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59B1 -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59B1
KR102655159B1 KR1020230130310A KR20230130310A KR102655159B1 KR 102655159 B1 KR102655159 B1 KR 102655159B1 KR 1020230130310 A KR1020230130310 A KR 1020230130310A KR 20230130310 A KR20230130310 A KR 20230130310A KR 102655159 B1 KR102655159 B1 KR 10265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parking
vehicle
illegal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랩
Priority to KR102023013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ome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객체를 크게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물체로 분류하고 감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의 다양한 불법 행위(불법 주차 행위, 주차 방해 행위,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를 단속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Program and system to crack down on illegal parking spaces for disabled people based on video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tored in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객체를 크게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물체로 분류하고 감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의 다양한 불법 행위(불법 주차 행위, 주차 방해 행위,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를 단속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보행상 장애인이 자동차를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는 전용주차구역을 확보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보행상 장애인이 주차 편의뿐만 아니라 이동 또한 편리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구획한 주차 구역으로, 주차면에 장애인 로고를 그려놓거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표지판을 설치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를 보유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주차시설의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비장애인 운전자들이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에 불법으로 주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주차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하는 불법 단속의 항목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미부착한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부착되었으나 보행상 장애인이 미탑승한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의 차량번호와 자동차 차량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를 부당한 방법으로 사용(타인에게 양도, 위조 및 변조)한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방해행위(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 물건 등을 쌓아 주차를 방해하는 행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앞, 뒤 및 양 측면에 물건 등을 쌓거나 주차하는 행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진입로에 물건 등을 쌓거나 주차하는 행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장애인전용표시 등을 훼손하여 주차를 방해하는 행위)를 한 경우, 장애인 차량이더라도 주차선을 지키지 않은 경우 등이 있다.
종래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부착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및 번호판을 인식하여 주차 가능 차량 여부를 단속하였으나, 이는 주차가능표지가 보이지 않는 곳에 부착되거나 차량의 번호판이 정면에서 인식되지 않을 경우, 장애인 차량 여부 검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진입로를 막는 주차 행위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 물체을 적재하는 행위로 인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이용이 불가하나, 별도의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며, 보행상 장애인이 관리인을 호출하거나 동승자가 내려서 조치를 취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아예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한 차량이 장애인 차량이어도 보행상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해당하는 불법이나, 이는 관리자가 24시간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단속하기 어려워 실제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이 필요한 보행상 장애인이 이용을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이 탑승한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에서 하차한 보행상 장애인이 생체 인식을 수행하여 이를 확인하였으나, 이는 보행상 장애인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어려운 보행상 장애인지 있을 수도 있고, 생체 정보 활용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불법 주차 행위에 대한 단속 외에도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의 주차 방해 행위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을 포함하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해당하는 모든 불법을 무인으로 관리 및 단속할 수 있으며, 영상 기반으로 보행상 장애인을 검출할 수 있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52591호(2022.04.28.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감지되는 객체를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별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해당되는 불법 행위(불법 주차 행위, 주차 방해 행위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를 단속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승하차구역 및 진출입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수단;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상기 승하차구역 또는 상기 진출입구역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를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그 외 물체로 분류하는 객체 분류 수단; 상기 객체 분류 수단에서 분류한 객체별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해당하는 불법 여부를 검출하는 불법 검출 수단; 및 상기 불법 검출 수단에서 불법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 및 외부의 관리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수단으로 기능시키며, 상기 객체 분류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객체를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그 외 물체로 분류하는 제1 분류 수단; 상기 감지된 객체가 차량일 경우, 상기 차량에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부착 여부 및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차량을 장애인 차량과 일반 차량으로 분류하는 제2 분류 수단;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일 경우, 상기 장애인 차량에 부착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 표지 및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장애인 차량이 본인 차량인지 보호자 차량인지 분류하는 제3 분류 수단; 및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일 경우, 상기 장애인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제4 분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불법 검출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불법 주차 행위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상기 승하차구역 또는 상기 진출입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및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상기 제2 분류 수단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이 일반 차량으로 분류되면, 상기 주차된 차량을 불법 주차 행위로 검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감지된 객체가 차량 외의 객체로 분류될 경우, 상기 차량 외의 객체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의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한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상기 장애인 차량이 상기 제3 분류 수단에서 보호자 차량으로 분류되고, 상기 보호자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2명 미만일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대한 불법을 검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상기 제4 분류 수단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 중 보행상 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사람이 없을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대한 불법으로 검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사람 객체의 높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높이와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사람 객체의 각 관절의 각도변화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도변화율이 상기 일반인 보행시 관절의 각도변화율과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람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감지된 사람 객체의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위치 관계가 상기 일반인 보행시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람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사람 객체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가 상기 일반인의 보행 속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람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상기 감지된 객체가 상기 이동보조기구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분류된 사람이 상기 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사람으로 분류된 객체가 복수일 경우, 복수의 사람 개개인의 행동 및 상기 복수의 사람 간의 상호 행동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람이 각각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구비된 소리 출력 장치 통해 상기 경고 알림을 소리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경고 알림을 영상이나 불빛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소리 출력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한 경고 알림 출력이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경과되면 