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21B1 -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721B1
KR101773721B1 KR1020160155610A KR20160155610A KR101773721B1 KR 101773721 B1 KR101773721 B1 KR 101773721B1 KR 1020160155610 A KR1020160155610 A KR 1020160155610A KR 20160155610 A KR20160155610 A KR 20160155610A KR 101773721 B1 KR101773721 B1 KR 10177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진
윤영일
Original Assignee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정산 시시템에 있어서,주차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면의 입출차하는 차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측정하는 차량검지부와,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차번 인식 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 인식 장치와 데이터 연결되어 상기 차번 인식 장치로부터 상기 번호판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차번을 인식하는 주차 인식 유닛;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데이터 연결되는 현장컴퓨터;및 상기 차량주차 여부를 포함하는 주차면상태정보를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가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을 포함한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주차면상태정보와 상기 주차예약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면상태정보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송신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UNMANNED PARKING BY RESERVATION USING LPR AND WIRELESS COMUN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에 대한 것이다.
2016년 현재 자동차 등록 대수는 2,100만대를 넘어서고 있다. 국민 2.4명당 자동차 1대씩을 보유하는 셈이고, 자동차 등록 대수에 관한 최초 기록인 1966년에는 5만대가 등록되어, 50여년만에 400배로 늘어났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자동차의 이와 같은 폭발적인 증가와는 달리, 도로와 주차 설비와 같은 시설증가는 한계가 있었고, 특히 대부분의 자동차 증가는, 전 국토에서 고르게 나타난 현상이 아니라, 일부 대도시와 그 주변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자동차 운영에 필요한 필수적인 시설 부족 현상은,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2,000만대 시대에 걸맞지 않게 공급 부족 현상이 극심한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주차장 시설이다. 도로망 부족으로 인한 문제는 택시,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시스템이나, 부제 운행등, 갖가지 아이디어가 나타나고 실험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주차난은, 처벌에 해당하는 불법주정차 차량에 발급하는 주정차 과태료 발급 외에는 뾰족한 해결책, 혹은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주차 시비가 폭력 시비로 번져서, 주민간에 상해를 입히는 사건은, 이미 기사거리도 되지 못할 만큼 흔한 불상사가 된지 오래다.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이 늘어나기는 하였으나, 아직 부족함이 많으며,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임에도, 야간까지 불법 주차행위가 이어진다.
도심에서는 여러 가지 비용 문제로 인해서 주차장 설비 확충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타난 것이, 주차타워 혹은 기계식 주차 시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런 주차 타워에서 사고 발생이 잦아지고 있어서, 주차장 이용자들이 꺼려하거나, 적어도 이용에 불안감을 갖는 것이 사실이며, 주차 타워 주차를 하지 않으려고, 노외, 노상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경우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주차장 시설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공간만 확보했다고 해서 주차장으로 사용될 수 없다. 6~70년대처럼 여기 저기 넘쳐나던 "공터"는 이미 그 어휘의 의미조차 희미재지고 있으며,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바늘 하나 꽂을 땅이 없다는 표현이 과한 표현이 아니다. 따라서 현재의 주차장이라 함은 거의 모든 주차장 시설이 유료로 운영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이런 유료 주차장 시스템을 위해서는 요금 징수 체계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요금 징수체계를 갖춘 주차장 시설은, 그나마도 대면적 주차장 시설로 설치되어야, 각종 투자비를 절약할 수 있고, 시설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익 구조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앞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자동차 집중 지역은, 용지공간이 충분한 지방이 아니라,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주변으로서, 대 단위 주차시설 확충이 쉽지 않은 지역들이다.
