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43A -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43A
KR20200005043A KR1020180078216A KR20180078216A KR20200005043A KR 20200005043 A KR20200005043 A KR 20200005043A KR 1020180078216 A KR1020180078216 A KR 1020180078216A KR 20180078216 A KR20180078216 A KR 20180078216A KR 20200005043 A KR20200005043 A KR 20200005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karaoke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정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정운경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18007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043A/ko
Publication of KR2020000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휴대용 단말기(20)는 “URL 정보 문자(14)”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에는 “URL 정보 문자(14)”와 함께, 구분 문자(15), 가맹점 식별 문자(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17) 정보도 전송되고, 구분 문자(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하고, 서버(100)는 구분 문자(15) 뒤에 위치한 노래방 가맹점 식별 문자(16)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위치한 가맹점을 확인하고, 상기 노래방 가맹점의 메뉴나 상품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하므로서, 노래방 가맹점의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상품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고, 상기 연결된 서버는 주문 혹은 결재된 정보를 식당 운영자에게 제공하므로서, 주문과 결재과 종래와는 다르게 훨신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ORDER SYSTEM WITH THE LOCAL COMMUNICATIONS IN THE KARAOKE ROOM}
본 발명은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수십 cm 이내의 거리에서 초 근거리 통신망과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노래방에서 상품 주문 및 노래 선곡 등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결재도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우리 일상이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점심이나 저녁 때 팀원들끼리 식당에 가면 음식 주문을 한 후 서로 말을 하지 않고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만 들여다 본다. 즉, 스마트폰은 일상을 바꿔놓았다. 학교 앱을 실행해 편리하게 수강신청을 하고 ‘도서관’을 눌러 열람실을 예약하며 식당 메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시대에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한다면, 주문과 결재를 할 때 상당히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영화 예약을 하거나 음식을 주문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식당을 방문하여야 하는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고 결재까지 할 수 있다면 훨씬 편리한 여가 생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 결재 시스템이 피씨방에 맞도록 개발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44528호에서는 “쇼핑몰이 구축된 PC방 컴퓨터를 통해 중앙서버에 이용자를 등록한 후, 해당 쇼핑몰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희망 제품 정보를 검색하는 제 1 과정; 상기 검색한 제품을 구매 선택한 후 결제를 진행하는 제 2 과정; 상기 결제방법이 결정됨에 따라 중앙서버에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인증 및 결제를 완료한 후 배송지가 결정되면 공급업체에 통보하여 해당 물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제 3 과정; 상기 배송지가 결정되면 상기 주문, 구매, 결재 및 배송지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이용자영역에 저장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방을 이용한 네트워크 쇼핑몰을 통한 전자상거래방법. ”을 제공하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45874호에서는 “가맹점 내부에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그 상품의 판매량과 재고량을 가맹점서버는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서버를 관리하는 운영자는 가맹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판매량과 재고량을 파악하여 공급예측량을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맹점서버의 관리자는 전송받은 공급예측량을 이용하여 상품을 발주량을 결정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서버를 관리하는 운영자는 가맹점의 발주량을 확인하여 유통업체에 발주를 한 후, 가맹점에 상품 도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방 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발주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 콘텐츠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주문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콘텐츠는 아니다. 그리고, 근래에 상용화된 주문이나 결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주문 할 수 있고, 좌석에 대한 정보도 바로 알 수 있어, 음식을 제공하는 운영자도 훨씬 편리하게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3-0044528, 공개일(2003년06월09일) 인용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03-0045874, 등록일(2003년06월12일 )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방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근거리 통신 망 혹은 QR 코드를 사용하여 피씨방 정보와 좌석 정보를 얻고, 서버와 연결하여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주문 혹은 결재된 정보를 노래방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20)는 “URL 정보 문자(14)”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에는 “URL 정보 문자(14)”와 함께, 구분 문자(15), 가맹점 식별 문자(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17) 정보도 전송되고, 구분 문자(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하고, 서버(100)는 구분 문자(15) 뒤에 위치한 가맹점 식별 문자(16)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위치한 가맹점을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메뉴나 상품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메뉴나 상품의 결재가 선택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결재가 가능한 별도 서버(15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를 통하여 결재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방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상품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고, 상기 연결된 서버는 주문 혹은 결재된 정보를 노래방 운영자에게 제공하므로서, 주문과 결재과 종래와는 다르게 훨신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내지 도 3은 본원 발명이 실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8은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와 도 10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내지 도 13은 본원 발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과 2는 통상의 노래방 시스템을 설명한 예시이다.
