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985A -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985A
KR20090091985A KR1020080017236A KR20080017236A KR20090091985A KR 20090091985 A KR20090091985 A KR 20090091985A KR 1020080017236 A KR1020080017236 A KR 1020080017236A KR 20080017236 A KR20080017236 A KR 20080017236A KR 20090091985 A KR20090091985 A KR 20090091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sited
parking
information
vi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636B1 (ko
Inventor
고창준
Original Assignee
고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창준 filed Critical 고창준
Priority to KR102008001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6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인식과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인식을 입주차량 또는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별하여, 입주차량 및 예약방문차량인 경우 게이트를 개방하고, 일반방문차량인 경우 입주자의 출입승인 후에 게이트를 개방하고, 각 차량의 주차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입주차량의 출입대기시간을 줄이고, 입주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방문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차장 내 불법주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Control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isit Vehicles}
본 발명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인식과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입주차량 또는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하고, 입주차량 또는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 방문차량 중에서 출입승인된 일반방문차량에 게이트를 개방하는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아파트, 주상복합건물, 상가형 공장 등 다수의 입주자와 방문자가 존재하는 집합건물에서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여 방문차량의 진입을 제어하고,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에 대한 주차위치 및 주차비용 등을 관리한다.
이와 같이, 방문차량의 진입제어를 위해서 현재는 진입 중인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를 통해 영상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을 구별한다.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 리모컨 등의 전용 해독기를 이용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 중 첫 번째로, 촬영된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 인식을 이용하는 경우, 방문차량은 반드시 경비원의 신원확인 필요하고, 경비원의 신원확인으로 인해 대기중인 입주차량 역시 주차장 진입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두 번째로,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RFID 태그가 손상되면 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차량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세 번째로,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진출입시마다 차량 운전자가 매번 리모컨을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아울러, 입주차량 및 방문차량의 운전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위치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라면, 주차를 하기 위해 주차가 가능한 위치를 계속 찾아야 하는 시간소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 출입구의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진입차량이 입주차량인 경우,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입주자의 주차장 진입대기시간을 단축하는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이 방문차량인 경우, 음성데이터를 통해 방문정보를 획득하고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인 경우,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방문차량의 주차장 진입대기시간을 단축하고, 방문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이트로 진입하는 방문차량이 일반방문차량인 경우, 입주자의 출입승인 후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방문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차장 내 불법주차를 방지하는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주차량,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방문차량으로부터 주차하고자 하는 위치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의 주차가능여부를 제공하고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주차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방법은 제어 단말기가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를 기저장된 입주자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을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추출된 방문정보를 기저장된 예약방문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인지 일반방문차량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입주차량 및 예약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문차량이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문정보에 해당하는 방문세대로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방문정보와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없는 경우,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관리 사무소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이전에 주차희망위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데이터에 대한 주차희망위치를 기저장된 주차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주차희망위치에 주차가 가능하면 상기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안내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주차희망위치에 주차가 불가능하면, 주차희망위치를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방문정보 입력을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주자정보는 입주자에 대한 입주차량번호, 세대주소, 연락처, 성명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예약방문정보는 입주자가 제공한 예약방문자에 대한 예약방문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방문정보는 방문목적, 방문세대,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진출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진출을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상기 차량이 진출된 내역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는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출력부, 입주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각 메시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및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인식하여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예약방문차량과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입주차량과 상기 예약방문차량일 경우에 게이트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입력부의 마이크에서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를 추출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입주자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고, 방문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방문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자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예약방문차량과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한 후,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각 