현재 주차 시스템의 문제는, 공급물량의 절대적인 부족이 주요한 원인이기는 하지만, 주차 시설의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점도, 주차난을 가중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불법 주차를 피하고 싶어도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물론 주변에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다면, 주차장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찾아가서, 주차하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한 도덕적 기준의 양식일 것이다. 그러나, 먼저 진입순서 주장으로 주차 시비가 가능한 최근의 상황으로, 마냥 개인의 도적적 양심에 기대어, 자발적 준법 주차를 요구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주차난 해소에 의미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주차장 정보 공유 솔루션으로서,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개선과 이를 통한 주차난 해소 및 주차장 활용률 개선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즉, 앞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차난에 시달리는 운전자들이, 목적지의 주차장 위치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데, 운전자 개인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주차면 또는 주차장 제공자에게는 유휴 주차면의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공공/공영 주차장의 주차면 정보 공유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공공/공영 또는 사설 주차장의 위치를, 해당 주차장의 주차 요금과 함께 지도위에 표시하여 주차장 이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주차장을 찾기 쉽게 제작된 것이다.
하지만 주차장 위치는 이미, 여러 종류의 위치 정보 앱이나 자동차 네비게이션의 위치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공/공영 주차장은 그 자체가 이미 일반적인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당연히 표시되는 건물, 시설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주차장"이라는 단어만으로도 엄청난 위치 정보가 검색되는 상황이다.
더구나, 주차장의 찾는 주차장 이용자들의 실질적인 목적은 "주차"이기 때문에, "주차장" 시설의 위치 정보 보다는,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위치 정보가 주차장을 찾는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특정 지역에 주차를 목적이 있는 이용자들은, 해당 주차비가 다소 비싸다고 하더라도, 주차를 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개인 사정의 차질이나, 주차 시설을 찾아 다니는 시간 소비가 더 큰 손실일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비에 대한 정보 제공도 실제 주차장 이용자들에게는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등록특허 10-13580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주차장, 거주자 우선 주차장 및 주거지역의 소규모 주차장에 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여, 주차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클라우스 서버에 저장하여, 주차장 이용자에게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각종 주차장 정보를 전달하는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이용자는 검색된 정보내에서 필요한 주차면을 예약/선결제 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시스템이 설치된 기존 주차장 시설에도 적용가능하며, 추가 비용과 시설 설치를 최소화 하면서, 주거지역의 개별 주차장 및 소규모 주차장을 유료화, 공용화하는 솔루션이 되는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정산 시스템에 있어서,주차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면의 입출차하는 차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검지부와,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차번 인식 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 인식 장치와 데이터 연결되어 상기 차번 인식 장치로부터 상기 번호판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차번을 인식하는 주차 인식 유닛;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데이터 연결되는 현장컴퓨터;및 상기 차량주차 여부를 포함하는 주차면상태정보를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가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을 포함한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주차면상태정보와 상기 주차예약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면상태정보가 상기 클라우드서버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송신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은 무선 통신 AP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차번 인식 장치와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이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AP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 통신 AP를 구비한 차번 인식 장치를 제외한 또 다른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은 무선 통신 AP를 구비하여, 무선 통신 AP를 구비한 상기 차번 인식 장치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며,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상기 무선 통신 AP가 구비된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유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주차 인식 유닛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현장 컴퓨터에 무선 통신 AP가 구비되어,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상기 현장컴퓨터가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상기 주차면의 주차 예약 여부를 표시하는 LED 램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주차 인식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주차를 목적으로 상기 주차면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주차 인식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이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인식 유닛은 상기 차량 번화가 상기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차번일치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상기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와 상기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이 불일치할 경우, 상기 주차면의 예약 상황, 출차 요청 및 견인소 통보 정보를 안내하는 청각 또는 시각 정보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암호화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차량주차 