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57B1 -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57B1
KR101915657B1 KR1020180035614A KR20180035614A KR101915657B1 KR 101915657 B1 KR101915657 B1 KR 101915657B1 KR 1020180035614 A KR1020180035614 A KR 1020180035614A KR 20180035614 A KR20180035614 A KR 20180035614A KR 101915657 B1 KR101915657 B1 KR 10191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door
smart key
elevator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테크
Priority to KR102018003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07C2009/003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복수 개의 비콘 센서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한다. 비콘 센서들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감지한다.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비콘 센서와 마이크로파 센서의 감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비콘 센서와 마이크로파 센서에서 모두 출입자가 순차적으로 감지되면,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출입문을 자동 개방시킨 후 출입자가 출입문을 통과하면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허된 출입자에 대해 자동 출입문 개방과 엘리베이터 호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RESPONSIVE CONTROL APPARATUS OF BEACON DRIVEN TYPE AND METHO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DOOR AND ELEVA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키를 소지하는 이용자를 인식하여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개방된 출입문을 통과한 후에 자동으로 해당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의 자동 개폐 및 호출을 위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사무실, 호텔, 아파트 등의 출입문에는 출입문 개폐를 위한 장치들 예를 들어, 전자식 또는 기계식 도어락 장치가 구비되어 출입을 통제한다. 최근에는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비밀번호 입력, 출입 카드 또는 지문, 홍채, 음성, 얼굴 등의 생체 인식 수단들을 이용하여 도어락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비콘 센서를 이용하는 출입문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비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비콘 센서의 파장이 길어 설정된 영역의 직경 거리(예를 들어, 약 2m 정도) 밖까지 출입자를 감지하기 때문에 출입문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등의 오동작이 빈번히 발생된다.
또 비콘 센서의 파장을 짧게 설정하여 오동작을 최소화하는 경우, 비콘 센서의 감지 영역이 줄어들어 출입자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308호(공개일 2016년 04월 27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5109호(공개일 2017년 12월 08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0552호(공개일 2017년 06월 01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97231호(공고일 2017년 11월 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비콘 센서들을 이용하여 식별 가능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구비하는 출입자의 센싱 감도를 향상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비콘 센서들과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들을 이용하여 출입문 개방 또는 엘리베이터 호출을 제어하기 위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복수 개의 비콘 센서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여 출입문 자동 개방 및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을 제어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인허된 출입자에 대해 자동 출입문 개방과 엘리베이터 호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2 마이크로파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센서는 제1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비콘 센서는 상기 제1 파장 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비콘 센서와 함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하우징; 상부면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체; 내부 공간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수용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부착 브래킷; 및 상기 커버체의 개방된 상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투광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비콘 센서가 제1 파장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고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에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며, 사전에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에 등록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인허받은 출입자가 구비하고,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복수 개의 비콘 센서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인식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받아서 인허된 출입자이면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로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출입자가 출입문에 진입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파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하우징; 상부면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체; 내부 공간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수용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부착 브래킷; 및 상기 커버체의 개방된 상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투광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인허받은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에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건축 관리 서버에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 출입자가 출입문의 전방에서 일정 범위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1 및 제2 비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상기 건축 관리 서버로 출입자가 인허받은 출입자인지를 판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축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인허받은 출입자의 것인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를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출입자가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1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여 상기 건축 관리 서버로 출입문을 개방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축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해서 출입문 제어 장치로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가 상기 건축 관리 서버의 출입문 개방 요청을 받아서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출입자가 개방된 출입문으로 진입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2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상기 건축 관리 서버로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축 관리 서버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건축 관리 서버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콘 센서가 제1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파장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비콘 센서와 함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은, 복수 개의 비콘 센서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를 구비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문 자동 개방 및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을 제어함으로써, 인가되지 않은 출입자에게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오동작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의 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이용자 즉, 출입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출입문(10)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출입문(10)은 자동 개폐되도록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형태로 예를 들어, 슬라이딩 도어 등으로 구비된다. 또 스마트 폰에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ID)가 저장되거나,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연동되어 출입문(10) 또는 출입문(10)과 엘리베이터(도 8의 2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ID)가 저장된 차량용 스마트 키로 구비되거나,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연동되어 출입문(10) 또는 출입문(10)과 엘리베이터(도 8의 2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독립적인 스마트 키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키의 경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고, 사전에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에 고유 식별 정보 등이 등록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10) 또는 엘리베이터(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출입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출입문(10)을 개방하거나, 개방된 출입문(10)을 통과하면 엘리베이터(미도시됨)를 자동 호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근거리 위치 인식 기술이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저전력(BLE) 무선 통신용 비콘 센서(도 5의 124, 126)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도 5의 130, 132)를 구비하고,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게 제어하여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이용자를 감지하여 출입문(10)의 자동 개방과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도 6의 2, 도 8이 2a)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저전력(BLE) 무선 통신용 비콘 센서(124, 126)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를 구비하고, 출입문(10) 또는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 프레임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이용자를 감지하여 출입문(10)의 자동 개방과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센싱 감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2 개의 비콘 센서(124, 126)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하우징(102)과 커버체(104)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110)이 수용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110)에는 제1 및 제2 안테나(120, 122),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 컨트롤러(140), 표시부(160) 및 인터페이스부(150)가 구비된다.
