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548B1 -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548B1
KR101815548B1 KR1020170051330A KR20170051330A KR101815548B1 KR 101815548 B1 KR101815548 B1 KR 101815548B1 KR 1020170051330 A KR1020170051330 A KR 1020170051330A KR 20170051330 A KR20170051330 A KR 20170051330A KR 101815548 B1 KR101815548 B1 KR 10181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vehicle
parking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아
Original Assignee
(주)이노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이노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7005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54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606 priority patent/WO20181944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325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방법은 장애인 주차 구역에 설치된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차량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주차 상황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managing parking area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차장 내에서 장애인 주차 구역과 같은 특수한 주차 구역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주차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교통 장벽 해소를 위한 편리한 도구가 자동차이다. 장애인의 접근권 확보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이 상대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동차의 중요성과 편리하고 쾌적한 주차장의 이용은 필수적이다.
보행 장애인에게 휠체어와 자동차는 신체의 일부이며, 신체 기능을 대신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은 필수 시설이며, 비장애인과 겸용할 수 없는 장애인 고유의 편의시설이다.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은 일반 주차 구역보다 폭이 넓고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가깝게 설치되어 있으며,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의 수는 주차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대부터 수대분의 주차 구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건축물의 부설 주차장과 자동차 관련 시설에서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은 장애인의 출입이 가능한 건축물의 출입구 또는 장애인용 승강 설비와 가장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여야만 한다.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의 폭이 일반 주차 구역보다 넓은 것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이용자가 주로 휠체어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강조한 주차 구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의 이러한 장점은 일반 차량 이용자에게 악용되고 있다. 즉, 일반 차량 이용자는 일반 주차 구역보다 넓고 주출입구에 가깝다는 이유와 주차하는 시간이 짧다는 이유에서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일반 차량 이용자의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위반 사용은 정작 그 공간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 장애인의 이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위반에 대한 단속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를 통해 비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 구역에 주차를 하는 것을 제한하고,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지 않고, 장애인 주차 구역에 주차를 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차량이 보다 빠르게 주차장 내부에 위치한 장애인 주차 구역을 찾고 장애인 주차 구역에 빠르게 주차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방법은 장애인 주차 구역에 설치된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차량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주차 상황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애인 주차 구역의 관리를 위한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고,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주차 상황인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장 내의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를 통해 비장애인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주차가 제한될 수 있고,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지 않고, 장애인 주차 구역에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차량이 보다 빠르게 주차장 내부에 위치한 장애인 주차 구역을 찾고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빠르게 주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진입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장애인 차량의 진입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부의 장애인 주차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주차를 위한 별도 장애인 주차 구역 설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에게 장애인 주차 구역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부의 차량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장애인 주차 구역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은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 및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진입하는 차량과의 통신을 기반으로 획득된 차량 정보 및/또는 차량의 영상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장애인 차량에 미리 구현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비콘)과의 통신을 통해 진입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을 통해 획득된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이하,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진입 차량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상할 수 있고, 촬상된 진입 차량 영상 정보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예를 들어, 번호판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이하,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장애인 주차 구역에 설치될 수 있고,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진입 차량이 장애인 차량임을 지시하는 경우,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된 표시부가 'O'라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는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진입 차량이 비장애인 차량임을 지시하는 경우,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LED로 구현된 표시부가 'X'라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 차량이 비장애인 차량인 경우, 경광등이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를 위한 빛/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에 의해 전송된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진입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위해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의 하위 정보로서 포함되는 차량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으로서 등록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미리 장애인 차량으로서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와 수신한 장애인 확인 정보의 차량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으로서 등록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미리 장애인 차량으로서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식별 정보와 수신한 진입 차량 영상 정보에 포함된 차량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는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위해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진입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140)는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관리부(140)는 주차장 내부의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를 위해 장애인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차량 주차 여부 정보) 및 장애인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 장애인 주차 구역에 장애인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장애인 차량 주차 정보), 장애인 주차 구역에 비장애인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비장애인 차량 주차 정보)등을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부(140)를 통해 수신한 차량 주차 여부 정보, 장애인 차량 주차 정보 및 비장애인 차량 주차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부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40)는 장애인 주차 구역이 다 찬 경우 또는 