여부와 상기 번호판 영상 정보를, 임의의 기준으로 그룹핑 하는, 무선 통신 중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IEEE 821.11 표준방식과 Wi-Fi방식을 포함하는 무선인터넷 통신방식 또는 LTE방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지도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화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주차 예상 입출차시간을 입력받는 주차예약시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그리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의 상기 영상획득부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동작 감지 기능 또는 음성 감지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 감지 기능과 음성 감지 기능을 상기 전방위카메라 동작 제어에 연결하여, 상기 전방위카메라를 방범용 영상 녹화 장치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접속하여, 주차요금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 결제하는 선결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주차장, 거주자 우선 주차장 및 주거지역의 소규모 주차장에 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여, 주차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클라우스 서버에 저장하여, 주차장 이용자에게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각종 주차장 정보를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이용자는 검색된 정보내에서 필요한 주차면을 예약/선결제 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시스템이 설치된 기존 주차장 시설에도 적용가능하며, 추가 비용과 시설 설치를 최소화 하면서, 주거지역의 개별 주차장 및 소규모 주차장을 유료화, 공용화하는 솔루션이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공공/공영 주차장의 주차면 정보 공유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한 BM의 목적
도 3는 주거지역의 개인 주차장 또는 소규모 주차시설의 사진
도 4는 기존 차번 인식장치를 이용한 노상 주차장 무인정산 시스템의 일예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사업 주체별 체계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종류의 차번인식장치 사진
도 8. 기존의 유선통신 기반의 무인 주차장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주차 시스템의 개념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적용예
도 10. 전방위카메라를 이용한 차번인식장치를 이용한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원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한 BM의 목적을 도시 하였으며, 도 3에는 주거지역의 개인 주차장 또는 소규모 주차시설의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낸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거지역의 개인 주차장 또는 소규모 주차시설의 주차면에 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고, 공차 상태 주차면 정보를 주차장 이용자에게 제공하면, 유휴 주차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절대수가 부족한 주차면 혹은 주차장 시설을, 새로운 설비 투자 없이 대량으로 추가 확보 가능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주차장 시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 가능한 주차면"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이용자로 하여금 명확한 주차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개별 주차장과 소규모 노상, 노외 주차장은, 주차면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료 주차장 운영을 위한 각종 설비 투자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개인 소유지에 마련된 1면 내지 2면 주차면의 주차장을 유료 주차장으로 운영할 경우에, 차번인식장치 외에 주차인식유닛, 무인정산기무인 주차관리 시스템과 같은 주차장 운영 시설을 모두 설치하면, 초기 설치 비용 부담이 너무 크고, 주차면 수가 적기 때문에, 이런 초기 투자 비용을 특정 기간 동안 회수하기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도 4에는 기존 차번 인식장치를 이용한 노상 주차장 무인정산 시스템의 일예의 사진이다. 노상 주차장에 무인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고, 무인 정산기를 인근에 설지하여, 상시 운영이 가능한 주차장으로, 이용자와 시설 운영자에게 좋은 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은, 전체 주차면이 모두 특정 지역 내에 인접한 상황에서 운영이 가능하다. 모든 설비들이 유선으로 데이터 연결되어야 하는데, 노상 주차장의 설치 지역에서는, 전기 수전 및 배관, 통신선 포설를 목적으로 하는 각종 굴착 공사가 용이하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낸 소규모 주차 시설이나 개인 주차면, 이면도로의 거주자 우선 노상주차장과 같은, 10면 이내 혹은 1~2면의 개인 주차시설에는, 기존 차번인식장치를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주차면 하나 하나가 물리적으로 분리, 분산되어 있으며, 통신선 포설과 같은 토목 시공을 진행하는 것은, 지역의 특성상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개별 주차면이나, 소규모 주차장을 "사이버 대형 주차장"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주차장 사업자, 또는 개인 주차장 소유자들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주차면에 설치된 무인 차번인식장치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번인식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주차 인식 유닛를 포함한 기타 상위 개념의 주차운영 설비를, 무선 통신 기술 및 운영 시스템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된 주차면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으로는 분명히 분리되어있는, 개별 주차면 이나 소규모 주차장 시설을, 사이버 공간상에서 특정 지역의 대단위 주차 시설과 같이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런 정보를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차장 이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이용자의 편의, 시설의 효율적 운영 및 주차면의 절대 수량 증가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차면 혹은 주차장 시설에 물리적인 변화, 예를 들어, 주차면이 없어지거나, 이동 또는 특정 주차면의 주차비용 변동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소프트웨어적 수정으로 하드웨어적 개조 또는 보수는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사업 주체별 체계도를 나타내었다. 주차장 혹은 주차면 소유주는, 주차운영업체에 주차장 운영 신고를 하고, 차번인식장치와 주차 인식 유닛를 포함한 필요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주차면과 그 인근에 설치한다. 주차면에 주차를 원하는 이용자는, 주차를 원하는 주차면은 선택하고 주차예약한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예약하거나 선결제하며, 주차장 이용이 완료되면, 요금정산이 진행된다.
