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093B1 -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093B1
KR102203093B1 KR1020190050218A KR20190050218A KR102203093B1 KR 102203093 B1 KR102203093 B1 KR 102203093B1 KR 1020190050218 A KR1020190050218 A KR 1020190050218A KR 20190050218 A KR20190050218 A KR 20190050218A KR 102203093 B1 KR102203093 B1 KR 10220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unit
user device
wireless signal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01A (ko
Inventor
장기헌
윤민석
장기호
Original Assignee
장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헌 filed Critical 장기헌
Priority to KR102019005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4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handwritten signature
    • G07C9/24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handwritten signature electronically, e.g. by comparing signal of hand-writing with a reference signal from the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ID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공동 출입문 밖에 설치되는 리더부와, 각 세대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ID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부는 공동 출입문 밖에서 설정된 감지범위 내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제1 리더부와, 공동 출입문 밖에서 상기 제1 리더부의 감지범위보다 좁은 감지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더부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리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의 감지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AUTOMATIC ENTERANCE SYSTEM FOR APARTME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다수의 세대원이 하나의 출입문을 이용한다. 다수의 세대원은 공동 현관문이 개방되어야 세대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공동 현관문은 인증 동작에 따라 인증이 성공되어야 개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편의를 위해 공동현관문의 개방과 엘레베이터의 이동, 거주 세대의 조명장치, 거주 세대의 난방장치의 동작여부 등이 복합적으로 연동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세대원이 주차장의 공동 현관문을 이용하여 출입시, 세대원이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것인지,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것인지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사용자의 공동현관문 출입방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가 공동 현관문을 통과하여 건물 내부로 들어온 상태인지, 공동 현관문 근처에 위치하였다가 되돌아간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가 건물을 나간 상태인지, 공동 현관문 근처에 위치하였다가 되돌아간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ID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공동 출입문 밖에 설치되는 리더부와, 각 세대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ID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부는 공동 출입문 밖에서 설정된 감지범위 내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제1 리더부와, 공동 출입문 밖에서 상기 제1 리더부의 감지범위보다 좁은 감지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더부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리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의 감지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영역의 2개의 리더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공동현관문 출입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영역의 2개의 리더부를 사용하고,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고유 ID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공동 출입문(D) 밖에 설치되는 리더부(120) 및,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고유 ID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리더부(120)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서버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고유 ID 정보를 가지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휴대용 태그를 포함한다. 여기서,무선신호 송수신 방법으로, 일 예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인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통신 방법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더부(120)는, 공동 출입문(D) 밖에서 설정된 감지범위 내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제1 리더부(121)와, 공동 출입문(D) 밖에서 상기 제1 리더부(121)의 감지범위보다 좁은 감지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더부(121)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리더부(122)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제1 리더부(121)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1 감지영역(S1), 제2 리더부(122)사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2 감지영역(S2)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2 감지영역(S2)은 사용자가 제2 감지영역(S2)에 위치하는 경우에 공동 출입문(D)으로 들어오는 것이 확신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로, 일 예로 성인 남성의 보폭으로 2 걸음에서 3걸음에 해당할 정도의 영역에 해당된다.