차량의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일반방문차량이면 상기 방문정보에 해당하는 방문세대로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방문정보와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관리 사무소로 제공하고,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있는 경우에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이동경로로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와 상기 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주자에 대한 입주차량번호, 세대주소, 연락처, 성명을 포함하는 입주자정보 및 입주자가 제공한 예약방문자에 대한 예약방문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를 포함하는 예약방문정보를 저장하는 입주자DB, 상기 일반방문차량으로부터 획득된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 방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저장하는 방문자DB, 상기 각 차량이 주차한 위치와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주차위치DB,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정보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상기 차량이 진출된 내역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진입차량이 입주차량인 경우,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입주자의 주차장 진입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이 방문차량인 경우, 음성데이터를 통해 방문정보를 획득하고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인 경우,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방문차량의 주차장 진입대기시간을 단축하고, 방문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로 진입하는 방문차량이 일반방문차량일 경우 방문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차장 내 불법주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주차량,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방문차량으로부터 주차하고자 하는 위치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의 주차가능여부를 제공하고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주차관리를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차량은 주차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거나 주차되어 있는 모든 차량을 의미한다. 입주차량은 주차장이 형성된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입주자가 소유한 차량을 의미한다. 방문차량은 입주자가 소유한 차량을 제외하고, 주차장에 진출입하거나 주차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예약방문차량은 상기 방문차량 중에서 입주자가 예약방문할 것으로 미리 예약해 놓은 차량을 의미하고, 일반방문차량은 방문차량 중에서 예약방문차량을 제외한 방문차량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제어단말기(110), 통신망(120), 통신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제어단말기(110)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의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구별하여 입주차량에 게이트의 개방을 수행한다. 제어단말기(110)는 방문차량으로부터 방문정보를 수신하여 방문정보를 기준으로 예약방문차량과 일반방문차량으로 구별하여 예약방문차량에 게이트의 개방을 수행한다. 제어단말기(110)는 일반방문차량의 경우 방문정보에 포함된 방문세대에 해당하는 입주자의 출입승인을 얻어 게이트의 개방을 수행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단말기(110)는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감지할 때 루프코일에 의한 방법, 센서감지에 의한 방법, 카메라 촬영에 의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네트워크 망,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망은 제어단말기(110)와 주차장이 형성된 건물에 입주한 각 세대에 구비된 인터폰 및 관리 사무소에 구비된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이동통신망은 제어단말기(110)와 입주자의 휴대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통신단말기(130)는 입주자의 휴대단말기 및 각 방문세대에 구비된 인터폰 또는 관리사무소에 구비된 인터폰을 의미한다. 통신단말기(130)는 통신망(120)을 통해 제어단말기(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제어단말기(110)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일반방문차량일 경우에 네트워크 망을 통해 방문정보에 포함된 방문세대에 구비된 인터폰으로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폰을 통하여 입주자와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제어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입주자의 휴대단말기로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입주자로부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단말기(11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관리 사무소에 구비된 인터폰으로 경비원에게 연락을 취하여 일반방문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방문자의 신원과 방문목적을 확인하여 게이트의 개폐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단말기(110)는 제어부(200), 입력부(210), 출력부(220),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방문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단말기(110)의 각 블록을 제어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01), 음성처리부(202), 판단부(203), 구동부(204)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201)는 입력부(210)를 통해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영상처리부(201)는 패턴인식 및 숫자 인식알고리즘 및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인 License Plate Recognition(LPR) 기술 등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추출한다.
음성처리부(202)는 입력부(210)를 통해 획득한 음성데이터를 통해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를 추출한다. 이때, 음성처리부(202)는 패턴정합법, 지식에 기반을 둔 방법,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벡터 양자화를 이용하는 방법, 신경망을 이용하는 방법, HMM/NN혼성 네트워크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를 인식하여 추출한다. 방문정보는 방문목적, 방문세대,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를 포함하고, 주차희망위치는 주차를 원하는 층, 층에 존재하는 특정 구역,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셀을 의미한다. 음성처리부(202)가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하는 주차희망위치는 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부(203)는 영상처리부(201)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저장부(230)에 저장된 입주자정보와 비교하여, 입주차량 또는 방문차량으로 판단한다. 판단부(203)는 음성처리부(202)에서 추출된 방문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된 예약방문정보와 비교하여, 예약방문차량 또는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판단부(203)는 입력부(210)로부터 전송된 주차희망위치를 저장부(230)에 저장된 주차위치와 비교하여,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구동부(204)는 판단부(203)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주차장의 입구부터 주차희망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출력부(22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주차를 원하는 층에 대한 평면도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하고, 층에 존재하는 특정 구역들을 평면도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특정 구역을 구성하는 특정 셀들을 평면도에 표시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주차가 완료된 셀을 평면도에 표시함으로써, 주차가 가능한 셀을 출력하도록 출력부(220)로 평면도를 제공한다.
제어부(200)는 입력부(210)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이동경로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차량이 주차할 때까지 차량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최종적으로 차량이 주차된 주차셀을 파악한다. 제어부(200)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셀과 차량의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저장부(230)에 제공한다.
