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860A -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860A
KR19990078860A KR1019990033455A KR19990033455A KR19990078860A KR 19990078860 A KR19990078860 A KR 19990078860A KR 1019990033455 A KR1019990033455 A KR 1019990033455A KR 19990033455 A KR19990033455 A KR 19990033455A KR 19990078860 A KR19990078860 A KR 1999007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mera
input
interne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674B1 (ko
Inventor
양근모
Original Assignee
윤용철
범아종합경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철, 범아종합경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용철
Priority to KR101999003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6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가입자가 웹브라우저를 운용하여 웹사이트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기 위한 인터넷망(20); 상기 인터넷망(20)에 개설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및 센서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 원격으로 감시 및 보안이 필요한 위치에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가 설치되어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및 센서부(70);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모니터 또는 경보부저로 출력하는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 카메라 및 센서부(70)로 구성된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종합관리용 서버(30);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응용 서버(32);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5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52)와, 사용자의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에 의해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상황부(53)로 구성된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6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62)로 구성된 아파트 종합관리실(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 또는 세대별로 부재중에 감시나 보안을 위하여 각종의 감시 카메라 또는 센서로부터 얻어진 영상데이터나 감지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원격에서 관찰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Uninhabited Keep Watch System through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세대별로 감시나 보안을 위하여 각종의 감시 카메라 또는 센서로부터 얻어진 영상데이터나 감지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원격에서 관찰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인 경비 시스템은 야간이나 집을 오랫동안 비울 때, 또는 가게나 점포 등에 장착시켜 외부로부터 무단으로 침입을 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경보하거나 설정된 장소나 위치로 전화를 걸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무인 경비 시스템은 화재, 도난, 가스누출 등을 센서나 감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감지 또는 감시하고, 이에 대한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전용선을 통해 경비용역회사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소방서나 경찰서 등으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무인 경비 시스템은 각 가정이나 세대별 또는 아파트 단지나 회사등에서 방범 및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나 위치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의 방범 및 보안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장치는 원격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음성이나 데이터 등은 사용자의 유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설정해 둔 장소 및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경비 시스템의 경우에는 각 가정이나 세대 또는 감시 및 보안을 필요로 하는 위치나 장소에 설치된 센서나 감시 카메라의 데이터를 유선이나 전용선을 통해 경보하거나 용이하게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경비 용역회사 등에서 관리 및 감시하는 가정이나 세대 또는 소정의 장소 등이 많을 경우에는 감시 및 관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경비 용역회사 등에서 해당하는 경비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의 센서나 감시 카메라를 감시하는 도중에 해당하는 경비 시스템을 보다 정확하게 또는 실시간으로 관리 및 감시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황의 발생에 대하여 긴급출동이나 관련 기관(예를 들어, 경찰서나 소방서 등)과의 공조체제를 이루어 내기가 쉽지 않다.
즉 예를 들어, 무인 경비 시스템이 설치된 어느 한 세대에 사용자가 세대에 장기간 상주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동안 집을 비울 때에 사용자의 실수로 창문을 잠그지 않았거나 또는 가스밸브를 잠그지 않았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항상 불안하게 여기는 장소나 위치 등을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경비 용역회사 등에서 일일이 감시하거나 관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을 관측할 수가 없어 뜻하지 않은 사고나 재난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무인 경비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정내의 원하는 위치나 장소의 상황을 일일이 관측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된 무인 경비 시스템의 카메라나 센서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패스워드나 사용자 ID(identifier;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을 통한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2: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 20: 인터넷망
30: 종합관리용 서버 32: 응용 서버
40: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 50: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
51, 61: 영상화면 표시부 52, 62: 경보메시지 상황부
53: 홈페이지 상황부 60: 아파트 종합관리실
70: 카메라 및 센서부 71,72: 카메라