상기 경고 알림 출력을 종료하며,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경고 알림 출력이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경과되면, 차량 이동 유도 안내를 무시한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의 관리자에게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알림을 전송하거나, 해당 차량을 위반 차량으로 등록하고 유관기관에 신고 접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을 검출하고,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제 14 항의 서버;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차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장치; 및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외부의 관리자에게 상기 경고 알림을 전송하거나 유관기관에 신고 접수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위치하는 객체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중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경고 알림을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와 상기 경고 알림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면, 촬영된 영상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감지된 사람 객체의 높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높이와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사람 객체의 각 관절의 각도변화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도변화율이 일반인 보행시 관절의 각도변화율과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영상에서 영상 사람의 위치 및 크기에 상관없이 감지된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된 사람 객체의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위치 관계가 상기 일반인 보행시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보행상의 차이점을 기반으로 보행상 장애인을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정확도가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된 사람 객체의 행동, 이동 속도, 사물과의 상호 행동 및 복수의 사람과의 상호 행동을 검출하여 보행상 장애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보행상 장애인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면, 촬영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승하차구역 및 진출입구역에서 차량 외의 객체가 동일한 위치에 기설정한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에 대한 불법을 단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면, 압력 및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보조적으로 구비되어 장애인 차량의 출차 여부, 진입 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에 대한 불법을 단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100)은 촬영 장치(110)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서의 불법 주차 행위, 주차 방해 행위 및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한 장애인 차량(30)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을 포함하는 불법을 단속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차량 유도를 위한 경고 알림 및 관리자 또는 유관기관에 불법 단속에 대한 신고 접수를 수행하는 시스템(100)이다.
또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100)은 상기 촬영 장치(110), 서버(120), 알림 장치(130) 및 통신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 장치(110)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구역(11), 승하차구역(12) 및 진출입구역(13)을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장치(110)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을 구성하는 주차구역(11), 승하차구역(12) 및 진출입구역(13)을 사각지대없이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지대가 생길 경우, 상기 촬영 장치(110)가 복수 개 구비되어 여러 각도에서 촬영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서버(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촬영 장치(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을 단속하고, 불법 단속에 관한 경고 알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버(12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100)에 내장되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이 저장된 서버(120)만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 컴퓨터, 클라우드 시스템,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 임베디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의의 컴퓨터이다.
또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은 별도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자기 및 광 기록을 겸할 수 있는 자기-광 기록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은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고,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알림 장치(130)는 상기 서버(120)에서 생성한 경고 알림을 소리, 글자, 영상 및 불빛으로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서버(120)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으로 검출한 경우,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유도하는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알림 장치(130)는 상기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경고 알림을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와 상기 경고 알림을 글자, 영상 및 불빛으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리 출력 장치는 스피커일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경광등일 수 있으며,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닌 상기 경고 알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으로 검출한 경우, 해당 차량(30)을 위반 차량으로 등록하기 위해 위반 사항을 수신하고,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2)에 경고 알림을 전송하거나, 유관기관(3)에 신고 접수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100)은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분석을 통한 객체 인식 외에도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 및 객체와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력 및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 여부 판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적인 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가시광선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 압력 센서, 게이지식 압력 센서, 광학식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100)은 상기 촬영 장치(110)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서버(120)에 저장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 여부를 검출하고, 불법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알림 장치(130)를 통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내에서 감지된 차량(30)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알림을 출력하여 상기 차량(30)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통신 장치(140)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2) 또는 유관기관(3)이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알림을 전송하여 불법 단속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100)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은 데이터 수집 수단(1100), 객체 분류 수단(1200), 불법 검출 수단(1300) 및 알림 수단(1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1100)은 상기 촬영 장치(110)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1)에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는 물리적인 서버에 생성되어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 및 관리하나, 이 외에도 각종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서버에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된 영상은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110)로부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을 촬영한 다양한 형식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1100)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더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1)에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데이터는 압력 또는 거리 등을 측정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상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거리 데이터 또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객체의 압력 데이터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 방해 행위에 대한 불법을 검출하는데 보조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은 상기 촬영된 영상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객체 분류 수단(120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상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를 차량(30),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그 외의 물체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객체 분류 수단(1200)은 분류 종류에 따라 제1 분류 수단(1210), 제2 분류 수단(1220), 제3 분류 수단(1230) 및 제4 분류 수단(1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분류 수단(1210)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상에서 감지된 객체를 상기 사람(20), 차량(30), 이동보조기구(40) 및 그 외의 물체로 분류한다.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은 상기 제1 분류 수단(1210)에서 분류한 객체가 차량(30)일 경우, 상기 차량(30)이 장애인 차량인지 일반 차량인지 분류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으로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에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31)가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의 번호판(32)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이 장애인 차량인지 일반 차량인지 분류한다.