비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등을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장애인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차량/비장애인 차량의 주차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차량 진입 센서부(200), 영상 촬상부(210), 통신부(220), 표시부(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진입 센서부(200)는 장애인 주차 구역 내로의 차량 진입 여부를 센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진입 센서부(20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 내로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촬상부(210)는 진입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영상 촬상부(210)는 차량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번호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상하되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특정 부위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차량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진입 차량의 통신 모듈,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진입 차량에 구현된 비콘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에 구현된 통신 모듈은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통신부(220)로 전송할 수 있고, 통신부(220)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영상 촬상부(210)에 의해 촬상된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인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진입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는 경광등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경광등은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에 따라 경고등을 통해 비장애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는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비장애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차량 진입 센서부(200), 영상 촬상부(210), 통신부(220), 표시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진입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비콘을 보유한 장애인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시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콘을 보유한 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가 설치된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는 차량 진입 센서부를 기반으로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진입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진입 여부가 센싱되는 경우, 통신부가 ON 상태로 전환되고 장애인 차량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의 영상 촬상부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 정보를 촬상할 수 있다. 영상 기반의 장애인 차량 분석 방법을 통해 비콘이 설치되지 않은 장애인 차량에 대한 판단도 가능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350)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인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진입되는 차량이 장애인 차량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300)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350)로 전송된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를 통해 장애인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장애인 차량의 진입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비장애인 차량/또는 별도의 적재물의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시의 동작이 개시된다. 비장애인 차량은 장애인 차량으로 미등록된 차량, 비콘을 보유하지 않은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가 설치된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는 차량 진입 센서부를 기반으로 차량의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진입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진입 여부가 센싱되는 경우, 통신부가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비장애인 차량은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비콘이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통신부는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의 영상 촬상부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 정보를 촬상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45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450)는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인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인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진입되는 차량이 비장애인 차량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400)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450)로 전송된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를 통해 장애인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차된 상황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부의 장애인 주차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장애인 차량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의 동작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관리부에 설치된 장애인 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부는 장애인 주차장의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장애인 차량에 대한 등록/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실시간 주차 위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장애인용 주차장 관리 및 장애인 주차장 운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실시간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상황 및 각 주차장에 구현된 장애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등록/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실시간 위반 현황, 위반 정보 및 주차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장애인 주차 구역 위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관리부는 장애인 차량 등록 및 관리, 장애인 주차 구역 운영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를 기반으로 복수의 장애인 주차 구역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복수의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장애인 주차 구역이 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복수개의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장애인 주차 구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영상 촬상부를 기반으로 설치 이후 일정한 하방 각도(또는 지면을 내려다보는 각도)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초기 설정 절차 상에서 일정 하방 각도로의 영상 촬상을 수행하여 주차 구역 내부에 위치한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의 내부에는 장애인 주차 구역임을 지시하는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예를 들어, 휠체어 이미지)가 그려져 있을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촬상된 영상 내에서 주차 구역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식별(주차 라인에 대한 식별) 및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장애인 주차 구역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에 의해 초기 판단 결과에 의해 장애인 차량 주차 판단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주차 공간이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3개의 주차 공간을 주차 판단 영역으로 결정하고 설정된 주차 판단 영역에 대해서만 촬상 및 센싱을 수행하여 장애인 차량 주차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2개의 주차 공간이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2개의 주차 공간을 주차 판단 영역으로 결정하고, 설정된 주차 판단 영역에 대해서만 촬상 및 센싱을 수행하여 장애인 차량 주차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주기적으로 촬상 영역을 설정하여 촬상 영역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차 영역 각각을 별도의 촬상 영역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주차 영역 각각을 위한 촬상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 공간(610), 제2 주차 공간(620), 제3 주차 공간(630)이 장애인 주차 구역 내에 포함된 경우, 제1 주차 공간(610)을 위한 제1 촬상 시간, 제2 주차 공간(620)을 위한 제2 촬상 시간, 제3 주차 공간(630)을 위한 제3 촬상 시간을 설정하여 주차 영역에 대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 시간은 장애인 차량의 주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 공간(610)에 이미 주차가 된 경우, 제1 주차 공간(610)에 대한 촬상을 제외한 제2 주차 공간(620) 및 제3 주차 공간(630)만에 대한 촬상 시간을 설정하여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우선 제1 초점 모드를 통해 설정된 주차 판단 영역에 대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초점 모드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초점으로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 모드일 수 있다. 