도 1에는 노래방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노래방기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노래방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는, 다수의 노래방기기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RF제어신호를 송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하여 된 RF노래방리모컨과, 이 RF노래방리모컨에서 송신하는 RF제어신호를 수신하여 RF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RF모듈을 구비하여 된 RF노래방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은, RF노래방수신기를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가 구비된 키 입력부와, 이 키 입력부의 작동에 따른 입력신호를 RF노래방수신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와, 이 송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RF노래방수신기에 RF제어신호로 송신하는 제1RF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RF노래방수신기의 구성은, 노래반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노래반주 데이터를 출력하여 마이크(11)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구비된 RF노래반주기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RF노래방수신기의 일 실시예인 RF노래반주기(30)는, RF노래방리모컨의 제1RF모듈로부터 키 입력부의 RF제어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제2RF모듈과, 이 제2RF모듈로부터 RF제어신호를 수신하여 RF노래방수신기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와, 자신의 ID(또는 어드레스)가 저장된 ID메모리부를 공통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 제어부는 RF노래방리모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RF노래반주기(30)는, 사용자가 직접 여러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 키 조작부와, 노래반주 데이터는 물론이고 가사 및 영상데이터와 각종 기능인식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수신 제어부로부터 노래 가사 및 영상과 노래반주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노래 가사 및 영상 데이터는 모니터로 출력하도록 하고 노래반주 데이터는 증폭기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RF노래반주기(30)에는, 상기 음성/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노래반주 데이터와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이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노래반주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영상 처리부로부터 노래 가사 및 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RF노래방리모컨과 RF노래방수신기에는, RF노래방리모컨과 RF노래방수신기가 페어링(pairing)되도록 작동하기 위한 페어링 버튼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의 일 실시예로 RF노래방리모컨의 페어링 버튼은, RF노래방리모컨에 구비된 OK 버튼과 ENTER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RF노래반주기 이외에도 RF노래방수신기는, 노래방에 설치되어 RF노래방리모컨의 RF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노래방에 통상 구비되는 것으로, 주변의 분위기가 노래의 분위기와 부합되도록 광선을 사용하여 연출하는 조명기구 사용자 등 피사체를 촬영하는 폐회로 카메라, 이 폐회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비디오디스크 레코더를 포함하는 녹화기가 있다.
이와 같은 RF노래방수신기에는 2.4GHz의 다른 기기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10개의 RF 채널(channel)이 구비된다.
즉,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의 키 입력부로부터 키 입력이 있으면 RF노래방수신기에 구비된 10개의 RF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채널을 1회씩 변경하면서 최상의 RF 채널 주파수를 인지하여 키 코드(key code)를 RF노래방수신기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RF노래방수신기에 구비된 10개의 RF 채널을 이용하여 이들 10개의 주파수 채널을 1ms 간격으로 탐색(search)하여 최상의 채널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의 송신 제어부와 제1RF모듈을 통해 RF제어신호가 RF노래반주기로 송신된다. 이어서,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의 RF제어신호는 RF노래반주기의 제1RF모듈과 수신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RF노래방리모컨의 RF제어신호를 수신한 RF노래반주기의 수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RF 노래방수신기인 RF노래반주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RF노래방리모컨의 송신 신호가 RF(Radio Frequency)신호로 전송하는 무선전파통신(RF통신)을 함으로써, 노래방 내에 설치된 시설물, 여러 노래방기기 및 노래방 내의 벽 등에 의해 신호 송신이 간섭(또는 방해)받지 않는다.
도 3은 테이블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칩을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통신칩 영역(131)이 형성된 진동기(130)가 테이블(5)에 장착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본원 발명의 근거리 통신칩을 진동기(130)에 설치 할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칩 만 테이블(5)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칩(혹은 진동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칩)을 통하여 주문, 노래 선곡, 결재, 완성 등의 기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품 완성의 정보가 입력장치 혹은 운영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진동기(130)가 동작 알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기(130)를 통하여 알람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사용자는 테이블(5) 상단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칩(10) 상단에 휴대용 단말기(20)(스마트 폰)를 올려 놓으므로서, 주문 및 결재가 가능하게 된다.
