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450B1 -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450B1
KR101729450B1 KR1020160111642A KR20160111642A KR101729450B1 KR 101729450 B1 KR101729450 B1 KR 101729450B1 KR 1020160111642 A KR1020160111642 A KR 1020160111642A KR 20160111642 A KR20160111642 A KR 20160111642A KR 101729450 B1 KR101729450 B1 KR 10172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harging
lpr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진
윤영일
Original Assignee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B60L11/1838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의 만공차상태플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부(120); 상기 주차면으로 입차하는 입차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30); 상기 입차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40);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시간,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하는 충전모듈표시부(153를 포함하는 충전모듈(150); 상기 충전모듈(150) 가능하도록 상기 LPR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충전모듈장착부(160); 상기 충전모듈장착부(160)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상기 충전정보와 주차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하는 LPR표시부(170);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기위한 LPR통신부(180); 및 상기 주차표시부(120), 상기 차량감지부(130), 상기 영상획득부(140), 상기 충전모듈(150), 상기 LPR표시부(170), 및 상기 LPU통신부(18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고,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을 카운트하는 LPR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LPR DEVICE HAVING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LPR 장치에 전기자동차충전 기능을 접목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설비 확충,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및 주차 시설의 스마트화로 유휴지의 주차 시설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5년 현재 자동차 등록 대수 2,098만 9천대, 경제활동인구 약 2,700만명으로,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가 전체 경제활동인구에 70%를 넘어서고 있다. 도로 문제뿐만 아니라 주차 문제가 사외문제화 된 것은 이미 오래 전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건물 신축 시 주차시설 확보는 필수 사항이기도 한다.
어떤 형태로든 주차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필요 요소들이 있지만, 특히 유료 주차장 운영을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적지 않다. 시설의 특성상, 시설 운영시간에 제한이 없어야 하며, 차량 입출차를 비롯한 요금관련 정보의 정확한 체크와 계산을 위한 시설이 필수적이다. 반면에 근무자의 업무 환경은 열악하지만, 대규모 주차 시설에서는 설비 운영을 위한 인건비 부담이 적지 않을 정도로 관리 작업은 중요하다. 특히 별도의 출입구가 없는 도로상의 노상 공영 주차장의 경우에는 주차비 정산에 필요한 입출차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런 문제 때문에 관리원이 2륜 자동차등을 이용하여 이동해야 할 만큼 이동거리가 길다. 또한 노상 주차장이라는 특성 탓에, 정산/관리원은 폭염, 한파, 폭우 등의 날씨 변화에 그대로 노출되며, 고된 노동 강도에 맞게 보수가 책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인력 수급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에 주택가나 이면도로에 주차면 10면 이하의 소규모 주차장에서는, 수입대비 인건비 비중이 너무 커서, 일몰 후 야간에는 정산/관리원이 없어서 무료 개방하는 경우가 많으며, 유료화 자체를 포기하고 무료 주차장으로 개방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 번호판 인식 장치(LPR, License Plate Recognition)를 설치하는 노상 주차장이 늘고 있다. 주차면에 LPR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 번호판 인식 및 요금 정산까지, 유료 주차 서비스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설비/설치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LPR장치의 장점과 유인 시스템의 장점을 접목하여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무인시스템, 혹은 유인시스템으로도 운영되고 있다.
인건비나 인력 수급에 대한 부담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정확한 입출차 시간 및 기타 정보 관리가 자동으로 진행되어, 민원 발생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뿐만 아니라 고객 입장에서도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LPR장치를 적용할 경우에 최소 20% 이상의 매출 증가 기대가 가능하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예측이다. 이런 LPR장치의 장점을 적절히 적용할 경우에 유휴지의 주차장으로서의 활용도가 높이지고, 그에 따른 주차난 해소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 되고 있다.
