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581B1 -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581B1
KR102298581B1 KR1020210008493A KR20210008493A KR102298581B1 KR 102298581 B1 KR102298581 B1 KR 102298581B1 KR 1020210008493 A KR1020210008493 A KR 1020210008493A KR 20210008493 A KR20210008493 A KR 20210008493A KR 102298581 B1 KR102298581 B1 KR 10229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rking
sensing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앤
Priority to KR102021000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장 내 주차 영역마다 별도로 복수의 비콘 또는 감지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없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PARKING LOCATION}
본 발명은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장 내 주차 영역마다 별도로 복수의 비콘 또는 감지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없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를 맞아 스마트 시티 내지 스마트 홈와 같은 스마트 소사이어티(Smart Society)에 대한 관심 및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발맞춰 스마트 소사이어티와 관련된 다양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통신 기술 등) 및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인프라의 개발 및 발전이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소사이어티의 가장 큰 목적은 결국 노년층의 비율이 증가하는 인구 변화, 가속화되는 도시화, 기후 변화 및 자원 부족 등과 같은 사회 흐름의 변화에 맞춰 구성원의 생활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래 들어 개인 이동 통신 단말 문화의 발달로 바야흐로 국민 1인당 1이동 통신 단말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들간 또는 사용자와 임의의 시스템 사이의 신속한 통신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도 가능하게 된 점도 스마트 소사이어티의 도입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2623호(공고일자 2020. 11. 24)에 기재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역시 스마트 소사이어티와 관련된 기술이라 볼 수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은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등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스마트 소사이어티 관련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6271호(공고일자 2019. 04. 05)에 따른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 위치 인식 관리 시스템이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인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주차관제를 위해 주출입구, 주차장, 공동현관문 등에 설치된 비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거주 지역으로의 진입과 주차영역에의 주차와 주차 완료후 공동 현관문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정확히 주차 완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비콘 기술과 지그비 무선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 저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6271호에 기재된 주차 위치 인식 관리 시스템은 주차 영역마다 비콘이 설치되어 상기 비콘이 설치된 주차 영역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해야 하는 바, 주차장에 마련된 주차 영역의 수가 증가할수록 설치되는 비콘의 수 및 설치 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설치 난이도의 문제는 기축 건물에 상기 주차 위치 인식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주저하게 만드는 원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주된 취지인 정확한 주차 위치의 안내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시스템의 설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2623호(공고일자 2020. 11. 2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6271호(공고일자 2019. 04. 05)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차장 내 주차 영역마다 별도로 복수의 비콘 또는 감지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내 구비된 센서 등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근거한 이동 경로의 연산만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하는 제1 센싱 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 및 상기 주차장의 지도 DB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 상기 트래킹 정보를 통해 상기 지도 DB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하는 제1 센싱 모듈이 탑재되며,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 및 상기 주차장의 지도 DB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지도 DB를 전송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DB를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통해 상기 지도 DB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주차장 내 스마트 소사이어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달리, 주차장 내 주차 영역마다 별도로 복수의 비콘 또는 감지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 단말 내 구비된 센서 등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근거한 이동 경로의 연산만으로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시스템의 구축 및 설치 난이도가 낮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에서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은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U)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PL) 내 상기 사용자(U)의 자동차(V)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은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UD),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SM2)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UE) 및 상기 주차장(PL)의 지도 DB를 저장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부(S)를 포함한다.
본원에 정의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은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탑재된 전자 기기 또는 전자 장치를 의미하며, "이동 통신 단말"이라는 용어에 제한없이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탑, 랩탑 또는 기타의 미니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 PDA, 비디오 카메라, 셋톱 박스, 퍼스널 매체 장치(personal media device; PM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탑재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유/무선 신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Wi-Fi (802.11), 블루투스, 3G, 4G, 5G HSDPA/HSUPA, TDMA, CDMA, FHSS, DSSS, GSM, PAN/802.15, WiMAX (802.16), 802.20, 협대역/FDMA, OFDM, PCS/DCS, NFC, 아날로그 셀룰러, CDPD, 위성 시스템,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 시스템, 음향 및 적외선(즉, IrDA)을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 신호, 데이터, 통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설치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본원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부터 임의의 통신 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 임의의 통신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정의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본원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부터 임의의 통신 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 임의의 통신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U)의 자동차(V)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또는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을 소지한 상태로 움직이는 사용자(U)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한 제1 센싱 모듈(SM1)이 탑재된다.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별도로 부착되는 부속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원천적으로 포함된 부속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내재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내 내재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임의의 통신 수단 사이의 통신의 성립 및 통신의 중단 등과 같은 사건 발생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여 트래킹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내재된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승인받은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UD)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 중 상기 사용자 출입부(UE)는 상기 주차장(PL)에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U)가 상기 주차장(PL)을 벗어나거나, 사용자(U)가 상기 주차장(PL)으로 들어오기 위한 출입부로서, 지상 또는 임의의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 또는 승강기(EV) 등이 마련된 출입구에 해당한다.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SM2)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의 종류 및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거한 구체적인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 방식은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U)가 상기 주차장(PL)에 자동차(V)를 주차한 위치는 주차시마다 매번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반하여,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의 위치는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을 마련하고,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의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설치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의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은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은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대한 실행뿐만 아니라, 본원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부터 임의의 통신 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 임의의 통신 신호가 수신하는 동작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상기 주차장(PL)의 지도 DB를 저장하며, 상기 지도 DB는 상기 주차장(PL)의 도면 또는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차장(PL)에는 자동차(V)가 출입할 수 있는 주차장 출입부(VE, VE')가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 출입부(UE)를 제외한 영역에 복수의 주차 영역(PA)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PL) 내 임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BE)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콘(BE)으로부터 생성된 비콘 신호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은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주차장 출입부(VE, VE')에는 상기 자동차(V)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4 센싱 모듈(SM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센싱 모듈(SM4)에 의해 상기 자동차(V)의 진입 여부가 감지된 경우,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이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 제2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는 출입문(UD) 또는 승강기(EV)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문(UD) 또는 상기 승강기(EV)는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전제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에서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UD)을 소지한 사용자(U)는 임의의 주차 영역(PA)에 자동차(V)의 주차를 완료하고, 임의의 경로(P)를 따라 상기 사용자 출입부(UE)로 이동할 것이다.
