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969B1 -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969B1
KR102289969B1 KR1020210002206A KR20210002206A KR102289969B1 KR 102289969 B1 KR102289969 B1 KR 102289969B1 KR 1020210002206 A KR1020210002206 A KR 1020210002206A KR 20210002206 A KR20210002206 A KR 20210002206A KR 102289969 B1 KR102289969 B1 KR 10228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code
recognition modu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준
이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에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에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에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00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6K2009/00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Abstract

일실시에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장정맥(Palm Vein)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ING PALM VEIN}
아래 실시예들은 장정맥(Palm Vein)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연결된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은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메카니즘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장치로서, 현관이나 특정 공간의 출입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대개, 잠금장치가 내측에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기계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락은 출입문이 안전하게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기계적 결합방식으로, 열쇠, 키패드 암호, RFID 카드 등을 사용하여 출입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어락을 사용하는데 있어, 키패드 암호를 잊어버리거나, RFID 카드를 분실하거나, RFID 카드가 고장이 나는 경우, 출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키패드 암호가 노출되거나, RFID 카드가 분실 또는 복제되는 경우, 보안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 암호 입력을 위하여 비밀번호를 누르는 경우 키패드와 접촉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교차 감염의 위험이 존재하며, RFID 카드를 분실하거나 고장이 날 경우에는 카드 재발급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RFID 카드, Key 방식이 아닌 생체 정보를 통해 출입을 통제하면서, 건물의 거주자와 방문자를 구분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장정맥 정보가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거주자가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이 확인되면, 방문자가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장정맥(Palm Vein)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거주자의 거주지 내에 설치된 인터폰 또는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출입을 위한 QR 코드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상기 QR 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방문자 출입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방문자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에 상기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QR 코드에 설정된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5레벨로 확인되면,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장정맥 정보가 상기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인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상기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3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3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경우,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기초로,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거주자 단말로 출입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출입 확인 답변이 수신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식 모듈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거주자의 체온이 측정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로,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기초로, 상기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QR 코드가 인식된 시간이 상기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거주자 단말로 방문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방문 확인 답변이 수신되면, 상기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식 모듈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방문자의 체온이 측정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로,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이 상기 제1 범위 보다 좁은 범위로 설정된 제2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상기 장치에 포함된 로컬 스토리지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상기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상기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장치와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화 동작의 수행 단계는, 상기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로컬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컬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카드 분실에 대한 위험이 없고, 암호를 외울 필요도 없으며, 비접촉 방식으로 교차 감염의 위험도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통해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방문자에게는 특정 시간에만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한하여, 거주자와 방문자를 구분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 출입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치도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패턴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 패턴에 따라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체온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의 체온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인식 모듈(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식 모듈(100)과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식 모듈(100)은 건물 출입문의 일측에 술치되어, 건물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장정맥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이미지 정보, 손 모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모듈(100)은 카메라, 키패드 및 RFID 리더를 포함하여, 장정맥, QR 코드, 비밀번호 및 RFID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거주자 또는 방문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인식 모듈(100)은 장정맥 인식 모듈(110), 코드 인식 모듈(120), 카드 인식 모듈(130) 및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정맥 인식 모듈(110)은 장정맥 정보를 인식하는 것으로, 장정맥 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장정맥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일 수 있다. 