주차장 소유주는 단 1면의 주차면으로도 주차장 운영 신청이 가능한데, 모든 주차면에 무인 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고, 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1주차면의 유료화는 물론이고, 설치 운영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설치에 거의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이용자뿐만 아니라, 소규묘, 혹은 개별 주차면 소유자들도, 최소한의 투자로 수익발생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차면 제공을 유도 할 수 있으므로, 가려져 있던 주차설비가 실질적으로 가용한 주차장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종류의 차번인식장치 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시스템에서는 개별 주차면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면을 무인 관리하는 차번인식장치(10), 주차면 보를 관리하는 주차 인식 유닛(PRU,20), 주차 인식 유닛(20)의 작업을 확인하고, 감독할 수 있는 현장 컴퓨터(30)로 구성될 수 있다.
차번인식장치(1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한 거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검지부,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조명장치를 이용한 영상획득부, 시청각장치로 주차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주차인식유닛(20)는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차번을 인식하는 차번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다. 현장컴퓨터(30)는 주차 관련현황을 관리 확인할 수 있고, 주차인식유닛(20)의 차번인식오류를 포함한 차번인식장치(10)와 주차인식유닛(2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일 실시에에 의한 주차 관리시스템에서는, 차번인식장치(10)가 WiFi 단말을 이용하여, 인근에 설치된 WiFi AP(Access Point)에 연결되며, 주차인식유닛(20)는 이 WiFi AP와 데이터 연결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주차장이나 거주자 우선 주차장에, WiFi 단말을 구비한 차번인식장치를 설치하고, 인근에 WiFi AP를 설치하여 데이터 연결하면, 통신선 포설과 같은 추가적인 토목 시공이 필요치 않다. 전파 방해 요인이 없을 때, 일반적인 WiFi의 전송거리가, 약 50m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WiFi AP 하나가 반경 50m이내에 설치된 WiFi 단말을 구비한 차번인식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무선랜이 적용되는 네트웨크 단계는, 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지역의 특수성이나, 주차면의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WiFi 대신,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LTE를 비롯한 디지털 휴대전화 프로토콜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시스템과 병행 운영함으로써, 확장성과 성능의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주차장 혹은 주차면 시설이 배치된 현장에서, 차번인식장치와 주차인식유닛으로 확보되거나 분석된 데이터는 현장 컴퓨터를 통하거나 아니면 직접 클라우스서버(40)에 전송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는 전송받은 주차면상태정보데이터를, 해당 주차면의 위치 정보와 시간과 같은 검색기준 데이터와 매칭하여, 클라우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주차장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에서 검색될 수 있다. 데이터들은 기존의 앱 형태 네비게이션, 혹은 일반적인 지도 서비스, 또는 전용 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 정보 제공 앱에 탑재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이용자는 검색된 주차면에 주차 예약하거나 선 결제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주차운영업체는 이용자가 신용카드를 등록하도록 하여, 신분 확인용 또는 선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는 기존의 유선통신 기반의 무인 주차장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주차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기존 차번인식장치가 설치된 노상 주차장 Zone 01, Zone 02는, 차번인식장치, 주차인식유닛, 그리고 무인정산기가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주차장 시스템 단위를 구성한다. 현장컴퓨터가 클라우스 서버에 연결되면, Zone 내 주차면의 정보가 클라우드서버에 업로드되어, 주차장 이용자들이 접속하여 주차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Zone 01, Zone 02내 유선 통신 시스템 망은 그대로 유지 한 상태에서, Zone 01 망이 현장컴퓨터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연결됨으로써, Zone 01, 02와 같은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된 기존의 차번인식장치를 이용한 주차시스템을 새로운 가상 주차장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다. Zone 01, 02는 도 4에 나타낸 노상 무인 주차시스템이나, 도 2의 ④에 나타낸 거주지 내 소규모 주차장이 포함될 수 있다.