하우징(102)은 하부면에 부착 대상물 예컨대, 출입문(10) 또는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 프레임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탈부착 브래킷(112)이 결합된다. 하우징(102)은 상측에 커버체(104)와 결합된다. 하우징(102)은 탈부착 브래킷(112)과 커버체(104) 각각과 원터치 체결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위 예시의 탈부착 브래킷(112)은 출입문(10) 또는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 프레임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를 출입문 또는 엘리베이터 상부 일측에 고정시킨다.
커버체(104)는 대체로 하부가 개방되고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에 비해 긴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부면 중앙부가 개방된다. 커버체(104)는 하부에 하우징(102)이 결합되고, 개방된 상부면 중앙부에 투광 커버(106)가 결합된다. 커버체(104)와 투광 커버(106) 사이에는 마감부재(108)가 삽입되어 커버체(104)와 투광 커버(106) 사이를 밀폐시킨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120)는 제1 비콘 센서(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안테나(120)는 제1 비콘 센서(124)로부터 출력되는 제1 주파수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제2 안테나(122)는 제2 비콘 센서(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안테나(122)는 제2 비콘 센서(126)로부터 출력되는 제2 주파수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120, 122) 각각은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설치되어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센싱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 및 제2 안테나(120, 122)를 이용하여 출입자가 구비하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로부터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전파 감도의 강약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비콘 센서(124)는 일정 크기의 파장을 갖는 제1 주파수 신호를 제1 안테나(120)로 출력하고, 제1 안테나(120)로부터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140)로 제공한다.
제2 비콘 센서(126)는 제1 비콘 센서(124)의 제1 주파수 신호보다 짧은 파장의 제2 주파수 신호를 제2 안테나(122)로 출력하고, 제2 안테나(122)로부터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3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14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는 기설정된 일정 범위의 감지 영역에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를 이용하는 이유는 기존의 하나의 비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비콘 센서의 파장이 길어 설정된 영역의 직경 거리(예를 들어, 약 2m 정도) 밖까지 출입자를 감지하기 때문에 빈번히 발생되는 오동작을 최소화하고, 또 비콘 센서의 파장을 짧게 설정하여 오동작을 최소화하는 경우, 비콘 센서의 감지 영역이 줄어들어 출입자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 개의 비콘 센서(124, 126)들을 구비하고, 비콘 센서(124, 126)들의 파장을 서로 달리하여 감지 거리를 짧게 하면서 센싱 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제1 비콘 센서(124)의 주파수 신호가 설정된 감지 영역까지 전파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비콘 센서(126)에 의해 정확하게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도록 하므로 허용되지 않은 자 즉, 인가되지 않은 출입자에게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센싱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콘 센서(124, 126)의 오동작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들의 감지 영역 및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는 출입자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40)로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 표시부(160)는 예컨대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들로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설치된다. 표시부(16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를 받아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를 받아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출입문 제어 장치(도 6의 4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도 8의 500) 또는 건축 관리 서버(도 6의 300)와 상호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40)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40)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 표시부(16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출입문 제어 장치(4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 또는 건물 관리 서버(300)와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와, 제1 및 제2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의 감응 센싱 거리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일정 영역을 감지하는 비콘 센서(124, 126)의 감지 영역 내에서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의 감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비콘 센서(124, 126)와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를 연동시켜서 출입문 진입 전 출입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건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비콘 센서(124, 126)와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에서 모두 출입자가 순차적으로 감지되면, 출입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출입문(10)을 자동 개방시킨 후 출입자가 출입문(10)을 통과하면 엘리베이터(20)를 자동으로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의 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은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출입문(10) 개방 및 엘리베이터(20) 호출을 위한 것으로,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과,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건물 관리 서버(300) 및 출입문 제어 장치(400)를 포함한다. 또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출입문(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다. 또 출입문(20)의 건물 내측 상부에는 출입문 감지 장치(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건물 관리 서버(300) 및 출입문 제어 장치(400)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위 예시의 출입문 감지 장치(30)는 출입문(10)의 건물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출입문(10) 밖으로 나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출입문 제어 장치(400)는 출입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은 출입자가 구비하는 장치로서,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ID)가 저장되고,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며, 사전에 고유 식별 정보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에 등록 저장된다. 물론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의 고유 식별 정보는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에 더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출입자의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한다.
