도 센서(139)에서 감지한 온도 값을 표시하기 위해 LCD 또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 패널(130)의 제어부(132)는 스위치부(138)의 각 스위치 조작에 따라 릴레이(13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주 제어 패널(120) 또는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서부터 제공되는 해당 서브 제어 패널(130)의 해당 방의 전등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릴레이(13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38)에 구비되는 각 스위치마다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 패널(130)의 스위치부(138)나 제어부(132) 등의 고장시에 해당 방의 전등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전등을 수동으로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수동 버튼(136a)이 릴레이(136)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버튼(136)은 실수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 제어 패널(130)의 하우징 내측으로 적절히 마련된 홈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제어 패널(130)과 주 제어 패널(120) 및 홈 중앙 제어 장치(150)간의 신호 통신은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제어신호 선로의 설치 등의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 비용의 절감과 및 설치 작업의 간소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거실 등과 같이 댁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주 제어 패널(120)은 해당 설치된 거실 등의 전등 온/오프 및 난방 상태의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조작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부(128)와, 스위치부(128)의 각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해당 전등의 온/오프를 위한 전력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릴레이(126)를 구비한다. 또한 주 제어 패널(120)은 주 제어 패널(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스위치부(128)의 각 스위치에 조작에 따른 신호를 RS-482 규격에 따라 홈 중앙 제어 장치(150)로 전송하는 제어부(122) 및 통신부(124)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해당 방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29)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시각 및 온도 센서(129)에서 감지한 온도 값을 표시하기 위해 LCD 와 LE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 제어 패널(120)의 제어부(122)는 스위치부(128)의 각 스위치 조작에 따라 릴레이(12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서부터 제공되는 주 제어 패널(120)의 해당 방의 전등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릴레이(12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 패널(122)의 제어부(120)는 상기 각 서브 제어 패널(130)에서 제공된 신호에 따라 각 서브 제어 패널의 전등의 온/오프 및/또는 난방 상태를 상기 표시부(125)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주 제어 패널(125)만 확인하여 모든 방의 전등의 온/오프 상태 등을 확인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제어 패널(120)의 스위치부(128)에는 각 서브 제어 패널(130)의 스위치부(138)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위치가 각 서브 제어 패널(130)별로 정렬되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스위치의 조작시에는 주 제어 패널(120)은 이러한 조작 신호를 해당 서브 제어 패널(130)로 전송하여 해당 서브 제어 패널(130)에서 그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주 제어 패널(120)의 스위치부(128)에 구비되는 모든 스위치마다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스위치부(128)의 각 스위치 및 이에 따른 LED의 발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가정의 모든 전등 등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제어 패널(120)에는 상기 서브 제어 패널(120)과 마찬가지로, 스위치부(128)나 제어부(122) 등의 고장시에 해당 방의 전등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전등을 수동으로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수동 버튼(126a)이 릴레이(126)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제어 패널(120)에는 출입문 장치(110)에 구비되는 인터폰부(111)와 연계하여 동작하기 위한 인터폰부(121)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출입문 장치(110)의 인터폰부(111)에는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차임벨,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이 구비되며, 주 제어 패널(120)의 인터폰부(121)에는 출입문 장치(110)의 인터폰부(110)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와,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이 구비된다. 이때 주 제어 패널(120)의 인터폰부(121)에 구비되는 모니터는 표시부(125)의 LCD를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출입문 장치(1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폰부(111)와 더불어 스트라이크(strike)와 같은 전기식 출입문 잠금 장치(116)와 사용자의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116)의 출입문 개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키 감지부(117)가 구비된다. 이때 출입문 개폐 키는 비접촉식 무선(RF) 카드 형태의 키일 수 있으며, 상기 키 감지부(117)는 이러한 RF 카드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116)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입문 장치(110)에는 출입문 장치(110)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홈 중앙 제어 장치(150)와 통신하여 홈 중앙 제어 장치(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장치(116)의 출입문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2) 및 통신부(114)를 구비한다.