입력부(210)는 다수개의 카메라, 마이크 및 키버튼 등이다. 입력부(210) 중 다수개의 카메라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주차장의 진출입로 및 주차장의 각 층, 층에 존재하는 특정 구역 및 구역에 존재하는 특정 셀 등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존재하는 피사체(차량, 사람 등)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때, 주차장의 진출입로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진출입을 수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아울러, 마이크 및 키버튼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방문정보와 주차희망위치를 획득하여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부터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주로 하고 있으므로, 키버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이 입주차량 및 예약방문차량일 경우에는 주차희망위치만을 획득하고, 일반방문차량일 경우에는 방문정보와 주차희망위치를 모두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문정보는 방문목적, 방문세대,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 등이고, 주차희망위치는 원하는 주차장의 층, 층에 존재하는 특정 구역 및 구역을 구성하는 특정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출력부(220)는 모니터, 스피커 등이다. 출력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방문차량으로 방문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아울러, 출력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주차장의 층, 특정 구역 및 특정 셀이 표시된 평면도를 출력한다. 출력부(220)는 출력된 평면도에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와 주차희망위치까지의 경로를 출력한다. 출력부(220)는 입주자로부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주차희망 위치까지의 경로는 모니터로 출력하여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주차를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출력부(22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성된 경우, 각 차량이 표시된 평면도에서 비어있는 셀을 선택하면 출력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주차희망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평면도에 표시한다.
저장부(230)는 방문세대에 해당하는 입주자 정보, 방문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방문정보, 진입차량으로 제공하는 메시지 및 주차위치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230)는 입주자DB(231), 방문자DB(232), 주차위치DB(233) 및 안내정보DB(234)를포함한다.
입주자DB(231)는 입주자정보와 예약방문정보를 포함한다. 입주자정보는 입주차량번호, 세대주소, 연락처, 성명 등을 포함하며, 예약방문정보는 예약방문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 등을 포함한다.
방문자DB(232)는 일반방문차량으로부터 획득된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 방문자 연락처 등을 포함한다.
주차위치DB(233)는 각 차량이 주차한 층, 구역 및 셀과 주차한 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시간 등을 포함하며, 한시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차위치DB(233)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진출된 차량의 차량번호에 매핑된 주차셀을 주차가능한 셀로 변경되었음을 갱신하고 갱신내역을 저장한다.
안내정보DB(234)는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저장한다. 안내정보DB(234)는 주차장의 평면도 등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은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거나 주차된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진출입의 감지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게이트와 인접한 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제어단말기(110)의 제어부(200)는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감지하여 S311단계 또는 S326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200)가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감지할 때는 루프코일에 의한 방법, 센서감지에 의한 방법, 카메라 촬영에 의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310단계에서 제어부(200)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S311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입력부(210)의 카메라를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는 주차장에 진입할 수 있는 모든 차량 기종들에서 차량번호판이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0)의 영상처리부(201)는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인식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추출할 때는 패턴인식 및 숫자 인식알고리즘 및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인 License Plate Recognition(LPR)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S312단계에서 제어부(200)의 판단부(203)는 영상처리부(201)에서 추출된 차량번호가 입주차량번호인지 판단한다. S312단계의 판단결과, 진입이 감지된 차량번호가 저장부(230)의 입주자DB(231)에 저장된 입주자정보에 해당하는 차량번호이면 제어부(200)는 S320단계로 진행하고, 입주자정보에 해당하는 차량번호가 아니면 제어부(200)는 S313단계로 진행한다. 아울러, S312단계에서 영상처리부(201)가 진입이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에 실패한 경우, 진입이 감지된 차량을 방문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13단계에서 제어부(200)는 S310단계에서 진입이 감지된 차량이 방문차량인 것으로 인식하여 안내정보DB(234)에 저장된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이때,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방문할 세대의 주소를 말씀하세요", "방문목적을 말씀하세요", "본인의 이름을 말씀하세요" 및 "본인의 연락처를 말씀하세요" 등의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어서, S3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방문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활성화한다. 제어부(200)가 마이크로부터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면 제어부(200)는 S315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제어부(200)가 마이크로부터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임계시간 동안 마이크로부터 방문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면 제어부(200)는 S313단계로 회귀하여 방문정보입력을 재요청한다.
S315단계에서 제어부(200)의 음성처리부(202)는 마이크에서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방문차량의 방문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음성처리부(202)는 패턴정합법, 지식에 기반을 둔 방법,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벡터 양자화를 이용하는 방법, 신경망을 이용하는 방법, HMM/NN혼성 네트워크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를 인식하여 추출한다. 제어부(200)의 판단부(203)는 추출된 방문정보로부터 방문차량이 저장부(230)의 입주자DB(231)에 기저장된 예약방문정보에 해당하는 예약방문차량인지 판단한다. S315단계의 판단결과,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이면 제어부(200)는 S319단계로 진행하고,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이 아니면 제어부(200)는 S316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1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방문차량을 일반방문차량으로 인식하고, 제어부(200)는 통신망(120) 중 네트워크 망을 통해 방문정보에 포함된 방문세대의 주소에 해당하는 세대에 구비된 인터폰으로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때, 인터폰을 통하여 방문세대의 입주자와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00)는 통신망(120) 중 이동통신망을 통해 입주자의 휴대단말기로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한다.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방문자 000의 출입을 승인하면 * 를 누르시오", "00를 목적으로 하는 000의 출입을 승인하면 비밀번호를 누르시오" 등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입주자의 휴대단말기 번호는 저장부(230)의 입주자DB(231)에 기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S317단계에서 제어부(200)가 입주자로부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S318단계로 진행하여,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관리 사무소에 구비된 인터폰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수신한 관리 사무소는 경비원을 주차장의 입구로 보내 일반방문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방문자의 신원과 방문목적을 확인하고, 게이트의 개폐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S317단계에서 제어부(200)가 입주자로부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00)는 S319단계로 진행한다.