건물 관리 서버(300)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지되, 건물 관리 서버(300)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받아서 인허된 출입자이면,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출입문(10)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출입문 제어 장치(400)는 건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서 출입문(10)을 개방시킨다. 물론 출입문 제어 장치(400)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서 출입문(10)을 개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는 건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서 엘리베이터(20)를 호출한다. 물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서 엘리베이터(20)를 호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센서(124, 126), 마이크로파 센서(130, 132)에 의한 서로 다른 감지 영역(A, B, C)들을 갖는다.
즉,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은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구비한 출입자가 출입문(10)의 전방에 설정된 C 영역 내에 들어오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의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에 의해 출입자의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감지한다. 이 때,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10)은 개방되지 않으며, 감지 신호를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여 감지된 출입자가 인허받은 출입자인지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출입자가 B 영역으로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0)를 이용하여 출입자를 감지하고, 해당 감지 신호를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입문(10)을 개방시킨다.
이어서 출입자가 A 영역을 통해 개방된 출입문(10)으로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다른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2)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출입문(10)을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20)를 호출하도록 건물 관리 서버(30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건물 관리 서버(3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20)를 해당 위치로 자동 호출시킨다.
또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은 출입자가 건물 내부에서 출입문(10)의 D 영역에 위치하면 출입문(10) 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출입문 제어 장치(30)가 이를 감지하여 출입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킨다. 이 때에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가 엘리베이터(30)를 호출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은 출입자를 감지하여 출입문(10) 자동 개방 및 엘리베이터(20) 호출을 위한 것으로서, 도 6 및 도 8의 것과는 달리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엘리베이터(20)의 상부 프레임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 또한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 출입문 제어 장치(4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를 포함한다. 물론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 또한 건물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건물 관리 서버(300)와, 출입문 제어 장치(4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 출입문(10)의 내측 상부에는 출입문 감지 장치(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의 구성 또한 도 6 및 도 8의 것과는 대체로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즉,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은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구비한 출입자가 출입문(10)의 전방에 설정된 C' 영역 내에 들어오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의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에 의해 출입자의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을 감지한다. 이 때,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10)은 개방되지 않으며, 감지 신호를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여 감지된 출입자가 인허받은 출입자인지를 판별한다.
이 후, 출입자가 B' 영역으로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0)를 이용하여 출입자를 감지하고, 해당 감지 신호를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입문(10)을 개방시킨다.
이어서 출입자가 A' 영역을 통해 개방된 출입문(10)으로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다른 하나의 마이크로파 센서(132)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출입문(10)을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20)를 호출하도록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건물 관리 서버(300)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는 엘리베이터(20)를 해당 위치로 자동 호출시킨다.
또한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은 출입자가 건물 내부에서 출입문(10)의 D' 영역에 위치하면 출입문(10) 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출입문 감지 장치(30)가 이를 감지하여 출입문(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킨다. 이 때에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a)가 엘리베이터(30)를 호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1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출입문 자동 개방 및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을 위하여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는 건물 관리 서버(300)와 상호 연동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출입문 제어 장치(400),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들 간에 상호 연동되어 출입문 자동 개방 및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2, 2a)은 단계 S600에서 인허받은 출입자의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200)에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단계 S602에서 건물 관리 서버(300)에 스마트 폰(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 저장한다.
단계 S604에서 출입자가 출입문(10)의 전방에서 일정 범위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하면, 단계 S606에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제1 및 제2 비콘 센서(124, 126)를 이용하여 제1 영역의 스마트 폰(200)을 감지하고, 단계 S608에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건물 관리 서버(300)로 해당 출입자가 인허받은 출입자인지를 판별 요청한다.
단계 S610에서 건물 관리 서버(300)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200)이 인허받은 출입자의 것인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를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 제공한다. 만약 판별 결과, 인허받지 않은 출입자인 경우 건축 관리 서버(300)는 이에 대응하여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에서 표시부(160)를 통해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S612에서 출입자가 제2 영역으로 진입하면, 단계 S614에서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제1 마이크로파 센서(130)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고, 건물 관리 서버(300)로 출입문(10)을 개방 요청한다.