제1 초점 모드에서는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 라인을 초점으로 설정하여 촬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영상을 통해서도 추가적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장치는 우선 제1 초점 모드를 통해 설정된 주차 판단 영역에 대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초점 모드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초점으로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 모드일 수 있다. 제1 초점 모드에서는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 라인을 초점으로 설정하여 촬상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초점 모드는 차량의 진입 이후, 차량의 번호판을 촬상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2 초점 모드에서는 차량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차량 번호판의 이동을 탐지하여, 차량 번호판에 대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초점 모드에서는 차량 번호판의 촬상을 위해 초점이 변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주차를 위한 별도 장애인 주차 구역 설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주차 공간이 이미 만차인 경우, 일반 주차 구역 중 일정 공간을 장애인 주차 구역으로 할당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애인 주차 구역(700)이 만차이고 등록된 장애인 차량이 주차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차장 내의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주차장 내부의 특정 공간을 장애인을 위한 공간으로서 추가적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비어있는 주차 공간 중 장애인 주차 구역(700)과 인접한 거리에 있으면서 운전석 위치(예를 들어, 차량의 좌측면)에 차량이 없는 경우, 해당 주차 공간을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에 대한 정보를 장애인 차량의 통신 모듈 또는 장애인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은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 상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이 결정된 경우, 주차 공간 상단에 설치된 표시부(예를 들어, 발광부)를 통해 지면에 장애인 주차 구역임을 지시하는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예를 들어, 휠체어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비장애인 차량의 해당 공간으로의 주차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장애인 차량의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 중 특정 장애인 주차 공간에 장애인 차량이 주차된 경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750)에 생성된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는 사라질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이 별도의 이중 주차 라인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옆 차량으로 인해 차량으로부터 하차가 어려운 경우, 이중 주차 라인을 표시부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공간의 상단에는 주차 라인은 빛으로 생성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는 주차 공간 상단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지면으로의 발광을 통해 주차 라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주차 공간 상단에 설치된 표시부(예를 들어, 발광부)는 특정 공간으로 이동하여 장애인 주차 공간을 임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는 차량의 하차가 용이한 지역을 결정하고 해당 구역으로 이동한 후 빛을 발광하여 별도의 이중 주차 라인을 생성하고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장애인의 경우 일반 주차 라인이 아닌 별도의 주차 라인을 임시적으로 생성하여 장애인의 주차 편의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이후, 비장애인 차량의 주차 공간 할당시 장애인 주차 공간의 주변으로의 주차 공간의 할당을 제한하여 장애인 주차 구역의 주변의 주차를 제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에게 장애인 주차 구역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장애인 차량에게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의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차장의 경우, 차가 지나가거나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넓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서로 만나는 경우, 차량의 자유로운 이동이 쉽지 않다.
따라서, 나가는 차량, 현재 들어간 차량들의 이동 경로/이동 예상 경로를 분석하여 현재 들어가는 장애인 차량의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이 변화되거나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의 최적 이동 경로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차량의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 이동하기 위한 제1 경로(710)와 제2 경로(720)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현재 제1 경로(710) 상에서 다른 차량이 출차/입차를 위해 이동 중이거나, 앞으로 제1 경로(710) 상에서의 이동이 예상된다면, 장애인 차량이 제1 경로(710)를 통해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 이동하면 다른 차량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차량의 주차 경로는 제2 경로(720)로 결정되고, 장애인 차량은 제2 경로(720)를 통해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주차장 내 장애인 차량의 이동 경로는 현재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서 출구로의 진입 예상 경로를 고려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 만약, 제1 경로, 제2 경로 및 제3 경로가 존재하고, 장애인 차량이 제1 경로 상으로 이동시 다른 차량과 만날 확률이 높다면, 제2 경로 및 제3 경로 중 하나의 경로가 최적 경로로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차량과 만나지 않는 이동 경로인 제2 경로 및 제3 경로 중 할당 주차 공간까지 보다 빠르게 이동 가능한 경로가 장애인 차량에게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의 최적 경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이동 경로는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 제2 경로, 제3 경로가 존재하고, 실제로 제1 경로에서 다른 차량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로 차량이 제2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추천 경로가 제2 경로에서 제1 경로로 변화될 수도 있다. 장애인의 사용자 장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변화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 차량의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이 차량의 이동 중 다른 장애인 차량에 의해 먼저 사용된 경우, 장애인 차량에 대한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이 새롭게 결정되고, 새롭게 결정된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에 앞서 진입한 장애인 차량이 먼저 주차를 한 경우, 더 이상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이 가용하지 않으므로 다른 장애인 주차 공간이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서 결정되고, 새롭게 결정된 할당 장애인 주차 공간까지의 최적 경로가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내부의 차량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주차장 내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주차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주차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차량 이동 경로가 판단되고, 우선적으로 차량이 가까운 차량 이동 경로를 통해 출차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주차 위치가 제1 경로(810)에 상대적으로 가깝다면 출차 차량은 제1 경로(810)를 통해 출차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주차 위치가 제2 경로(820)에 상대적으로 가깝다면 출차 차량은 제2 경로(820)를 통해 출차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차량의 주차 위치가 제1 경로(810)와 제2 경로(820) 간의 차이가 없다면, 출차 표시가 있는 부분이 우선적인 경로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출차 차량이 실제로 이동하는 방향을 기반으로 출차 차량의 이동 경로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차량의 위치를 통해 이동하려는 차량의 이동 경로가 예측되고, 2차적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의 출차 여부는 일정 시간 주차되었던 차량이 움직이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주차장 내의 영상 촬상 장치 및/또는 객체 판단 센서는 주차되었던 차량이 움직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주차된 차량이 움직이는 경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판단 센서는 차량의 움직임을 우선적으로 감지하고, 차량의 움직임 이후, 차량이 주차 라인 상에 일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주차/출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방법은,
    장애인 주차 구역에 설치된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차량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주차 상황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복수의 초점 모드를 기반으로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초점 모드는 제1 초점 모드 및 제2 초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점 모드는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 라인에 초점을 맞추어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탐지하고,