즉, 장정맥 인식 모듈(110)은 장정맥 인식 카메라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장정맥 인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장정맥 인식 모듈(110)은 장정맥 인식 카메라와, 이 장정맥 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듈일 수 있다. 장정맥 인식 모듈(110)은 장정맥 스캔용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 인식 모듈(120)은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QR 코드 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수단일 수 있다. 즉, 코드 인식 모듈(120)은 QR 코드 인식 카메라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QR 코드 인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코드 인식 모듈(120)은 QR 코드 인식 카메라와, 이 QR 코드 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는 특정 시간에만 출입이 가능하거나, 특정 횟수만큼 출입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문자에 대해 단기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QR 코드가 부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식 모듈(100)에 포함된 하나의 카메라가 장정맥 인식 카메라 및 QR 코드 인식 카메라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얼굴 인식 및 홍채 인식 카메라의 기능까지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카드 인식 모듈(130)은 RFID 카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RFID 리더에 태그된 RFID 카드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일 수 있다. 즉, 카드 인식 모듈(130)은 RFID 리더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은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것으로, 키패드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수단일 수 있다. 즉,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은 키패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식 모듈(100)이 장정맥 인식 모듈(110)을 통해서만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식 모듈(100)은 다른 생체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식 모듈(100)은 지정맥 인식 수단, 망막 인식 수단, 손 모양 인식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장치(200)는 정보 등록부(210), 정보 식별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스토리지(240)를 포함하거나 로컬 스토리지(24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정맥 인식 모듈(110)이 사용자 정보 등록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장정맥 인식 모듈(110)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정보 등록부(210)는 장정맥 인식 모듈(11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장정맥 정보를 거주자의 장정맥 정보로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등록부(210)는 거주자의 거주지 정보 및 장정맥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인식 모듈(130)이 사용자 정보 등록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카드 인식 모듈(130)에 RFID 카드 정보가 인식되면, 정보 등록부(210)는 카드 인식 모듈(130)로부터 RFID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RFID 카드 정보를 거주자의 카드 정보로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등록부(210)는 거주자의 거주지 정보 및 카드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이 사용자 정보 등록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에 인식되면, 정보 등록부(210)는 비밀번호 인식 모듈(140)로부터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비밀번호를 거주자의 비밀번호로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등록부(210)는 거주자의 거주지 정보 및 비밀번호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위적인 실수나, 하드웨어의 문제, 소프트웨어의 문제, 도난, 컴퓨터 바이러스, 사이버 테러, 재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보 등록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장정맥 정보, 카드 정보, 비밀번호 등이 손실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보 등록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로컬 스토리지(240)에 주기적으로 백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보 식별부(22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정보와 정보 등록부(21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 가능한 사람인지에 대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식별된 사람에 대한 인증 결과는 인식 모듈(100)에 구비된 화면 상에서 표시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인식 모듈(100), 정보 등록부(210) 및 정보 식별부(220)와 연결되어, 이들이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된 도어락과 연결되어,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은 사물인터넷을 통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여,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은 도어에 장착되는게 아니라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락을 벽에 장착하여 설치가 간편하며, 기존의 도어 손잡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손잡이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을 벽에 장착하는 방식이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도어락을 뜯어서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관문의 경우 방화 기준이 있는데, 기존의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 방화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나, 벽에 장착된 도어락은 방화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은 자동 출입문으로 구현되어,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은 수동 출입문으로 구현되어,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사용자가 출입문의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출입문이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로컬 스토리지(240)에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 카드 정보 및 비밀번호와 연동되어 거주자들의 신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거주자 신상 정보는 거주지, 출입 기록, 방문 기록, 출입 권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정맥 인식 모듈(110)을 통해 장정맥 정보의 등록, 인식 및 식별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거주자는 장정맥 인식 모듈(110)을 통해 거주자의 장정맥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거주자의 장정맥 정보 등록은 거주자의 장정맥 특징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장정맥 정보 등록을 위해 입력된 거주자의 장정맥 정보는 정보 등록부(21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등록될 수 있다. 정보 등록부(210)에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장정맥 정보는 로컬 스토리지(240)에도 저장되어 백업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주자가 건물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거주자 본인임을 생체 인증을 통해 증명해야 하며, 이를 위해, 거주자는 장정맥 인식 모듈(110)을 통해 자신의 장정맥 정보를 입력시키게 된다.