자동차 관련하여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는 또 다른 이슈는 바로 전기자동차이다. 발명된 지 100여년이 지난 내연기관의 치명적인 문제인 환경 오염을 해결한다는 고전적인 이유만이 아니라, 개발 초기에 비교해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비롯한 전기자동차용 핵심 부품의 성능과 산업화의 진행 수준과 더불어, 다양한 국가적 지원책 등으로 인해서,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그 증가 속도고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시점에서 전기자동차에 연관된 가장 문제점 중에 민관이 모두 고민하는 것은 충전소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인간 생활이 가능한 모든 곳에 전기설비가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 행위에 대한 해결이 완벽하지 못한 상황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있다. 한국 가옥 구조상 집집마다 개인 주차장이 구비되기 힘들고, 그렇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충전용 설비 구비가 어렵다. 아직은 배터리 성능에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데, 주행 거리가 길지 못한 반면에 충전 필요시간은 길다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220AC를 이용한 완속충전방식의 경우에는 완충까지 5~6시간에서 길게는 ~10시간, 380VDC를 이용하는 급속충전방식이라도 수십 분에서 1~2시간 정도의 충전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내연기관 자동차처럼 길어야 5분이면 주유를 마치는 상황과는 대비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렇게 완충했다 하더라도, 주행거리는 길지 않아서 현재 국내 시판되는 전기 자동차의 일반적인 1회충전주행거리는 100Km내외이며, 150Km를 넘기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충전소는 현재의 주유소 및 LPG 충전소보다 훨씬 더 많은 장소에 설치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실질적인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실정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친환경운행수단"이라는 등식은 성립할 수 있으나, "전기"라는 현대 생활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기기들의 공통된 에너지원을 이용하고 있음에도, "전기자동차=간편한 연료주입"이라는 등식은 아직은 어려운 상황이다. 즉, "핸드폰 충전하듯 야간에 자동차 충전"이란 모토를 일반인들이 실현하기에는 아직 문제점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연료 주입은 자동차가 멈추어 있는 공간에서 수시로 이루어 질 수 있어야 하는데, 가장 먼저 주목할만한 공간은 주차장이다. 즉, 앞서 설명한 LPR장치에 전기자동차 충전기능을 접목하는 것이다. 주차비용 정산에 LPR장치의 차량번호인식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주차설비에서의 LPR장치의 주요 기능이었다면, 동일한 차량번호인식기능을 전기자동차충전요금의 부과 대상 인식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마치 하이패스 시스템으로 고속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우선 24시간 운영과 소규모 주차장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LPR이 설치될 수 있는 전국의 옥내, 옥외 주차면이 전기 자동차의 잠재적 충전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사회적 인식이 늘어나면서, 최근에 지자체에서 급속 충전기 보급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보급을 늘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엄청난 설치비에 비해서 미래의 효용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대당 수천 만원에 달하는 설치비용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은 급속충전기 대신에, 상대적으로 설치와 그에 대한 비용이 저렴한 완속충전기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측면도 있다. 즉,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물론이고, 충전관련 장비, 방법에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있을 것이며,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만충전 후, 총 주행 거리도 길지 않기 때문에, 지나치게 고가인 급속 충전기를 보급 확대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견이다. 따라서, 동일한 비용으로 완속 충전의 설치 장소를 더 많이 늘임으로써, 실질적인 충전빈도를 늘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 현재 상태에서 더 효과적인 전기자동차보급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유료 주차장에서 필요한 주차요금 정보에 관련된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일반적인 LPR장치도 여러 형태의 주차장에 적용될 수 있다. 아파트, 대형 마트, 사무용 건물 등의 주거/사무/산업용 빌딩에 부속된 일반 주차장에 설치되어, 충전 비용의 자동 정산 기능을 활용할 경우에, 현재 수준의 전기자동차의 가장 주요한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출퇴근용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써의 전기자동차보급에는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LPG차량 보급 초기에 LPG차량 소유자들이 충전소 부족을 큰 불편 요소로 생각해 왔고, 최근에는 충전소 확충이 대폭 늘어나서 실제 충전에 불편을 느낄 상황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LPG 차량 운전자들은 일반 휘발유, 경유차량 운전자에 비해서, 연료 잔량에 대대 더 예민한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볼 때, LPR장치와 전기차용 충전시스템이 융합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소=주차장"이라는 인식이 확립되어가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 중에 직접적인 금전 보상 정책과 더불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358010000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62980700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번호 인식장치(LPR)에 전기자동차 충전기능의 충전모듈을 탈부착가능하게 하여, 주차장 시설에서도 전기자동차충전과 차량별 비용 청구가 가능하게 하며, 충전 모듈을 탈거하여 일반 주차장용 차량 번호 인식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비와 전기자동차충전비용을 통합하여 정산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의 만공차상태플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부(120); 상기 주차면으로 입차하는 입차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30); 상기 입차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40);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시간,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하는 충전모듈표시부(153)를 포함하는 충전모듈(150); 상기 충전모듈(150) 가능하도록 상기 