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035B1 -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035B1
KR102329035B1 KR1020210052226A KR20210052226A KR102329035B1 KR 102329035 B1 KR102329035 B1 KR 102329035B1 KR 1020210052226 A KR1020210052226 A KR 1020210052226A KR 20210052226 A KR20210052226 A KR 20210052226A KR 102329035 B1 KR102329035 B1 KR 10232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oor
user
user terminal
do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희
Original Assignee
(주)코데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데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코데코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5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camer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도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와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도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DOOR}
아래 실시예들은 스마트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시스템이라 함은 건물의 현관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또 출입자가 외출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실, 일반 가정의 현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락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알지 못할 경우 도어를 열지 못하게 되고 별도의 열쇠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에 의해 그 사용 범위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도어락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할 때, 출입자가 거주자인 경우, 비밀번호, 카드 키 등을 입력한 후 기 저장된 비밀번호, 키 정보 등이 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가 개방될 수 있었으며, 출입자가 외부인인 경우, 인터폰으로 내부자와 인터폰을 매개로 신분을 확인한 후 도어의 개방 여부가 정해질 수 있었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새로운 기능을 적용한 비접촉식 도어락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 또는 상용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폐장치를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접촉식 도어락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할 때, 스마트 기기와 연결되는 것만으로 도어의 개방 여부가 정해지기 때문에, 거주자가 도어락 장치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락 장치와 인접한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에도,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거주자와 방문자를 구분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거주자가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4734호(2016.07.08) 한국등록특허 제10-1636025호(2016.07.05) 한국등록특허 제10-1967430호(2019.04.10) 한국등록특허 제10-2079532호(2020.02.20)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와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도어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하고,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도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와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도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상기 제1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부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도어와 제2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2 사용자를 방문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호출이 상기 스마트 도어와 연결된 인터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문 알림 호출이 확인되면, 상기 인터폰과 상기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부재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1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1명으로 산출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와 연결된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무게 측정으로 생성되는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값과 미리 등록된 제1 사용자의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으로 산출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제2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도어가 창고의 출입문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제1 상품과 제2 상품의 재고량을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창고에서 반출되면, 상기 제1 상품의 재고량 또는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품의 재고량 및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량을 합산한 상기 창고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창고에 상품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창고에 상품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상품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2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품의 입고량 및 상기 제2 상품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창고의 재고량이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품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상품의 재고량과 상기 제1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상품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주자가 스마트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거주자와 방문자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설정 모드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마트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수에 따라 개방 각도 및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가 설치된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스마트 도어(200), 인터폰(300), 무게 감지 모듈(400) 및 제어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거주자 또는 방문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일부는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으며,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단말은 방문자 단말로 인식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200), 인터폰(300), 무게 감지 모듈(400) 및 제어 장치(50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 등)을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면, 스마트 도어(200)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200)의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인터폰(300)은 스마트 도어(200)와 연결되어, 스마트 도어(200)에서 방문자 단말을 인식하게 되면, 방문 알림 호출을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터폰(300)은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도어폰과 연결되어, 방문자와 거주자 간에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무게 감지 모듈(400)은 스마트 도어(200)와 연결된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을 위한 이동 경로가 제1 구역, 제2 구역 순인 경우, 제1 구역의 바닥 영역에는 무게 감지 모듈(400)이 설치되어 있고, 제2 구역에는 스마트 도어(200)가 설치되어 있어, 스마트 도어(200)로 진입하기 위해 제1 구역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면, 무게 감지 모듈(400)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도어(200), 인터폰(300) 및 무게 감지 모듈(400)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모바일 ID를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 도어(200)로 접근하면, 모바일 ID의 확인을 통해 스마트 도어(200)의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0)는 디지털 코드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방문자에게 별도로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스마트 도어(200)는 거주자의 입출입 시 자동으로 개폐되고, 무게 감지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파워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200)는 부분 열림 기능을 통해 특정 각도 구간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홀드 오픈 기능을 통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200)는 이벤트 및 에러 기록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를 통해, 위치 기반 스마트키 서비스, 원격 열림/닫힘 기능, 실시간 푸시 알림 서비스, 1회용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출입/경보 이력 조회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가 외출 후 집에 도착했을 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자동으로 인식하여, 스마트 도어(200)의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카드 키나 열쇠 없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사용자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어도 편리하게 출입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벗어났을 때, 제1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외출 모드에서 부재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부재 모드 시 1회용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이 가능하며, 출입/경보 이력 확인, 원격 열림/닫힘 기능 설정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도어(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인지되는지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였다는 인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알림 신호는 스마트 도어(200)가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500)는 인지 알림 신호를 통해 스마트 도어(200)가 새로운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지만,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없다. 