사용자(U)가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접근하여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의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설치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의 통신이 성립된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은 상기 사용자(U)의 출입부 도작 시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사용자(U)가 주차를 완료한 주차 완료 시점을 산출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자동차(V)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V)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센싱 모듈(SM3)을 포함할 경우,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제3 센싱 모듈(SM3)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자동차(V)의 주차 완료 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상용 자동차들은 이동 통신 단말과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짐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자동차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자동차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된 시점을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상기 자동차(V) 및 상기 사용자 출입부(UE) 사이의 통신 정보를 매개로 하여 간주된 상기 주차 완료 시점과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을 소지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내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U)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경로 등을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의 생성을 개시하며,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까지 생성된 상기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U)의 최단 이동 거리(P')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간편하게는, 상기 최단 이동 거리(P')는 상기 주차 완료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U)의 좌표와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U)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 형태의 최단 경로로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최단 이동 거리(P')가 산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출입부로부터 상기 최단 이동 거리(P')만큼 이격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가(U)가 자동차(V)를 주차한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까지 생성된 트래킹 정보, 최단 이동 거리(P') 및 추정된 주차 위치는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에 의한 최단 이동 거리(P') 산출 및 주차 위치에 대한 추정은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 또는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 내 연산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까지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은 상기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전달받는다.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UE)가 위치하는 주차장(PL)을 특정하고, 전달받은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 상기 트래킹 정보를 추출하여, 본원에 정의된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U)의 자동차(V)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상기 도면 또는 지도의 축척에 따라 변환한 후 상기 도면 또는 지도에 상기 사용자(U)의 이동 경로(P)를 맵핑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S)는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UE)가 위치하는 주차장(PL)을 특정하고, 상기 지도 DB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설치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으로 전송한다. 상기 지도 DB의 전송은 상기 지도 DB에 포함된 도면 또는 지도를 전송하는 동작으로서 구현되거나,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기저장된 도면 또는 지도를 열람하는 동작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도 DB를 수신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트래킹 정보를 사용하여 본원에 정의된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U)의 자동차(V)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은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상기 도면 또는 지도의 축척에 따라 변환한 후 상기 도면 또는 지도에 상기 사용자(U)의 이동 경로(P)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도 DB에 포함된 상기 도면 또는 지도는 상기 사용자(U)가 이동 가능한 제1 영역 및 상기 사용자(U)가 이동 불가한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 내 존재하는 트래킹 정보를 노이즈 처리되어 상기 최단 이동 거리(P')의 산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상기 자동차(V) 및 상기 사용자 출입부(UE) 사이의 통신 정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주차 완료 시점과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이 간주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주차장(PL) 내 임의의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 사이에 통신이 성립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는 상술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는 임의의 중계 장치로서 족하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U)가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도착하는 것을 전제로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차 완료 시점까지 역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등을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트래킹 정보는 상기 주차 완료 시점과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을 통해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시간 동안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RE) 사이에 성립된 통신 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가 설치된 상기 주차장(PL) 내에서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U)가 이동을 시작할 경우, 상기 사용자(U)가 소지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와 통신을 성립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SM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과 통신이 성립된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가 설치된 위치를 트래킹 포인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래킹 포인트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 설치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이 수신한 또는 기저장된 도면 또는 지도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U)가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도착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계기(RE)와의 통신이 성립됨에 따라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트래킹 포인트가 생성된다. 상기 주차 완료 시점 이후에 최초로 생성된 트래킹 포인트, (존재할 경우) 이후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래킹 포인트 및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의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 출입부(UE) 내 설치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를 연결하면 임의의 경로(P)로서 표시되는 상기 트래킹 정보가 완성될 수 있다.