즉,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은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에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31)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의 번호판(32)이 장애인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30)일 경우 장애인 차량으로 분류한다.
상기 제3 분류 수단(1230)은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에서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이 장애인 차량으로 분류될 경우, 상기 장애인 차량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31)와 번호판(32)을 분석하여 보행상 장애인 본인 차량인지 보호자 차량인지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31)는 본인 또는 보호자 차량 식별 번호 또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32)은 본인 또는 보호자 차량으로 각각 등록되어 있다.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에서 상기 진입 또는 주차한 차량(30)이 장애인 차량으로 분류될 경우, 상기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의 높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높이와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의 각 관절별 각도변화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도변화율이 상기 일반인 보행시 관절의 각도변화율과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바닥면의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하차하는 사람(20)과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의 3차원 공간 상의 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의 높이를 피타고라스 정리를 기반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위치 관계가 상기 일반인이 보행시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가 상기 일반인의 보행 속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제1 분류 수단(1210)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된 객체 중 상기 이동보조기구(40)가 있을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 중 상기 이동보조기구(40)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상기 이동보조기구(40)와의 상호관계적인 행동 및 자세로 분석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보조기구(40)는 휠체어, 지팡이, 목발 등의 보조기구일 수 있으며, 그 종류를 더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보조기구(40)와의 상호관계적인 행동 및 자세는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상기 휠체어를 탑승한 자세 및 상기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행동,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상기 지팡이에 의지한 자세 및 상기 지팡이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행동,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상기 목발을 의지한 자세 및 상기 목발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행동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이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사람(20)의 개개인의 행동 및 자세와 상호 행동 및 상호 자세를 분석하여 상기 하차하는 복수의 사람(20)이 각각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상호 행동 및 상호 자세는 상기 하차하는 복수의 사람(20) 중 어느 한 사람(20)이 다른 사람(20)의 승하차를 돕는 행동 및 자세, 상기 하차하는 복수의 사람(20) 중 어느 한 사람(20)이 다른 사람(20)을 부축하는 자세 및 부축하여 이동하는 행동, 상기 하차하는 복수의 사람(20) 중 어느 한 사람(20)이 다른 사람(20)을 안아 든 자세, 안아서 이동하는 행동, 상기 이동보조기구(40)를 사용하는 어느 한 사람(20)을 돕는 자세 및 행동 등을 포함하는 행동 또는 자세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30)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20)의 관절 각도변화율,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 상기 이동보조기구(40) 사용 여부, 복수의 사람 간 상호 행동 및 이동 속도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하차하는 사람(20)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한다.
상기 불법 검출 수단(1300)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 분류 수단(1200)에서 분류한 객체에 따라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상에서 해당하는 불법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불법 검출 수단(130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상에서 해당하는 불법 종류에 따라 제1 검출 수단(1310), 제2 검출 수단(1320) 및 제3 검출 수단(1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검출 수단(131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불법 주차 행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구역(11)에 주차된 차량(30)이 일반 차량일 경우 검출한다.
즉, 제1 검출 수단(1310)은 상기 제2 분류 수단(1220)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구역(11)에 주차된 차량(30)을 일반 차량으로 분류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30)을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불법 주차 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불법을 검출한다.
