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36U -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36U
KR20100006636U KR2020080016919U KR20080016919U KR20100006636U KR 20100006636 U KR20100006636 U KR 20100006636U KR 2020080016919 U KR2020080016919 U KR 2020080016919U KR 20080016919 U KR20080016919 U KR 20080016919U KR 20100006636 U KR20100006636 U KR 201000066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short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오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택 filed Critical 오종택
Priority to KR2020080016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36U/ko
Publication of KR20100006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장착시키고,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내장된 전원 개폐기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호 생활환경 정보 데이터에 맞춰 휴대폰에서 자동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가전 기기의 가동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개인환경서비스에 있어서, 주변의 기기들을 인식하고 사전에 입력된 선호 정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개폐기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생활 주변 환경을 사용자에게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실내/외에 설치되어 생활 주변의 기기들을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 라 자동으로 최적화시키는 경우 등에 이용됨.
개인환경서비스, 근거리 무선통신, 개폐기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Apparatus for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ower switch}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장착시키고,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내장된 전원 개폐기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호 생활환경 정보 데이터에 맞춰 휴대폰에서 자동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가전 기기의 가동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 1] 20-0394217-0000, 자동 환경설정용 제어신호 변환장치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장착시키고,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내장된 전원 개폐기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호 생활환경 정보 데이터에 맞춰 휴대폰에서 자동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가전 기기의 가동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생활 환경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휴대단말기로부터 생활 주변의 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기를 직접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기 내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인식 및 인증 모듈을 내장해야 하므로 기존의 제품에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신규 제품에만 서비스의 적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근 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장착시키고,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내장된 전원 개폐기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호 생활환경 정보 데이터에 맞춰 휴대폰에서 자동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가전 기기의 가동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개인환경서비스를 기존의 전기 기기에도 쉽고 저렴하게 지원할 수 있어 서비스를 조기에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형 근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을 함께 운영하여, 다양한 개인환경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서비스의 대상을 대폭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인환경서비스에 있어서, 주변의 기기들을 인식하고 사전에 입력된 선호 정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개폐기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생활 주변 환경을 사용자에게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연동되어 상기 단말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개인 정보 또는 과금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소형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좀 더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는, 단말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입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03),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04), 개폐기 또는 소형 기지국과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05) 및 통신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부(102)로 구성되는 휴대단말기(100)와, 개폐기 제어부(302)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100) 또는 다른 개폐기(300) 또는 소형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303), 통신 상대방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301), 기기용 전원이 입력되는 상용전원 입력부(304), 기기로 전원이 입력되는 상용전원 출력부(306) 및 기기용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개폐부(305)로 구성되는 개폐기(300), 및 기지국 제어부(201)의 제어하에 개폐기(300) 또는 소형 기지국(200)과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205), 통신 상대방을 확인하는 인증부(202),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하는 메모리부(203), 및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IF부(204)로 구성되는 소형 기지국(200)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단말기(100)에 사용자는 키패드부(104)과 표시부(103)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생활 환경 요소, 즉 기온, 조명 밝기, 습도, 바람 세기, 음악, TV 채널, 전기 장판 온도 등에 대한 설정을 수행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또는 USB와 같은 PC 인터페이스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05)를 통해 PC 또는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요소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설정시에 인증부(102)의 인증을 통해 설정하는 주체의 신뢰도에 따라 설정 작업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하고 이동하면 휴대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주변에 있는 개폐기(300)을 인식할 수 있다. 개폐기(300)에는 개폐기 제어부(302)의 제어하에 해당 개폐기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종류와 ID 등의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은 사용자가 처음에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개폐기(300)의 인증부(301)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접속해온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고 신뢰성이 있는 경우에만 내부 데이터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개폐기에는 플러그 형태의 상용전원 입력부(304)와 콘센트 형태의 상용전원 출력부(306)이 있어 각각 벽의 콘센트와 전기 기기의 전원 플러그에 접속된다. 이 때 개폐부(305)의 역할에 따라 상용전원 입력부(304)와 상용전원 출력부(306)가 서로 연계되기도 하고 끊어 지기도 한다. 서로 연결되면 전기 기기 에 전원이 공급되어 기기가 가동되고, 끊어지면 기기에 전원이 차단되어 가동이 중지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0)가 개폐기(300)를 인식하고 개폐기(300)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종류와 ID를 확인한 후, 사전에 설정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충족하도록 기기의 가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데 된다. 이 때, 휴대단말기에 센서가 있거나, 또는 개폐기 또는 주변에 별개의 장치로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휴대단말기로 주변 상황 값을 전송하여 이를 기반으로 휴대단말기는 개폐기에 전원의 개폐를 지시할 수 있다. 또는 개폐기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한 후, 자체 센서를 이용하여 기기를 스스로 제어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전기 기기별로 개폐기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한 편, 소형 기지국(200)은 개인환경서비스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소형 기지국은 휴대단말기(100)와 개폐기(300) 사이에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여 제어하는 생활 환경 범위를 특정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만약 가로등에 적용할 경우, 평소에는 가로등을 꺼놓고 있다가, 보행자가 휴대단말기를 휴대하고 보행하거나 차량을 타고 주행할 때, 개폐기는 이를 인식하고 해당 가로등을 켜는데, 도로 진행방향으로 여러 개의 가로등을 켜기 위해, 소형 기지국을 중간에 설치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의 영역을 특정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소형 기지국내의 인증부(202)에서는 통신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고 신뢰성이 있는 경우에만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휴대폰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 또한 게임을 할 때,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처의 TV나 오디오에 재생 데이터를 전송하여 큰 화면이나 스피커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소형 기지국(200) 내에는 메모리부(203)가 있어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통신IF부(204)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의 경우 휴대단말을 통해 저장이 가능하고, 통신IF부(204)는 인터넷이나 전화선 접속을 통해 저장이 가능하다. 저장된 데이터는 소형 기지국의 위치나 위치 관련 정보, 광고 등이 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기지국 제어부(201)의 제어하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주변에 휴대단말기가 접근할 때에 데이터를 방송한다. 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광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생활을 더 편리하게 발전시킨다. 특히 실내에서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저렴하고 실용적인 방법이 없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소형 기지국을 다량 설치한다면 매우 실용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매장에서 소형 기지국을 PC에 접속하여 상품 정보를 부근을 지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면 매출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매장에서 소형 기지국을 계산대에 접속하여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통신을 통해 결제 업무를 처리할 수도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에는 더 편리한 효과가 많은데, 결제된 내용을 종이 영수증이 아닌 전자 영수증으로 발급받아 추후에 PC에 접속하여 일괄적으로 프린트하던지, 이동통신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신용카드 결제시 결제 서버에서 전화선을 통해 승인 처리를 위한 시간 지연이나 사용자가 매번 서명을 해 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일정 금액 이하의 결제에 대해서는 간단한 휴대폰의 버튼 조작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일정 금액이상은 휴대폰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비밀번호를 눌러야 결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결제 금액 상한액 변경이나 결제 기능 중지 등의 기능을 이동통신사업자나 결제 사업자가 원격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형 기지국은 근거리 무선통신의 송신 출력을 조정하여 통신 거리를 한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결제와 같은 경우는 송신 출력을 최소로 줄이고, 위치 정보나 광고를 방송할 때는 송신 출력을 적당히 크게 한다. 출력의 조정도 통신IF부를 통해 컴퓨터나 인터넷으로 조정하던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IF부(204)는 소형 기지국(2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 상세 처리 과정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알 수 있는바,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개인환경서비스를 주도하는 휴대단말 기능, 전기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개폐기 기능, 개인환경서비스 정보를 통신하는 소형 기지국 기능이 하나의 실시예로 구현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각 기능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단말기 200 : 소형 기지국
300 : 전원 개폐기 101 : 단말 제어부
102, 202, 301 : 인증부 103 : 표시부
104 : 키패드부 105, 205, 303 : 근거리 무선통신부
201 : 기지국 제어부 203 : 메모리부
204 : 통신IF부 302 : 개폐기 제어부
304 : 상용전원 입력부 305 : 개폐부
306 : 상용전원 출력부