장정맥 인식 모듈(110)이 거주자의 장정맥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장정맥 정보를 인식하면, 정보 식별부(220)는 인식된 장정맥 정보와 정보 등록부(210)에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장정맥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거주자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식별부(220)는 일대일 매칭으로 거주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인증(verification)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일대다 매칭으로 많은 사람들 중에 거주자를 찾아내는 식별(identific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엄격히 말해 인증과 식별은 별개의 것으로, 응용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인증” 또는 “식별”이라 함은, 장정맥 정보를 이용하여 거주자 본인임을 확인하거나 찾아내는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 광의로 해석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장정맥 정보의 등록, 인식 및 식별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정맥 정보와 같이, RFID 카드 정보 및 비밀번호도 등록, 인식 및 식별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100)에 장정맥 정보가 입력되면, 인식 모듈(100)은 입력된 장정맥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는 정보 등록부(210)에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장정맥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장정맥 정보와 정보 등록부(210)에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획득된 장정맥 정보를 가진 제1 거주자를 찾는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생체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식 모듈(100)에 장정맥 정보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생체 인증이 실패할 수 있으며, 생체 인증이 실패하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의 재획득을 위해, 생체 인증 실패로 인한 장정맥 정보의 재입력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모듈(100)은 화면 상에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생체 인증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를 통해,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제1 거주자의 신상 정보를 통해,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은 1레벨부터 5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출입 권한이 가장 높게 부여된 등급은 1레벨이고, 출입 권한이 가장 낮게 부여된 등급은 5레벨일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상으로 확인되면,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해제로 인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 또는 2레벨로 확인되면,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은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잠금 해제되었다가 다시 잠금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면,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미만으로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에 대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 인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 출입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거주지 내에 설치된 인터폰 또는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출입을 위한 QR 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생성 요청은 출입 가능 시간, 출입 가능 횟수, 방문자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만 출입이 가능하거나, 특정 횟수만큼 출입이 가능한 QR 코드가 생성되도록 요청하여, 단기간 목적으로 방문하는 방문자에 대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은 1레벨부터 5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출입 권한이 가장 높게 부여된 등급은 1레벨이고, 출입 권한이 가장 낮게 부여된 등급은 5레벨일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장치(200)는 QR 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방문자 출입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출입 가능 시간을 기초로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간을 설정하고,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인증 횟수를 기초로 인증이 가능한 인증 횟수를 설정하여, 제1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특정 시간에만 사용이 가능한 제1 QR 코드를 생성하거나, 특정 횟수만큼 사용이 가능한 제1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200)는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방문자 단말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제1 방문자 단말로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3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 권한으로 인해 QR 코드의 생성이 불가한 것을 안내해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100)에 제1 QR 코드가 입력되면, 인식 모듈(100)은 카메라 촬영을 통해 제1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에 설정된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QR 코드의 생성 시 제1 QR 코드에는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QR 코드에 설정된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의 확인으로,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QR 코드의 인증 시간이 오후 3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오후 3시부터 오후 4시까지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오후 4시 이후에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QR 코드의 인증 횟수가 3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QR 코드가 3번 인식되어 인증될 때까지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QR 코드가 4번째 인식될 때부터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 출입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식 모듈(100)에 제1 QR 코드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았거나,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를 벗어나 제1 QR 코드가 입력된 경우, 출입 인증이 실패할 수 있으며, 출입 인증이 실패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QR 코드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QR 코드의 재획득을 위해, 출입 인증 실패로 인한 QR 코드의 재입력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모듈(100)은 화면 상에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재입력 알림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 제1 QR 코드가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를 벗어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이 확인되어,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도어락의 잠금 해제로 인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방문자 단말로 전송된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면,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QR 코드가 인식된 시간을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에 따라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 인증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은 1레벨부터 5레벨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출입 권한이 가장 높게 부여된 등급은 1레벨이고, 출입 권한이 가장 낮게 부여된 등급은 5레벨일 수 있다.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미만으로 확인되면,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에 대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과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5레벨까지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은 5레벨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5레벨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여, 제2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 시,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과 같이,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제2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일치도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식 모듈(100)에 포함된 장정맥 인식 모듈(110)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는 손바닥이 비접촉 상태로 접근할 경우, 비접촉 상태로 접근한 손바닥의 장정맥을 인식하여 장정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장정맥 인식 모듈(11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을 통해 획득된 장정맥 정보와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에 얼마나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일치도를 이미도 분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98%이고, 제1 기준치가 95%인 경우,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93%이고, 제1 기준치가 95%이고, 제2 기준치가 90%인 경우,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2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산출된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3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치는 제2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3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정맥 정보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가 87%이고, 제1 기준치가 95%이고, 제2 기준치가 90%이고, 제3 기준치가 85%인 경우,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추가 인증과 RFID 카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일치도가 제3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6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식 