73, 74: 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넷 가입자가 웹브라우저를 운용하여 웹사이트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기 위한 인터넷망; 상기 인터넷망에 개설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및 센서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 원격으로 감시 및 보안이 필요한 위치에 복수의 카메라 및 센서가 설치되어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및 센서부; 카메라 및 센서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모니터 또는 경보부저로 출력하는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 카메라 및 센서부로 구성된 복수의 카메라 및 센서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종합관리용 서버; 카메라 및 센서부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응용서버;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와, 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따른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와, 사용자의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에 의해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상황부로 구성된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와, 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로 구성된 아파트 종합관리실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카메라 및 센서부(70)는 복수의 감시용 카메라(71, 72)와 센서(73, 74)로 구성된 것으로, 방범 또는 감시 및 보안을 필요로 하는 위치, 예를 들어, 현관, 창문, 놀이터, 주차장 또는 유치원이나 놀이방 등에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가 설치되어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카메라 및 센서부(70)는 가정 자동화 기기의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경비 시스템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망(20)은 수많은 인터넷 가입자가 웹브라우저를 운용하여 웹사이트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망(20)은 원격에서 상기 카메라 및 센서부(70)가 설치된 위치나 장소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통신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개설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작동상태를 관리 및 감시할 수 있다.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는 상기 인터넷망(20)에 개설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및 센서의 작동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모뎀이나 전용선 등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도 가능하다.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는 상기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넷망(2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모니터 또는 경보부저로 영상이나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는 상기 해당하는 세대에 설치된 카메라 및 센서부(70)에 연결되어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입력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특히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시키는 것이다. 또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아파트와 같이 소정의 세대수가 밀집된 지역의 아파트 종합관리실(60) 등으로 출력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종합관리용 서버(30)는 상기 카메라 및 센서부(70)로 구성된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각종 네트워크용 장비들의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경비시스템을 관리하는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 등으로 출력 및 통보하여 이상상태의 발생때에 즉각적인 응급 복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응용 서버(32)는 상기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것으로, 응용 서버(32)는 카메라(71, 72)의 위치에 따른 위치데이터나 시간에 따른 시간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저장하는 것이다.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는 무인경비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용역회사나 별도의 관리업체로, 아파트 단지나 소정 수의 세대를 관리할 수 있는 곳으로,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는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자체적으로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5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52)와, 사용자의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에 의해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상황부(53)로 구성된다. 상기 경보메시지 상황부(52)에서 발생된 경보메시지는 자체적인 경비조직이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으로 통보 및 연락이 되도록 한다. 또한, 경보메시지 상황부(52)와 연결되어 비상출동 경보를 발생하고 해당 경비 용역회사 또는 경찰서로 통보를 하는 비상출동 경보부(55)가 더욱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트 종합관리실(60)은 상기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로부터 입력된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감시 및 경보하는 것으로, 아파트뿐만 아니라 소정의 세대가 밀집해 있는 곳의 종합관리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파트 종합관리실(60)은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6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61)로 구성된다.
한편, 해당하는 세대의 사용자는 인터넷망(20)에 개인의 홈페이지를 개설하여야 하고, 이 홈페이지를 통해 설치된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작동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는 패스워드(Password; 비밀번호)와 사용자 ID의 입력에 의해서만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 인터넷망(20), 종합관리용 서버(30), 응용 서버(32) 및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 등은 이서네트(Ethernet;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나로, 동축 케이블을 통해 고속의 근거리 통신망에 주로 사용)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흐름은 도 2에서와 같다.
즉 단계(S100)에서 사용자는 원격에서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로 모뎀이나 전용선을 통해 인터넷망(2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접속을 한다.이때, 사용자는 원격이 아닌 세대내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계(S101)에서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초기화면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선택된 메뉴가 인증이 필요한 메뉴인지를 단계(S102)에서 판단하고, 단계(S103)에서 인증이 필요하면 이미 설정된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을 지시한다.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지시에 따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단계(S104)에서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지를 먼저 판단하게 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S105)에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에러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요구한다. 만약, 패스워드의 입력이 일치하면, 단계(S106)에서 설정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게 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S107)에서 사용자 ID의 입력이 에러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ID의 재입력을 요구한다.