도 4의 도면은 근거리 통신칩의 개요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칩(10)은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칩(10)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통신칩(10)은, 맨 아래에 접착제가 코팅된 필름 형태의 부착 필름(11)이 구비되어 근거리 통신칩(10)을 테이블 등에 부착하고, 상기 부착 필름 위에 NFC 태그 부품(12)이 구비되며, 다시 맨 위에 QR 코드 인쇄 보호필름(13)이 구비되어, NFC 태그 부품을 보호한다.
본원 발명의 특징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주문 혹은 결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띠라서, 근거리 통신칩(1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접속될 때,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에 주문 결재, 노래 선곡등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송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 노래방 정보, 및 테이블(5)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다.
도 5은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서버와 연결되고, 노래방 정보와 테이블 정보(노래방에서 개별 방의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 수신 받은 “URL 정보 문자(코드)(14)”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된다.(이때, 휴대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확인 혹은 동의”와 같은 선택이 입력되어야 할 수도 있다.)
- 서버에는 “URL 정보 문자(코드)(14)”와 함께, 구분 문자(코드)(15), 노래방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 정보도 전송된다.
- “??”로 예시된 구분 문자(코드)(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한다. 따라서, 노래방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16)와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17)는 서버(100)가 정보로 인식한다. 즉, 서버(100)는 000 가맹정의 000 테이블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임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노래방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0000”와 “000”의 형태로 했으나,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로 만들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피씨방 가맹점 식별 문자(16)가 "KA01"이면 서버(100)가 강남구 제 1번 가맹점으로 인식할 수 있고, 테이블 식별 문자(17)가 “002”이면 서버(100)가 2 번째 테이블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서버는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를 구분하는 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도 3의 실시예예 도시된 정보를 QR 코드를 통하여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근거리 통신칩(10)의 상단에 구비된, NFC 태그 부품(12)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은 QR 코드 보호필름(13)으로 한다. 즉, QR 코드 보호필름(13)은 QR 코드가 인쇄된 보호 필름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도 3의 정보가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고, 또한 QR 코드로부터 인식될 수도 있다. 물론, QR 코드 이외에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를 통하여 인식될 수도 있으므로, QR 코드 이외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코드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가 인쇄된 저장된 통신칩(10)이라면 본원 발명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도 6내지 도 9는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노래방 가맹점 내에서 제 1 테이블(5)의 근거리 통신칩(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5)의 근거리 통신칩(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근거리 통신칩(10)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하면, 상기 단말기는 모두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연결되는 방법은 도 5의 실시예에 준하게 된다.
물론, 제 1 테이블(5)의 정보 저장 코드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5)의 정보 저장 코드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정보 저장 코드를 인식한 휴대 단말기를 20-n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와도 접속가능하며, 이 경우는 최초로 접속된 서버(100)에 의하여, 별도 서버(150)의 URL 정보틀 얻게 되어 접속된다.
이때, 별도 서버(150)는 광고를 제공하거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노래방 기기(2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노래방 기기(220)도 각각의 테이블(5)에 부속된다. 즉 제 1 테이블에 부속된 노래방 기기를 220-1 이라하고, 제 2 테이블에 부속된 노래방 기기를 220-2 이라하고, 마찬가지로 즉 제 n테이블에 부속된 노래방 기기를 220-n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든 노래방 기기(2201-)(220-2)(220-n)은 서버(100) 혹은 별도 서버(150)와 연결된다.
도 7은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의 연결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고객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칩(10) 혹은 근거리 통신칩(10) 상단에 인쇄된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를 통하여 서버(100)에 연결된다. 그러나,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는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는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때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도 별도 서버(150)와 연결된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20)와 그 구성이 비슷하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20)에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면 운영자 단말기(30)에도 존재하는 구성 부품이다,
한편, 노래방 가맹점은 1개 이상 운영될 수 있다, 즉, 제 1 노래방 가맹점이 존재하고, 제 2 노래방 가맹점도 존재하며 제 n 노래방 가맹점도 존재하다. 따라서, 제 1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를 30-1, 제 2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를 30-2, 제 n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를 30-n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든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30-1)(30-2)(30-n)은 서버(100) 혹은 별도 서버(150)와 연결된다.