모듈(100)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여, 제2 QR 코드를 이용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패턴에 따라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가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자주 출입하는 것을 파악하여,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이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주자가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자주 출입하는 것으로 출입 패턴이 분석된 경우, 장치(200)는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장정맥 정보의 인식 시간이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오후 7시 이후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장정맥 정보의 인식 시간이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이 출입 패턴을 벗어나지 않고 출입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정맥 정보가 인식된 시간이 출입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 단말로 출입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출입 확인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출입 확인 답변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출입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출입 확인 답변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확인 답변은 장정맥 정보를 입력한 사람이 제1 거주자 본인임을 확인시켜주는 응답일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출입 확인 답변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거주자의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면,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이후,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갱신된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의 출입 패턴을 다시 분석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이후에도 출입 확인 답변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장정맥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 패턴에 따라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의 거주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자주 방문하는 것을 파악하여,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가 인식된 시간이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주자의 거주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자주 방문하는 것으로 방문 패턴이 분석된 경우, 장치(200)는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까지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제1 QR 코드의 인식 시간이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오후 7시 이후에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제1 QR 코드의 인식 시간이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QR 코드가 인식된 시간이 방문 패턴을 벗어나지 않고 방문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QR 코드가 인식된 시간이 방문 패턴을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 단말로 방문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방문 확인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문 확인 답변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방문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방문 확인 답변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방문 확인 답변은 제1 QR 코드를 입력한 사람이 제1 거주자의 방문자인 것을 확인시켜주는 응답일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방문 확인 답변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면,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이후,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갱신된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기초로, 제1 거주자의 방문 패턴을 다시 분석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난 이후에도 방문 확인 답변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QR 코드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의 체온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식 모듈(100)은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거주자의 체온이 측정되면,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감지 센서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는 사람이 비접촉 상태로 접근할 경우, 비접촉 상태로 접근한 사람의 피부 온도를 감지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체온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범위는 거주자 출입 제한을 위해 설정되는 것으로, 방문자 출입 제한을 위해 설정되는 제2 범위 보다 더 넓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범위는 34℃부터 38℃까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범위는 35℃부터 37℃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이 제1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이 제1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제1 거주자의 체온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제1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장치(200)는 인접한 병원의 위치 및 병원을 방문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문자의 체온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이 제1 범위 보다 좁은 범위로 설정된 제2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범위는 방문자 출입 제한을 위해 설정되는 것으로, 거주자 출입 제한을 위해 설정되는 제1 범위 보다 더 좁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이 제2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0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이 제2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10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인식 모듈(100)로부터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제1 방문자의 체온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제2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장치(200)는 추후 다시 방문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가 인식 모듈(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현된 로컬 스토리지(240)와 연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로컬 스토리지(240)는 네트워크 연결 없이 장치(200)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말한다.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단독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서버가 연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조회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현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연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네트워크 연결로 사용 가능한 저장소를 말하며, 로컬 스토리지(24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거나, 다른 장치의 접속으로 데이터 공유가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S11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로컬 스토리지(240)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로컬 스토리지(240)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5초에 1번씩 로컬 스토리지(240)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로컬 스토리지(240)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헬스 체크 수행 결과를 통해,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의 전원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장치(200)와 로컬 스토리지(240) 간에 접속이 불량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장치(200)와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이 10% 미만 남은 경우,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로컬 스토리지(24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1103 단계에서,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동작은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도 저장되도록 처리하여, 로컬 스토리지(240)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각각에 동일한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장치(200)는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2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이상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로컬 스토리지(240)는 정상 상태, 경고 상태, 위험 상태 등으로 분류되어 될 수 있으며,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로컬 스토리지(240)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장치(20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올라갈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변경되면,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로컬 스토리지(240)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장치(20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 보다 느리지만,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가 위험하기 때문에, 느린 전송 속도를 통해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로컬 스토리지(240)에 이상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가 정상 상태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S1101 단계로 되돌아가, 로컬 스토리지(240)의 헬스 체크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장치(200)는 보안 레벨이 높게 설정된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스토리지(240)에 