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722A -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722A
KR20220075722A KR1020200164115A KR20200164115A KR20220075722A KR 20220075722 A KR20220075722 A KR 20220075722A KR 1020200164115 A KR1020200164115 A KR 1020200164115A KR 20200164115 A KR20200164115 A KR 20200164115A KR 20220075722 A KR20220075722 A KR 2022007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digital code
computing devic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53B1 (ko
Inventor
윤영섭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닷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닷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닷츠
Priority to KR102020016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컴퓨팅 기기에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 제2 컴퓨팅 기기에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로그인의 과정에서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 발행부;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제2 컴퓨팅 기기로부터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 인증부; 및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를 공유하는 개인정보 공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PERSONAL INFORMATION SHARING DEVICE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ENTITY}
본 발명은 개인정보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정보 수집 및 관리주체가 해당 내용을 제3자에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 노약자 등은 다른 사람의 관리를 필요로 하며, 특히 병원, 복지관 등에서는 해당 대상자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개인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때, 대상자에게 직접 요구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각 당사자에게 많은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시설마다 동일한 개인 정보를 반복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방문 시마다 동일한 노력을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기 위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는 범죄에 사용되는 등 정보 누출에 따른 위험부담이 높고 개인에게 막대한 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 및 공유에 있어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33356호 (2002.05.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정보 수집 및 관리주체가 해당 내용을 제3자에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QR 코드를 인식시켜 개인정보의 안전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인된 관리자의 개인정보 접근 권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여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는 제1 컴퓨팅 기기에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 제2 컴퓨팅 기기에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로그인의 과정에서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 발행부;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제2 컴퓨팅 기기로부터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 인증부; 및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를 공유하는 개인정보 공유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QR 코드로서 생성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상기 QR 코드를 발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QR 코드에 유효 시간 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현재 로그인된 관리자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발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컴퓨팅 기기들 간에 직접적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직접적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직접적으로 발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삭제하고 상기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발행 사실만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QR 코드로 구현된 경우에는 상기 QR 코드에 있는 유효 시간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전자적 통신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시간을 경과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공유부는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의 공유 과정에서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의 해당 관리자를 통해 개인정보 보안 취급규정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는 개인정보 수집 및 관리주체가 해당 내용을 제3자에게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는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QR 코드를 인식시켜 개인정보의 안전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는 승인된 관리자의 개인정보 접근 권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여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공유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공유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공유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공유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공유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제1 컴퓨팅 기기(110), 제2 컴퓨팅 기기(13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기기(110)는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기기(110)는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로봇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컴퓨팅 기기(110)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컴퓨팅 기기(11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컴퓨팅 기기(110)들은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컴퓨팅 기기(110)는 개인정보 입력 및 공유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웹을 통한 동작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컴퓨팅 기기(110)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반응형 로봇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반응형 로봇은 로봇의 생애주기와 사용자 인터랙션 그리고 외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성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한 사용자 반응 모델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컴퓨팅 기기(110)는 반응형 로봇과의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정보에는 반응형 로봇과의 인터랙션에 따른 행동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컴퓨팅 기기(130)는 관리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고 개인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컴퓨팅 기기(130)는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로봇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컴퓨팅 기기(130)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컴퓨팅 기기(13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컴퓨팅 기기(130)들은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컴퓨팅 기기(130)는 개인정보 입력 및 공유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웹을 통한 동작도 가능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하고 인증된 관리자에게 해당 개인정보를 공유하도록 구현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제1 컴퓨팅 기기(110) 및 제2 컴퓨팅 기기(130)와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컴퓨팅 기기(110) 및 제2 컴퓨팅 기기(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보안 및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인정보 공유장치(150)가 개인정보 관리 및 공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공유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공유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 개인정보 수집부(330),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 개인정보 공유부(36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는 제1 컴퓨팅 기기(110)에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 등록된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는 제1 컴퓨팅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신호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는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컴퓨팅 기기(1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2 컴퓨팅 기기(130)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 등록된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는 제2 컴퓨팅 기기(13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신호를 기초로 해당 관리자의 로그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는 관리자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컴퓨팅 기기(13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개인정보 수집부(330)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개인 신상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얼굴, 홍채, 지문 등의 생체정보를 