난방 장치(140)에는 각 방의 난방을 위한 난방 배관에 설치되는 통상 볼 밸브 형태의 난방 밸브(148)와, 난방 밸브(148)를 구동하는 밸브 구동부(146) 및 밸브 구동부(146)와, 난방 장치(14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홈 중앙 제어 장치(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밸브 구동부(146)에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난방 밸브(148)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142) 및 통신부(144)를 구비한다.
홈 중앙 제어 장치(150)는 서브 제어 패널(130) 및 주 제어 패널(12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난방 장치(14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방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기능부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54) 및 홈 중앙 제어 장치(15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2) 등이 구비된다.
또한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위한 릴레이(15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홈 중앙 제어 장치(150)는 서브 제어 패널(130) 및 주 제어 패널(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관리실 등에 구비된 서버(160)에 제공하여 관리실 서버(160)에서 각 가정의 관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관리실 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각 가정의 관리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주 제어 패널(120)이나 서브 제어 패널(130) 및 난방 장치(110) 또는 출입문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홈 중앙 제어 장치(150)의 제어부(152)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52a)이 구비되어 서버(160)와의 통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는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온수 계량기 및 청수 계량기로부터 각 사용량에 따른 검출 신호(가스 사용량 검출 신호, 전기 사용량 검출 신호, 온수 사용량 검출 신호, 청수 사용량 검출 신호)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홈 중앙 제어 장치(150)는 이러한 각 계량기의 사용량 검출 신호를 관리실 서버(160)로 제공하여 관리실 서버(160)에서 원격의 각 가정의 가스나 전기 등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실 서버(160)는 상기 홈 중앙 제어 장치(15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64)와, 각 가정의 홈 제어 장치(150) 제어부(152)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계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프로그램(162a)을 구비한 제어부(162)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리실 서버(160)는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컴퓨터 또는 인터넷 무선 단말기 등을 통해 관리실 서버(160)에 접속하여 해당 가정의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 관리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각 가정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키를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출입문의 잠금 장치(116)의 출입문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특정 방의 전등을 온/오프 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사용자는 인터넷 무선 단말기(또는 원격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관리실 서버(16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로그인 등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해당 홈 중앙 제어 장치(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됨으로 출입문 개폐 또는 전등 온/오프와 같은 원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이러한 구성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 구성에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출입 관리를 위한 관련 기능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장치(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장치(116)로서 스트라이크(116a)가 구비되며, 또한 키 감지부(117)로서 R/F 카드 리더기(117a)가 구비됨이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R/F 카드 리더기(117a)에는 또한 소형 카메라(1171)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현관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주 제어 패널(120)(또는 적절히 설정된 서브 제어 패널 130)에는 현관 촬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인 현관 표시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소형 카메라(1171)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토록 함으로, 사용자가 이를 통해 현관의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 장치(110)의 R/F 카드 리더기(117a)에는 사용자가 RF 카드를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해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비밀 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즉, 숫자 입력을 위한 버튼 및 표시기가 부가적으로 마련된다. 도 2에 점선 부분으로 도시한 확대도를 참조하면, 숫자 입력을 위한 버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명 업/다운 버튼(1173, 1174)과, 엔터 버튼(117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숫자만 나타내는 7-세그먼트 LED(1 digit 7-segment LED)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기(1172)를 구성할 수 있다. RF 카드 리더기(117a)는 이 러한 업/다운 버튼(1173, 1174)의 입력시에 상기 표시기(1172)의 표시 숫자를 1씩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엔터 버튼(1175)의 입력시에 현재 표시 중인 숫자의 입력 지시임을 파악한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적절한 개수의 임의 숫자)가 입력되면, RF 카드 리더기(117a)는 스크라이크(116a)에 출입문 개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장치(110)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입문 장치(110) 및 홈 중앙 제어 장치(150)에 각 인터폰부(111, 121)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주 제어 패널(120) 및 서브 제어 패널(130)의 일 예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 제어 패널(120) 및 서브 제어 패널(130)에는 각각 표시부(125, 135)가 구비되며, 그 외에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됨이 도시되고 있다. 특히 주 제어 패널(120)을 참조하면, 다수의 스위치(예를 들어 128-1)에 각각 해당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예를 들어 128-2)가 구비됨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제어 패널(120) 등에는 시계 표시 기능과 더불어 알람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즉, 주 제어 패널(120)의 스위치부(128)에 알람 설정을 위 한 다수의 버튼을 미리 마련해두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버튼과 표시부(125)의 시계 표시를 통해 알람 시각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알람 설정된 시각에 적절한 스피커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프음이나 멜로디를 출력하고 또한 해당 시각에 미리 설정된 전등을 온/오프 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가정에 구비되는 전등, 난방 등의 기본 시설을 통합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다 저 비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6)