임의의 경로(P)로서 표시되는 상기 트래킹 정보는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에 맵핑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주차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U)의 최단 이동 거리(P')를 산출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정의된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시스템(100)은 스마트 소사이어티 환경의 구현을 위해 단순히 사용자(U)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UD)과의 연결을 구축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 이외의 다른 시스템과도 상호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된 상기 제1 통신 신호에는 상기 사용자(U)의 식별 정보가 내재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사용자(U)의 인적 사항, 상기 사용자(U)가 거주하는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 건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U)의 출입 승인 정보, 상기 사용자(U)가 목적으로 하는 층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U)가 상기 사용자 출입부(UE)에 접근하여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의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UD)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센싱 모듈(SM2)은 상기 사용자(U)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출입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출입부 내 승강기의 호출 여부 및 도착층 지정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 정의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이 구현된 주차장 환경 하에서 사용자(U)는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UD)을 소지하는 것만으로 주차장 내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주차 완료 후 사용자 출입부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출입부의 개방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출입부 내 승강기의 호출 및 도착층 지정과 같은 동작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하는 제1 센싱 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 및
    상기 주차장의 지도 DB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 상기 트래킹 정보를 통해 상기 지도 DB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센싱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자동차의 주차 완료 시점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상기 사용자의 출입부 도착 시점으로 간주하고,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까지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최단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출입부로부터 상기 최단 이동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로 추정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2.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주차장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특정 및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추적하는 제1 센싱 모듈이 탑재되며,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센싱 모듈이 설치된 사용자 출입부; 및
    상기 주차장의 지도 DB를 저장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지도 DB를 전송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DB를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통해 상기 지도 DB 내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추정하며,
    상기 자동차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센싱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시점을 상기 자동차의 주차 완료 시점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상기 사용자의 출입부 도착 시점으로 간주하고,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까지 생성된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최단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출입부로부터 상기 최단 이동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로 추정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상기 사용자의 출입부 도착 시점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주차장 내 임의의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 신호 중계기 사이에 통신이 성립되는 시점에 트래킹 포인트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완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입부 도착 시점 사이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트래킹 포인트와 상기 사용자 출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DB는 상기 주차장의 도면 또는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는 상기 트래킹 정보를 상기 도면 또는 지도의 축척에 따라 변환한 후 상기 도면 또는 지도에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핑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또는 지도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 경로가 마련된 제1 영역 및 상기 자동차의 주차 영역이 마련된 제2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생성된 트래킹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 내 존재하는 트래킹 정보를 노이즈 처리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4 센싱 모듈이 설치된 주차장 출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진입 여부가 감지된 경우,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2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내 임의의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을 포함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생성된 비콘 신호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주차 위치 안내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웨이크업(wake-up) 동작을 실행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내재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출입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내재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 중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출입부 내 승강기의 호출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1020210008493A 2021-01-21 2021-01-21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10229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93A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1-21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93A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1-21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581B1 true KR102298581B1 (ko) 2021-09-06

Family

ID=7778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93A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1-21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50A (ko) * 2011-09-16 201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위치 추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말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107444A (ko) * 2012-03-22 2013-10-02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위치 추적 시스템
KR20180101994A (ko) * 2017-03-06 2018-09-14 (주)와이파이브 실내 주차장 차량 주차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271B1 (ko) 2018-06-26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KR102182623B1 (ko) 2020-04-24 2020-11-24 주식회사 블루앤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50A (ko) * 2011-09-16 201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위치 추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말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107444A (ko) * 2012-03-22 2013-10-02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위치 추적 시스템
KR20180101994A (ko) * 2017-03-06 2018-09-14 (주)와이파이브 실내 주차장 차량 주차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271B1 (ko) 2018-06-26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KR102182623B1 (ko) 2020-04-24 2020-11-24 주식회사 블루앤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838B2 (en) Target addressing system
JP5740537B2 (ja) デバイス位置のための位置表示制御
US10699573B1 (en) Device locator
KR101505871B1 (ko)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방법
KR101970920B1 (ko) 실내 측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경로 안내 방법
US9462423B1 (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ensor fusion for indoor navigation
CN109931927B (zh) 轨迹记录方法、室内地图绘制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643292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576530B1 (ko) 주차위치 기록방법 및 시스템
KR102298581B1 (ko)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20220025589A (ko) 퍼스널 모빌리티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202103507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occupant to an available vehicle parking
KR2019006370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21238785A1 (zh) 定位方法、用户设备、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60031793A (ko) 휠체어용 스마트 내비게이션 시스템
CN117889870B (zh) 出入隧道的判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990781B (zh) 一种导航处理方法和装置、一种用于导航处理的装置
KR20220121112A (ko) 위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3934A (ko) 위치 기반 차량 차단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