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25B1 -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25B1
KR101636025B1 KR1020150173522A KR20150173522A KR101636025B1 KR 101636025 B1 KR101636025 B1 KR 101636025B1 KR 1020150173522 A KR1020150173522 A KR 1020150173522A KR 20150173522 A KR20150173522 A KR 20150173522A KR 101636025 B1 KR101636025 B1 KR 10163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lock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sma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렬
Original Assignee
이창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렬 filed Critical 이창렬
Priority to KR102015017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도어 상에 설치된 잠금 수단을 별도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수행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에 상기 잠금 수단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Ssmart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게하게는 도어 상에 설치된 잠금 수단을 별도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수행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에 상기 잠금 수단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별도의 열쇠를 지니지 않고도 도어의 개방과 폐쇄의 조작이 가능하다는 편리성과 함께 개별 열쇠를 소지하지 않음에 따라 열쇠의 분실로 인한 제3자의 불법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안전성으로 인해 그 설치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에 설치된 도어락 제어 수단에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나 패턴을 입력하여 잠금 수단을 해제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시키는데, 이러한 도어 개방을 위해 설정한 비밀번호나 패턴이 유출될 경우 제3자가 불법적으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다는 보안의 취약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나아가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고 있는 다수는 언제라도 도어를 출입할 수 있기에, 특정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나 패턴을 재설정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함께 특정인외의 다른 사람까지도 재설정된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지 못하는 경우 출입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나 패턴이 다수의 사람에게 공지된 경우, 그 중 누군가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불법적인 행위가 발생되더라도 도어를 개방시킨 사람을 특정지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설정한 비밀번호나 패턴이 제3자에게 유출되는 경우, 제3자가 불법적으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다는 보안의 취약성을 해소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고 있는 다수는 언제라도 도어를 출입할 수 있기에, 특정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서 비밀번호나 패턴을 재설정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또한 특정인외의 다른 사람까지도 재설정된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지 못하는 경우 출입이 제한된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나 패턴이 다수의 사람에게 공지된 경우, 그 중 누군가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불법적인 행위가 발생되더라도 도어를 개방시킨 사람을 특정 지을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잠금수단과;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의 무선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상기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잠금 수단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잠금수단의 제어가 인가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통해 출입한 사용자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는,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를 마스터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한 상기 일반 사용자에 대한 출입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설정부;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U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UI는, 패턴 인식 수단 또는 생체 인식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복수개로서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통신 단말과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구분되며, 상기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통신 단말의 사용자 설정부는, 상기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등록된 제어 조건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복수의 도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도어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3자가 불법적으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다는 보안의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는 인증 방식이 사용자마다 상이하고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휴대 통신 단말로만 해당 인증이 이루어지기에 설정된 패턴 등이 유출되더라도 해당 사용자 외의 다른 제3자의 도어 출입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도어 출입이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출입 제한 조치가 가능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은 불편함 없이 원활하게 해당 도어의 출입이 가능하게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전체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가 제공되기에 특정 시간에 어떤 사용자가 출입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어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제어가 인가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가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하여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제어가 인가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어 상에 설치된 잠금 수단을 별도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수행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상기 잠금 수단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도어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와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 수단을 통해 상기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잠금 수단(110), 잠금 수단 제어부(130), 통신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자 등록부(150), 사용자 인증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금 수단(110)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도어를 통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잠금 방식이 적용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잠금 수단 제어부(13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수단(110)을 통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한다.
