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331B1 -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331B1
KR102208331B1 KR1020190000136A KR20190000136A KR102208331B1 KR 102208331 B1 KR102208331 B1 KR 102208331B1 KR 1020190000136 A KR1020190000136 A KR 1020190000136A KR 20190000136 A KR20190000136 A KR 20190000136A KR 102208331 B1 KR102208331 B1 KR 10220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terminal
common entrance
signal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355A (ko
Inventor
박수영
홍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은 단말이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비콘 ID가 기 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면,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위치에 기초하여, IoT플랫폼으로 공동현관 제어 신호와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Terminal and method for public house control using IoT}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가정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가정의 제반 상황을 파악하고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보편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동주택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적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공동 현관을 출입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인증을 진행해야 한다. 결국, 사용자에게 출입 인증을 위한 어떤 행위를 요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경우 필연적으로 출입 지연의 불편을 따르므로, 출입 인증을 위해 사용자에게 별도의 행위를 요하지 않고 자동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한 인증을 거친 후, 공동현관 도어가 개방되면 다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전면에 설치된 호출버튼을 누르고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은 단말이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비콘 ID가 기 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면,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위치에 기초하여, IoT플랫폼으로 공동현관 제어 신호와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공동현관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3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후, 상기 제2 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현관으로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공동현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여, 공동현관으로 PIR 활성화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동현관이 상기 PIR 활성화 신호에 대응하여 PIR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PIR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공동현관의 도어를 오픈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PIR 센서는 공동현관에 접근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상기 IoT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고, 기저장된 해당 비콘ID의 구역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ID의 구역의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on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은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비콘 ID가기 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면, 상기 비콘 ID가 일치된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 위치에 기초하여, IoT플랫폼으로 공동현관 제어 신호와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는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공동현관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3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후 제2 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시 사용자가 공동현관으로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공동현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고, 공동현관으로 PIR 활성화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동현관은 상기 활성화된 PIR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공동현관의 도어를 오픈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PIR 센서는 공동현관에 접근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구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상기 IoT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 인증하고, 기저장된 해당 비콘ID의 구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콘ID 구역의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on되도록 제어 신호를 엘리베이터로 전송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평소에 소지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공동 주택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에 따른 접근 구역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 제어 시스템은 단말(100), 공동현관(200), IoT (Internet of Things )플랫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스마트폰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단말(100)는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IoT플랫폼(300)와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단말(100)은 공동주택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IoT플랫폼(300)에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따른 구역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구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단지, 동, 라인, 층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단말(100)은 공동현관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비콘 ID(Beacon Identifier)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비콘 ID는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될 수 있다. 비콘 ID는 복수의 비콘 중 특정 비콘(201)을 식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비콘 ID에 의해 특정 비콘(201)이 식별되기 위해, 각 비콘마다 서로 다른 값의 BID를 가질 수 있다.
단말(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BID와 기저장된 비콘 ID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 및 비콘 ID 정보를 IoT플랫폼(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100)은 비콘의 신호 세기를 활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말(100)은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비콘(201)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비콘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는 기설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영역(210,220,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이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1 영역에 위치한 후, 제2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공동현관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IoT플랫폼(300)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상기 공동현관 제어를 요청한 이후, 사용자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400)를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IoT플랫폼(300)에 송신할 수 있다.
공동현관은 비콘(201),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201)은 외부장치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비콘(201)은, 상기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함에 있어서, 저주파 통신방식, LED 통신 방식, Wi-Fi 통신 방식 및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통신 방식이 상기 정보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공동주택 솔루션 시스템이 출입 관리를 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단말(100)과 공동현관 장치와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동현관에 대한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비콘(201)은 오작동 방지를 위해 비콘 신호에 방향성을 부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콘(201)은 비콘 신호의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출력되는 비콘 신호의 좌우 및 후면 신호 세기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PIR(Passive Infrared) 센서(202) 는 공동현관 주위의 사용자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R 센서(202) 는 IoT플랫폼(300)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공동현관에 접근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를 위한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할 수 있다.
IoT플랫폼(300)은 단말(100)로부터 비콘 ID 및 계정을 수신해 비콘 ID 및 계정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은 애플리케이션에 기저장된 비콘 ID와 상기 수시한 비콘 ID가 일치하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IoT플랫폼(300)은 단말(1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출입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IoT플랫폼(3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공동현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PIR 센서(202) 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IoT플랫폼(300)은 상기 단말이 공동 현관 도어에 인접하는 경우, 단말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있다.
IoT플랫폼(3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400)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호출되는 엘리베이터는 상기 단말(100)이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에 따른 접근 구역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콘(201)은 소정의 신호 세기를 갖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 신호는 0.5초를 주기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 신호는 오작동 방지를 위해 비콘 신호에 방향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비콘(201)가 비콘 신호의 좌우 및 후면 신호를 하향 조정하여, 비콘 신호를 부채꼴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비콘(201)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까지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동현관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비콘 신호가 미치는 영역을 공동현관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영역(210)은 상기 임계 거리로부터 상기 공동현관 방향으로 제1거리만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215)는 2~3m일 수 있다.
제2 영역(220)은 상기 공동현관 방향으로 상기 제1 영역(210)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인접한 구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225)는 8~10m일 수 있다.
제3 영역(230)은 상기 공동현관 방향으로 상기 제2 영역(220)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인접한 구역일 수 있다. 상기 제3 거리(235)는 1~2m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제어 방법은 공동현관에 포함된 비콘(201)가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단말(100)이 수신할 수 있다(S110).
단말(100)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비콘 ID를 획득할 수 있다(S120).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비콘 ID가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0). 상기 비콘 ID가 기 저장된 비콘 ID가 아닌 경우, 다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콘 ID가 기 저장된 비콘 ID 인 경우, 단말(100)은 수신한 비콘 신호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S140).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100)이 위치를 제1 내지 제3 영역(2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이 제1 영역(210)에서 인식된 후 제2 영역(220)에서 인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0). 단말(100)이 제1 영역(210)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후 제2 영역(220)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현관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 제1 구역 인식 후 제2 구역에 인식되지 않은 경우, 단말(100)은 비콘 신호의 세기를 다시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이 제1 영역(210)에서 인식된 후 제2 영역(220) 에서 인식되는 경우, 공동현관 제어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60).
상기 단말(100)은 상기 공동 현관 제어 신호 전송 이후에, 사용자의 위치가 제3 영역(23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70). 제3 영역(230)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이 제3 영역(230)에 위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80). 이때 호출되는 엘리베이터는 상기 단말(100)이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oT플랫폼(300)은 단말(100)로부터 공동현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IoT플랫폼(300)은 수신한 단말(100)의 계정 및 비콘 ID를 인증할 수 있다.
이후, IoT플랫폼(300)은 공동현관에 포함된 PIR 센서(202) 의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플랫폼(300)으로부터 PIR 활성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PIR 센서(202) 는 활성화 될 수 있다. 이 경우 PIR센서 5초 동안 활성화 될 수 이다.
상기 PIR 센서(202) 가 5초 이내에 사용자를 인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PIR 센서(202) 가 5초 이내에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 공동현관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동현관 접근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를 위한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할 수 있다.
상기 PIR 센서(202) 가 5초 이내에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PIR 센서(202) 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동 현관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이 공동 현관 도어에 인접하는 경우, 단말은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IoT플랫폼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100)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IoT플랫폼(300)은 단말(100)의 계정 및 비콘 ID를 인증할 수 있다(S310).
IoT플랫폼(300)은 해당 비콘ID의 구역 정보 확인할 수 있다(S320).
IoT플랫폼(300)은 해당 구역의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을 on하도록 엘리베이터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엘리베이터는 상기 최적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on 제어하여, 엘리베이터가 상기 공동현관이 오픈 제어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단말
200: 공동현관
300: IoT플랫폼
201: 비콘
202: RIP 센서
400: 엘리베이터