  1.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의 각 방의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방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의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과,
    가정의 중심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해당 설치된 장소의 전등 온/오프를 포함한 기기 동작 조작을 받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 서브 제어 패널별 신호 조작 상태를 자체 스위치 조작 상태와 더불어 표시하는 주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은 해당 방의 난방 상태를 조작받기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해당 스위치에 조작시에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개폐 및 출입자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출입문 장치와,
    각 방의 난방을 위한 난방 배관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난방 장치와,
    상기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난방 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방의 난방 밸브의 구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서브 제어 패널 및 주 제어 패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관리실 서버에 제공하며, 또한 관리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주 제어 패널, 서브 제어 패널, 난방 장치 및/또는 상기 출입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 패널은 상기 각 서브 제어 패널에서 제공된 신호에 따라 각 서브 제어 패널의 전등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출입문 장치에서 촬영한 출입자의 촬영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패널, 서브 제어 패널 및 홈 중앙 제어 장치간의 신호 통신은 전력선 통신 방식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장치는 전기식 출입문 잠금 장치와, 사용자의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잠금 장치의 출입문 개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키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 개폐 키는 비접촉식 무선(RF) 카드 형태의 키일 수 있으며, 상기 키 감지부 상기 RF 카드를 감지는 RF 카드 리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감지부는
    현관 영상을 촬영하는 소형 카메라와,
    상기 주 제어 패널 또는 적절히 설정된 서브 제어 패널 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현관 표시부와,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의 출입문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비밀 번호 입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030050996A 2003-07-24 2003-07-24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56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996A KR100563229B1 (ko) 2003-07-24 2003-07-24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996A KR100563229B1 (ko) 2003-07-24 2003-07-24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924A KR20050011924A (ko) 2005-01-31
KR100563229B1 true KR100563229B1 (ko) 2006-03-31

Family

ID=3722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996A KR100563229B1 (ko) 2003-07-24 2003-07-24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40Y1 (ko) * 2009-07-13 2011-05-23 하가전자 주식회사 전자식 거실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15B1 (ko) * 2006-03-0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웨이 패킷 생성 및 멀티웨이 스위치 그룹 구성 방법,이를 이용한 멀티웨이 패킷 생성 및 멀티웨이 스위치 그룹구성 장치
KR100805205B1 (ko) * 2006-08-30 2008-02-21 (주) 코콤 방범 센서를 이용한 전등 및 보일러 제어장치
KR101235606B1 (ko) * 2011-02-17 2013-02-21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의 보조용 서브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40Y1 (ko) * 2009-07-13 2011-05-23 하가전자 주식회사 전자식 거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924A (ko)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562B2 (en) Use of a two- or three-dimensional barcode as a diagnostic device and a security device
US11640736B2 (en) Controlled indoor access using smart indoor door knobs
JP3212933U (ja) 入退室管理装置
JP7176036B2 (ja) 連携監視設備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KR100859805B1 (ko) 홈네트워크 연동 키오스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563229B1 (ko) 가정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596690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DK3220617T3 (en) DOOR COMMUNICATION SYSTEM, OUTDOOR APPLIANCE FOR A DOOR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DURE FOR OPERATING A DOOR COMMUNICATION SYSTEM
JP2009015444A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US11064168B1 (en) Video monitoring by peep hole device
JP200705866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407889Y1 (ko) 홈오토메이션의 모드선택기능이 구비된 전자식 도어록 장치
JP2011176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79688B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동작방법
KR20150004569U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KR2006011306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KR100420944B1 (ko) 텍 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주택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0069575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225924Y1 (ko) 텍 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주택자동제어 시스템
KR100284702B1 (ko) 중앙집중식 총괄관리 경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