LPR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충전모듈장착부(160); 상기 충전모듈장착부(160)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상기 충전정보와 주차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하는 LPR표시부(170);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기위한 LPR통신부(180); 및 상기 주차표시부(120), 상기 차량감지부(130), 상기 영상획득부(140), 상기 충전모듈(150), 상기 LPR표시부(170), 및 상기 LPU통신부(18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고,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을 카운트하는 LPR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입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형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획득부(14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획득부(140)는 상기 번화판 영상 획득을 위한 촬영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모듈(150)의 충전성능이 전기용품안전기준 및 운용요령(KS)에 의하여 인증받은 완속충전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모듈(150)이 탈거되면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사용이 불가하도록,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에 장착되는 콘센트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감지부(130)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알고리즘 방식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획득부(140)는 적외선 LED를 조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PR통신부(180)가 TCP/IP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표시부(120)는 상기 주차면의 입차대기, 입차완료, 요금과금 및 정산완료를 포함하는 주차면상태정보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상태를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PR표시부(170)는 평면 혹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LPR장치(100); 상기 LPR장치(100)로부터 번호판 영상 및 주차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와 전기자동차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을 인식하는 차량번호인식부(220)와, 상기 주차 정보와 상기 충전 정보가 상기 차량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PRU메모리부(23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PRU통신부(240), 상기 차번인식부(220), 상기 PRU메모리부(230)와, 상기 PRU통신부(24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제어하는 PRU제어부(210)로 구성되는 주차 인식 유닛(RPU, Parking Recognition Unit)(200); 상기 주차 인식 유닛(200)으로부터 상기 주차 정보와 상기 충전 정보를 전송 받아 주차-충전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정산부(32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정산기통신부(330)와, 상기 주차-충전 요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금정산부(320)와 상기 정산기통신부(330)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정산기표시부(340)와, 상기 요금정산부(320), 상기 정산기통신부(330) 및 상기 정산기표시부(340) 중에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하는 정산기제어부(310)로 구비된 무인통합정산기(300);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100)와, 상기 주차 인식 유닛(200)과, 상기 무인통합정산기(300)가 연결되어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상위 통신망에 연결되는 허브(Hub,400); 상기 허브(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결과를 확인/보정하는 차번 인식확인부(510)와, 정기권 차량 관리부(520)와, 차량 입출차정보 관리부(530)와, SMS 문자 발송 관리부(540)를 포함하는 현장관리컴퓨터(500)가 연결되며, 상위 인터넷에 접속되는 가상사설망(VPN, 600);및 상기 가상사설망(600)과 인터넷 연결되며, 상기 현장관리컴퓨터(500)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검색하는 중앙관리컴퓨터(700)를 포함하되, 상기 LPR장치(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면이 평면 주차면일 때, 양방향형 LPR장치(100)가 상기 주차면 1면당 1대가 설치되어, 전방주차와 후방주차에 상관없이, 번호판영상획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PR장치(1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때, 상기 LPR 장치(100)는/ 상호간에 데이지체인(Daisy Chain) 병렬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충전 요금 지불을 신용카드로 지불하기 위한 신용카드정보입력부(350)와, 상기 신용카드입력부로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로 상기 정산기통신부를 통하여 VAN사에 신용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요금정산부(320)로 전달하는 신용카드승인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LPR장치(100)가 주차면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영상을 획득하고, 주차인식유닛(200)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충전케이블을 상기 LPR장치(100)에 부착된 충전모듈(150)의 충전 용콘센트(152)에 연결하고,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서 상기 차량 번호로 선결제요금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결제요금을 최초신용카드로 최초결제요청하고, 상기 무인통합정산기(300)의 신용카드승인부(360)에서 VAN사에 상기 금액과 상기 제1신용카드에 대하여 제1차승인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차승인요청이 승인되면 충전이 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출차를 목적으로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서 상기 차량 번호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에 매칭하는 주차-충전요금이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의 정산기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정산 요청을 입력 받아서 상기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차승인의 취소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차승인의 취소를 요청할 경우에, 상기 제1차승인을 취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차-충전요금 신용카드로 2차 결제 