상기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이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단계(S108)에서 해당하는 정보를 모니터의 화면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와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와 아파트 종합관리실(60) 및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참조하면,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와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신호는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를 거쳐 아파트 종합관리실(60) 및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와 종합관리용 서버(30) 및 응용 서버(32)와 인터넷망(20)으로 각각 전송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가 인터넷망(20)에 접속하여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연결되면,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는 인증을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사용자는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입력하게 되고,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이 설정된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메라 및 센서부(70)의 작동상태는 실시간에 걸쳐 전송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충분히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치된 보안 및 감시 또는 방범을 필요로 위치나 장소의 카메라 및 센서부의 작동상황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황을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 및 아파트 종합관리실 등에 연결하여 복수의 감시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대내에 부재중일 경우에 언제, 어디에서나 감시 및 관측이 용이하여 화재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무인 경비 시스템의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키며,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안전보장 및 보안 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터넷 가입자가 웹브라우저를 운용하여 웹사이트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기 위한 인터넷망(20);
    상기 인터넷망(20)에 개설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및 센서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사용자용 퍼스널 컴퓨터(10, 12);
    원격으로 감시 및 보안이 필요한 위치에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가 설치되어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및 센서부(70);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모니터 또는 경보부저로 출력하는 LAN 프로토콜 변환용 서버(40);
    카메라 및 센서부(70)로 구성된 복수의 카메라(71, 72) 및 센서(73, 74)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종합관리용 서버(30);
    카메라 및 센서부(7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응용 서버(32);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5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52)와,
    사용자의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에 의해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상황부(53)로 구성된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
    각 카메라(71, 72)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램한 시간 및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영상화면 표시부(61)와,
    각 센서(73, 74)로부터 입력된 이상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경보메시지 상황부(62)로 구성된 아파트 종합관리실(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경비 중앙 관제센터(50)에는 경보메시지 상황부(52)와 연결되어 비상출동 경보를 발생하고 해당 경비 용역회사 또는 경찰서로 통보를 하는 비상출동 경보부(55)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의 작동 및 감시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S1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01)와,
    인증이 필요한 메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인증이 필요하면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의 입력을 지시하는 단계(S103)와,
    입력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04)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패스워드의 입력이 에러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S105)와,
    입력된 사용자 ID가 설정된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06)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 ID의 입력이 에러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ID의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S107)와,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가 일치할 경우에 해당하는 정보를 모니터의 화면으로 전송하는 단계(S108)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1019990033455A 1999-08-04 1999-08-04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10030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55A KR100301674B1 (ko) 1999-08-04 1999-08-04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55A KR100301674B1 (ko) 1999-08-04 1999-08-04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60A true KR19990078860A (ko) 1999-11-05
KR100301674B1 KR100301674B1 (ko) 2001-11-01

Family

ID=3752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455A KR100301674B1 (ko) 1999-08-04 1999-08-04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674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528A (ko) * 2000-01-06 2001-07-23 이학준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KR20010111840A (ko) * 2000-06-13 2001-12-20 김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 시스템
KR20020007571A (ko) * 2000-07-18 2002-01-29 양기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감지 통보시스템
KR20020014192A (ko) * 2000-08-17 2002-02-25 곽희섭 진압장비가 부착된 감시용 카메라
KR100328351B1 (ko) * 2000-01-20 2002-03-13 원종호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동물원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24193A (ko) * 2002-02-01 2002-03-29 주식회사 아이티비젼 멀티미디어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종합관제방법 및 시스템
KR20020058768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초고속데이터망을 이용한 원격 안전관리정보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30013839A (ko) * 2001-08-09 2003-02-15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그룹웨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0378469B1 (ko) * 2000-04-14 2003-03-29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다채널 다지점 무인 감시 제어 장치
