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46B1 -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46B1
KR102341646B1 KR1020200088789A KR20200088789A KR102341646B1 KR 102341646 B1 KR102341646 B1 KR 102341646B1 KR 1020200088789 A KR1020200088789 A KR 1020200088789A KR 20200088789 A KR20200088789 A KR 20200088789A KR 102341646 B1 KR102341646 B1 KR 10234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wireless charger
portable termi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680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정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1902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7139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정운경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20008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통신부(34), CPU(32), 메모리부(36),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35a)가 구비되고, 무선충전 모듈(33), 및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33a)가 더 구비된 무선충전기(10), 상기 무선충전기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20),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100), 및 상기 서버(100)와 연결되는 운영자 단말기(30)로 구성되고,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충전기(10)의 통신부(34)와 통신하므로서, 식당 및 공공 장소에서의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표시가 가능하고, 광고 표시를 한 다름 무선 충전이 실시되도록 하므로서, 식당 및 공공 장소 사용자는 무선충전기기 제공에 대한 비용을 광고 표시로 상쇄할 수 있도록 하여, 공공 장소에서의 무선충전 시스템이 더 활성화되게 된다.

Description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ER WITH ULTRA SHORT RAGE ANTENNA}
본 발명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수십 cm 이내의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초 근거리 통신망과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식당 등에서 무선충전을 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을 하기 전에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우리 일상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점심이나 저녁 때 팀원들끼리 식당에 가면 음식 주문을 한 후 서로 말을 하지 않고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만 들여다 본다. 즉, 스마트폰은 일상을 바꿔놓았다. 학교 앱을 실행해 편리하게 수강신청을 하고 ‘도서관’을 눌러 열람실을 예약하며 식당 메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시대에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한다면, 식당이나 가게 등에서 주문과 결재를 할 때 상당히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즉,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영화를 보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스마트폰의 밧테리가 쉽게 소진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공공 장소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4-0110417호에서는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송 코일;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 상기 전송 코일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314772호에서는 “휴대폰 및 스마트폰 등의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기(1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조정신호에 따라 각종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2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호출신호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호출기(22)와, 광고용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10)와 모니터(20)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처리부(40)와, 상기 무선 충전기(10), 모니터(20), 무선 호출기(22) 및 신호처리부(40)를 동시 수납 설치하여 테이블(30) 위에 설치되는 케이싱부재(50)로 이루어져 있는 광고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거나, 무선충전 장치에 광고 표시용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식당이나 공공 장소 등에서 무선충전을 하기 위한 대가로 광고가 표시되지만, 사전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광고 표시와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110417(2014.09.17.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14772(2013.09.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식당 및 공공 장소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근거리 통신 망을 사용하여 식당 정보와 좌석 정보를 얻고, 서버와 연결하여 광고가 표시되고, 광고 표시된 다음에 무선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서버가 존재하고, 서버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에서, 무선충전기에 CPU와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외부에 존재하거나 혹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내부에 존재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무선충전기에 놓여지면, 상기 무선충전기의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가 전달되고, 코드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연결되도록 하는 URL 정보, 상기 무선충전기가 위치한 가맹점 정보, 상기 무선충전기가 장착된 테이블 정보(혹은 무선충전기의 식별 정보)이고,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에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서버에서 제공 받은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코드 정보를 전송한 무선충전기를 ON 하는 신호를 보내고, 서버의 ON 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를 전송한 무선충전기의 CPU가 무선충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그리고, 서버(100)의 제어부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광고 정보 혹은 필요한 정보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2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당 및 공공 장소에서의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표시가 가능하고, 광고 표시를 한 다름 무선 충전이 실시되도록 하므로서, 식당 및 공공 장소 사용자는 무선충전기기 제공에 대한 비용을 광고 표시로 상쇄할 수 있도록 하여, 공공 장소에서의 무선충전 시스템이 더 활성화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무선충전기의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무선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11와 도 12는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충전기 위에 올려놓았을 때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내지 도 3은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의 도면에서처럼,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10)에는 무선충전 영역(11)과 초 근거리 통신 영역(12)이 존재한다.
즉,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에는 무선충전기능과 초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능이 존재한다.
무선충전 영역(11)은 무선충전 에너지 송신 안테나가 위치한 영역으로, 상기 영역에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에너지 수신 안테나가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초 근거리 통신 영역(12)은 스마트폰에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으로, 무선 데이터 송신 안테나가 위치한 영역이다.