도 8은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와 사용자 컴퓨터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노래방 가맹점 운영자 단말기는 복수개의 노래방 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하나의 개맹점에는 여러개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상기 여러개의 테이블 각각에는 상기 테이블(5)에 부속된 노래방 기기(220-1)(220-2)(22-n)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운영자 단말기(30)는 상기 모든 노래방 기기(220)(220-2)(22-n)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혹은 원거리 통신망을 의미하며 사용자 노래방 기기(220-1)(220-2)(22-n)와 운영자 단말기(30)가 정보를 주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모든 통신망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컴퓨터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이면, 운영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자 단말기(30)가 휴대용 단말기라면 운영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운영자 단말기(30)는 서버(100) 혹은 별도 서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서버(100)와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유무선 인터넷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의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101), 및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1)(중앙처리장치),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도 8에서는 단말기와 서버와 연결될 때, 1 개의 서버를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1 개 이상의 별도 서버(15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즉, 광고를 제공하는 서버 혹은 소식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혹은 결재가 가능한 서버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서버의 구비는 통상의 서버 연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은 휴대용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1)(CPU)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22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2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2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통신모듈(2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26)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는 스피카와 센서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1)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3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4a)를 통해서 입력장치(24)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 입력장치(24)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1과 도12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 주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결재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가맹정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노래방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메뉴나 상품, 가맹점 위치,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정보는 제 1 테이블, 제 2 테이블처럼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수이다.
주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이 발생될 경우 사용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사용 기록은 아래 두가지 종류가 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노래방 기기(220)을 사용하는 사용 기록이다.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음료나 음식을 주문할 경우의 사용 기록이다.
또한,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운영자 단말기(30)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결재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결재가 발생될 경우 결재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12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11에서처럼 가맹점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아이다(회원 번호), 가맹점이 위치하는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가맹점이 취급하는 물품이나 매출 동향등 가맹점의 특징도 저장된다, 또한, 상기 가맹점에서 취급하는 상품이나 메뉴에 대한 정보도 저당된다.
아울러, 상기 가맹점 내의 테이블에서 주문 혹은 결재가 일어난 내역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 주문 실행 단계 -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각의 구성으로 만들어진 본원 발명의 주문이 실행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 1 단계 : 근거리 통신칩(10) 혹은 코드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와 연결된다,
도 3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수신 받은 “URL 정보 문자(14)”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는 서버와 연결된다.(이때, 휴대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확인 혹은 동의”와 같은 선택이 입력될 수 있다.)
- 2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와 연결된 서버(100)에는 “URL 정보 문자(14)”와 함께, 구분 문자(15), 가맹점 식별 문자(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17) 정보도 전송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로 예시된 구분 문자(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한다. 따라서, 노래방 가맹점 식별 문자(16)와 테이블 식별 문자(17)는 서버(100)가 정보로 인식한다.
- 3 단계 : 서버(100)는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에 가맹점 정보를 전송한다,(혹은 가맹점 정보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열어준다.) 이때 상기 지정된 웹페이지는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테이블(5)이 위치한 가맹점의 페이지이다.