보안 레벨이 2레벨로 높게 설정된 제1 파일과 보안 레벨이 1레벨로 낮게 설정된 제2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데, 장치(200)는 제1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는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저장되고, 제2 파일의 데이터는 로컬 스토리지(24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S1103 단계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이중화 동작이 수행되면,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상태, 파일 사용 방식 등을 기초로, 로컬 스토리지(24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 및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로컬 스토리지(24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11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어, 로컬 스토리지(24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1105 단계에서,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로컬 스토리지(240)가 경고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제1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240)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이 18GB로 제1 기준 용량인 2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240)를 경고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1 파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1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240)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더 낮게 설정된 제2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로컬 스토리지(240)가 위험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제2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240)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로컬 스토리지(240)의 여유 공간이 8GB로 제2 기준 용량인 1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240)를 위험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10회 보다 더 적은 횟수로 실행된 경우, 제2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240)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1106 단계에서,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상으로 변경되어 저장된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5회 보다 더 많은 횟수로 변경되어 저장된 경우, 장치(200)는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더 이상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기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240)에만 저장되어, 제2 파일이 변경 저장될 때, 로컬 스토리지(240)에서만 제2 파일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01) 및 메모리(2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장정맥(Palm Vein)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된 인식 모듈에 장정맥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장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생체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장정맥 정보가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로 인증되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2레벨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출입문과 맞닿아 있는 벽에 설치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3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4레벨로 확인되면,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5레벨로 확인되면,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장정맥 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거주자들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장정맥 정보가 상기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인 것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장정맥 정보와 상기 제1 거주자의 생체 정보 간의 일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2 기준치 보다 낮지만 미리 설정된 제3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치도가 상기 제3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하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둘의 방식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경우, 비밀번호 및 RFID 카드를 통한 추가 인증 필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인식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비밀번호 및 RFID 카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증이 실패한 경우, 거주자 확인용인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제1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 모듈에 입력된 제2 QR 코드를 추가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주자의 거주지 내에 설치된 인터폰 또는 제1 거주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출입을 위한 QR 코드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거주자의 출입 권한이 1레벨로 확인되면, 상기 QR 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방문자 출입용인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 생성 요청을 통해 확인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제1 방문자 단말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식 모듈에 상기 제1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QR 코드에 설정된 인증 시간 및 인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QR 코드를 이용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거주자의 방문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3. 삭제
KR1020210002206A 2021-01-07 2021-01-07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8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06A KR102289969B1 (ko) 2021-01-07 2021-01-07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206A KR102289969B1 (ko) 2021-01-07 2021-01-07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969B1 true KR102289969B1 (ko) 2021-08-13

Family

ID=7731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206A KR102289969B1 (ko) 2021-01-07 2021-01-07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9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56A (ja) * 2013-04-26 2014-11-17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入退域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域管理方法
KR20170080739A (ko) * 2015-12-30 2017-07-11 (주)농협정보시스템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4556A (ja) * 2013-04-26 2014-11-17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入退域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域管理方法
KR20170080739A (ko) * 2015-12-30 2017-07-11 (주)농협정보시스템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2684B2 (en) Methods and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guarantee identity for the purpose of data protection and access control
JP2006318240A (ja) サービス認証システム、サーバ装置、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サービス認証方法
EP3923252A1 (en) Biometric enabled access control
TWI623839B (zh) 藉由分散系統內之裝置所執行之方法及分散系統內之裝置
JP2004355318A (ja) コンピュータ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利用管理方法、視聴覚機器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視聴覚機器利用管理方法
EP38969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control using multi-factor validation
KR102289969B1 (ko) 장정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8173923A (ja) 端末装置、ゲート管理方法、ゲー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ゲート管理システム
JP2010044619A (ja) アクセス対象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KR102089030B1 (ko) 조합 인증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967B1 (ko) 생체 인증 기반 출입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46761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546774B2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ccess control location
JP6945164B2 (ja) 判定システム、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付戸、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275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US20240153326A1 (en) Entry control device, entry control system, entr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7407102B2 (ja) 認証システム
KR102587285B1 (ko) Nfc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176167A1 (ja) 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93849B2 (en) Providing physical access to a secured space based on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signaling
JP2023024407A (ja) 制御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端末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75722A (ko)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KR20240008153A (ko) 핀테크 인증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