통신부(19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잠금 수단 제어부(130)로 전달하는데,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1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와이파이나 와이브로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1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통신부(190)는 건물내 설치된 인터넷 공유기나 모뎀 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잠금 수단(110), 잠금 수단 제어부(130), 통신부(190) 등을 통해 단순히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 등록부(150)와 사용자 인증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150)는 도어의 출입이 인가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인가된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보유하는데, 이때 인가된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부(150)는 마스터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를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마스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들에 대한 인가 또는 출입 제한 등이 조정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70)는 사용자 등록부(150)에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만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나아가서 사용자 인증부(17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여 출입하는 전체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가 도어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는데, 다시 상기 도 1로 회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하여 계속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은 도어 상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통해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최적화된 개별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보급된 스마트폰, PDA, 테블릿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가 항시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 설정부(210), 인증 UI(230), 도어락 제어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부(21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사용자를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 설정부(21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와 연동하여 여러 사용자에 대한 등록, 인가 또는 출입 제한 등을 조정할 수 있는데, 가령 마스터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되어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사용자가 등록되는 경우에 마스터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사용자 설정부(210)를 통해 다른 일반 사용자에 대한 등록, 인가 또는 출입 제한 등의 조정을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인증 UI(230)는 사용자에게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방식의 수단을 제공하며,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설정하고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 요청시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 UI(230)의 일례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의 (a)는 패턴 인식 방식으로서, 인증 UI(23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화면(230a) 상으로 패턴 인식부(235a)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패턴 인식부(235a)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숫자 배열 등의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 4의 (b)는 지문 인식 방식으로서, 인증 UI(23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화면(230b) 상으로 지문 인식부(235b)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문 인식부(235b)에 해당 손가락을 접촉시켜 입력되는 지문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의 (c)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서, 인증 UI(23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화면(230c) 상으로 음성 인식부(235c)를 제공하는데, 이때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에 기보유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인증 방식 이외에도 얼굴 인식, 홍채 인식, 혈관 인식 등 다양한 생체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락 제어부(250)는 인증 UI(230)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개별적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 사용자 설정부(210), 인증 UI(230), 도어락 제어부(250)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스마트폰 등에 기보유된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 상에 설치된 잠금 수단을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수행되기에,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상기 잠금 수단을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제거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의 (a)는 도어의 실내측 외부면(10a)을 나타내며, 상기 도 5의 (b)는 도어의 측면(10b)을 나타내며, 상기 도 5의 (c)는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10c)을 나타낸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 자체에 내장됨으로써 도어의 실내측 외부면(10a)이나 실외측 외부면(10c)에 전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원활하게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의 실내측 외부면(10a)에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가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을 통해 무선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10c) 상에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통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별개의 수단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10c) 상에는 별개의 도어 개방 수단이 설치되지 않기에 외부 침입자가 도어 자체를 부수지 않고서는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기에 도어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제어가 인가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도어에 출입이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도 6과같이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a, 200b,...200n)을 통해 도어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인가되는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를 마스터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여 등록시킴으로써 마스터 사용자가 다른 일반 사용자의 등록, 인가, 출입 제한 등을 조정할 수 있데는데, 가령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가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마스터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출입 인가를 조정하는 실시예로서, 마스터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의 화면(310)을 통해 출입이 등록된 다른 사용자들(311)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들(311)마다 대응되는 출입 제한 버튼(315)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일반 사용자들의 출입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마다의 출입 제한 여부 정보를 제공하며, 마스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를 통해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등록된 사항들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사용자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권한 부여 요청을 받아 등록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권한 부여를 요청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마스터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얼굴 영상,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등 다양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며, 마스터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전송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보유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도어를 출입한 출입 내역 정보를 보유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등록된 사용자마다의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해당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도어를 제어하는 경우, 어떤 사용자가 도어를 제어하였는지에 대한 내역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의 화면(320) 상으로 도어를 출입한 사용자들(321)과 각 사용자들(321)이 출입한 시간 정보(325)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의 화면(330) 상으로 특정 사용자(331)가 출입한 정보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335)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한 출입 내역 정보를 보유하고 전체 사용자의 출입 내역 또는 특정 사용자의 출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시간에 어떤 사용자가 출입하였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다수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하여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제어가 인가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을 다수의 도어 각각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마다 등록시켜서 각각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를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로 제어하여 해당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 각각을 제어하는 실시예로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하나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을 다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 각각에 등록시키고,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200)의 화면(340) 상에 등록된 다수의 도어 각각에 대응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에 대한 정보(345) 중 자신이 출입하고자 하는 특정 도어에 대응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해당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a, 100b,... 100n)를 제어하여 상기 특정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 자신이 항시 보유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자신이 출입하는 다수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편리하게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해 도어에 설치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3자가 불법적으로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다는 보안의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당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시킬 수 있는 인증 방식이 사용자마다 상이하고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휴대 통신 단말로만 해당 인증이 이루어지기에 설정된 패턴 등이 유출되더라도 해당 사용자 외의 다른 제3자의 도어 출입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b : 스마트 도어락 장치,
110 : 잠금 수단,
130 : 잠금 수단 제어부,
150 : 사용자 등록부,
170 : 사용자 인증부,
190 : 통신부,
200, 200a, 200b,... 200n :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
210 : 사용자 설정부,
230 : 인증 UI,
250 : 도어락 제어부.