즉,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구분 문자(15) 뒤에 위치한 가맹점 식별 문자(16)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위치한 노래방 가맹점을 확인하고, 도 9와 도 10의 정보 저장 방법에 의하여 저장된 상기 가맹점의 메뉴나 상품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선택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혹은 상기 가맹점의 웹 페이지 정보를 열어준다.)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에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도 있다,
- 4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가맹점 정보를 통하여 입력장치(24)에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주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의 노래방 가맹정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영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상품 정보는 음식 메뉴 혹은 사용자 컴퓨터의 사용 정보이다,
한편, 운영자 단말기(30)가 휴대용 단말기가 아니고 컴퓨터일 경우에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에는 서버(100)가 열어준 가맹점 웹페이지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서버(100)에 연결된 운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주문 정보와 결재 정보가 표시된다. 즉 새로운 주문 정보가 생성되면 서버의 제어부(101)는 데이터 베이스(104)에 상기 가맹점의 새로운 주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가맹점 웹 페이지를 변경하여 준다, 그렇게 되면 상기 운영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에는 변경된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정보는 음식 메뉴 혹은 노래방 기기(220)의 사용 정보이다,
-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메뉴나 상품의 결재가 선택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결재가 가능한 별도 서버(15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를 통하여 결재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00)는 결재 정보를, 상기 가맹점의 운영자 단말기(30)에 전송하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본원 발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근거리 통신칩(10)에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 놓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에는 가맹점 정보(50), 서버 유알엘 정보(51), 및 확인(52) 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확인(52)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100)에 연결되게 된다, 이?, 본원 발명의 시스템에 연결된 경험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의 경우에는 상기 확인(52) 선택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4는 서버(100)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된 테이블(5)이 위치한 가맹점의 상품이나 메뉴(60)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메뉴창(60)에는 상품이나 음식명등 메뉴(61)가 표시되고, 선택된 메뉴(62a)와 선택되지 않은 메뉴(62b)를 구별하는 표시가 존재하고, 메뉴 화면을 위 혹은 아래로 이동 시키는 마크(64)가 존재하고, 주문 수량(63)이 표시된다.
또한, 결재창(70)에는 주문한 음식의 총 가격(71)이 표시되고, 결재 확인 버튼(73)도 표시된다. 이때, 결재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결재가 실행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 실행되는 결재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결재할 수 있는 통상의 결재 방법이 적용된다.
아울러, 광고창(73)이 구비되어 상기 광고창(73)에는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광고는 광고 서버(150)에서 제공되는 광고가 표시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수도 있고, 본원 발명의 서버(100)에서 광고가 제공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위한 방법은 2가지가 존재하게 된다.
첫째는 서버(100)의 제어부가 휴대용 단말기(20)에 웹페이지를 열어주고 상기 웹 페이지가 휴대용 단말기(20)에 표시된다,
둘째는 휴대용 단말기(20)에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버(10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준다.
도 15는 운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고객이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칩(10)에 의하여 서버 주소를 전달 받아 서버에 접속된다. 반면, 운영자 단말기의 메모리부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자 단말기(30)의 제어부가 실행하여 운영자 단말기(30)가 서버(100)에 접속된다.
운영자가 운영하는 가맹점의 테이블(5)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주문 혹은 결재가 발생되면,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기(30)에 주문창(85) 혹은 결재창(80)의 형태로 주문 정보와 결재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운영자 단말기(30)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정해진 방법대로 주문창과 결재창이 표시된다. 각각의 테이블 별(81)(86)로 주문 정보와 결재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음식이 만들어 진 경우에 대한 구별(83)(88)도 표시되고, 위 혹은 아래로 화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크(84)(89)도 표시된다.
아울러, 광고창(90)도 표시되어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결재를 실시하는 휴대용 단말기(20)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의 단계에서 결재를 선택하면, 도 16의 실시에에서처럼 결재 가능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때, 결재 진행은 본원 발명의 서버(100)에서 진행할 수도 있고, 결재가 진행가능한 별도 서버(150)에서 진행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20)가 자체적으로 실행 가능한 결재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16의 단계에서처럼 결재가 진행되면, 결재 상황(00 테이블에서 00를 주문한 것에 대한 결재)을 운영자 단말기(30)에 송신한다.
한편, 결재 진행(96)을 하게 되면, 다양한 결재 수단이 휴대용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휴대용 단말기(20) 사용자는 다양한 결재 수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결재할 수 있다.
주문한 상품이나 음식이 완성되면, 운영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음식 완성을 서버(100)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100)는 음식이 완성되었음을 본원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0011 번 가맹점 21번 테이블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음식 주문과 결재를 하면, 서버(100)는 0011 매장에 21 번 테이블의 주문과 결재를 0011 매장의 운영자 단말기에 통보한다,
그리고, 음식이 완성되면, 001 매장의 운영자 단말기(30)는 서버에 21번 테이블의 주문 결재 음식이 완성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서버(100)는 다시 21번 테이블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20)에 주문 혹은 결재 음식 완성되었음을 전송한다.
이때, 주문 혹은 결재 음식 완성에 대한 전송은 상기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매장 내에 21반 테이블(50)에 별도 구비된 진동 알람기(본원 발명에 별도 도시 생략)통하여 알림 실행을 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알림기를 통한 알림 실행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한다.
