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623B1 -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623B1
KR102182623B1 KR1020200049798A KR20200049798A KR102182623B1 KR 102182623 B1 KR102182623 B1 KR 102182623B1 KR 1020200049798 A KR1020200049798 A KR 1020200049798A KR 20200049798 A KR20200049798 A KR 20200049798A KR 102182623 B1 KR102182623 B1 KR 10218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ensing module
communication signal
signa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앤
Priority to KR102020004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등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ELEVATOR AUTOMA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등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가져다주는 편의성은 우리의 주거 환경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빌라,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주거용 또는 사무용 시설물을 출입하기 위한 현관문(출입문)에는 별도의 인증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출입문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보안 등의 문제로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번호키 및/또는 카드키 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번호키 및/또는 카드키 등의 경우 번호가 외부인에 노출될 경우, 보안을 위해 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등 보안 수준이 극히 낮으며, 번호 변경시 전체 사용자가 변경된 번호를 주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 편의성이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카드키의 경우, 마찬가지로 출입자가 매번 카드키를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카드키를 소지하지 않거나 분실할 경우, 시설물 출입에 제한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출입문 개방을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켜 출입문 개방을 원격 제어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출입문을 개방하고, 출입문 개방시 출입문 및/또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출입문 개방 신호를 승강기 및/또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으로 송부하여 승강기를 호출하는 시스템 역시 소개되고 있다.
한편, 승강기 호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9851호(특허문헌 1)에 따르면, 각 호기 승강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각 호기의 승강기 제어반, 각 세대 내 설치되며 승강기 호출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호출수단이 구비된 각 세대 승강기 호출 단말기, 상기 각 호기의 승강기 제어반 및 상기 각 세대 내 승강기 호출 단말기에 직접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세대에서 발생한 승강기 호출신호를 해당 호기의 승강기 제어반으로 직접 입력하며, 상기 각 호기의 승강기 제어반에서 직접 운행정보를 받아서 해당 각 세대 승강기 호출 단말기에 표시케 함으로써 세대 내 호출 동작을 가능케 하는 세대 콜 서버를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공개된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세대 내 거주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세대 내 설치되어 있는 호출 단말에 승강기 호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서, 세대 내에 승강기 호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호출 단말이 기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현 자체가 불가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승강기 호출 시스템은 실제 승강기를 탑승할 의사가 없는 사용자에 의해 불필요하게 승강기가 자동으로 호출되거나 목적지 층이 입력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기의 호출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등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9851호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등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무선 신호의 감지 위치 및 감지 세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승강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방향 또는 동작 탐지 기반의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으로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승강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센싱 모듈, 상기 승강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싱 모듈 및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 및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한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가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 범위는 상기 승강기 내로 제한되며, 상기 수신 범위는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노이즈 처리하는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2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승강기 내 설치된 목적지 층 입력 패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1 영역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2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승강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센싱 모듈로부터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소정의 반경으로 하는 범위 중 상기 제1 센싱 모듈로부터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는 범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수신 범위 외 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최초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소정의 시간 간격 내 벡터 종점이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제1 통신 신호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 정보를 입력하는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목적지 층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세대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신호 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저장된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적용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된 무선 통신 신호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의 객체로서 사용하되, 상기 통신 신호의 검출에 방향 탐지(direction finding)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의 객체로서 사용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 전송된 통신 신호를 사용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조사 및 종류 등에 구애받지 않고 본 시스템에 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스템의 구축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승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으로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승강기에 탑승한 후 목적지 층 입력 패널에 목적지 층을 누르는 행위 등과 같이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승강기를 자동으로 제어, 즉,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으로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종래 소개된 승강기의 단순 호출 시스템과는 그 궤를 달리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1)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100), (2) 상기 승강기(2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는 제1 센싱 모듈(210), (3) 상기 승강기(2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200)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싱 모듈(220) 및 (4)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23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본원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통신 프로토콜(110)이 탑재될 수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전자 장치인 것으로 족하며, "이동 통신 단말"이라는 용어에 제한없이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탑, 랩탑 또는 기타의 미니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 PDA, 비디오 카메라, 셋톱 박스, 퍼스널 매체 장치(personal media device; PM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은 사전에 승인되거나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발생한 무선 통신에 근거하여 구현되는 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신 신호(s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탑재된 제1 통신 프로토콜(1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무선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는 Wi-Fi (802.11), 블루투스, 3G, HSDPA/HSUPA, TDMA, CDMA, FHSS, DSSS, GSM, PAN/802.15, WiMAX (802.16), 802.20, 협대역/FDMA, OFDM, PCS/DCS, 아날로그 셀룰러, CDPD, 위성 시스템,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 시스템, 음향 및 적외선(즉, IrDA)을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 신호, 데이터, 통신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은 블루투스 모듈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는 블루투스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신 통신 프로토콜(110)은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또는 5.1버전 이상의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20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 역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에 의해서 전송된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또는 방향 탐지(direction finding)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는 5.1버전 이상의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에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개략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120),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 정보를 입력하는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목적지 층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서 발생시키는 제1 통신 프로토콜(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에는 