도 2은 본원 발명의 무선 충전기(10)에 테이블(5)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테이블(5) 상단에 구비된 무선충전기(10)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20)(스마트 폰)를 올려 놓으므로서, 무선충전과 광고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A)는 무선충전기(1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충전기 케이스(17) 내부 아래쪽에 부품부(16)가 존재하며, 상기 부품부(16)는 상기 무선충전기(10)를 이루는 부품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부(16)를 구성하는 부품에는 무선충전 기능을 하는 부품, 통신하는 부품, NFC(초 근거리 통신) 통신을 위한 부품),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초 근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와 무선으로 충전 에너지를 전송하는 무선충전 송신 안테나(14)가 구비되며, 도 3의 (B)에서처럼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내부에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가 위치한다.
한편, 기판(15)이 더 구비되어, 상기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가 상기 기판(15) 위에 장착되고,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상기 기판(15) 위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상부 케이스(17)(케이스를 상부와 하부로 구별할 때 상부에 해당된다는 의미임.) 표면 아래쪽 혹은 바깥 위쪽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7)에 부착될 때에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필름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필름 기판을 상부 케이스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단지 케이스(17) 상부 바깥 위쪽 표면에 부착될 때에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 위에 보호필름을 더 부착하여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를 보호한다.
몰론 경우에 따라서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를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외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즉,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에 사용되는 무선충전기는 통상의 표준형 무선충전기이며, 초 근거리 데이터 통신은 NFC 통신이다.
초 근거리 통신은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초 근거리 통신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이라면 반드시 NFC 통신 수단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무선충전기(10)은 테이블(5) 당 1개가 장착될 수 있지만, 테이블(5)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특징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은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20)가 본원 발명의 무선 충전기(10)에 올려 놓여지면, 상기 무선 충전기(10)에 장착된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를 수신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3)에는 상기 서버(100)의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4는 무선충전기의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의(A)와(B)의 실시예의 설명의 방법으로 수신 받은 “URL 정보 문자(코드)(14a)”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100)와 연결된다.(이때, 휴대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확인 혹은 동의”와 같은 선택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10)의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가 전달 받은 코드는 다시 서버(100)에 전달되며, 서버(100)에 전달되는 코드는“URL 정보 문자(코드)(14a)”와 함께, 구분 문자(코드)(15a),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a) 및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a) 정보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다른 정보의 코드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로 예시된 구분 문자(코드)(15a)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한다. 따라서,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a)와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a)는 서버(100)가 정보로 인식한다. 즉, 서버(100)는 000 가맹정의 000 테이블에 장착된 무선충전기(1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임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편의상 “0000”와 “000”의 형태로 했으나,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로 만들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가맹점 식별 문자(16)가 "KA01"이면 서버(100)가 강남구 제 1번 가맹점으로 인식할 수 있고, 테이블 식별 문자(17)가 “002”이면 서버(100)가 2 번째 테이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를 서버(100)는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구분하는 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내지 도 8은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가맹점 내에서 제 1 테이블(5)의 무선 충전기(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5)의 무선 충전기(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무선 충전기(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하면, 상기 단말기는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20)는 별도 서버(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와도 접속가능하며, 이 경우는 최초로 접속된 서버(100)에 의하여, 별도 서버의 URL 정보틀 얻게 되어 접속된다.
이때, 별도 서버는 광고를 제공하거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서버(100)는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와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물론, 운영자 단말기(30)는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일 수 있다. 만일 운영자 단말기가 컴퓨터 라면, 운영자 단말기에는 서버(100)와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콘텐츠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도 별도 서버와 연결된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20)와 그 구성이 비슷하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20)에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면 운영자 단말기(30)에도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다,
휴대용 단말기(20), 서버(100) 및 운영자 단말기(30)는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도 6은 서버(100)와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유무선 인터넷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의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101), 및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1)(중앙처리장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휴대용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1)(CPU)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22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2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2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통신모듈(2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26)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는 스피카와 센서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1)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3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4a)를 통해서 입력장치(24)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 입력장치(24)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도 8은 서버(100), 운영자 단말기(30) 및 무선충전기(10)가 연결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유알엘 정보와 가맹점 및 무선충전기(10)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연결된 무선충전기(10)가 위치한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가맹점의 무선충전기(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서버와 연결된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단말기이며, 특정한 가맹점으로 식별된 운영자 단말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 단말기(10)는 가맹점 내에 다수의 무선충전기(10-1)(10-1)(10-n)와 연결된다. 운영자 단말기(10)는 가맹점 내에 다수의 무선충전기(10-1)(10-1)(10-n)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수백 미터 이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WiFi 가 될 수 있지만, 반드시 WiFi 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운영자 단말기(30)에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다수의 무선충전기(10-1)(10-1)(10-n)와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20), 서버(100), 운영자 단말기(30) 및 무선충전기가 각각 연결되는 단계는 아래와 같게 된다.
- 아래 -
1) 무선충전기(1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올려 놓여지면, 상기 무선충전기(10)에 장착된 초 근거리 통신 수단인 NFC 태그를 통하여, URL 정보, 가맹점 정보, 무선충전기가 장착된 테이블 정보(혹은 무선충전기의 정보, 여기서 무선충전기의 정보는 00 가맹점의 00번째 무선충전기임을 알 수 있은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된다.