각 Zone에서 현장컴퓨터로의 데이터 전송량이 많거나, WiFi통신 방식으로 안정적인 전송이 불가능한 거리이거나, 혹은 지역적 특성상 전파 방해물 등으로, 원활한 통신이 어려울 경우에는 LTE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휴대 전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도 있다.
Zone 01과 Zone 02의 사이의 거리가 멀지 않고, 각각의 데이터량이 적으며, 반면에 현컴퓨터와 W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 원활치 않을 경우에는, Zone 01, 02 간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Zone 02의 주차면 정보를 Zone 01로 전송한다. 이때에는 데이터 용량이 크지 않고, Zone 01, 02간의 무선 통신은 IEEE 821.11 표준을 이용하는 WiFi 통신방식으로도 가능하다. Zone 01에서는 Zone 02정보를 포함하여, 자체 Zone 내의 정보인 Zone 01 주차 정보까지를 현장컴퓨터에 송신하는데, 이때에는 LTE 방식을 포함한 휴대전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다수의 Zone 이 소수의 현장컴퓨터에 연동되고, 시스템 설치 지역의 전파 방해 요소들로 인해, 인접 지역 외에는 디지털 휴대전화 방식과 같은, 고성능 무선 통신 시스템이 필요할 때, 복수의 인접한 Zone 중에 하나를, 현장 컴퓨터와의 통신 포트로 설정하여, 고성능 통신 시스템을 설치사고, 다른 Zone은 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도 8의 Zone 03은 정산기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사전 예약/결제를 주요한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용자로 하여금 임의 지역의 가용한 주차면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주차장 또는 주차면 시설에는 외부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의 주차장 시설도 포함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거지내 혹은 인근에 설치되거나 구비된 주차장 시설은 별도의 출입 차단 시설이 없다. 따라서 외부 차량이 수시로 주차할 수 있는 상황이며, 이렇게 주차면 차량 주차 여부 상태가 수시로 변경될 경우에는, 가용한 주차면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가 퇴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주차면 정보를 조회하여 그 즉시 예약하거나 선결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런 예약/선결제 행위가 실효성을 있게 실시되도록, 차번인식장치에 예약/선결제 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림하고, 이런 표시나 알림에도 불구하고, 주차면을 무단 점유하는 경우에는 과태로, 견인등의 법적 조치등에 대한 알림 설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Zone 04, 05에 나타낸 주차 시스템은 도 2 에 나타낸 ①, ②, ③에 해당하는 독립 주차면에 적용가능하다. 독립된 주차면은 HUB와 같은 TCP/IP통신 중계기가 필요 없다. Zone 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번인식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주차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 대비될 수 있다. 다수의 독립된 주차면에 설치된 차번인식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소수의 차번 인식장치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독립 주차면 혹은 초소형 주차장을, 초기 시설 설치의 번거로움이나 투자비를 최소화 하면서 유효화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 하였다.
도 9의 ①은 차번인식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을 설치하고, 특정 차번 인식장치에는 무선 통신 AP를 설치한 것이다. 일반적인 WiFi 단말을 설치하면,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거리의 제한이 있으며, 전송 속도에도 제한이 있다. 다수의 차번인식장치가 분포되어있고, 그 수가 많을 경우에는 무선 통신 AP와의 원활한 송수신 성능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①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위치의 차번인식장치에 무선 통신 AP를 설치하고, 해당 차번인식장치에 WiFi 단말기를 구비한 차번인식장치를 데이터 연결하면, 무선 통신가 갖는 거리, 대역폭의 한계를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 보완할 수 있다. 즉 통신 대역폭이 넓은 광통신 선로를 다수의 차번인식장치에 연결하여, 해당 차번인식장치에 무선 통신 중계기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특히 차번인식장치에 구비된, 번호판영상 획득장치의 고해상도 영상 정보는, 차번인식의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기능이다. 또한 주차장 현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CCTV 기능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영상정보의 순조로운 원활한 송수신 성능과 신뢰성은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도 9의 ②와 같이 차량 도로를 사이에 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번인식방식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적용이 더욱 효과적이다. 차량 도로의 각종 선로 매설 작업은, 신고 및 허가는 물론이고 시공 자체에도 적지 않은 인적 물적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차번인식장치의 무선 통신 AP를 확장함으로써, 주차면 추가, 이동과 같은 실물 주차면의 변경 사항 대응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0에는 도 7에 나타낸 전방위카메라를 이용한 차번인식장치를 이용한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도시하였다. 전방위카메라는 기존 양면 차번인식장치에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보다, 광각이 넓은 단일 카메라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다.