상기 목적지 층 정보 외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 프로파일, 상기 승강기(200)의 호출 여부, 상기 승강기(200)의 출입문(240)의 동작 프로파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에 입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 장치(120) 내에 상주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소유자, 즉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의 거동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트래킹하여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작동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에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오작동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기입력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 스스로 상기 사용자에게 승인 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이 아파트에 적용된 경우, 상기 아파트의 입주자인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기 제어부(300) 및/또는 상기 승강기 제어부(300)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접근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접근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가 거주하는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세대 프로파일과의 매칭 알고리즘을 위한 객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대 프로파일은 상기 제1 센싱 모듈(210) 또는 상기 신호 처리부(23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 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저장된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상기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상기 신호 처리부(231)에 저장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 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신호 처리부(231)에 저장된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목적지 층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200)의 출입문(240)의 동작 프로파일에는 예를 들어, 승강기 출입문의 열림/닫힘 속도 등과 같이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출입문(240)의 동작 환경이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승강기 출입부(240)의 동작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승강기를 탑승하기 전 상기 승강기 출입부(240)로 전달함으로써 교통 약자의 승강기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200)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는 제1 센싱 모듈(210), 상기 승강기(200)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싱 모듈(220), 사용자가 목적지 층을 입력하는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 및 상기 승강기(200) 내부로 사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도록 상기 승강기(200) 내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는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선택적으로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에 목적지 층을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처리부(231)에 의해 추출된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는 제2 통신 프로토콜(232)에 의해 제2 통신 신호(s2)로 변환되어 승강기 제어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2 통신 신호(s2)를 수신할 수 있는 제3 통신 프로토콜(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신호(s2)는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신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AN 통신 기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231)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신호(s1)에 포함된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여 상기 승강기(200)가 자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의해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세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제조사, 모델, 사용된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통신 신호(s1)만을 상기 승강기(200)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객체로서 사용할 경우 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담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상기 시스템(1000)의 개시 조건으로서 사용할지 여부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발생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의 취득 및 이에 대한 해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에 사용되는 승강기(2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수신 범위(r)는 상기 승강기(200)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도 3에는 편의상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수신 범위(r)가 사각형인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특성에 따라 상기 수신 범위(r)의 전체적인 형상을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라도, 상기 승강기(2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에 의해 상기 시스템(1000)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신 범위(r)가 상기 승강기(200)의 외부로 과도하게 확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범위(r)는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상기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하는 제1 영역(r1) 및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노이즈 처리하는 제2 영역(r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r1)은 상기 제1 센싱 모듈(210)로부터 상기 승강기(200)의 출입문(240)까지의 거리(a)를 소정의 반경으로 하는 범위 중 상기 제1 센싱 모듈로부터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는 범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발생 지점에 대한 방향 탐지(direction finding)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발생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발생 지점이 상기 제1 영역(r1) 내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발생 지점이 상기 제1 영역(r1) 외인 경우(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r2) 내 또는 상기 수신 범위(r) 외),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하지 않고 노이즈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은 상기 승강기(200)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승강기(200) 내에 탑승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은 상술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과 동일한 모듈이거나, 또는 움직이는 객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동작 감지용 센싱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 감지용 센싱 모듈로는 열선 탐지 시스템, 적외선 탐지 시스템, 영상 탐지 시스템, PIR 센서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탐지 시스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의해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세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제조사, 모델, 사용된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1000)의 트리거링 객체로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1 통신 신호(s1)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수신되는 동작 감지 여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1000)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되어 상기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것을 전제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를 실행하고,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의 입력은 사전에 이미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내 상기 메모리 장치(120) 내 상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 입력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이용한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이 작동의 필수 전제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의 실행 역시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이 작동의 필수 전제 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이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송수신 가능 범위 내 제1 센싱 모듈(21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내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상기 승강기(200) 내에 설치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외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범위(r)가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출입문(240)까지의 거리(a)를 소정의 반경으로 하는 범위로서 정의될 경우, 상기 제1 영역(r1)은 상기 소정의 반경 내 범위 중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는 범위로서 재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경 및/또는 상기 사잇각(θ)은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설치 위치 및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작동 민감도 등을 고려하여 재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내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외(예를 들어, 제2 영역(r2))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내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세대 프로파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세대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세대 프로파일에는 상기 승강기 출입부(120)가 위치하는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대 프로파일에 포함된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통신 신호(s1) 중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불일치할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신호(s1) 중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상기 승강기(200)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상기 