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91A -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91A
KR20220052591A KR1020200136713A KR20200136713A KR20220052591A KR 20220052591 A KR20220052591 A KR 20220052591A KR 1020200136713 A KR1020200136713 A KR 1020200136713A KR 20200136713 A KR20200136713 A KR 20200136713A KR 20220052591 A KR20220052591 A KR 2022005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abled
biometric information
unmanned
park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다현
박서현
김준수
편윤창
진주영
Original Assignee
강다현
박서현
김준수
편윤창
진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다현, 박서현, 김준수, 편윤창, 진주영 filed Critical 강다현
Priority to KR102020013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591A/ko
Publication of KR2022005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간단한 인증과정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 또는 이동 없이 장애인주차구역에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이 감지되면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통신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Vehicle unmanned enforcement device in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vehicle unmanned enforc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무인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거나,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주차된 차량을 무인단속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등의 공용주차장은 물론 대형마트나 아파트, 극장, 백화점등의 일반주차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차장 및 주차시설에는 장애인들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이동 및 시설사용의 편의를 도모하고, 나아가 장애인을 배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애인이 탑승한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도록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별도로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그 특성상 장애인이 차량에서 쉽게 내리거나 탈 수 있게 일반주차구역보다 넓은 주차공간을 이루고, 장애인이 쉽게 시설물을 사용하거나 건물 내에 출입할 수 있도록 건물이나 시설물의 출입구 근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비장애인들이 불법으로 주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정작 장애인들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을 단속하기 위하여 단속요원을 현장에 투입하는 방식을 통해 불법주차를 단속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인력부족의 문제로 단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차량들을 장애인 및 비장애인 구분없이 모두 일일이 차량번호판을 촬영하거나 장애인 차량에 부착된 RFID태그의 센싱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장애인 차량을 자동 인식하여 불법주차 차량을 쉽게 단속할 수 있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불법주차단속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히 차량만을 촬영하여 장애인 차량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장애인 차량이 아닌 경우에만 단속이 가능할 뿐이지, 장애인 차량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450호 (2017.04.24. 공고)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차량이 등록된 장애인 차량이면서 등록된 장애인이 탑승하였는지를 무인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스토퍼 사이 또는 상기 스토퍼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상기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은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장치가 구비되는 차량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수행하는 차량무인단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자에 해당하는 생체정보 및 상기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로부터 불법주차 신호를 수신하여 불법주차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상기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에 의하면, 차량 내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간단한 인증과정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 또는 이동 없이 장애인주차구역에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은 차량무인단속장치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또는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불법주차 차량을 무인으로 단속함으로써,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을 단속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량무인단속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생체정보인식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에 불법신호가 수신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100)(이하,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차량 감지부(30), 영상 촬영부(50), 통신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차량 감지부(3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영상 촬영부(50)는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한다. 통신부(7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90)는 차량이 감지되면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통신부(7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10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하면에 양측이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대(14) 및 지지대(14)를 외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본체(10) 내에는 차량 감지부(30), 영상 촬영부(50), 통신부(70) 및 제어부(90)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 감지부(30) 및 영상 촬영부(50)는 차량이 진입해 오는 방향으로 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 감지부(30)는 본체(10) 외부면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들어오는 차량을 감지한다.
차량 감지부(30) 내부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들어오는 차량 및 나가는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전용주차구역에 들어오는 차량을 감지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 면에 차량이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등의 물리량을 감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응답 속도와 감도가 크기 때문에 이에 따라 주차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 촬영부(50)는 본체(10) 외부면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50) 내부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고해상도 줌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일 수 있다.
여기서 CCD 카메라는 사람의 눈과 같이 가시광영역의 물체를 감시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안테나는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판 패턴 타입의 안테나 또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세라믹 바 타입의 안테나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제어부(90)는 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차량의 무인단속을 제어한다.
우선 제어부(90)는 차량 감지부(30)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량이 진입하면 영상 촬영부(50)에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어부(90)는 영상 촬영부(5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이 아닌 경우,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통신부(7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통신부(7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인식된 생체정보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차량의 무인단속을 종료한다.
다음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량무인단속장치(100)가 배치된 모습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차량무인단속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서 스토퍼(S) 사이 또는 스토퍼(S)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S)는 시중에 나와있는 규격화된 주차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재질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토퍼(S)의 재질은 고무 재질로 구성되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의 내측 후방 지면 상부에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 주차된 차량(200)을 차량 감지부가 감지하며, 차량 번호판(210)을 영상 촬영부(50)를 통해 촬영한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토퍼(S) 사이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스토퍼(S)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연결된 스토퍼(S) 내부에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토퍼(S) 중 하나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100)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장치(100)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방법 은 차량 감지부(30)가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 접근하는 차량(200)을 감지하는 단계(S10), 영상 촬영부(50)가 감지된 차량(200)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단계(S20), 제어부(90)가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제어부(90)가 통신부(70)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 제어부(90)가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S50),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서 감지된 차량(200)의 무인단속을 완료하는 단계(S60) 및 제어부(90)가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먼저 S10 단계에서, 차량 감지부(3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 접근하는 차량(200)을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 감지부(30)는 차량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90)에 보내며 제어부(90)는 영상 촬영부(50)에 촬영 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영상 촬영부(50)가 감지된 차량(200)을 차량 번호판(210)을 촬영한다.
여기서 영상 촬영부(50)는 촬영된 차량번호의 영상을 제어부(90)로 보낸다.