요청하고,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의 승인부(360)에서 VAN사에 상기 주차-충전요금과 신용카드에 대하여 제2차승인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차 승인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 케이블을 철거하고, 상기 차량을 출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번호 인식장치(LPR)에 전기자동차 충전기능의 충전모듈을 탈부착가능하게 하여, 주차장 시설에서도 전기자동차충전과 차량별 비용 청구가 가능하게 하며, 충전 모듈을 탈거하여 일반 주차장용 차량 번호 인식장치로 사용할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비와 전기자동차충전비용을 통합하여 정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의 실물 전면부와 후면부 견본 사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전기자동차충전모듈(150)의 실물 견본 사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의 블록 구성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가 직각주차면과 사선 주차면에 적용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평형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입차 방향에 영상획득 방법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1셀 구성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결제 방식 흐름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1구역 구성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1시스템의 구성도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 인식 유닛의 블록 구성도.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무인 통합 정산기의 블록 구성도.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현장관리컴퓨터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의 실물 전면부와 후면부 견본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한, 전기자동차충전모듈(150)의 실물 견본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은 해당 주차면의 만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부(120)와, 입차하는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30), 입차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40),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150)과, 충전모듈(15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입출차 검지 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충전모듈장착부(160), 충전모듈장착부(160)에 형성되고 자동차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주차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정보와 충전시간 및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LPR표시부(170)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차정보표시부(120)는 해당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를 표시한다. 주차정보의 표시 방법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가시광원을 이용하여, 주차 정보 내용을 색이나 점멸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할 경우에, 구동 전류에 따른 색 조합이 용이하여 2 가지 색의 LED만으로도 다양한 색을 조합할 수 있으며, 기존가열식 램프에 비해서 On-Off의 지연(delay)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LED의 특징을 활용하여, 점멸 기능을 적용할 경우에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감지부(130)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영상획득부(140)에 광학적 영항을 미치지 않으므로, 영상획득부(140) 내부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면 더 짧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음으로써, 영상획득부(140)의 동작 부하를 줄여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영상획득부(140)를 상시 가동하면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기술 등을 적용하여, 차량감지부의 기능을 통합할 수도 있다.
영상획득부(140)는 자동차 번호판인식이 가능한 고화질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만화소의 디지털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고화질 카메라일수록 더 많은 조명량이 필요한데, 조명량이 충분하지 못한 일몰 후, 혹은 자연광이 모자란 흐린날과 같은 상황에서도 영상획득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LED 조명을 구비할 수 있다. 이면도로나 주택가의 노상 주차장에 설치된 영상획득부(140)는, 방범용 CCTV 카메라 역할도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원거리 조명 기능이 가능한 900nm 이상의 장파장 적외선 LED를 적용하면, 해당 주차장뿐만 아니라 및 인근 지역의 범죄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주차정보표시부(120a, 120b), 차량감지부(130a, 130b) 및 영상획득부(140a, 140b)가 LPR장치(10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양방향형 LPR장치(100)는, 단방향형 LPR 장치에 비해서(100) 두 개이상의 주차면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획득부(140)가 가로축, 혹은 세로축으로 축고정되고, 영상획득부(140)에서 획득된 영상이 실시간 디스플레이되는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화각 설정에 자유도가 부여되어, 다양한 주차면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전기차충전용모듈(150)이 탈부착되는 충전모듈장착부(160)가 LPR장치(100)의 또 다른 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차충전모듈(150)에 전원과 충전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모듈용콘센트(153)는 충전모듈미장착시 안전을 위하여 보호 덮게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모듈장착부(160)은 전기 안전을 위해서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3), 충전모듈(150)이 매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충전모듈장착부(1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호하기 위한 장착부보호덮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모듈(150)은 충전용콘센트(152)와 충전모듈제어보드(151)를 구비하고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와 연결되면 충전이 가능하며, 콘센트 보호덮게가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충전중 충전 상태나 충전량과 같은 충전관련 정보를 전부 혹은 일부 표시할 수 있는 충전모듈표시부(153)가 구비될 수 도 있다.