단계 S616에서 건물 관리 서버(300)가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해서 출입문 제어 장치(400)로 출입문(10)을 개방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618에서 출입문 제어 장치(400)가 건물 관리 서버(300)의 출입문 개방 요청을 받아서 출입문(10)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20에서 출입자가 개방된 출입문(10)으로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100)가 제2 마이크로파 센서(132)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단계 S622에서 건물 관리 서버(300)로 엘리베이터(20)를 자동 호출 요청한다. 단계 S624에서 건물 관리 서버(300)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요청하고, 이어서 단계 S626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00)가 건물 관리 서버(300)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20)를 자동 호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2a :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10 : 출입문
20 : 엘리베이터
30 : 출입문 감지 장치
100 :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102 : 하우징
104 : 커버체,
120, 122 : 안테나
124, 126 : 비콘 센서
130, 132 : 마이크로파 센서
150 : 컨트롤러
200 : 스마트 폰(또는 스마트 키)
300 : 건물 관리 서버
400 : 출입문 제어 장치
500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laims (12)

  1.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파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콘 센서는 제1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비콘 센서는 상기 제1 파장 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비콘 센서와 함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상부면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체와; 내부 공간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수용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부착 브래킷; 및 상기 커버체의 개방된 상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투광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5.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비콘 센서가 제1 파장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고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에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며, 사전에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에 등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6. 삭제
  7.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허받은 출입자가 구비하고,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복수 개의 비콘 센서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파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인식하는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받아서 인허된 출입자이면,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로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출입자가 출입문에 진입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블루투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문의 제1 영역에 진입하는 인허된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비콘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파 센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3 영역에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는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자가 인허받은 자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가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상부면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체와; 내부 공간에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콘 센서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수용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탈부착 브래킷; 및 상기 커버체의 개방된 상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투광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10.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허받은 출입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키에 식별 가능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건물 관리 서버에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 출입자가 출입문의 전방에서 일정 범위 설정된 제1 영역에 진입하면,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1 및 제2 비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감지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상기 건물 관리 서버로 출입자가 인허받은 출입자인지를 판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물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감지된 출입자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가 인허받은 출입자의 것인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를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출입자가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1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여 상기 건물 관리 서버로 출입문을 개방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물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해서 출입문 제어 장치로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문 제어 장치가 상기 건물 관리 서버의 출입문 개방 요청을 받아서 출입문을 자동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출입자가 개방된 출입문으로 진입하면, 상기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가 제2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고, 상기 건물 관리 서버로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물 관리 서버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건물 관리 서버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를 자동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콘 센서가 제1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비콘 센서가 상기 제1 파장 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비콘 센서와 함께 상기 스마트 폰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35614A 2018-03-28 2018-03-28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4A KR101915657B1 (ko) 2018-03-28 2018-03-28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4A KR101915657B1 (ko) 2018-03-28 2018-03-28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57B1 true KR101915657B1 (ko) 2018-11-06

Family

ID=6432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14A KR101915657B1 (ko) 2018-03-28 2018-03-28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672B1 (ko) * 2019-02-13 2020-05-07 (주)에이펙스테크놀러지 건물 공동 출입문과 연동된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KR20200072966A (ko) 2018-12-13 2020-06-23 원소라 비콘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210092896A (ko) 2020-01-17 2021-07-27 (주)와이파이브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KR102287292B1 (ko) * 2020-11-30 2021-08-09 콩테크 주식회사 비콘신호에 기반한 도어제어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66A (ko) 2018-12-13 2020-06-23 원소라 비콘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107672B1 (ko) * 2019-02-13 2020-05-07 (주)에이펙스테크놀러지 건물 공동 출입문과 연동된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KR20210092896A (ko) 2020-01-17 2021-07-27 (주)와이파이브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KR102287292B1 (ko) * 2020-11-30 2021-08-09 콩테크 주식회사 비콘신호에 기반한 도어제어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57B1 (ko)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A2924381C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1287666B (zh) 操作电梯装置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电梯装置
US20170232932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US102491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in a system compressing a portable device associated with a user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1134A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1985A (ko)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KR20190045501A (ko) 스마트기기 무선 통신과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한 게이트 자동인증 시스템
US20220237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fid system
KR101668360B1 (ko) Ic 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8538A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20160046671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행선층 등록 방법
CN112469653A (zh) 远程控制装置以及远程控制系统
KR101679408B1 (ko) 기숙사 관리 시스템
KR102203093B1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1249940B1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US20230222856A1 (en) Building system with credential and body temperature verification features
JP451047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80053128A (ko) 출입통제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20220052591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2091322B1 (ko)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출입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