    상기 제2 초점 모드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초점을 맞추어 상기 번호판에 대해 탐지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일반 주차 공간 중 일부를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 새롭게 할당하고,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은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과 인접한 일반 주차 공간으로서 상기 장애인 차량의 주차시 운전석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공간이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에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에 상기 장애인 차량의 주차 후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기반으로 이중 주차 라인 및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중 주차 라인은 하차가 용이한 지역에서 생성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이중 주차 라인의 주변으로 주차 공간의 할당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 차량 영상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차량 진입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진입 센서부는 센싱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상기 차량을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지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1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상기 차량을 상기 비장애인 차량으로 지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에 등록된 등록 차량 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장애인 주차 구역의 관리를 위한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내의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고,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주차 상황인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비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복수의 초점 모드를 기반으로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초점 모드는 제1 초점 모드 및 제2 초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점 모드는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 라인에 초점을 맞추어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탐지하고,
    상기 제2 초점 모드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초점을 맞추어 상기 번호판에 대해 탐지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일반 주차 공간 중 일부를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 새롭게 할당하고,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은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과 인접한 일반 주차 공간으로서 상기 장애인 차량의 주차시 운전석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공간이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에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후보 장애인 주차 공간에 상기 장애인 차량의 주차 후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기반으로 이중 주차 라인 및 상기 장애인 주차 구역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중 주차 라인은 하차가 용이한 지역에서 생성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이중 주차 라인의 주변으로 주차 공간의 할당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 및 진입 차량 영상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인 차량 확인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 차량 영상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차량 진입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진입 센서부는 센싱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장애인 주차 공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상기 차량을 상기 장애인 차량으로 지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1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가 상기 차량을 상기 비장애인 차량으로 지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차량 진입 판단 결과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 관리 서버에 등록된 등록 차량 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주차 관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51330A 2017-04-21 2017-04-21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81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30A KR101815548B1 (ko) 2017-04-21 2017-04-21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CT/KR2018/004606 WO2018194417A1 (ko) 2017-04-21 2018-04-20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30A KR101815548B1 (ko) 2017-04-21 2017-04-21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548B1 true KR101815548B1 (ko) 2018-01-30

Family

ID=6107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30A KR101815548B1 (ko) 2017-04-21 2017-04-21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5548B1 (ko)
WO (1) WO20181944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94B1 (ko) * 2021-11-22 2022-08-16 (주)이노씨앤에스 장애인 주차구역 무인단속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084A (zh) * 2019-03-25 2019-06-25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车辆管理方法、系统及装置
US10841733B1 (en) 2019-11-27 2020-11-17 Honda Motor Co., Ltd. Display control based on location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93A (ko)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KR101610663B1 (ko) * 2014-07-18 2016-04-11 주식회사 넥스엠앤이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1651008B1 (ko) * 2014-10-06 2016-08-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20170029834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6896B1 (ko) * 2016-07-19 2017-01-16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장애인 전용주차공간의 관리가 가능한 주차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94B1 (ko) * 2021-11-22 2022-08-16 (주)이노씨앤에스 장애인 주차구역 무인단속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417A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110B1 (ko) 스마트시티를 위한 IoT 표준기반 주차 유도 최적화시스템
JP5318584B2 (ja) エレベータ制御に用いるビデオ補助式システム
US1031172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237200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712586B2 (en) Passenger guiding system for a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KR101050449B1 (ko)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815548B1 (ko) 주차 구역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BR102020016058A2 (pt) Sistema de instrução remota de veículos e dispositivo de instrução remota
CN112449690A (zh) 用于自动驾驶车辆的乘客上车和下车的不方便
KR101758160B1 (ko) 최적 경로 안내 주차 시스템 및 방법
US11554931B2 (en) Inferred elevator car assignments based on proximity of potential passengers
KR102254195B1 (ko) 교통 감응 신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교통 제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180071458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및 시스템
WO2023113237A1 (ko) 횡단보도용 스마트 신호등 안내 시스템
JP2018150757A (ja) 駐車管理システム、自走式駐車防止装置、及び管理サーバ
JP7188249B2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
KR102058708B1 (ko) 음향 감지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KR20240008966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20120138361A (ko) 주차관리 운영 시스템
KR20150060333A (ko)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KR101835757B1 (ko)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기반으로 한 차량 정보 인식 방법 및 이러한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사용한 주차 관리 장치
CN112289069A (zh) 一种车位引导系统及方法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KR101806322B1 (ko) 영상정보를 활용한 도로상 휴게소 관리시스템
JP72174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