개인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컴퓨팅 기기(110)는 다양한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사용자 로그인의 과정에서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는 개인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생성되는 고유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등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화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제1 컴퓨팅 기기(110)로부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발행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17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7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QR 코드로서 생성하며 식별코드를 기초로 사용자 스마트폰에 QR 코드를 발행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QR 코드 형태로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즉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고유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고유 식별코드는 스마트폰 제조 시 고유하게 부여되는 단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에 의해 발행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는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QR 코드에 유효 시간 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로서 개인에 고유한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QR 코드는 사용자 개인정보, 단말 정보 및 유효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효 시간 코드는 해당 QR 코드가 제3자에게 공유 가능한 시간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QR 코드의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이 적용된 시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 현재 로그인된 관리자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제2 컴퓨팅 기기(130)에 발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관리자의 식별코드를 통해 인증된 관리자인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관리자가 접근 가능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제2 컴퓨팅 기기(130)에 발행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개인정보 접근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해당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는 제1 및 제2 컴퓨팅 기기들(110, 130) 간에 직접적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직접적 무선 통신을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직접적으로 발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접적 무선 통신은 NFC, 블루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컴퓨팅 기기들(110, 130)이 상호 근거리에 존재하는 경우, 단말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제2 컴퓨팅 기기(130)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즉, 컴퓨팅 기기들 간의 직접 전송에 따라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의 중개 과정이 생략되어 보다 손쉽게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전송 동작이 처리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특정 시간 내에 제2 컴퓨팅 기기(130)로부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간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법령이 권장하는 기간(예를 들어, 1개월)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발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경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컴퓨팅 기기(130)에서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삭제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발행 사실만 저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컴퓨팅 기기들(110, 130) 간의 직접적 무선 통신에 의해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제2 컴퓨팅 기기(130)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직접 전달된 경우에는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별도의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발행 정보만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QR 코드로 구현된 경우에는 QR 코드에 있는 유효 시간 코드를 검출하여 특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QR 코드 자체에서 유효 시간 코드를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유효 시간 코드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이 적용된 시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유효 시간 코드에 대응되는 시점과 현재 시점 간의 비교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공유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단순 비교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최초 생성된 경우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고,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 의해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여 유효성을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전자적 통신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시간으로부터 특정 시간을 경과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는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직접 전송을 통해 제2 컴퓨팅 기기(130)로 직접 발행된 경우에는 해당 시점이 공유 가능 시점인지 여부 만을 검사할 수 있다. 이때, 공유 가능 시점은 최초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공유 기간 이내의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부(36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 수집된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2 컴퓨팅 기기(130)에서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 개인정보 공유부(36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에 대응되는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 공유부(36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의 해당 관리자의 접근 권한에 따라 개인정보 중 일부만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공유부(360)는 수집된 개인정보의 공유 과정에서 제2 컴퓨팅 기기(130)의 해당 관리자를 통해 개인정보 보안 취급규정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부(360)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안 취급규정에 따른 준수 여부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자에게 사용 전 규정 준수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규정 준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제2 컴퓨팅 기기(130)를 통해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 개인정보 수집부(330),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 및 개인정보 공유부(3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310)를 통해 제1 컴퓨팅 기기(110)에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1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320)를 통해 제2 컴퓨팅 기기(130)에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2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개인정보 수집부(330)를 통해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디지털 코드 발행부(340)를 통해 사용자 로그인의 과정에서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4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디지털 코드 인증부(350)를 통해 특정 시간 내에 제2 컴퓨팅 기기(130)로부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단계 S45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개인정보 공유부(360)를 통해 제2 컴퓨팅 기기(130)에 수집된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4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공유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제1 컴퓨팅 기기(110)에서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고, 최초 로그인 시 개인정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정보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에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얼굴, 홍채, 지문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제1 컴퓨팅 기기(110)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510). 즉, 제1 컴퓨팅 기기(110)는 식별정보를 기초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여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는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QR 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사용자가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관련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제2 컴퓨팅 기기(130)에서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자신의 태블릿 PC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되는 QR 코드를 태블릿 PC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의 태블릿 PC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후, 관리자의 태블릿 PC에 수신된 QR 코드는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태블릿 PC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와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 간의 비교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530).