제어 장치(500)는 추후 획득되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스마트 도어(200)가 어느 단말을 인지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인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인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200)와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도어(2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거주자 단말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면, S2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200)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시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되면, 움직임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200)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알림 신호를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 신호로, 제어 장치(500)는 감지 알림 신호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200) 앞에 도착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감지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1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여 인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3m 떨어진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알림 신호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200)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의 잠금을 해제하여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비밀번호, 카드 키 등을 입력하지 않아도 스마트 도어(200)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6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2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S2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9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S2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으면, S209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거주자가 아닌 경우, 제1 사용자가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210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도어(2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200)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 장치(500)는 거주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거주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 도어(200)에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200)는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를 통해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09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2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의 출력 이후, 스마트 도어(200)에 구비된 입력부에 비밀번호 또는 카드 키가 입력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 키를 통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서 수행한 추가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추가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추가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S210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500)는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스마트 도어(200)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때에는 GPS와 같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 간에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 간의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의 위치가 제1 기준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드 설정 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제1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 간의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거리는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외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의 위치가 제1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제2 기준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외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부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의 위치가 제2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를 부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거리가 10m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거리가 200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서 10m 거리 내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게 되면,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하고, 스마트 도어(200)에서 10m를 벗어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게 되면, 제1 사용자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스마트 도어(200)에서 200m를 벗어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게 되면, 제1 사용자를 부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거주자와 방문자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인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인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제2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제2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되면,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S4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스마트 도어(2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으면, S409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제2 사용자를 방문자로 판단할 수 있다.
S409 단계 이후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설정 모드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을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데이터베이스에 거주자로 저장된 제1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는 집 모드, 외출 모드 및 부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를 확인하고 제2 사용자가 방문자로 판단되면,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집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집 모드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인터폰(300)에서 방문 알림 호출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폰(300)은 방문 알림 호출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를 통해 방문 알림 호출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가 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호출이 스마트 도어(200)와 연결된 인터폰(3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인터폰(300)에서 출력되는 방문 알림 호출이 거주자에 의해 확인되면, 인터폰(300)과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5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집 모드로 확인되지 않으면, S5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방문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가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된 방문 알림 메시지가 제1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영상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영상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를 부재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설정 모드가 부재 모드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가 부재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S51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된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알림 메시지가 제1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요청에 따라 1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S51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비밀번호를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마트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면,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인지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는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감지 알림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도어(200)가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스마트 도어(200)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스마트 도어(200)로 진입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부터 카메라의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수가 몇 명인지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500)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에서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얼굴의 수를 출입자의 수로 산출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출입자의 수가 1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1명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로 진입하는 공간의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감지 모듈(400)로부터 무게 측정으로 생성되는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무게 감지 모듈(400)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등록된 제1 사용자의 무게를 비교하여,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제1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게 감지 모듈(400)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제1 사용자의 무게를 비교하여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500)는 무게의 비교 결과, 오차 범위 이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무게의 비교 결과, 오차 범위를 벗어나 측정값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S609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속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각도도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S610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2 기준 속도를 통해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속도는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는 경우, 제1 기준 속도로 스마트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제어하고,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는 경우, 제2 기준 속도로 스마트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경우, 스마트 도어(200)의 개폐 속도가 느려지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S606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으로 확인되면, S7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수에 따라 개방 각도 및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도어(200)에 접근하는 출입자의 수가 몇 명인지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제1 각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출입자의 수가 1명인 경우, 스마트 도어(200)가 제1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스마트 도어(200)가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출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스마트 도어(200)의 개방 각도 구간이 커지게 조절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스마트 도어(2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S704 단계에서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2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스마트 