충전모듈(150)은 LPR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차를 충전하는 기능을 한다. 공급받은 전원의 대부분을 by-pass시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그 일부의 전기에너지를 충전모듈(150)의 작동용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 전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설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내부에 충전용배터리를 탑재하여 자동차 충전시 동시에 충전됨으로써, LPR장치(100)에서 탈거된 상황에서, 충전모듈(150)의 대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모듈(150)의 상태 혹은 직전의 충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충전모듈(150)이 LPR장치(100)에 장착되어 충전작업이 진행될 때, LPR표시부(170)에 충전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주차 시간 및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주차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LPR표시부(170)는 LED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2차원 정보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최근의 가시광 LED Lamp, 혹은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전-광 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범용 CCTV로써의 영상획득부(140)와 마찬가지로, LPR표시부(170)를 방범등(security lighting fixture)의 기능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R장치(100)는 LPR제어부(110)와 LPR통신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LPR통신부(180)는 입출차정보와, 번호판영상, 주차시간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와 충전양,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주차 인식 유닛(RPU, Parking Recognition Unit)(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LPR장치(100)가 데이지체인(Daisy Chain) 병렬 방식으로 연결될 때, LPR 통신부(180)는 LPR 장치(100) 상호간, 혹은 HUB(400)와 같은 상위 네트워크와의 통신포트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LPR제어부(110)는 LPR장치(100)의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가 직각주차면과 사선 주차면에 적용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는 직각 주차면, 사선 주차면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사선 주차면에는 단방향식 LPR장치(100)가 주차 1면당 1개씩 배치될 수 있다. 직각 주차면의 경우에는 2면당 1대의 양방향형 LPR장치(100)를 설치하면 장치 비용과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가 평형 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입차 방향에 영상획득 방법울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형 주차면에서는 입차 방향이 전방 주차일 수도 있으며, 후방 주차일 수도 있다. 후방 주차로 입차하고, 주차면 전방에 LPR장치(100)가 배치될 경우에 주차 차량의 앞 번호판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번호판 영상 획득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방주차로 입차하고, 주차면 후방에 입출차 검지 장치(100)가 배치될 경우에는 주차차량 뒷 번호판이 보이지 않으므로, 마찬가지로 번호판 영상 획득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평형 주차면에서는 주차1면당 1대의 양방향식 LPR장치(100)를 설치함으로써, 입차 방향에 상관없이 번호판 영상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와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주차면 양방향식 LPR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주차면 수에 대비하여 LPR장치(100) 설치 대수를 절반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획득부(140)를 세로, 혹은 가로축으로 축고정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여, 카메라 화각에 자유도를 부여함으로써, 주차면의 크기 각도에 따라 차량의 주차 위치가 일정 범위에서 달라지더라도 번호판영상획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1셀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1셀의 구성에는, 충전모듈(150)을 포함하는 LPR장치(100)와, LPR장치(100)에서 주차 정보와 충전 정보를 전달 받아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하고 주차 차량번호별 주차 정보 및 충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의 주차 인식 유닛(200,PRU, Parking Recognition Unit), 그리고 주차 인식 유닛으로부터 주차현황 및 충전현황을 전달받아 주차비, 충전비를 산정하고 정산하는 무인통합정산기(300)가 포함된다.
LPR장치(100)에서 LPR제어부(110)는 차량이 입차하면 주차 시간 카운트를 개시하며, 사용자가 충전을 진행할 경우에는, 충전모듈제어부(151)에 충전 시작/종료 명령을 전달한다. 충전모듈(150)에서 시행된 충전작업에 대한 정보는 다시 LPR제어부(11)를 통하여 주차 인식 유닛(200)로 전달된다. 주차 인식 유닛(200)는 LPR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주차정보와 충전정보를 차량별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 별로 번화판영상 원본, 주차시간를 비롯한 주차 정보 및 충전시간/용량을 비롯한 충전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또한 저장된 정보는 소정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저장되는 기간 동안에는 검색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인통합정산기(300)의 기본적인 기능은 차량번호별 주차정보와 충전정보를 주차 인식 유닛(200)로부터 전송받아서, 주차 요금과 충전 요금을 병합한 주차-충전요금을 산정하고 결제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차량번호를 조회하면 해당 차량 번호에 대한 주차-충전 정보를 주차 인식 유닛(200)에 요청하고 해당 정보를 전송받아서 요금을 산정한다. 요금이 산정되면 신용카드 결제와 영수증 발행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결제 방식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기존의 일반적인 주차장에서 주차 요금을 정산할 경우에는 정확한 주차 시간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출차시 정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에서는, 전기자동차충전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충전 요금에 대한 선결제가 가능하다. 입차시 일정액의 충전 금액만큼 충전하도록 설정하고 미리 결제한 후, 출차시 주차 요금만 정산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이미 선 결제한 충전요금을 출차시 정산되는 주차 요금과 합산하여 재 결제하고, 선결제된 충전 요금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를 취소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차시 일정액의 충전비를 선결제한 후, 출차시 선결제 내역 취소와 재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신용카드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1구역의 구성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1구역을 다수 개 포함하는 1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1셀의 구성에 다수개의 LPR 장치(100)를 연결하면, 다수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장 1구역에 대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LPR장치(100)는 데이지체인(Daisy Chain) 병렬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Hub(400)와 같은 1셀에서의 상위 네트웍크 장치의 포트 하나에 다수개의 LPR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다. 