KR20030033482A (ko) * 2001-10-23 2003-05-01 박창기 유선방송망을 이용한 경비서비스 방법
KR20030039193A (ko) * 2001-11-12 2003-05-17 (주)우리네스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방범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KR20030063810A (ko) * 2002-01-24 2003-07-31 삼우정보기술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용 중계장치
KR20040013362A (ko) * 2002-08-06 2004-02-14 한명국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0944B1 (ko) * 2000-12-29 2004-03-04 주식회사 에스디 레이콤 텍 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주택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9714A (ko) * 2002-12-07 2004-06-12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2660B1 (ko) * 2002-12-13 2004-12-17 (주)인와이저 통신 망 기반 경비 및 영상 관제 자동화 시스템
KR100462343B1 (ko) * 2002-06-25 2004-12-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방재장치의 관리방법
KR100675780B1 (ko) * 2005-04-11 2007-02-02 (주)실비토스 사생활 보호기능을 갖는 원격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53892B1 (ko) * 2009-05-18 2011-08-04 세진전자 주식회사 하나의 전화번호로 통합된 VoIP단말기와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247300B1 (ko) * 2007-07-1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00A (ko) * 2000-05-19 2001-02-05 박주한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영상 감시 서비스방법
KR20000058636A (ko) * 2000-06-17 2000-10-05 신법진 감시용 카메라의 사용 및 데이터 보관 방법
KR20020003984A (ko) * 2000-06-28 2002-01-16 문성룡 통신기반 원격 모니터링 폐쇄회로
KR20020029220A (ko) * 2000-10-12 2002-04-18 김영배 아이에스디엔을 이용한 원격 경비장치 및 방법
KR101102903B1 (ko) 2009-09-18 2012-01-09 주식회사 아이센텍이엔씨 감시카메라 제어 시스템
KR20220068038A (ko) * 2020-11-18 2022-05-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촬영 공간 정보 기반 cctv 저장 영상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528A (ko) * 2000-01-06 2001-07-23 이학준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KR100328351B1 (ko) * 2000-01-20 2002-03-13 원종호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동물원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378469B1 (ko) * 2000-04-14 2003-03-29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다채널 다지점 무인 감시 제어 장치
KR20010111840A (ko) * 2000-06-13 2001-12-20 김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 시스템
KR20020007571A (ko) * 2000-07-18 2002-01-29 양기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감지 통보시스템
KR20020014192A (ko) * 2000-08-17 2002-02-25 곽희섭 진압장비가 부착된 감시용 카메라
KR100420944B1 (ko) * 2000-12-29 2004-03-04 주식회사 에스디 레이콤 텍 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주택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8768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초고속데이터망을 이용한 원격 안전관리정보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30013839A (ko) * 2001-08-09 2003-02-15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그룹웨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30033482A (ko) * 2001-10-23 2003-05-01 박창기 유선방송망을 이용한 경비서비스 방법
KR20030039193A (ko) * 2001-11-12 2003-05-17 (주)우리네스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방범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KR20030063810A (ko) * 2002-01-24 2003-07-31 삼우정보기술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용 중계장치
KR20020024193A (ko) * 2002-02-01 2002-03-29 주식회사 아이티비젼 멀티미디어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종합관제방법 및 시스템
KR100462343B1 (ko) * 2002-06-25 2004-12-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방재장치의 관리방법
KR20040013362A (ko) * 2002-08-06 2004-02-14 한명국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9714A (ko) * 2002-12-07 2004-06-12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2660B1 (ko) * 2002-12-13 2004-12-17 (주)인와이저 통신 망 기반 경비 및 영상 관제 자동화 시스템
KR100675780B1 (ko) * 2005-04-11 2007-02-02 (주)실비토스 사생활 보호기능을 갖는 원격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247300B1 (ko) * 2007-07-1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053892B1 (ko) * 2009-05-18 2011-08-04 세진전자 주식회사 하나의 전화번호로 통합된 VoIP단말기와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674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6977585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7248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EP2221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via a remote facility
US7123142B2 (en) Integrated intercom and security system
KR100780601B1 (ko) 지능형 통합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US8378808B1 (en) Dual intercom-interfaced smoke/fire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7254403B2 (en) Wireless terminal-interoperable home network system
KR20100116465A (ko) 금연구역의 원격 감시 및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1010940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제어 감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369948B1 (ko) 가정 관리 방법
JP490140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KR2006008940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102392A (ko)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0012948A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보안 감시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JP2001338372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501008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공용건물의 원격 제어용 중앙 관제시스템
KR100793813B1 (ko)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1224A (ko) 유비쿼터스 레코더를 이용한 긴급 상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JP2002109671A (ja) 機器異常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