S319단계에서 제어부(200)는 S312단계에서 입주차량으로 판단된 차량, S315단계에서 예약방문차량으로 판단된 차량 및 S402단계에서 출입이 승인된 일반방문차량으로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주차안내를 실행할까요", "주차희망위치를 말씀하세요" 등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저장부(230)의 안내정보DB(234)에 저장된다.
S320단계에서 제어부(200)가 마이크로부터 주차희망위치를 수신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S323단계로 진행하고, S320단계에서 제어부(200)가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주차희망위치를 수신하면 제어부(200)는 S321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21단계에서 제어부(200)의 판단부(203)는 S320단계에서 획득된 주차희망위치를 주차위치DB(233)와 비교하여,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한다. S321단계의 판단결과,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 불가능하면 제어부(200)는 S319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단계를 재수행하고,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 가능하면 제어부(200)는 S322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2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주차장의 입구부터 주차희망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경로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경우, 제어부(200)는 S320단계에서 입력된 주차희망위치에 해당하는 층의 평면도를 저장부(230)의 주차위치DB(233)에서 추출하여 모니터에 출력한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주차희망위치에 해당하는 층에서 주차가 완료된 구역을 주차위치DB(233)에서 추출하여 상기 평면도에 표시하고, 주차희망위치까지의 경로를 평면도에 표시한다. 이로 인해, 각 차량은 자신이 입력한 주차희망위치 및 주차희망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차량이 입력한 주차희망위치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경우에 주차가 가능한 위치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어서 보다 쉽게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S323단계로 진행하고, S323단계에서 제어부(200)의 구동부(204)는 게이트를 개방을 제어한다.
이어서, S32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다수개의 카메라를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통해 차량이 주차할 때까지의 차량의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제어부(200)는 최종적으로 차량이 주차된 주차셀을 파악하고, 주차셀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이후, S325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추적한 차량의 차량번호와 주차셀을 매핑하여 주차위치DB(233)에 저장한다.
반대로, S310단계에서 제어부(200)가 차량의 진출을 감지하면, S32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의 영상처리부(201)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후, S327단계에서 제어부(200)의 구동부(204)는 게이트의 개방을 제어한다.
S328단계에서 제어부(200)는 S326단계에서 추출된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차량이 주차되어있던 셀을 주차위치DB(233)에서 추출한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추출된 셀에 매핑되어 저장된 차량번호를 주차위치DB(233)에서 삭제하고, 주차셀을 주차가능한 구역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저장부(230)를 제어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력부(2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에 S319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기 이전에 주차장의 층, 특정 구역 및 특정 셀이 표시된 평면도(특히, 주차가 가능한 셀이 표시된 평면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S320단계, S321단계, S322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S323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터치스크린에 주차가 가능한 셀이 표시된 평면도를 표시하였기 때문에, 각 차량이 주차가 가능한 셀을 선택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셀이 주차가 가능한 셀인지 판단할 필요없이 선택된 셀까지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제어 단말기가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를 기저장된 입주자 차량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을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추출된 방문정보를 기저장된 예약방문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방문차량이 예약방문차량인지 일반방문차량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입주차량 및 예약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차량이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문정보에 해당하는 방문세대로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방문정보와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없는 경우,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관리 사무소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이전에 주차희망위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응되는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데이터에 대한 주차희망위치를 기저장된 주차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주차희망위치에 주차가 가능하면 상기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안내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주차희망위치에 주차가 불가능하면, 주차희망위치를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방문정보 입력을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정보는 입주자에 대한 입주차량번호, 세대주소, 연락처, 성명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예약방문정보는 입주자가 제공한 예약방문자에 대한 예약방문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방문정보는 방문목적, 방문세대,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진출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진출을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상기 차량이 진출된 내역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방법.