도 17과 도18은 본원 발명의 실시 구성을 개략적으로 다시한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근거리 통신칩에 무선으로 접속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정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23)에 음식이나 음료를 주문할 수 있고 결제할 수 있는 창과, 노래 선곡을 할 수 있는 창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과, 광고가 표시되는 창이 표시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은 문자 메세지를 운영자 컴퓨터에 전달하는 기능과, 노래 및 영상을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창이다.
도 18은 본원 발명의 전체 구성 시스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근거리 통신칩(10)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은 서버(1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버(100)은 주문 혹은 결제 혹은 노래 선곡이 가능한 페이지를 웹 페이지로 표시하고, 상기 서버(10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은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노래 선곡을 하게되면, 상기 서버(100)는 노래 선곡 정보를 노래방 기기(220)에 전송하고, 상기 노래방 기기(220) 기기는 선곡된 노래를 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주문 혹은 결제를 하게 되면, 상기 서버(100)가 주문 혹은 결제를 하게된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정보 입력창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100)가 메세지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정보 입력창을 선택하여 노래 녹음 및 녹화를 선택하면, 서버는 상기 노래 혹은 녹화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20)에 전송한다,
10 : 근거리 통신칩 11 : 부착 필름
12 : NFC 태그 부품 13 : QR 코드 보호필름
14 : URL 정보 문자(코드) 15 : 구분 문자(코드)
16 ; 가맹점 식별 문자(코드) 17 : 테이블 식별 문자(코드)
20 : 휴대용 단말기 21 : 중앙처리장치
22 : 메모리부 23 : 디스플레이부
24 : 입력장치 25 : 통신 모듈
30 : 운영자 단말기 100 : 서버
150 : 별도 서버 101 : 제어부
102 : 통신부 103 : 입력부
104 : 데이터 베이스 105 : 출력부
220 : 노래방 기기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20)는 “URL 정보 문자(14)”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에는 “URL 정보 문자(14)”와 함께, 구분 문자(15), 가맹점 식별 문자(16) 및 테이블 식별 문자(17) 정보도 전송되고,
    구분 문자(15) 뒤의 문자는 서버(10)가 정보로 인식하고, 서버(100)는 구분 문자(15) 뒤에 위치한 가맹점 식별 문자(16)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위치한 가맹점을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메뉴나 상품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메뉴나 상품의 결재가 선택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결재가 가능한 별도 서버(150)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연결되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20)는 별도 서버(150)를 통하여 결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0180078216A 2018-07-05 2018-07-05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00005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16A KR20200005043A (ko) 2018-07-05 2018-07-05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16A KR20200005043A (ko) 2018-07-05 2018-07-05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43A true KR20200005043A (ko) 2020-01-15

Family

ID=691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16A KR20200005043A (ko) 2018-07-05 2018-07-05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6292A (zh) * 2020-08-31 2020-12-22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一种订单配送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28A (ko)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엑스퍼트커뮤니케이션 피씨방을 이용한 네트워크 쇼핑몰 구축시스템 및 이를통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30045874A (ko) 2001-12-03 2003-06-12 김재성 피씨방 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발주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28A (ko)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엑스퍼트커뮤니케이션 피씨방을 이용한 네트워크 쇼핑몰 구축시스템 및 이를통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30045874A (ko) 2001-12-03 2003-06-12 김재성 피씨방 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발주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6292A (zh) * 2020-08-31 2020-12-22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一种订单配送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2116292B (zh) * 2020-08-31 2024-04-02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一种订单配送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7789B2 (ja)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自動販売機管理方法、管理装置、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9937429B (zh) 商品购买辅助系统、商品购买辅助方法、及存储介质
JP2007004488A (ja) 電子広告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20150092645A (ko)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05043A (ko) 노래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KR2018003110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80040540A (ko) 주문 결재가 가능한 진동벨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102137139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70052859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포인트 처리방법
KR20210091071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530908B1 (ko) 주문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128307A (ko) 주문 시스템이 구비된 진동벨
KR20180101847A (ko) Pc방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0008664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190027107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70104792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00013745A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80101852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80101855A (ko) 서버 내에서의 주문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094448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094447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80031099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