상기 제2 검출 수단(132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주차구역(11), 상기 승하차구역(12) 및 상기 진출입구역(13)에 물체를 적재하여 상기 장애인 차량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구역(11)으로 진입 또는 주차를 방해하거나, 상기 진출입구역(13)을 막는 가로 주차 등을 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구역(11)으로 진입 또는 주차를 방해하는 행위를 검출한다.
즉, 상기 제2 검출 수단(132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상기 주차구역(11), 상기 승하차구역(12) 및 상기 진출입구역(13)에 상기 제1 분류 수단(1210)에서 감지한 객체가 차량(30) 외의 물체일 경우, 해당 객체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한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한다.
상기 제3 검출 수단(133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20) 중 보행상 장애인이 없을 경우,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로 검출한다.
즉, 상기 제3 검출 수단(1330)은 상기 제4 분류 수단(1240)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20)의 보행을 분석하여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지 분류하고 상기 하차하는 사람(20) 중 보행상 장애인이 없을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해당하는 불법으로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3 검출 수단(1330)은 상기 제3 분류 수단(1230)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이 보호자 차량으로 분류되었으나, 해당 차량(30)에서 하차하는 사람(20)이 2명 미만일 경우, 해당 차량(30)에 보행상 장애인이 미탑승한 행위로 판단하고 불법으로 검출한다.
또한, 상기 불법 검출 수단(1300)은 제1 내지 제3 검출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불법으로 검출되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해당하는 불법으로 검출한다.
상기 알림 수단(1400)은 상기 불법 검출 수단(1300)에서 불법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내에서 감지된 차량(30)의 운전자 및 외부의 관리자에게 상기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림 수단(1400)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에 주차한 운전자에게 상기 차량(30)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수단(1400)은 상기 경고 알림을 상기 알림 장치(130)의 소리 출력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통해 소리, 글자, 영상, 불빛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알림 수단(1400)은 상기 경고 알림이 상기 알림 장치(130)의 소리 출력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통해 설정한 시간 이상 경과되어 출력할 경우, 상기 경고 알림의 출력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알림 수단(1400)은 상기 경고 알림이 설정한 시간 이상 경과되어 출력되면, 상기 경고 알림을 무시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 장치(140)에 의해 외부의 관리자의 단말기(2)에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불법 단속 알림을 전송하거나 해당 차량(30)을 위반 차량으로 등록하고, 상기 유관기관(3)에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불법 신고 접수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1000) 및 시스템(100)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내에서 감지된 객체를 상기 사람(20), 상기 차량(30), 상기 이동보조기구(40) 및 물체로 분류하고 감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10) 내의 다양한 불법 행위(불법 주차 행위, 주차 방해 행위,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 등)를 단속할 수 있어 별도의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고도 모니터링하여 모두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데이터베이스 2 :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
3 : 유관기관 10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11 : 주차구역 12 : 승하차구역
13 : 진출입구역 20 : 사람
30 : 차량 31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32 : 차량 번호판 100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
110 : 촬영 장치 120 : 서버
130 : 알림 장치 140 : 통신 장치
1000 : 기록 매체에 저장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100 : 데이터 수집 수단 1200 : 객체 분류 수단
1210 : 제1 분류 수단 1220 : 제2 분류 수단
1230 : 제3 분류 수단 1240 : 제4 분류 수단
1300 : 불법 검출 수단 1310 : 제1 검출 수단
1320 : 제2 검출 수단 1330 : 제3 검출 수단
1400 : 알림 수단

Claims (18)

  1. 컴퓨터를,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승하차구역 및 진출입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수단;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상기 승하차구역 또는 상기 진출입구역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를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그 외 물체로 분류하는 객체 분류 수단;
    상기 객체 분류 수단에서 분류한 객체별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해당하는 불법 여부를 검출하는 불법 검출 수단; 및
    상기 불법 검출 수단에서 불법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 및 외부의 관리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수단으로 기능시키며,
    상기 객체 분류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객체를 차량, 사람, 이동보조기구 및 그 외 물체로 분류하는 제1 분류 수단;
    상기 감지된 객체가 차량일 경우, 상기 차량에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표지 부착 여부 및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차량을 장애인 차량과 일반 차량으로 분류하는 제2 분류 수단;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일 경우, 상기 장애인 차량에 부착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 표지 및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장애인 차량이 본인 차량인지 보호자 차량인지 분류하는 제3 분류 수단; 및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일 경우, 상기 장애인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제4 분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불법 검출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불법 주차 행위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상기 승하차구역 또는 상기 진출입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및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를 검출하는 제3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감지된 사람 객체의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위치 관계가 상기 일반인 보행시 전신에 대한 스켈레톤 특징점 간의 상대위치 관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상기 제2 분류 수단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이 일반 차량으로 분류되면, 상기 주차된 차량을 불법 주차 행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감지된 객체가 차량 외의 객체로 분류될 경우, 상기 차량 외의 객체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의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한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 방해 행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상기 장애인 차량이 상기 제3 분류 수단에서 보호자 차량으로 분류되고, 상기 보호자 