주차장 마다 주차면 활용이 특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방식을 적용하면, 최초 설치시 그리고 주차장 운영중 주차면 변경시, 설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 주차인식유닛(200)의 기능, 혹은 장비가 내장된 주차인식통합정산기(301)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은 도 8에 나타낸 주차 관리 1구역 구성이 다수 개 포함되는 1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복수개의 LPR장치(100), 주차 인식 유닛(200), 무인 정산 시스템(300)이 HUB(400)의 하위 구성으로 배치되어 1구역을 구성하고, 이 1구역 복수개가 가상사설망(600, VPN, virtual private network)의 하위 구성으로 연결된다. 이때 가상사설망(600)에는 현장관리컴퓨터(500)가 추가로 배치된다. 현장관리컴퓨터(500)는 가상사설망(600) 하위의 모든 주차-충전 정보를 관리하며, 주차 인식 유닛(200)의 차량번호 인식 오류 수정 및 보정, 고객의 정기권 등록 및 관리, 그리고 주차-충전 정보를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d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가상사설망(600)은 인터넷(internet)망을 통하여 중앙관리컴퓨터(700)에 연결되고, 중앙관리컴퓨터(700)는 현장관리컴퓨터(600)가 관리하는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검색할 수 있다.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서 신용카드결제 절차를 수행할 때, 가상사설망(600)을 통하여 신용카드승인중계회사(VAN, Value Added Network)에 카드 승인,전표 보관 집계, 카드 대금 청구를 포함하는 승인 업무 대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 인식 유닛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무인 통합 정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현장관리컴퓨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LPR장치
110. LPR 제어부
120. 주파표시부
130. 차량감지부
140. 영상획득부
150. 충전모듈
151. 충전모듈제어부 152. 충전용콘센트 153. 충전모듈표시부
160. 충전모듈장착부
161.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
170. LPR표시부
180. LPR통신부
200. 주차인식장치(PRU)
210. PRU제어부
220. 차번인식부
230. PRU메모리부
240. PRU통신부
300. 무인 통합 정산기
301. 주차인식통합정산기
310. 정산기제어부
320. 정산기표시부
330. 정산기통신부
400. HUB
500. 현장관리컴퓨터
510. 차번인식확인부
520. 정기권 차량 관리부
530. 입출차 정보 관리부
540. SNS 문자 발송관리부
600. 가상사설망(VPN)
700. 중앙관리컴퓨터.

Claims (15)

  1.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100)에 있어서,
    주차면의 만공차상태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부 (120);
    상기 주차면으로 입차하는 입차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30);
    상기 입차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40);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시간,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하는 충전모듈표시부(153)를 포함하는 충전모듈(150);
    상기 충전모듈(150)이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LPR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충전모듈장착부(160);
    상기 충전모듈장착부(160)에 구비되는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상기 충전정보와 주차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하는 LPR표시부(170);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기위한 LPR통신부(180); 및
    상기 주차표시부(120), 상기 차량감지부(130), 상기 영상획득부(140), 상기 충전모듈(150), 상기 LPR표시부(170), 및 상기 LPR통신부(18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고,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을 카운트하는 LPR제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모듈(150)의 충전성능이 환경부 배포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지침”을 준수하는 완속충전기와 동일하며,

    상기 차량감지부(130)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알고리즘 방식이 적용되며,
    상기 영상획득부(140)는 적외선 LED를 조명을 구비하고,

    상기 LPR통신부(180)는 TCP/IP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입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획득부(140)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부(140)는 상기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150)이 탈거되면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 사용이 불가하도록, 상기 충전모듈전원용콘센트(161)에 장착되는 콘센트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표시부(120)는 상기 주차면의 입차대기, 입차완료, 요금과금 및 정산완료를 포함하는 주차면상태정보를,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PR표시부(170)는 평면 혹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
  11.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100);
    상기 LPR장치(100)로부터 번호판 영상 및 주차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와 전기자동차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을 인식하는 차번인식부(220)와, 상기 주차 정보와 상기 충전 정보가 상기 차량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PRU메모리부(23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PRU통신부(240)와, 상기 차번인식부(220)와, 상기 PRU메모리부(230)와 상기 PRU통신부(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제어하는 PRU제어부(210)로 구성되는 주차 인식 유닛(RPU, Parking Recognition Unit)(200);
    상기 주차 인식 유닛(200)으로부터 상기 주차 정보와 상기 충전 정보를 전송받아 주차-충전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정산부(32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정산기통신부(330)와, 상기 주차-충전 요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금정산부(320)와 상기 정산기통신부(330)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정산기표시부(340)와, 상기 요금정산부(320)와, 상기 정산기통신부(330) 및 상기정산기표시부(340) 중에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하는 정산기제어부(310)로 구비된 무인통합정산기(300);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을 구비한 LPR장치(100)와, 상기 주차 인식 유닛(200)과, 상기 무인통합정산기(300)가 연결되어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상위 통신망에 연결되는 허브(Hub, 400);