승강기(200)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상기 승강기(200)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로 전송하여 목적지 층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곧바로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로 전송하거나, 이를 제2 통신 신호(s2)로 변환하여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에 목적지 층을 누르는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목적지 층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상기 승강기(200)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목적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신호(s2)를 승강기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신호(s2)를 수신한 상기 승강기 제어부(230)는 상기 승강기(200)가 목적지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작동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를 실행하고,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의 입력은 사전에 이미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내 상기 메모리 장치(120) 내 상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승강기 목적지 층 정보 입력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이용한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이 작동의 필수 전제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의 실행 역시 상기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이 작동의 필수 전제 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이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송수신 가능 범위 내 제1 센싱 모듈(21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130)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한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만약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해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한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 상기 제1 통신 신호(s1) 발생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이 미응답하거나 소정의 시간 내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발생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센싱 모듈(210)은 사용자 동작 감지 신호를 노이즈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승강기(200)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내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110)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상기 승강기(200) 내에 설치된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외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수신 범위(r) 내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외(예를 들어, 제2 영역(r2))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제1 영역(r1) 내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세대 프로파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세대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세대 프로파일에는 상기 승강기 출입부(120)가 위치하는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대 프로파일에 포함된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통신 신호(s1) 중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동, 라인, 층 및/또는 호수 등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불일치할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s1) 및 상기 제2 센싱 모듈(220)에 의한 사용자의 동작 감지가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상기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1 영역(r1)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목적지 층 입력 패널(230)로 전송하여 목적지 층이 입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목적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신호(s2)를 승강기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s1)가 상기 제1 영역(r1) 외(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r2) 내 또는 상기 수신 범위(r) 외)에서 발생한 신호일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트래킹하여 상기 제2 영역(r2) 내 또는 상기 수신 범위(r) 외에서 최초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소정의 시간 간격 내 벡터 종점이 상기 제1 영역(r1)에 존재하거나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방향 탐지(direction finding)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상기 신호 처리부(23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트래킹하여 상기 제2 영역(r2) 내 또는 상기 수신 범위(r) 외에서 최초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s1)의 소정의 시간 간격 내 벡터 종점이 상기 제1 영역(r1) 내로 들어오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210)은 상기 제1 통신 신호(s1)를 자동으로 노이즈 처리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승인 여부(예를 들어, 승강기 탑승 여부 확인)를 요청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목적지 층으로 상기 승강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
    상기 승강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센싱 모듈;
    상기 승강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싱 모듈; 및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 범위는 상기 승강기 내로 제한되며,
    상기 수신 범위는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노이즈 처리하는 제2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수신 및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한 사용자의 동작 감지가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2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승강기 내 설치된 목적지 층 입력 패널로 전송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1 영역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제2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승강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센싱 모듈로부터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까지의 거리를 소정의 반경으로 하는 범위 중 상기 제1 센싱 모듈로부터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는 범위로서 정의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수신 범위 외 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최초 발생한 상기 제1 통신 신호의 소정의 시간 간격 내 벡터 종점이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인,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제1 통신 신호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상기 승강기의 목적지 층 정보를 입력하는 승강기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목적지 층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제1 통신 프로토콜;
    을 포함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세대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신호 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센싱 모듈에 저장된 상기 세대 프로파일이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통신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10. 삭제
KR1020200049798A 2020-04-24 2020-04-24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18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98A KR102182623B1 (ko) 2020-04-24 2020-04-24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98A KR102182623B1 (ko) 2020-04-24 2020-04-24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623B1 true KR102182623B1 (ko) 2020-11-24

Family

ID=7367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98A KR102182623B1 (ko) 2020-04-24 2020-04-24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9-06 주식회사 블루앤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51B1 (ko) 2007-08-09 2010-03-29 (주)에이치피엔알티 세대 승강기 호출 단말기 및 세대 승강기 호출시스템
KR20180133457A (ko) * 2016-04-06 2018-12-1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사전 설정 엘리베이터 호출
KR101947570B1 (ko) * 2018-07-11 2019-02-14 (주)한기술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51B1 (ko) 2007-08-09 2010-03-29 (주)에이치피엔알티 세대 승강기 호출 단말기 및 세대 승강기 호출시스템
KR20180133457A (ko) * 2016-04-06 2018-12-1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사전 설정 엘리베이터 호출
KR101947570B1 (ko) * 2018-07-11 2019-02-14 (주)한기술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81B1 (ko) 2021-01-21 2021-09-06 주식회사 블루앤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29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818118B2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KR101249811B1 (ko) 원격으로 개폐 제어가 가능한 홈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20459B2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KR102005954B1 (ko)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2181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0047A (ko)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676441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2159725B1 (ko) 승강기 자동 호출 시스템
KR10223199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장치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2203093B1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29516B1 (ko)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101827559B1 (ko)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1249940B1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2289425B1 (ko)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