  8.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상기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출력부;
    입주자에 대한 정보, 방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으로 출력하는 각 메시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및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차량의 진입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인식하여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예약방문차량과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입주차량과 상기 예약방문차량일 경우에 게이트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입력부의 마이크에서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방문정보 및 주차희망위치를 추출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차량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입주자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입주차량과 방문차량으로 판단하고, 방문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방문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자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예약방문차량과 일반방문차량으로 판단한 후,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각 차량의 주차희망위치에 대한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일반방문차량이면 상기 방문정보에 해당하는 방문세대로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방문정보와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일반방문차량의 출입승인 거부메시지를 관리 사무소로 제공하고, 상기 해당 방문세대로부터 상기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출입승인이 있는 경우에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이동경로로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위치와 상기 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주자에 대한 입주차량번호, 세대주소, 연락처, 성명을 포함하는 입주자정보 및 입주자가 제공한 예약방문자에 대한 예약방문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를 포함하는 예약방문정보를 저장하는 입주자DB;
    상기 일반방문차량으로부터 획득된 일반방문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방문자 성명, 방문목적, 방문 세대주소, 방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저장하는 방문자DB;
    상기 각 차량이 주차한 위치와 차량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주차위치DB; 및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방문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주차희망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정보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의 주차위치와 차량번호를 상기 차량이 진출된 내역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차량 관리 제어단말기.
KR1020080017236A 2008-02-26 2008-02-26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KR10092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36A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8-02-26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36A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8-02-26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985A true KR20090091985A (ko) 2009-08-31
KR100922636B1 KR100922636B1 (ko) 2009-10-19

Family

ID=4120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36A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8-02-26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63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65B1 (ko) * 2013-08-08 2014-05-29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CN105303821A (zh) * 2015-09-07 2016-02-03 成都杰迈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事前防范性停车管理方法
KR101654481B1 (ko) *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차량 차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07203B1 (ko) * 2019-07-20 2020-05-06 김근석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주차차단기 자동 출입 및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차단기 개폐 시스템
KR102127114B1 (ko) * 2020-01-07 2020-06-26 (주)신화에프이원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주차관리시스템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20220022333A (ko) 2020-08-18 2022-02-25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방문차량 주차예약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3971847A1 (en) 2020-09-18 2022-03-23 ParkingCloud Co., Ltd.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77879B1 (ko) * 2021-07-05 2022-12-15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반응형 양방향 차량 자동호출 시스템
KR20230011804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회산 협소지역 진입로 번호인식 차량출입통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8293A (zh) * 2017-07-28 2017-10-13 陕西中熙汇天网络科技有限公司 交通违法移动监控信息采集分析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904B1 (ko) * 2000-02-23 2001-12-22 최천우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7-12-0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68465B1 (ko) 2007-02-27 2007-10-18 (주)유피에스정보통신 차량의 출입관리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65B1 (ko) * 2013-08-08 2014-05-29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CN105303821A (zh) * 2015-09-07 2016-02-03 成都杰迈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事前防范性停车管理方法
KR101654481B1 (ko) *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차량 차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07203B1 (ko) * 2019-07-20 2020-05-06 김근석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주차차단기 자동 출입 및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차단기 개폐 시스템
KR102127114B1 (ko) * 2020-01-07 2020-06-26 (주)신화에프이원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주차관리시스템
KR20220022333A (ko) 2020-08-18 2022-02-25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방문차량 주차예약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3971847A1 (en) 2020-09-18 2022-03-23 ParkingCloud Co., Ltd.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37707A (ko) 2020-09-18 2022-03-25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102477879B1 (ko) * 2021-07-05 2022-12-15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반응형 양방향 차량 자동호출 시스템
KR20230011804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회산 협소지역 진입로 번호인식 차량출입통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636B1 (ko) 200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636B1 (ko)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US10853629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user entering an autonomous vehicle
KR101187342B1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CN102467762B (zh) 在车内使用驾驶者脸部识别管理进入和离开的系统和方法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101838858B1 (ko) 생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구 제어방법
TW201532940A (zh) 電梯控制系統
KR20120119724A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CN103419790A (zh) 车辆驾驶员的分级识别和基于该识别的车辆设置激活选择
KR101745829B1 (ko) 호텔의 객실 도어락 관리시스템
CN111882679A (zh) 一种用于地铁进出通道的检票系统及方法
KR101668360B1 (ko) Ic 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CN110400396B (zh) 使用移动电话来进行无缝进入和意图识别的系统和方法
KR101634943B1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23936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KR101537389B1 (ko) 출입 통제 및 출입 감시 통합 시스템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KR20190048976A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101420539B1 (ko) 출입문 개방 시스템
KR101276936B1 (ko) 추적 대상 통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능형 로봇 감시서비스 시스템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