    상기 허브(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결과를 확인/보정하는 차번 인식확인부(510)와, 정기권 차량 관리부(520)와, 차량 입출차정보 관리부(530)와, SNS 문자 발송 관리부(540)를 포함하는 현장관리컴퓨터(500)가 연결되며, 상위 인터넷에 접속되는 가상사설망(VPN, 600); 및
    상기 가상사설망(600)과 인터넷 연결되며, 상기 현장관리컴퓨터(500)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검색하는 중앙관리컴퓨터(700)를 포함하며, 상기 LPR장치(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LPR장치(1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때, 상기 LPR 장치(100)는, 상호간에 데이지체인(Daisy Chain) 병렬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12. 제11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이 평면 주차면일 때, 양방향형 LPR장치(100)가 상기 주차면 1면당 1대가 설치되어, 전방주차와 후방주차에 상관없이, 번호판영상획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충전 요금 지불을 신용카드로 지불하기 위한 신용카드정보입력부(350)와, 상기 신용카드정보입력부로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로 상기 정산기통신부를 통하여 VAN사에 신용카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요금정산부(320)로 전달하는 신용카드승인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따른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LPR장치(100)가 주차면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영상을 획득하고, 주차인식유닛(200)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충전케이블을 상기 LPR장치(100)에 부착된 충전모듈(150)의 충전 용콘센트(152)에 연결하고,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서 상기 차량 번호로 선결제요금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결제요금을 최초신용카드로 최초결제요청하고, 상기무인통합정산기(300)의 신용카드승인부(360)에서 VAN사에 상기 선결제요금과 상기 최초신용카드에 대하여 제1차승인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차승인요청이 승인되면 충전이 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출차를 목적으로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에서 상기 차량번호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차량 번호에 매칭하는 주차-충전요금이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의 정산기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정산 요청을 입력 받아서 상기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차승인의 취소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차승인의 취소를 요청할 경우에, 상기 제1차승인을 취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신용카드로 2차 결제 요청하고, 상기 무인 통합 정산기(300)의 승인부(360)에서 VAN사에 상기 주차-충전요금과 신용카드에 대하여 제2차승인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차 승인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 케이블을 철거하고, 상기 차량을 출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60111642A 2016-08-31 2016-08-31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72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42A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42A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450B1 true KR101729450B1 (ko) 2017-04-24

Family

ID=5870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642A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6-08-31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450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5937A (zh) * 2016-08-31 2017-01-25 合肥同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智能管理系统
CN108131036A (zh) * 2016-12-01 2018-06-08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停车固定装置及停车充电系统
CN109572471A (zh) * 2018-12-19 2019-04-05 山东万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身份识别自动计费充电桩
KR20190098644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씨어스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그리고 충전 및 주차 비용 결제방법
KR20190113470A (ko) 2018-03-27 2019-10-08 에스트래픽 (주) 하이패스 과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내에서의 전기차 충전 요금 과금 방법 및 시스템
KR102012799B1 (ko) * 2019-04-24 2019-10-21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차량인식기 및 이 차량인식기를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 및 이 무인주차시스템의 무인주차방법
KR20200129623A (ko) 2019-05-09 2020-11-18 김태훈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CN112348218A (zh) * 2020-11-27 2021-02-09 开迈斯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检测系统的即插即充方法、装置及系统
KR20210058365A (ko)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8990A (ko) 2020-03-17 2021-10-05 (주)멥카 전기차 충전전력 수요관리시스템
CN113554895A (zh) * 2021-08-04 2021-10-26 特瓦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车牌号推荐方法以及相关设备
CN113628450A (zh) * 2021-08-02 2021-11-09 泰安昊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充电车位自动识别仪
CN113619436A (zh) * 2021-06-19 2021-11-09 特瓦特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设备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102328473B1 (ko)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KR102332854B1 (ko) 2021-05-13 2021-12-01 박종수 스토퍼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2-04-28 강다현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2459934B1 (ko) * 2022-02-09 2022-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기차 충전기능을 갖는 노상주차 무인 시스템
KR2022015855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15855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013316A (ko) 2021-07-19 2023-01-26 (주)클린일렉스 Ocpp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방법
KR102527702B1 (ko) 2022-06-17 2023-05-03 (주)이카플러그 주차요금과 전기차 충전요금의 통합 과금 및 징수가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과 통합 과금 및 징수 방법