전방위카메라는 기존 양면 차번인식장치의 차번 인식 기능은 그대로 계승하였으면서, 180도의 넓은 광각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을 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2개면 차번인식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시큐리티 기능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차번인식장치
20. 주차인식유닛(PRU)
30. 현장 컴퓨터
40. 클라우드서버

Claims (15)

  1.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독립된 개별 주차면이나 소규모 주차장을 가상의 사이버 주차장으로 묶어 관리하기 위한,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정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독립된 개별주차면과 상기 소규모 주차장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분산된 주차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산된 주차면의 입출차하는 차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분산된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검지부와, 상기 분산된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와, 분산된 주차면의 차량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차번 인식 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 인식 장치와 데이터 연결되어 상기 차번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번호판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차번을 인식하는 주차 인식 유닛;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데이터 연결되는 현장컴퓨터; 및
    상기 차량주차 여부를 포함하는 주차면상태정보를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가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을 포함한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주차면상태정보와 상기 주차예약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클라우드용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면상태정보가 상기 클라우드서버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송신되고,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상기 독립된 개별주차면과 상기 소규모 주차장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분산된 주차면의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가상의 사이버 대형 주차장으로 묶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은 무선 통신 AP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차번 인식 장치와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이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거나

    상기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AP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 통신 AP를 구비한 차번 인식 장치를 제외한 또 다른 차번 인식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차번인식 장치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은 무선 통신 AP를 구비하여, 무선 통신 AP를 구비한 상기 차번 인식 장치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며,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상기 무선 통신 AP가 구비된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유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주차 인식 유닛에 무선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현장 컴퓨터에 무선 통신 AP가 구비되어, 상기 주차 인식 유닛과 상기 현장컴퓨터가 무선 통신 선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됨으로써,

    상기 분산된 주차면의 추가, 이동을 포함하는 변경 발생시 상기 가상의 사이버 대형 주차자의 주차면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상기 주차면의 주차 예약 여부를 표시하는 LED 램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주차 인식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번 인식 장치가 주차를 목적으로 상기 주차면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주차 인식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번호판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주차 인식 유닛이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인식 유닛은 상기 차량 번호가 상기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차번일치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상기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와 상기 주차 예정 차량의 차번이 불일치할 경우,
    상기 주차면의 예약 상황, 출차 요청 및 견인소 통보 정보를 안내하는 청각 또는 시각 정보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암호화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차량주차 여부와 상기 번호판 영상 정보를, 임의의 기준으로 그룹핑 하는, 무선 통신 중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IEEE 821.11 표준방식과 Wi-Fi방식을 포함하는 무선인터넷 통신방식 또는 LTE방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주차면상태정보를 지도 정보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화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차 예상 입출차시간을 입력받는 주차예약시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번 인식 장치의 상기 영상획득부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번 인식 장치는, 동작 감지 기능 또는 음성 감지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 감지 기능과 음성 감지 기능을 상기 전방위 카메라 동작 제어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방위카메라를 방범용 영상 녹화 장치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접속하여, 주차요금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 결제하는 선결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번 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 이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160155610A 2016-11-22 2016-11-22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KR10177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10A KR101773721B1 (ko) 2016-11-22 2016-11-22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10A KR101773721B1 (ko) 2016-11-22 2016-11-22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721B1 true KR101773721B1 (ko) 2017-09-13