Claims (10)

  1.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잠금수단과;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의 무선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상기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잠금 수단 제어부와;
    상기 잠금수단의 제어가 인가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를 마스터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통한 상기 일반 사용자에 대한 출입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사용자 등록부와;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 각각에 등록된 사용자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중 선택된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특정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 사용자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권한 부여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를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로부터 등록된 일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마다의 출입 제한 여부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일반 사용자마다 대응되는 출입 제한 버튼을 상기 마스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의 상기 출입 제한 버튼 조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상기 일반 사용자에 대한 출입 인가와 출입 제한을 설정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에는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통해 출입한 사용자에 대한 출입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설정부;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UI는,
    패턴 인식 수단 또는 생체 인식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은, 복수개로서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통신 단말과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로 구분되며,
    상기 마스터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통신 단말의 사용자 설정부는,
    상기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등록된 제어 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복수의 도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도어락 장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20150173522A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63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22A KR101636025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22A KR101636025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025B1 true KR101636025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22A KR101636025B1 (ko) 2015-12-07 2015-12-07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36B1 (ko) * 2016-10-17 2017-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스마트폰을 활용한 객실 자동발권시스템
KR20180075885A (ko) * 2016-12-27 2018-07-05 박남석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20200048418A (ko) 2018-10-30 2020-05-08 문창훈 스마트 도어락
WO2021040628A1 (en) * 2019-08-28 2021-03-04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KR102329035B1 (ko) 2021-04-22 2021-11-19 (주)코데코이앤씨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14338A (ko) 2021-02-08 2022-08-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101480880B1 (ko) * 2014-02-07 2015-01-13 김광우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101480880B1 (ko) * 2014-02-07 2015-01-13 김광우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36B1 (ko) * 2016-10-17 2017-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스마트폰을 활용한 객실 자동발권시스템
KR20180075885A (ko) * 2016-12-27 2018-07-05 박남석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912743B1 (ko) * 2016-12-27 2018-10-2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20200048418A (ko) 2018-10-30 2020-05-08 문창훈 스마트 도어락
WO2021040628A1 (en) * 2019-08-28 2021-03-04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US11756356B2 (en) 2019-08-28 2023-09-12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KR20220114338A (ko) 2021-02-08 2022-08-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KR102329035B1 (ko) 2021-04-22 2021-11-19 (주)코데코이앤씨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025B1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CN111903104B (zh) 用于执行用户认证的方法及系统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KR101595413B1 (ko)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2618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US9641510B2 (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JP5359848B2 (ja) Icカード認証システム、icカード認証方法
KR100980807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출입문의 개폐관리를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5729A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9152024A (ja) 解錠システム、解錠装置、解錠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54405B1 (ko) 스마트 도어락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30113B1 (ko) 자릿값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60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JP2005290739A (ja) キーレスロックシステム
JP6381478B2 (ja) 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2256961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KR20160057559A (ko) 이중보안기능이 구비된 홍채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