반면, 상기 제1 감지영역(S1)은 상기 제2 감지영역(S2)보다 넓은 범위로, 상기 제1 감지영역(S1)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에 공동 출입문(D)으로 들어갈 정도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에 근접한 정도는 아니지만, 공동 출입문(D)으로 들어갈 개연성이 있는 정도의 영역으로, 일 예로, 상기 제2 감지영역(S2)의 2배 내지 3배 넓은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리더부(121)와 제2 리더부(122)는, 공동 출입문(D)에 설치되고, 공동 출입문(D)의 바깥 방향에서 설정된 범위에서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 출입문(D) 안쪽에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30)는 공동 출입문(D) 안쪽만을 감지영역(S3)으로 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130)는 상기 서버부(14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서의 감지여부를 상기 서버부(140)가 인식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ID 정보와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에 수신된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ID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 상기 동작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ID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의 조명장치(152) 또는 조명장치(151)를 가동하고,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시에는 조명장치(152) 또는 조명장치(151)를 오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사용자의 출입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귀가상태와 외출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출입문(D) 밖에서 접근하여 공동 출입문(D)을 통해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경로(H1)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제1 감지영역(S1)과 제2 감지영역(S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공동 출입문(D)을 지나 상기 공동 출입문(D)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시예 1>
먼저, 제1 리더부(121)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감지하고 이때 제2 리더부(122)는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다. 그리고, 그 후에 제1 리더부(121)와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동시에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동시하게 감지시 상기 서버부(140)는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에 근접하게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공동 출입문(D)을 개방하도록 공동 출입문(D)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동 출입문(D)을 지나서 상기 공동 출입문(D)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서버부(140)는, 순차적으로, 제1 리더부(121)만 무선신호를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 불감지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안쪽으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리더부(121)에서 먼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제1 리더부(121)와 제2 리더부(122)에 동시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가 감지되었더라도, 다시 상기 제1 리더부(121)에는 무선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제2 리더부(122)에는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동 출입문(D)은 개방되었더라도,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않고 일 예로, 주차된 차량으로 다시 돌아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들어온 상태인지 여부 및 공동 출입현관에는 접근하였으나 건물 내부까지 진입하지는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 예로, 거실에 구비되어 조명상태, 택배 도착여부, 난방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안전하게 귀가 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공동 현관문 안쪽에 동작감지센서(130)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에 추가하여, 공동 출입문(D)을 통과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상기 동작감지센서(130)가 감지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제1 리더부(121)만 무선신호를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동작감지센서(130)는 동작을 감지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안쪽으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리더부(121)에서 먼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제1 리더부(121)와 제2 리더부(122)에 동시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가 감지되었더라도, 상기 동작감지센서(13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동 출입문(D)은 개방되었더라도,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않고 일 예로, 주차된 차량으로 다시 돌아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들어온 상태인지 여부 및 공동 출입현관에는 접근하였으나 건물 내부까지 진입하지는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상기 제1 리더부(121)에서 수신된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의 세기(RSSI)가 증가하고, 상기 제2 리더부(122)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을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경로(H2)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공동 출입문(D) 안쪽 영역(S3)에서, 제2 감지영역(S2)과 제1 감지영역(S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실시예 4>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을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동작감지센서(130)에 감지시 공동 출입문(D)이 개방된다. 이때, 공동 출입문(D)은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부로 사용자가 나가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들어올때 이미 사용자가 식별되어 사용자가 나가는 경우에는 중복하여 사용자의 ID 정보를 확인할 필요없이, 상기 동작감지센서(13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공동 현관문을 개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을 나가게 되면 제2 리더부(122)와 제1 리더부(121)에 동시에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가 감지된다. 그 후에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공동 출입문(D)에서 멀어지게 되면, 상기 제2 리더부(122)에서는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제1 리더부(121)에서만 무선신호가 감지된다. 그리고, 그 후에 상기 제1 리더부(121)에서도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에서 완벽하게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서버부(140)는, 순차적으로, 상기 동작감지센서(130)가 동작을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 감지, 제1 리더부(121)에서 무선신호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 불감지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을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동작감지센서(130)에서 먼저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공동 출입문(D)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공동 출입문(D) 까지는 사용자가 도달하였으나, 다시 거주지로 돌아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건물 내부로 완벽하게 나간 상태인지 및 공동 출입현관에는 접근하였으나 다시 되돌아간 상태인지 여부를 거주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상기 서버부(140)가 동작감지센서(13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와는 달리, 동작감지센서(130)가 상기 서버부(1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동작감지센서(130)에서 사용자를 감지시에 공동 출입문(D)을 개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즉,상기 서버부(140)는, 순차적으로, 제1 리더부(121)와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를 불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 감지, 제1 리더부(121)에서 무선신호 감지, 제1 리더부(121) 및 제2 리더부(122)에서 무선신호 불감지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을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부(140)는,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에 수신된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 세기(RSSI)가 모두 감소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2 리더부(122)에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 밖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은, 상기 서버부(140)가, 상기 제1 리더부(121)에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가 감지시, 엘레베이터(153)가 공동 출입문(D)이 위치하는 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리더부(121)의 감지영역은 제2 리더부(122)의 감지영역보다 넓고, 상기 제2 감지영역(S2)에 들어와야 공동 출입문(D)이 개방된다.
