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25B1 -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25B1
KR102289425B1 KR1020210011630A KR20210011630A KR102289425B1 KR 102289425 B1 KR102289425 B1 KR 102289425B1 KR 1020210011630 A KR1020210011630 A KR 1020210011630A KR 20210011630 A KR20210011630 A KR 20210011630A KR 102289425 B1 KR102289425 B1 KR 10228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door
remote
remote control
automatic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수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정경수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수, 이명숙 filed Critical 정경수
Priority to KR102021001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해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 차량번호정보, 인증키를 제공하는 원격자동리모컨: 및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인증키를 확인 한 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System for managing vehicle entry and ex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차량을 한정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주차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오피스텔, 도심의 대형 빌딩,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등의 건물에는 유동 인구가 많고 그에 따른 출입 차량의 수도 많다.
한편, 최근 무인 주차장 시스템이 활성화되면서 주차장 출입구에 CCTV 또는 RF 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분석한 결과 차량번호가 이미 등록된 번호에 해당할 경우 차단 바(Cross bar)의 차단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차량 출입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차단 시설 이외의 측면에 CCTV 또는 RF 리더기를 설치함으로서, 차단 바를 향해 정면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측면에서 촬영 또는 감지함으로 인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데 부정확한 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차량의 출입 통제가 등록된 번호에 기초한 차량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등록된 차량을 이용한 외부인의 출입을 확인 또는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유료 주차장의 경우 비용 산정 과정이 복잡하고, 출입하는 차량과 운전자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913호(2017. 02. 0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은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에 접속하여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 차량번호정보, 인증키를 송신하는 원격자동리모컨: 및 상기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로 전송된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인증키 및 차량번호에 대한 인증확인 한 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송출된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은 차량 내에 거치되어, 상기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는 시거잭 또는 USB 포트이고,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은 상기 원격자동리모컨과 통신접속 유무를 확인하는 접속확인부; 상기 접속확인부의 통신접속 확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상기 차량번호 및 인증키 정보를 요청하고,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확인부;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상기 출입도어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출입도어 모니터링부;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 제어반으로 제공하는 출입도어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원격자동리모컨에서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생성한 근거리 통신채널과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활성화되면, 출입도어 제어단말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에 접속된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전송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확인 후, 해당 근거리 통신 채널로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상기 차량번호 및 인증키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출입도어 상태정보(개폐 상태)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개폐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개폐신호에 따라 출입도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 제어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은 차량 내에 거치되어, 상기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는 시거잭 또는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거주자의 건물 내 출입 시 인증키 및 차량번호를 자동 송출하고, 해당 인증키 및 차량번호를 기초로 거주자를 자동인지하여 출입도어를 자동개폐함으로써, 고가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 분실이 용이한 휴대용 개폐리모컨에 비해 경제적인 동시에 강화된 보안수준으로 차량 출입 통제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자동리모컨과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 공급단자 간이 연결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자동리모컨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출입도어 제어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자동리모컨과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 공급단자 간이 연결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자동리모컨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출입도어 제어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100)은 원격자동리모컨(200) 및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해 차량출입도어의 개폐신호, 차량번호정보,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MCU(250) 및 전원공급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300)과 통신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차량번호 및 단말 인증키를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20)는 운용체제 프로그램, 근거리통신 활성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통신 활성화 프로그램은 원격자동리모컨(200)의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상태로 출시 및 유통될 수도 있지만, 어플(App) 등으로 호칭되는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같이 추후 통신부(210)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원격자동리모컨(2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키 입력 정보는 차량출입도어의 개폐(Open, Close)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차량출입 도어의 상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MCU(250)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원격자동리모컨(200)를 부팅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 활성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후출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과 근거리통신으로 통신접속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250)는 출입도어 제어단말(300)과 접속이 활성화되면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단말 인증키,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부에서 송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인증키 및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부에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원공급부(260)는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공급단자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각 구성들의 필요전력을 공급 및 분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노출형 전원 공급단자는 도 2를 참조, 시거잭 또는 USB 포트일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260)는 시거잭 또는 USB 포트와 접속가능한 연결포트(25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원격자동리모컨(200)에서 송출한 인증키 및 차량번호의 등록여부를 확인한 후, 등록된 차량일 경우, 출입도어 상태정보를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으로 송출하고,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의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상기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로 전송된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의 인증키 및 차량번호에 대한 인증확인 한 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200)에서 송출된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통신부(310), 통신채널 설정부(320), 접속확인부(330), 인증확인부(340), 출입도어 모니터링부(350) 및 출입도어 제어신호 생성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망, 예컨대, 후술하는 통신채널 설정부(320)에서 설정한 근거리 통신채널을 통해 상술한 원격자동리모컨(200)과 통신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통신채널 설정부(320)는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자동리모컨(200)과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한다.
상기 접속확인부(330)는 임의의 원격자동리모컨(200)과의 통신접속 유무를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인증확인부(340)는 접속확인부(330)가 임의의 원격자동리모컨과 통신접속 확인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원격자동리모컨(200)로 차량번호 및 인증키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인증확인부(340)는 해당 원격자동리모컨(200)에서 전송된 차량번호 및 인증키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유효성은 등록된 차량번호 및 등록된 인증키에 대한 확인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출입도어 모니터링부(350)는 유효성이 확인된 원격자동리모컨(200)로 출입도어의 상태정보(개폐 상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 모니터링부(350)는 출입도어의 개폐정보에 대한 로그정보를 기록하여 보관한다.
다음으로, 출입도어 제어신호 생성부(360)는 원격자동리모컨(20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 제어반(PLC)으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동작방법(S700)은 먼저, 원격자동리모컨(200)에서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생성한 근거리 통신채널과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S710)한다.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300)과의 근거리 통신이 활성화되면, 출입도어 제어단말(300)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송출(S720)한다.
이후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에 접속된 원격자동리모컨(200)에서 전송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확인 후, 해당 근거리 통신 채널로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요청(S730)한다.
원격자동리모컨(200)은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송출(S740)하고,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해당 차량번호 및 인증키의 유효성을 확인(S750)한다. 여기서, 유효성은 등록된 차량번호 및 등록된 인증키에 대한 확인정보일 수 있다.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원격자동리모컨(200)로 출입도어 상태정보(개폐 상태)를 송출(S760)한다. 이때, 원격자동리모컨(200)은 출입도어 상태정보를 음성출력한다.
이후, 원격자동리모컨에서 개폐신호를 송출(S770)하면, 출입도어 제어단말(300)은 원격자동리모컨(200)의 개폐신호에 따라 출입도어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반(PLC)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을 이용하면, 거주자의 건물 내 출입 시 인증키 및 차량번호를 자동 송출하고, 해당 인증키 및 차량번호를 기초로 거주자를 자동인지하여 출입도어를 자동개폐함으로써, 고가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 분실이 용이한 휴대용 개폐리모컨에 비해 경제적인 동시에 강화된 보안수준으로 차량 출입 통제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200: 원격자동리모컨
300: 출입도어 제어단말