다음으로 S30 단계에서, 제어부(90)는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인식된 차량(200)이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0)는 장애인 차량번호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번호와 저장된 차량번호를 대비하여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90)는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1차 인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S40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S40 단계에서, 제어부(90)는 통신부(70)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차량(200)은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한 후 통신부(70)를 통해 제어부(90)에 인식된 생체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S50 단계에서, 제어부(90)는 통신부(70)를 통해 탑승자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정보가 저장된 장애인의 생체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0)는 장애인의 생체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부(70)를 통해 수신된 탑승자의 생체정보와 저장된 장애인의 생체정보를 대비하여 장애인 생체정보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90)는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되어야 함은 물론 차량에 장애인이 탑승하였는지를 2차 인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 S60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 S60 단계에서, 차량(200)의 주차를 허용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서 감지된 차량(200)의 무인단속을 완료한다.
만약 S30 단계 및 S50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이 아니거나 수신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S70 단계를 수행한다.
S70 단계에서, 제어부(90)는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차량(200)을 감지한 후 특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생체정보가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입력되지 않을 때에도 S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가 허용되는 경우, 주차를 허용하는 안내 방송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안내 방송을 위해 널리 알려진 스피커(도면에는 미도시)가 차량무인단속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피커는 제어부(9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되지 않은 차량으로 판단되거나,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차할 수 없는 차량이라는 안내 방송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P) 차량무인단속장치(100)에 의하면, 차량(200) 내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간단한 인증과정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200)에서 하차 또는 이동 없이 장애인전용주차구역(P)에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은 차량(200) 및 차량무인단속장치(100)를 포함한다.
차량(200)은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장치가 구비된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200)의 차량번호 또는 인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200)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감지된 차량(200)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이 감지되면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통신부를 통해 차량(200)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생체정보인식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차량무인단속시스템은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200)은 생체인식장치(230)가 구비되어 생체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생체인식장치(230)는 차량 내에 탑승자의 손 또는 얼굴이 인식 가능한 곳에 있어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스캔하여 인식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생체인식장치(230)는 지문인식센서, 안면인식센서 및 홍채인식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문인식센서는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지문인식센서는 탑승자의 스캔된 지문을 인식하기 위해 분석하며 일반적인 출입통제장치나 도어락 등에 사용되는 지문스캐너의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차량(200)에서 인식된 생체정보 신호를 송수신가능하게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거나,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통신부가 통신망에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300)는 탑승자에 해당하는 생체정보 및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서버(300)에는 장애인 및 장애인의 보호자에 해당하는 생체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차량(200)에서 생체인식이 어려운 장애인이 탑승한 경우 보호자가 장애인을 대신해 인식할 수 있다.
다음은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에서의 관라자 단말기(400)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에 불법신호가 수신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무인단속장치(100)는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관리자 단말기(400)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차량무인단속장치(100)로부터 불법주차 신호를 수신하여 불법주차를 관리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서버(3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계를 받는 장치이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및 MP3 플레이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불법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관리자로부터 요청시 단말기에 설치되고 실행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 또는 Google Play 및 Apple App Stor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Java, PHP, Perl, Python, Ruby 등과 같은 잘 알려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되거나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차량무인단속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통해 차량 번호판 사진, 차량 입차 시간 및 불법주차 상태 등을 관리자 단말기(4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차량무인단속장치(100)에서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와 일정시간이 지나도 생체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챠량 상태를 ‘확인필요’로 표시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인식된 차량인식정보를 관할단속기관에 신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차량무인단속장치(100)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이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 경우,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챠량 상태를 ‘확인완료’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은 차량무인단속장치(100)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또는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불법주차 차량을 무인으로 단속함으로써,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을 단속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P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S : 스토퍼
10 : 본체
14 : 지지대
16 : 고정부재
30 : 차량 감지부
50 : 영상 촬영부
70 : 통신부
90 : 제어부
100 : 차량무인단속장치
200 : 차량
210 : 차량 번호판
230 : 생체정보인식장치
300 : 서버
4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스토퍼 사이 또는 상기 스토퍼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상기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4. 탑승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장치가 구비되는 차량;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수행하는 차량무인단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감지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식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무인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에 해당하는 생체정보 및 상기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로부터 불법주차 신호를 수신하여 불법주차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무인단속장치는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 또는 상기 인식된 생체정보가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또는 상기 장애인으로 등록된 생체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불법주차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20200136713A 2020-10-21 2020-10-21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20220052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13A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0-10-21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13A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0-10-21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91A true KR20220052591A (ko) 2022-04-28

Family

ID=8144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13A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0-10-21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59B1 (ko) 2023-09-27 2024-04-11 주식회사 지아이랩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7-04-2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7-04-2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59B1 (ko) 2023-09-27 2024-04-11 주식회사 지아이랩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I653608B (zh) 用於授予進出的安全控制系統及其安全控制方法
WO2020075307A1 (ja) ゲート装置、ゲート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922636B1 (ko)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JP2008065763A (ja) 生体認証とロボット装置を組み合わせ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610663B1 (ko)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KR101634943B1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1492799B1 (ko) 감시영역 입퇴실자 추적을 통한 출입 통제 기능을 가지는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07543A (zh) 门铃、钥匙管理系统以及对讲系统
US202303806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less temperature screening system
KR20130077388A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915657B1 (ko)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7530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8007985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KR20220052591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14665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관리장치
US20210407237A1 (en) Intelligent secure keypad keyless transmitter
KR102289772B1 (ko)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632212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2619B1 (ko) 장애인 주차 구역 위반 단속 방법 및 시스템
CN214376665U (zh) 自助访客系统及自助访客机
KR101414832B1 (ko) 사전 스티커 발부 인지를 위한 주차단속 사전인지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