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338A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4338A KR20220114338A KR1020210017729A KR20210017729A KR20220114338A KR 20220114338 A KR20220114338 A KR 20220114338A KR 1020210017729 A KR1020210017729 A KR 1020210017729A KR 20210017729 A KR20210017729 A KR 20210017729A KR 20220114338 A KR20220114338 A KR 20220114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authentication key
- door lock
- user
- authent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Abstract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2단계 및 입력제한 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 또는 도어해제를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자동 감지되고 일정 시간 내에 인증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는 방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DOOR-LOCK)은 일반적으로 현관 도어(문)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의 정당성을 판단하여 도어를 열어주는 디지털(전기식) 도어 잠금 장치를 말한다. 도어락은 기존의 열쇠방식의 현관 도어 잠금장치 사용시 사용자가 항상 열쇠(키)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현재, 대부분의 주택, 사무실, 점포 및 빌딩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NFC, 또는 RFID 등 다양한 인증단말기를 이용하거나, 음성인식, 지문, 또는 홍채 등의 생체인식을 이용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인증 관련 보안이 강화된 도어락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6025호)과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1054호)와 같이, 블루투스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거리에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별도의 터치없이 현관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주로 설정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이 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온라인 쇼핑문화 확산에 따른 택배 배송 증가로 인해 건물 내 외부인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택배 기사사칭 범죄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늘어나면서 방범 기능 또는 방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관 도어에 CCTV나 카메라를 설치하여 현관 도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선행기술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0660호)와 같이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비상상황에 대한 알림이나 신고가 가능한 보안시스템 등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가 도어락으로 도어 해제시 해제된 도어를 통해 사용자와 함께 내부로 침입하는 유형의 범죄와 함께 인적이 드물거나 혼자 출입하는 사용자를 지켜보고 사용자가 현관 도어에 인증키를 입력하여 집으로 들어가기 전에 범죄가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범 기능과 안전상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도어락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범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증키를 입력할 수 없는 위험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위험발생상황을 외부에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2단계 및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 또는 도어해제를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위험알림프로세스는,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동작 및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사전설정된 수신처에 문자를 발송하는 문자전송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인증키의 재입력을 대기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위험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이 출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경보음이 출력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성공되면 경보음 출력을 중단하고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경보음 출력을 유지하면서 사전설정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가 전송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를 감지하는 단말기감지부, 인증키를 입력받는 입력패드, 상기 단말기감지부와 상기 입력패드와 연동되어 위험알림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실내 인터넷 무선공유기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도어의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감지부는 NFC 또는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은 위험한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위험알림버튼을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알림상황을 외부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은 방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제 생활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소비자의 높은 기호도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락, 스마트폰, 또는, 실내에 설정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추가장비의 설치와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제 1단계(S10),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2단계(S20) 및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 또는 도어해제를 수행하는 제 3단계(S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인증단말기가 자동으로 감지된 이후에, 설정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통해 도어락에 접근한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범죄발생이나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상황을 신속하게 외부에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0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물품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신체 일부에 부착 또는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감지부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감지부는 상기 인증단말기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락에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다는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단말기는 사전에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에 인증정보를 입력시킨 것으로, 상기 단말기감지부에서 상기 인증단말기가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사용자의 1차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인증단말기는 다양한 인증방식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말기는 NFC 또는 RFI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NFC 또는 RFID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감지부에는 상기 인증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리더기, 감지센서 등이 포함되어 상기 인증단말기에 기록된 사용자 정보가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20은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10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감지부와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이후에,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입력제한시간 내에 직접 디지털 도어락의 외측에 배치된 입력패드에 인증키를 입력하는 입력제한시간을 제공하며 대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제한시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감지부가 상기 인증단말기를 감지하는 거리와 사용자가 입력패드에 인증키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 앞에 위치하기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입력제한시간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30은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 또는 도어해제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20에서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감지된 후 사용자의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 근처에 도착한 것을 상기 S10에서 1차 확인한 이후에, 상기 S30에서 감지된 인증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실제 사용자가 맞는지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2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입력된 인증키의 정당성을 판단하여 도어를 해제하거나,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험알림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동작 및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사전설정된 수신처에 문자를 발송하는 문자전송동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동작이 수행되어 도어락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하여 연결된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문자전송동작이 수행되어 사용자를 도와줄 수 있는 지인, 공공기관 등에 위험상황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상황을 