Claims (14)

  1. 단말이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비콘 ID가 기 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면,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공동현관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후,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현관으로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공동현관 제어 신호를 IoT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동현관으로 출입 판단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상기 IoT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공동현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여, 공동현관으로 PIR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이 상기 PIR 활성화 신호에 대응하여 PIR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PIR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공동현관의 도어를 오픈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는
    공동현관에 접근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고,
    기저장된 해당 비콘ID의 구역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ID의 구역의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on되도록 제어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방법.
  8.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비콘 ID가 기저장된 비콘 ID와 일치하면, 상기 비콘 ID가 일치된 상기 비콘의 신호 세기에 대응하여 단말의 위치를 공동현관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내지 제3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 감지 후,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공동현관으로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공동현관 제어 신호를 IoT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공동현관으로 출입 판단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가 제3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상기 IoT플랫폼에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공동현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고, 공동현관으로 PIR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현관은
    상기 활성화된 PIR 센서를 통해서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공동현관의 도어를 오픈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는
    공동현관에 접근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PIR 인식 대기 시간을 초기화 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oT플랫폼은
    상기 단말의 계정 및 비콘ID를 인증하고, 기저장된 해당 비콘ID의 구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콘ID의 구역의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이 on되도록 제어 신호를 엘리베이터로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KR1020190000136A 2019-01-02 2019-01-02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KR10220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136A KR102208331B1 (ko) 2019-01-02 2019-01-02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136A KR102208331B1 (ko) 2019-01-02 2019-01-02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355A KR20200087355A (ko) 2020-07-21
KR102208331B1 true KR102208331B1 (ko) 2021-01-27

Family

ID=7183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136A KR102208331B1 (ko) 2019-01-02 2019-01-02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09B1 (ko) * 2021-01-25 2022-10-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모바일 무선 인식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39B1 (ko) * 2015-10-28 2016-04-04 (주)아이티엔제이 스마트 정보 보안 통합 시스템
KR101834180B1 (ko) * 2014-08-29 2018-03-08 주식회사 실리콘파이브 셔터방식의 초퍼를 이용한 이동 및 정지인체 감지센서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체감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12B1 (ko) * 2016-04-24 2018-03-19 (주)참슬테크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80B1 (ko) * 2014-08-29 2018-03-08 주식회사 실리콘파이브 셔터방식의 초퍼를 이용한 이동 및 정지인체 감지센서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체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08639B1 (ko) * 2015-10-28 2016-04-04 (주)아이티엔제이 스마트 정보 보안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355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288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205836B (zh) 一种基于云锁的红外人体感应的智能家居联动方法及系统
AU2014331198B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632944B1 (ko) 무선 신호 검출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025907B (zh) 借助音频输入的建筑自动化系统中的设备登记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37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fid system
KR101915657B1 (ko)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8331B1 (ko)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KR101676441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KR102203093B1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102086722B1 (ko) 방향 탐지 기반의 실내외 접근 식별을 통한 출입문 원격 개방 시스템
KR20190065094A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50087732A (ko) 활동 패턴 분석을 통한 입주자 인증에 따른 관제기 연동형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29516B1 (ko)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287292B1 (ko) 비콘신호에 기반한 도어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5151A (ko) 엘리베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893B1 (ko) 블루투스 모듈 이중화를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 오동작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303041B1 (ko) 비콘장치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94656A (ko) 자동 출입문의 보안 강화 방법 및 장치
US20210316961A1 (en) Method and elevator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maintenance mode of an elevator system
KR20230135941A (ko) 승강기 무선 호출 등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