2)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중앙처리장치(21)는 통신모듈(25)과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무선충전기(10) 내의 초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받은 URL의 주소로 연결 가능한 서버(100)이다.
3) 서버(100)의 제어부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광고 정보 혹은 필요한 정보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동영상이다.
4) 상기 서버(100)의 웹 페이지와 연결된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중앙처리장치(21)는, 디스플레이(23)를 통하여 서버(100)의 웹 페이지 내용을 표시한다.
5) 상기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무선충전기(10) 위치한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와 서버(100)를 연결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무선충전기(10) 위치한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는 가맹점의 회원 코드 혹은 아이디로 식별된다.
즉, 상기 무선충전기(10)가 위치한 가맹점 "kang01"의 아이디 혹은 회원 코드가 "abcde01"이라면, "abcde01"로 가입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단말기가 운영자 단말기(30)가 된다.
6) 상기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서버의 웹페이지를 통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광고 정보 혹은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면, 운영자 단말기(30)에 무선충전기(10)를 "ON" 하라는 명령 신호를 보낸다.
이때,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3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어 있는 무선충전기(10)를 "ON" 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보낸다. 휴대용 단말기(20)로 부터 무선충전기(10)의 식별 코드(테이블 식별 코드)를 전송 받았기 때문이다.
7) 운영자 단말기(30)의 중앙처리장치는 서버(100)로 부터 전송받은 식별 코드를 가진 무선충전기(10)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ON" 하는 신호를 보낸다.
8) 운영자 단말기(30)로부터 "ON" 신호를 받은 무선충전기(10)는 무선충전 전력 에너지를 무선충전 송신 안테나(14)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여, 무선충전기(10)는 무선충전을 시작한다.
9) 일정 시간이 지나면, 운영자 단말기(30)는 무선 충전을 "OFF" 하라는 신호를 무선충전기(10)에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3)에 필요한 정보를 또 다기 표시하도록 한 다음, 상기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무선충전기가 무선충전을 다시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무선충전기(10)에는 통신부(34), CPU(32), 메모리부(36),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35a)가 구비되고, 무선충전 모듈(33), 및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33a)가 구비된다.
운영자 단말기(30) 혹은 운영자 단말기(30)의 제어로 작동하는 통신 기기는 와이파이나 불루트스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충전기(10)의 통신부(34)와 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운영자 단말기(30)에 의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CPU(32)는 무선충전 모듈(33)을 통하여 무선충전을 시작하거나 중단한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상기 무선충전기(10)에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코드도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코드는 본원 발명의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코드이다.
상기 무선 충전기(10)가 통신부(34)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무선 충전기(10)의 CPU(32)는 메모리부(36) 부에 상기 코드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CPU(32)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33a)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접근됨이 확인되면, 상기 CPU(32)는 상기 메모리부(36) 저장된 상기 코드를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코드는 상기 초 근거리 통신 모듈과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드에서 URL 코드는 서버에서 전송받으며, 테이블 코드는 운영자 단말기를 통하여 생성된다. 운영자 단말기를 통하여 테이블 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테이블 코드는 서버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CPU(32)가 무선충전을 실시하는 동안은 초 근거리 통신 모듈을 차단하여 서로 간에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이다.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35a)는 전기적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게 된다.
도 10의 실시예의 방법에 의한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35a)는 통상의 NFC 태그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 근거리 통신 모듈(35)에는 코드를 저장할 수 기능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10의 실시예에서 NFC 태그에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은, 운영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운영자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기능에는 NFC 태그를 라이팅(Writing)하는 기능이 존재하므로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운영자 단말기를 무선충전기(10)에 밀착하여 정해진 프로그램의 방법으로 NFC 태그에 코드를 라이팅할 수 있다,
아울러, NFC 태그와 무선충전기 CPU가 분리되어 있으면, 무선충전 중에 NFC 태그에 의하여 URL 신호가 전송되어, 무선충전 중에 서버의 광고 웹페이지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광고 웹페이지 표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100)는 무선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에서 URL 신호를 전송 받으면, 광고 웹에이지 표시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에서 URL 코드는 서버에서 전송받으며, 테이블 코드는 운영자 단말기를 통하여 생성된다. 운영자 단말기를 통하여 테이블 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테이블 코드는 서버로 전송된다,
도 11와 도 12는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 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광고 정보(혹은 필요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가맹정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메뉴나 상품, 가맹점 위치,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정보는 제 1 테이블, 제 2 테이블처럼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수이다.
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충전이 발생될 경우 충전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주방에 있는 사람, 카운터에 있는 사람 및 가맹점 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운영자 단말기(30)이다.