빠르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위험한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위험알림버튼을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알림상황을 외부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제 4단계(S40),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인증키의 재입력을 대기하는 제 5단계(S50),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위험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이 출력되는 제 6단계(S60),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경보음이 출력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7단계(S70),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성공되면 경보음 출력을 중단하고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8단계(S80),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경보음 출력을 유지하면서 사전설정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가 전송되는 제 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수행하는 위험알림프로스세스 또는 도어해제에 관한 순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S40은 상기 S3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의 도어 잠금이 해제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를 열고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50은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도어락의 도어 잠금은 해제되지 않는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인증키 정보가 불일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50에서는 상기 인증키의 재입력을 대기하게 되고, 사용자에게는 상기 입력제한시간이 다시 주어지며, 상기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입력패드를 이용하여 인증키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시 주어진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가 재입력되었으나 수 회 이상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여 외부침입알림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침입알림동작은 사전설정된 보안업체, 경찰서, 사용자의 지인, 사용자에게 전화 발신, 문자 전송 등이 이뤄지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60은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위험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이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감지된 이후에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인증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속하게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도어락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보음이 울림으로써 사용자에게 접근한 범죄자가 당황하여 범죄행동을 주저하거나 도망갈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발생한 위험상황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인 경우, 이웃과 행인으로부터 빠르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도어락 근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증키를 입력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어, 방범 기능을 향상시킨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70은 상기 경보음이 출력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S60에서 우선 경보음이 출력되었으나,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황이 실제 위험발생상황이 맞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상황에 맞게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도어락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위험발생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위험발생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가 경보해제와 도어 잠금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80은 상기 S70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성공되면 경보음 출력을 중단하고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60에서 경보음이 출력된 이후에 상기 S70에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동안 사용자가 직접 경보해제키를을 입력하면 경보음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음 출력을 우선 중단하고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면서 실제 사용자가 맞는지 2차 인증을 대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80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성공된 이후에, 사용자에게 인증키 재입력 시간이 주어지게 되면서 상술한 S30으로 돌아가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S40 또는 상기 S50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90은 상기 S70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경보음 출력을 유지하면서 사전설정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가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60에서 경보음이 출력되고 S70에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였으나, 사용자가 경보해제키를을 입력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경보해제키를을 누를 수 없을 정도로 실제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음 출력을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위험상황 발생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사전설정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가 자동전송되면서,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사용자의 지인, 보안업체, 공공기관 등에게 알리거나 신고할 수 있다. 이에, 위험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위험상황을 빠르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위험한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별도의 위험알림버튼을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알림상황을 외부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은 방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제 생활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소비자의 높은 기호도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앞서 상술한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제어, 동작 및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적인 도어락에 구비된 인증키 설정 및 변경, 도어 수동 잠금, 배터리 교체, 구성요소간의 통신연결 등은 통상적인 기기 및 제어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외측 방향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외부프레임(10)과 상기 외부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실내 방향으로 구비된 내부프레임(20)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를 감지하는 단말기감지부(100), 인증키를 입력받는 입력패드(200), 상기 단말기감지부(100)와 상기 입력패드(200)와 연동되어 위험알림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실내에 구비된 무선통신망과 연결되어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도어의 잠금 장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부(5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감지부(100)는 도어 외측방향에 배치되어 도어락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를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감지부(100)는 인증단말기(30)에 기록된 사용자인증정보를 감지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감지된 인증단말기(30)가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인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단말기(30)에는 NFC 또는 RFID가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감지부(100)에는 감지된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에서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의 정당성을 판독하는 NFC리더기 또는 RFID리더기가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는 사용자가 휴대한 카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블루투스, 인터넷 연결, 인증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 NFC 또는 RFID가 내장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감지부(100)는 리더기(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단말기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독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증단말기(30)는 후술하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증단말기(30)에서 전송받은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1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인증키를 입력받는 입력패드(20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패드(200)는 도어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증키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이 구비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드(200)는 통상의 도어락에 사용되는 입력패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입력패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드(200)에 