KR102531875B1 (ko) 2022-11-25 2023-05-11 권용찬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이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들을 갖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
KR102562860B1 (ko) 2022-08-23 2023-08-0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차량정보와 생체정보를 융합한 주차관제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3502A (ja) * 2010-08-31 2012-03-15 Amano Corp 駐車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3502A (ja) * 2010-08-31 2012-03-15 Amano Corp 駐車管理システム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5937A (zh) * 2016-08-31 2017-01-25 合肥同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智能管理系统
CN108131036A (zh) * 2016-12-01 2018-06-08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停车固定装置及停车充电系统
KR102159381B1 (ko) * 2018-02-14 2020-09-23 주식회사 씨어스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20190098644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씨어스 전기운송장치용 충전기,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그리고 충전 및 주차 비용 결제방법
KR20190113470A (ko) 2018-03-27 2019-10-08 에스트래픽 (주) 하이패스 과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내에서의 전기차 충전 요금 과금 방법 및 시스템
CN109572471A (zh) * 2018-12-19 2019-04-05 山东万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身份识别自动计费充电桩
CN109572471B (zh) * 2018-12-19 2024-05-03 山东万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身份识别自动计费充电桩
KR102012799B1 (ko) * 2019-04-24 2019-10-21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차량인식기 및 이 차량인식기를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 및 이 무인주차시스템의 무인주차방법
KR20200129623A (ko) 2019-05-09 2020-11-18 김태훈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KR20210058365A (ko)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8990A (ko) 2020-03-17 2021-10-05 (주)멥카 전기차 충전전력 수요관리시스템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2-04-28 강다현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CN112348218A (zh) * 2020-11-27 2021-02-09 开迈斯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检测系统的即插即充方法、装置及系统
KR102328473B1 (ko)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KR102332854B1 (ko) 2021-05-13 2021-12-01 박종수 스토퍼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855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15855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171415A (ko) 2021-05-24 2023-12-20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KR20230170889A (ko) 2021-05-24 2023-12-19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CN113619436A (zh) * 2021-06-19 2021-11-09 特瓦特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设备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102572110B1 (ko) * 2021-07-19 2023-08-29 (주)클린일렉스 Ocpp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방법
KR20230013316A (ko) 2021-07-19 2023-01-26 (주)클린일렉스 Ocpp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번호 인식방법
CN113628450A (zh) * 2021-08-02 2021-11-09 泰安昊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充电车位自动识别仪
CN113554895A (zh) * 2021-08-04 2021-10-26 特瓦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车牌号推荐方法以及相关设备
KR102459934B1 (ko) * 2022-02-09 2022-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기차 충전기능을 갖는 노상주차 무인 시스템
KR102527702B1 (ko) 2022-06-17 2023-05-03 (주)이카플러그 주차요금과 전기차 충전요금의 통합 과금 및 징수가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과 통합 과금 및 징수 방법
KR102562860B1 (ko) 2022-08-23 2023-08-0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차량정보와 생체정보를 융합한 주차관제시스템
KR102531875B1 (ko) 2022-11-25 2023-05-11 권용찬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이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들을 갖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450B1 (ko)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764070B1 (ko)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외 주차장 주차 관리 시스템
JP6692841B2 (ja) 電気自動車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制御式充電システム
WO2019052353A1 (zh) 基于泊位状态信息的泊位服务与管理系统及方法
US20190381904A1 (en) Street Light Mounted Network-Controlled Charge Transf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KR102296004B1 (ko)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CN108010370B (zh) 基于位联网的路侧停车无人化智能化运营管理系统
KR101773721B1 (ko)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US10192440B2 (en) System for displaying parking spaces
US10643471B2 (en) Method for detecting parked vehicles
US20140344026A1 (en) Unifi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data processing
CN109949605B (zh) 一种共享车位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70024615A (ko)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주차장 예약방법, 및 시스템
CN110626195A (zh) 一种智能共享充电桩系统、使用方法及共享商业模式
CN107331198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停车管理系统
CN108928249A (zh) 电动车辆充电灯杆及充电灯杆管理系统
CN113920776A (zh) 一种智能停车管控护栏系统
CN113674547A (zh) 一种智能停车管理系统及方法
KR20130119578A (ko) 노상 주차장에서의 주차관리방법
CN110827548A (zh) 一种采用etc实现路边车位无人化智能管理系统
CN215182140U (zh) 一种集停车、充电、缴费为一体的智能光伏车棚系统
CN208291012U (zh) 电动车辆充电灯杆及充电灯杆管理系统
CN11086680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租还汽车系统及其管理方法
CN107978173B (zh) 实现车位共享的方法及装置
AU2014218477B2 (en) Network-controlle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