그래서 종래는 사용자가 상기 제2 감지영역(S2)에 들어와서 공동 출입문(D)이 열리는 시점에 비로소 엘레베이터(153)가 공동 출입문(D)이 위치하는 곳으로 내려오기 시작하여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버부(14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의 ID 정보를 분석하여 제1 리더부(121)의 감지범위에 해당하는 제1 감지영역(S1)으로 거주하는 사용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시, 종래의 경우와는 다르게, 미리 엘레베이터(153)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이, 근접하는 사용자가 제2 감지영역(S2)으로 들어오는 경우에 한해, 공동 출입문(D)이 개방되도록 하여, 엘레베이터(153)는 미리 움직여 공동 출입문(D)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미리 공동 출입문(D)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거주하는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공동 출입문(D)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거주하는 사용자가 엘레베이터(153)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은, 종래의 방식과는 다리, 공동 출입문(D)의 바깥 방향으로 감지영역이 서로 다른 2개의 리더부(120)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으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D)까지 도달하였다가 다시 되돌아 가는 경우에, 사용자가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는지, 반대로 건물 내부에서 건물 밖으로 나갔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공동 출입문(D) 안쪽에 구비된 동작감지센서(130), 출입문(D) 밖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리더부(121)와 상기 제2 리더부(122)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동작감지센서(130)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무선신호를 분석, 감지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움직임 자체만을 감지하는 경우도 사용자의 이동방향,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사용자 디바이스
120: 리더부
121: 제1 리더부
S1: 제1 감지영역
122: 제2 리더부
S2: 제2 감지영역
130: 동작감지센서
S3: 제3 감지영역
D: 공동 출입문
140: 서버부
151: 난방장치
152: 조명장치
153: 엘레베이터

Claims (7)

  1.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ID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공동 출입문 밖에 설치되는 리더부;
    각 세대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ID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부는,
    공동 출입문 밖에서 설정된 감지범위 내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제1 리더부와, 공동 출입문 밖에서 상기 제1 리더부의 감지범위보다 좁은 감지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더부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리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의 감지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에만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모두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시 공동 출입문을 개방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 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공동 출입문 안쪽에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에만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모두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시 공동 출입문을 개방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 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동작이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모두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만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를 감지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의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 밖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의 세기(RSSI)가 증가하고, 상기 제2 리더부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주차장에서 공동 출입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와 상기 제2 리더부에 수신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 세기(RSSI)가 모두 감소하고,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2 리더부에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 출입문 밖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1 리더부에 사용자 디바이스의 무선신호가 감지시, 엘레베이터가 공동 출입문이 위치하는 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20190050218A 2019-04-30 2019-04-30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220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18A KR102203093B1 (ko) 2019-04-30 2019-04-30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18A KR102203093B1 (ko) 2019-04-30 2019-04-30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01A KR20200126501A (ko) 2020-11-09
KR102203093B1 true KR102203093B1 (ko) 2021-01-14

Family

ID=7342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18A KR102203093B1 (ko) 2019-04-30 2019-04-30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85B1 (ko) * 2021-07-20 2023-09-04 주식회사 에스원 출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66010B1 (ko) * 2021-09-09 2023-08-17 주식회사 에스원 Uwb기반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44B1 (ko)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389A (ko) * 2015-08-28 2017-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44B1 (ko)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01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10210B2 (en) Garage door control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8643465B2 (en) Network ID activated transmitter
KR101654040B1 (ko) 사용자의 스텝 패턴 입력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의 자동 설정 장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전자 기기의 자동 설정 방법
KR102203093B1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0991477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물의 공동 편의시설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754407B1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US11343897B2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to perform radiofrequency-based motion detection
US20120109397A1 (en) Location-bas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US10964140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unattended services
KR2016007276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CN107071710A (zh) 基于用户识别的进出门语音智能播放系统
JP201318085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12012846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KR101915657B1 (ko)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920304A (zh) 电子设备进出门识别系统
US10733822B1 (en) Connected outdoor gate lock
KR101944882B1 (ko) 공조, 조명, 설비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공조, 조명 제어 방법
KR10223199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장치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60075151A (ko) 엘리베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29516B1 (ko)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102159725B1 (ko) 승강기 자동 호출 시스템
KR102208331B1 (ko)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KR20230018295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홈 시스템
KR101632644B1 (ko)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