Claims (7)

  1.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에 접속하여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 차량번호정보, 인증키를 송신하는 원격자동리모컨: 및
    상기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로 전송된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인증키 및 차량번호에 대한 인증확인 한 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송출된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은
    차량 내에 거치되어, 상기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는 시거잭 또는 USB 포트이고,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은
    상기 원격자동리모컨과 통신접속 유무를 확인하는 접속확인부;
    상기 접속확인부의 통신접속 확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상기 차량번호 및 인증키 정보를 요청하고,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확인부;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상기 출입도어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출입도어 모니터링부;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도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 제어반으로 제공하는 출입도어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출입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격자동리모컨에서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생성한 근거리 통신채널과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 등록된 출입도어 제어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활성화되면, 출입도어 제어단말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채널에 접속된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전송한 근거리 통신 자동 활성화 신호를 확인 후, 해당 근거리 통신 채널로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번호 및 인증키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상기 차량번호 및 인증키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원격자동리모컨으로 출입도어 상태정보(개폐 상태)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에서 개폐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출입도어 제어단말에서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의 개폐신호에 따라 출입도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입도어 제어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자동리모컨은
    차량 내에 거치되어, 상기 차량 내의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노출형 전원공급 단자는 시거잭 또는 USB 포트인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10011630A 2021-01-27 2021-01-27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8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30A KR102289425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30A KR102289425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425B1 true KR102289425B1 (ko) 2021-08-12

Family

ID=773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30A KR102289425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36U (ko) * 2008-12-22 2010-07-01 오종택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KR20160131601A (ko) * 2015-05-08 2016-11-16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KR20170014913A (ko)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20190119945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참좋은넷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36U (ko) * 2008-12-22 2010-07-01 오종택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KR20160131601A (ko) * 2015-05-08 2016-11-16 코스텍코리아 주식회사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KR20170014913A (ko)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20190119945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참좋은넷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0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ifying intent for lock operation
US11790710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11295298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US11568032B2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KR102097868B1 (ko)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9425B1 (ko)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20102797A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3728B1 (ko)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609613B1 (ko) Qr 코드 및 비콘 기반의 실내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555914B1 (ko) Usb메모리 원격제어 시스템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CN111540094B (zh) 功能控制方法、门禁机及存储介质
US11200574B2 (en) Secure mode for electronic access control readers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KR20160107518A (ko) 비콘과 지오펜싱을 이용한 보안 강화 출입 통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