개인정보 공유장치(150)는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해당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자의 태블릿 PC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의 태블릿 PC에 동일한 사용자의 이전 개인정보가 남아 있는 경우 새롭게 수신된 개인정보로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컴퓨팅 기기(130)는 수신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동안 해당 개인정보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 다만,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내에 추가적인 인증 또는 갱신이 없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는 유효 기간 경과에 따라 제2 컴퓨팅 기기(130)에서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인정보 공유시스템
110: 제1 컴퓨팅 기기 130: 제2 컴퓨팅 기기
150: 개인정보 공유장치 17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 320: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
330: 개인정보 수집부 340: 디지털 코드 발행부
350: 디지털 코드 인증부 360: 개인정보 공유부

Claims (10)

  1. 제1 컴퓨팅 기기에 사용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확인부;
    제2 컴퓨팅 기기에 관리자 로그인의 수행을 확인하는 관리자 로그인 확인부;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로그인의 과정에서 상기 제1 컴퓨팅 기기를 통해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디지털 코드 발행부;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제2 컴퓨팅 기기로부터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디지털 코드 인증부; 및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를 공유하는 개인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QR 코드로서 생성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상기 QR 코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QR 코드에 유효 시간 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현재 로그인된 관리자의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에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발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컴퓨팅 기기들 간에 직접적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직접적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직접적으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를 삭제하고 상기 발행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발행 사실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QR 코드로 구현된 경우에는 상기 QR 코드에 있는 유효 시간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 인증부는
    상기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전자적 통신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가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 공유용 디지털 코드의 저장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시간을 경과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공유부는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의 공유 과정에서 상기 제2 컴퓨팅 기기의 해당 관리자를 통해 개인정보 보안 취급규정의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KR1020200164115A 2020-11-30 2020-11-30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KR10248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15A KR102480453B1 (ko) 2020-11-30 2020-11-30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15A KR102480453B1 (ko) 2020-11-30 2020-11-30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22A true KR20220075722A (ko) 2022-06-08
KR102480453B1 KR102480453B1 (ko) 2022-12-23

Family

ID=8198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15A KR102480453B1 (ko) 2020-11-30 2020-11-30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356A (ko) 2000-10-31 2002-05-06 김유봉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룹 및 개인에게 공유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4547A (ko) * 2009-10-23 2011-04-29 레마아이앤티 주식회사 보안 컴퓨터 시스템
KR20170045786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1933B1 (ko) * 2017-12-26 2018-11-26 박상훈 휴대용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356A (ko) 2000-10-31 2002-05-06 김유봉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룹 및 개인에게 공유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4547A (ko) * 2009-10-23 2011-04-29 레마아이앤티 주식회사 보안 컴퓨터 시스템
KR20170045786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1933B1 (ko) * 2017-12-26 2018-11-26 박상훈 휴대용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53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5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factor physical authentication
US10440019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identifying multiple users based on their behavior
US10068076B1 (en) Behavior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behavior server for authentication of multiple users based on their behavior
US9531710B2 (en) Behavior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biometric fingerprint sensor and user behavior for authentication
KR102132507B1 (ko) 생체 인식 데이터에 기초한 리소스 관리 기법
US2017025737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ield device
US20180268415A1 (en) Biometric information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financial card information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5659646B (zh) 移动设备验证
US7896247B2 (en) Secure use of externally stored data
US119971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custody using mobile devices or wearables
US119342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950337B2 (ja) 指紋読取り装置リセッ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725696B (zh) 行動裝置、驗證終端裝置及身分驗證方法
JP2018173923A (ja) 端末装置、ゲート管理方法、ゲー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ゲート管理システム
KR102415769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480453B1 (ko) 개인정보 수집주체를 통한 개인정보 공유장치
JP2007172039A (ja) ユーザの位置情報を利用したログイ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2208598A1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681457B1 (ko) 금융 이체를 위한 2채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2892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e distributed communications and data access
KR20140076275A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스마트 시스템 보안 방법
KR20210051517A (ko) 통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5151200B2 (ja) 入退場認証システム、入退場システム、入退場認証方法、及び入退場認証用プログラム
JP2007226519A (ja) 生体情報更新管理システム、生体情報更新管理方法、および生体情報更新管理プログラム
KR20130029261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