차량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2명 미만일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대한 불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출 수단은 상기 제4 분류 수단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 중 보행상 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사람이 없을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장애인 차량에 보행상 장애인 미탑승 행위에 대한 불법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사람 객체의 높이를 추정하고 추정된 높이와 이동방향을 이용하여 사람 객체의 각 관절의 각도변화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도변화율이 상기 일반인 보행시 관절의 각도변화율과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람을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감지된 사람 객체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가 상기 일반인의 보행 속도와 유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상기 감지된 객체가 상기 이동보조기구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분류된 사람이 상기 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이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분류 수단은 상기 제1 분류 수단에서 사람으로 분류된 객체가 복수일 경우, 복수의 사람 개개인의 행동 및 상기 복수의 사람 간의 상호 행동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사람이 각각 보행상 장애인인지 일반인인지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구비된 소리 출력 장치 통해 상기 경고 알림을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경고 알림을 영상이나 불빛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소리 출력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한 경고 알림 출력이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경과되면 상기 경고 알림 출력을 종료하며,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경고 알림 출력이 설정한 시간 이상으로 경과되면, 차량 이동 유도 안내를 무시한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의 관리자에게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알림을 전송하거나, 해당 차량을 위반 차량으로 등록하고 유관기관에 신고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15.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수신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을 검출하고,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제 14 항의 서버;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내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차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장치; 및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서 해당되는 불법으로 검출될 경우, 외부의 관리자에게 상기 경고 알림을 전송하거나 유관기관에 신고 접수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위치하는 객체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경고 알림을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와 상기 경고 알림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시스템.
KR1020230130310A 2023-09-27 2023-09-27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65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310A KR102655159B1 (ko) 2023-09-27 2023-09-27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310A KR102655159B1 (ko) 2023-09-27 2023-09-27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59B1 true KR102655159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310A KR102655159B1 (ko) 2023-09-27 2023-09-27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49B1 (ko)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90051128A (ko) * 2017-11-06 2019-05-15 전자부품연구원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행동인지 기반 보행취약자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264266B1 (ko) * 2021-03-12 2021-06-14 김상덕 단속 대상 전반을 단속처리하기 위한 인공지능 영상판독 기반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2-04-28 강다현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2412457B1 (ko) * 2020-08-27 2022-06-23 주식회사 맥케이 인체 포즈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49B1 (ko)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90051128A (ko) * 2017-11-06 2019-05-15 전자부품연구원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행동인지 기반 보행취약자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412457B1 (ko) * 2020-08-27 2022-06-23 주식회사 맥케이 인체 포즈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2591A (ko) 2020-10-21 2022-04-28 강다현 생체정보를 이용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차량무인단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무인단속 시스템
KR102264266B1 (ko) * 2021-03-12 2021-06-14 김상덕 단속 대상 전반을 단속처리하기 위한 인공지능 영상판독 기반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4939B2 (en) Emergency rescue vehicle video based violation enforcement method and system
US11227496B1 (en) Parking lot use monitoring for small businesses
CN107813828A (zh) 乘客验证系统和方法
CN107813829A (zh) 乘客追踪系统和方法
CN107817714A (zh) 乘客监控系统和方法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449B1 (ko)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11361556B2 (en)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10836309B1 (en) Distracted driver detection and alert system
US89577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bled parking spot enforcement
JP68591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152328A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102002303B1 (ko)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JP2020530930A (ja) 改善された事故再現のためのスマートシティ・データアナリティクスおよびソリューション
KR102511626B1 (ko) 인공지능 기반 엣지 컴퓨팅을 활용한 유형별 객체 계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102655159B1 (ko)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단속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1570485B1 (ko) 카메라 사각지역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815548B1 (ko)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7401292B2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駐車場管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7824A (ja) 監視システム
Kawthankar et al. A survey on smart automobiles using Internet of Things for digital India
JP2000137842A (ja) 駐車場の乗逃げ防止方法及び装置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