Family

ID=5996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10A KR101773721B1 (ko) 2016-11-22 2016-11-22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72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8523A (zh) * 2017-11-15 2018-03-1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53534A (zh) * 2017-12-25 2018-05-18 苏州誉阵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外来车辆管理系统
CN108417076A (zh) * 2018-01-30 2018-08-17 浙江易云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控制的停车场管理系统
CN108985975A (zh) * 2018-07-18 2018-12-11 上海燧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自动驾驶车辆的景区营运方法及系统
CN109686101A (zh) * 2018-12-28 2019-04-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停车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0033637A (zh) * 2018-01-12 2019-07-19 林木水 一种车位智享停车系统及一种车位共享系统
KR102007288B1 (ko) * 2018-08-27 2019-08-0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셀프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178120B1 (ko) * 2020-03-26 2020-11-12 이용석 도로 및 유휴지를 활용한 탄력적 주차관리 시스템
CN113257035A (zh) * 2021-07-05 2021-08-13 江西省湾流港智能科技有限公司 停车管理方法、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88201A (zh) * 2022-07-18 2022-10-14 重庆云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管理人机智能交互的系统及方法
CN115240465A (zh) * 2022-09-23 2022-10-25 杭州立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地磁与雷达协同的智能停车管理方法及系统
CN117373281A (zh) * 2023-10-12 2024-01-09 安徽德恩普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云管理的停车场智能管理系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8523A (zh) * 2017-11-15 2018-03-1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53534A (zh) * 2017-12-25 2018-05-18 苏州誉阵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外来车辆管理系统
CN110033637A (zh) * 2018-01-12 2019-07-19 林木水 一种车位智享停车系统及一种车位共享系统
CN108417076A (zh) * 2018-01-30 2018-08-17 浙江易云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控制的停车场管理系统
CN108985975A (zh) * 2018-07-18 2018-12-11 上海燧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自动驾驶车辆的景区营运方法及系统
KR102007288B1 (ko) * 2018-08-27 2019-08-0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셀프 주차 관리 시스템
CN109686101A (zh) * 2018-12-28 2019-04-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停车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102178120B1 (ko) * 2020-03-26 2020-11-12 이용석 도로 및 유휴지를 활용한 탄력적 주차관리 시스템
CN113257035A (zh) * 2021-07-05 2021-08-13 江西省湾流港智能科技有限公司 停车管理方法、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88201A (zh) * 2022-07-18 2022-10-14 重庆云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管理人机智能交互的系统及方法
CN115240465A (zh) * 2022-09-23 2022-10-25 杭州立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地磁与雷达协同的智能停车管理方法及系统
CN117373281A (zh) * 2023-10-12 2024-01-09 安徽德恩普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云管理的停车场智能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721B1 (ko)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Polycarpou et al. Smart parking solutions for urban areas
RU2607043C1 (ru) Управл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го парково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ме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камер
US11200756B2 (en) Method for detecting parked vehicles and billing parking charges
US2019038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on-street parking control and unoccupied parking spot availability detection
US20130191189A1 (en) Non-enforcement autonomous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KR20170024615A (ko)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주차장 예약방법, 및 시스템
KR10121137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화 주차 시스템
EP2750116B1 (en) Automatic regulated parking system and method
US20130073350A1 (en)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265969B2 (ja) 照明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交通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81849B1 (ko) 주거지전용주차장 공유주차서비스 시스템
KR102187313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1929290B1 (ko) IoT를 이용한 신속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890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CN105654776A (zh) 一种闲忙车位数据的实时采集系统及方法
KR101268904B1 (ko)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CN204856900U (zh) 一种智能停车视频管理系统
KR20240008966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CN112950956A (zh) 一种城市级智慧停车建设方法
KR102187314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Verma et al. Techniques for Smart & innovative parking, critical observ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 review
US11071204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318209B1 (ko) 공유주차공간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주차장 공유장치 및 주차장 공유방법
TW202027037A (zh) 停車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