Claims (11)

  1.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기기들을 인식하고 사전에 입력된 선호 정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개폐기를 구비하고,
    상기의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생활 주변 환경을 사용자에게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입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패드부;
    개폐기 또는 소형 기지국과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제 1 근거리 무선통신부;
    통신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한 제 1 인증부;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선호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휴대단말기 또는 다른 개폐기 또는 소형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제 2 근거리 무선통신부;
    통신 상대방을 인증하기 위한 제 2 인증부;
    기기용 전원이 입력되는 상용전원 입력부;
    기기로 전원이 입력되는 상용전원 출력부;
    기기용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개폐부;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통해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 또는 기능 또는 ID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6.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기기들을 인식하고 사전에 입력된 선호 정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연동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개인 정보 또는 과금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소형 기지국를 구비하고,
    위치정보 또는 광고를 방송하거나 휴대단말기와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생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은,
    개폐기 또는 소형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3 근거리 무선통신부;
    통신 상대방을 확인하는 제 3 인증부;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은,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 컴퓨터, 계산대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IF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위치 또는 위치 정보, 광고를 주기적으로 또는 휴대단말기가 접근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전자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송신 출력을 조정하여 통신 거리를 한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KR2020080016919U 2008-12-22 2008-12-22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KR201000066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19U KR20100006636U (ko) 2008-12-22 2008-12-22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19U KR20100006636U (ko) 2008-12-22 2008-12-22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36U true KR20100006636U (ko) 2010-07-01

Family

ID=4445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919U KR20100006636U (ko) 2008-12-22 2008-12-22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3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0076A2 (en) * 2011-01-21 2012-07-26 T-Mobile Usa, Inc. Software-implemented communications adapter
KR20140006669A (ko) * 2012-07-06 2014-01-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내 측위용 근거리통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US10908568B2 (en) 2017-10-17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89425B1 (ko) * 2021-01-27 2021-08-12 정경수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0076A2 (en) * 2011-01-21 2012-07-26 T-Mobile Usa, Inc. Software-implemented communications adapter
WO2012100076A3 (en) * 2011-01-21 2012-11-01 T-Mobile Usa, Inc. Software-implemented communications adapter
KR20140006669A (ko) * 2012-07-06 2014-01-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내 측위용 근거리통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US10908568B2 (en) 2017-10-17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89425B1 (ko) * 2021-01-27 2021-08-12 정경수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0505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 управляемым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26650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380767A (zh) 移动终端和提供该移动终端方法的直接服务
CN101305547A (zh) 用于关闭通信链接的方法
AU20142634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portable terminal
CN102271182A (zh) 音频重放设备及其控制和使用方法,移动电话终端
CN105207994A (zh) 账号绑定方法与装置
KR20100006636U (ko)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환경서비스 장치
JP2010136238A (ja) 通信機器
KR10098058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CN112804395B (zh) 终端自动投屏连接方法及系统
KR10113687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1807174B1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시스템
KR10178866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6817A (ko)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는 마을 방송 시스템
KR101402796B1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KR100522234B1 (ko) 리모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139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1670789B1 (ko) 배터리 겸용 초음파 리모컨을 이용한 유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89470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KR20230054637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103637A (ko) 무료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방법
KR20230113860A (ko) WiFi 모듈과 알람 기능이 구비된 무선충전기
CN208298320U (zh) 具有Wi-Fi共享的付费电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