광고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광고가 표시될 경우 광고 표시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광고 정보는 반드시 광고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본원 발명의 무선충전기가 공공 장소에 위치하여 있으면, 해당 공공장소의 소개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맹점의 특성이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광고 정보도 달라지게 되면, 이렇게 가맹점에 따라 구별되는 광고 정보도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12는 가맹점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에서처럼 가맹점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아이디(회원 번호), 가맹점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가맹점이 취급하는 물품이나 매출 동향등 가맹점의 특징도 저장된다, 또한, 상기 가맹점에서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에 대한 정보도 저당된다.
아울러, 상기 가맹점 내의 테이블에서 충전 혹은 광고 표시가 일어난 내역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1번 가맹점부터 n번 가맹점까지의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도 13은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충전기 위에 올려놓았을 때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실시예이다.
휴대용 단말기(20)를 무선충전기에 올려놓으면,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여 서버(100)의 웹페이지 화면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
이때. 서버의 웹페이지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형태의 실시예가 도 13이 된다.
테이블 정보창(50)에 테이블 정보가 표시되고, URL 정보창(51)에는 URL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무선충전 시작 확인이 선택(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24)를 통하여 선택 입력)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웹페이지에 광고 표시를 하고,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의 광고 표시가 끝이 나면, 서버(100)의 제어부는 운영자 단말기(30)에 무선충전기(10) "ON"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10 : 무선충전기 11 : 무선충전 영역
12 : 초 근거리 통신 영역 13 :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
14 : 무선충전 송신 안테나 15 : 기판
16 : 부품부 17 : 케이스
20 ; 휴대용 단말기 30 : 운영자 단말기
100 : 서버 101 : 제어부

Claims (3)

  1. 서버가 존재하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가 존재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에서,
    상기 무선충전기에 CPU와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외부에 존재하거나 혹은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13)는 무선 충전 송신 안테나(14)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무선충전기에 놓여지면, 상기 무선충전기의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연결되도록 하는 URL 정보, 상기 무선충전기가 위치한 가맹점 정보, 상기 무선충전기가 장착된 테이블 정보(혹은 무선충전기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에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서버에서 제공 받은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코드 정보를 전송한 무선충전기를 ON 하는 신호를 보내고,
    상기 서버의 ON 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코드 정보를 전송한 무선충전기의 CPU가 무선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 아이디, 가맹점이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주방에 있는 사람 혹은 카운터에 있는 사람 혹은 가맹점 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3. 삭제
KR1020200088789A 2016-09-19 2020-07-17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34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789A KR102341646B1 (ko) 2016-09-19 2020-07-17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26A KR102137139B1 (ko) 2016-09-19 2016-09-19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0200088789A KR102341646B1 (ko) 2016-09-19 2020-07-17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26A Division KR102137139B1 (ko) 2016-09-19 2016-09-19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80A KR20200090680A (ko) 2020-07-29
KR102341646B1 true KR102341646B1 (ko) 2021-12-21

Family

ID=7916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789A KR102341646B1 (ko) 2016-09-19 2020-07-17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658B1 (ko) 2020-12-24 2023-01-0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무선충전기 및 무선충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79B1 (ko) * 2012-02-28 2014-04-09 (주)엠에이피테크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 및 외부출력 작동시스템
KR101870181B1 (ko) * 2012-05-14 2018-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47497B1 (ko) * 2012-12-17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40726B1 (ko) 2013-03-07 2020-08-04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314772B1 (ko) 2013-03-27 2013-10-04 서강철 광고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
KR101597878B1 (ko) * 2013-11-25 2016-03-02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거치대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KR20160041473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스마트원 무선충전 및 nfc 상호 제어 기능을 겸비한 무선충전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82234B1 (ko) * 2015-01-19 2016-12-06 주식회사 탐생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충전방법 및 장치,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120895A (ko) * 2015-08-24 2015-10-28 주식회사 탐생 피광고 행위를 조건으로 하는 콘센트의 통전 방법 및 컴퓨터와 결합되어 이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80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1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over LTE
CN104380767A (zh) 移动终端和提供该移动终端方法的直接服务
US20070135112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multimedia or communication device
CN107645056A (zh) 终端天线和终端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137139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616289B1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3110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KR101420156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홈 쇼핑환경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홈 쇼핑방법
KR20230054637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00005043A (ko)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530908B1 (ko) 주문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34912A (ko) 프로모션 알림 기능을 구비한 주문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106853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KR20190044724A (ko) 충전기와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90089470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KR20190026109A (ko) 충전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80106297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80040540A (ko) 주문 결재가 가능한 진동벨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210079257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170104792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30113860A (ko) WiFi 모듈과 알람 기능이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90128307A (ko)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진동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