사용자가 인증키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패드(200)와 연동된 제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단말기감지부(100)와 상기 입력패드(200)와 연동되어 위험알림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30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도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감지부(100)와 상기 입력패드(200)를 비롯한 다른 도어락의 구성요소들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술한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로 다른 구성요소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단말기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입력패드(200)에 입력된 인증키 정보를 사전설정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동작명령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락에 사용되는 마이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패드(2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인증단말기 정보, 인증키 정보 등의 사용자인증정보와 경보해제키 정보, 위험알림수신처 및 위험알림문자내용 등의 위험알림프로세스를 위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증키 입력제한시간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실내에 구비된 무선통신망과 연결되어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부(40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알림부(400)는 상기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른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락이 배치된 실내(건물의 내부)에 구비된 인터넷 무선공유기,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위험알림문자를 지정된 수신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40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통상의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의 일측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경보음출력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알림부(400)와 실내 무선통신망을 사전에 연결해둘 수 있으며, 위험알림문자가 전송되는 수신처를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사전설정하여 위험알림프로세스를 통해 위험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도어의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부(controller)(50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도어 잠금 해제 동작신호 또는 도어 잠금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500)는 통상의 도어락 장치에 이용되는 컨트롤부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부(500)에는 모터와 걸쇠 등으로 구성된 도어 잠금 장치(미도시)와 이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 및 도어 잠금 장치와 컨트롤러를 연결시키는 통신모듈(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락, 스마트폰, 또는, 실내에 설정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추가장비의 설치와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어락의 외부 프레임
20: 내부 프레임
30: 인증단말기 100: 단말기감지부
200: 입력패드 300: 제어부
400: 알림부 500: 컨트롤부
30: 인증단말기 100: 단말기감지부
200: 입력패드 300: 제어부
400: 알림부 500: 컨트롤부
Claims (5)
- 사용자의 인증단말기가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되는 제 1단계;
상기 단말기감지부에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2단계; 및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인증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위험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설정된 위험알림프로세스에 따라 위험알림동작 또는 도어해제를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위험알림프로세스는,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동작; 및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사전설정된 수신처에 문자를 발송하는 문자전송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성공되고 입력된 인증키가 사전설정된 인증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인증키의 재입력을 대기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인증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위험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이 출력되는 제 6단계;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경보음이 출력된 시간으로부터 입력패드를 이용한 경보해제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성공되면 경보음 출력을 중단하고 인증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8단계;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경보해제키의 입력이 실패되면 경보음 출력을 유지하면서 사전설정된 수신처로 위험알림문자가 전송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 사용자의 인증단말기를 감지하는 단말기감지부;
인증키를 입력받는 입력패드;
상기 단말기감지부와 상기 입력패드와 연동되어 위험알림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실내에 구비된 무선통신망과 연결되어 위험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며, 도어의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감지부는 NFC 또는 RFID를 포함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판독하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729A KR20220114338A (ko) | 2021-02-08 | 2021-02-08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729A KR20220114338A (ko) | 2021-02-08 | 2021-02-08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4338A true KR20220114338A (ko) | 2022-08-17 |
Family
ID=8311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729A KR20220114338A (ko) | 2021-02-08 | 2021-02-08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433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660B1 (ko) | 2001-10-19 | 2004-07-21 | 김영수 |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
KR101636025B1 (ko) | 2015-12-07 | 2016-07-05 | 이창렬 |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R101781054B1 (ko) | 2017-04-11 | 2017-09-25 | 와이에스티 주식회사 | IoT 기반의 도어락 보안 시스템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729A patent/KR202201143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660B1 (ko) | 2001-10-19 | 2004-07-21 | 김영수 |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
KR101636025B1 (ko) | 2015-12-07 | 2016-07-05 | 이창렬 |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R101781054B1 (ko) | 2017-04-11 | 2017-09-25 | 와이에스티 주식회사 | IoT 기반의 도어락 보안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263067A1 (en) |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 |
KR101570463B1 (ko) |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 |
KR101211661B1 (ko)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
KR20170079653A (ko) |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 |
KR101266937B1 (ko) |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 |
KR102328402B1 (ko) |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KR100516969B1 (ko) |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KR102401090B1 (ko) |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 |
KR101765080B1 (ko) |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891010B1 (ko) |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 |
KR101954449B1 (ko) | 스마트 도어락 및 그의 운용 방법 | |
KR101025830B1 (ko) |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 |
KR20130040408A (ko) |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 |
JP2011094292A (ja) | 電気錠システム | |
KR20160010009A (ko) |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JP2005216186A (ja) |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 |
KR20220114338A (ko)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
KR101165400B1 (ko)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
KR100718196B1 (ko) |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KR101063751B1 (ko) |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 |
KR20200121597A (ko)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
KR102341883B1 (ko) | 안면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도어 시스템 | |
KR101080522B1 (ko) | 알에프아이디(rfid)방식의 방범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도난방지 시스템 | |
KR101107011B1 (ko) |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 |
KR102183174B1 (ko) | 스마트 도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