도어(2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경우, 스마트 도어(200)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제어하고, 출입자의 수가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경우, 스마트 도어(200)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출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스마트 도어(200)의 개방 상태 유지 시간이 길어지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가 설치된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창고의 출입문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상품이 입고될 때, 스마트 도어(200)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입고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창고에 제1 상품과 제2 상품이 입고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재고량과 제2 상품의 재고량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상품 반출에 따라 변경되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500)는 스마트 도어(200)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1 상품이 창고에서 외부로 반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상품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제2 상품이 창고에서 외부로 반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상품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고에 제1 상품이 10개 입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상품의 재고량이 10개로 산정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도어(200)의 개방으로 제1 상품이 외부로 2개가 반출된 경우,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재고량을 10개에서 8개로 변경하여 갱신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합산하여, 창고 전체의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제1 상품과 제2 상품이 입고되어 있는 경우, 제1 상품의 재고량과 제2 상품의 재고량을 합산하여, 창고의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창고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창고의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의 수량이 부족하여, 창고에 상품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상품 입고가 필요한 상품들 각각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1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1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제2 상품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2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2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의 필요량 및 제2 상품의 필요량은 각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의 재고량이 5개이고, 제1 상품의 필요량이 10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상품의 입고량을 5개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2 상품의 재고량이 8개이고, 제2 상품의 필요량이 10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상품의 입고량을 2개로 산출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창고를 관리하는 제1 사용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제1 상품의 입고량 및 제2 상품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S807 단계 이후,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상품 입고가 처리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804 단계에서 창고의 재고량이 제1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808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재고량이 제2 기준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제1 상품의 재고량이 제2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상품에 대한 입고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제1 상품의 재고량이 제2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9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의 재고량이 3개이고, 제2 상품의 재고량이 9개이고, 제1 기준치가 10개이고, 제2 기준치가 5개인 경우, 제1 상품의 재고량과 제2 상품의 재고량을 합산한 창고의 재고량이 12개로 산출되어, 창고의 재고량이 제1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제1 상품의 재고량이 제2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제1 상품에 대해서만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1 상품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1 상품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811 단계에서, 제어 장치(500)는 제1 상품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의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S811 단계 이후,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상품 입고가 처리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500)는 창고에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는 프로세서(501) 및 메모리(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502)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4)

  1.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도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와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1 사용자를 거주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거주자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도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비밀번호 또는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상기 제1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의 위치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거리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부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와 제2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거주자 단말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제2 사용자를 방문자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호출이 상기 스마트 도어와 연결된 인터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문 알림 호출이 확인되면, 상기 인터폰과 상기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어폰 간에 영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부재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비밀번호 발급 요청이 수신되면, 1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도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으로 생성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1명으로 산출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와 연결된 바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감지 모듈로부터 무게 측정으로 생성되는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값과 미리 등록된 제1 사용자의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짐을 들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2명 이상으로 산출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제2 각도까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수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마트 도어가 상기 제1 기준 속도를 통해 상기 제2 각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스마트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KR1020210052226A 2021-04-22 2021-04-22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2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26A KR102329035B1 (ko) 2021-04-22 2021-04-22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26A KR102329035B1 (ko) 2021-04-22 2021-04-22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035B1 true KR102329035B1 (ko) 2021-11-19

Family

ID=7871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26A KR102329035B1 (ko) 2021-04-22 2021-04-22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2057A (zh) * 2022-03-01 2022-06-03 上海番羽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蓝牙和密码的多认证智能门禁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25B1 (ko) 2015-12-07 2016-07-05 이창렬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634734B1 (ko)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967430B1 (ko) 2017-09-26 2019-04-10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2079532B1 (ko)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734B1 (ko)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636025B1 (ko) 2015-12-07 2016-07-05 이창렬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967430B1 (ko) 2017-09-26 2019-04-10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2079532B1 (ko)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2057A (zh) * 2022-03-01 2022-06-03 上海番羽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蓝牙和密码的多认证智能门禁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92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961347B2 (en) Seamless access control
US10389729B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043325B2 (en)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US20180225780A1 (en) Precise Anticipatory Hotel Room Entry System
US20160093127A1 (en) Entry point valid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25938A (ja) 入退室管理装置
CN111373452A (zh) 具有无线电身份认证机制和口令检测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248379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90810A1 (en) Biometric enabled access control
KR20090011134A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3199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장치
KR102557537B1 (ko) 개선된 통신 방식을 활용한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1243054A (ja) 犯罪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415108A1 (en) Ind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KR101537389B1 (ko) 출입 통제 및 출입 감시 통합 시스템
CN115668317A (zh) 针对建筑物门的附加的区域监控
KR102289969B1 (ko)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20150112686A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KR20140086022A (ko) 출입문 개방 시스템
KR20220169719A (ko) 스마트 태깅 및 생체 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