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44B1 -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44B1
KR101632644B1 KR1020150147614A KR20150147614A KR101632644B1 KR 101632644 B1 KR101632644 B1 KR 101632644B1 KR 1020150147614 A KR1020150147614 A KR 1020150147614A KR 20150147614 A KR20150147614 A KR 20150147614A KR 101632644 B1 KR101632644 B1 KR 10163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age
room
vehicle
par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최말순
나호철
윤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하산업
Priority to KR102015014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객실로부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차고에 설치된 장치로부터 획득한 주차장 관련 정보를 및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ANAGEMENT SYSTEM OF UNINHABITED GUEST ROOM,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ACCESS IN THE MANAGEMENT SYSTEM OF UNINHABITED GUEST ROO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박 업소는 소정의 대여료를 받고 객실을 대여하는 호텔이나 모텔 및 여관 등을 말한다.
종래의 숙박 업소에서는 통상적으로 숙박 시설에 투숙하기 위해 투숙객이 요금 정산을 하고 퇴실하기까지 모든 관리가 숙박 관리자(또는 안내자)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때문에 숙박 업소를 경영하는 경영자 입장에서는 항상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필요하게 되므로 상당한 고정 인건비를 지출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숙박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숙박 시설 관리자의 안내에 따라 객실 배정을 받은 후 객실 열쇠를 받아 객실을 이용하여 왔으며, 객실 퇴실 시에도 관리자에게 객실 열쇠를 직접 반납해야 했었다. 따라서 숙박 시설 관리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는 객실 대여 및 열쇠 반납 등의 객실 이용에 따른 안내를 받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관리자가 필요한 숙박 업소의 경우, 이용자는 체크 인/아웃 및 객실 열쇠의 반납을 위하여 프론트 데스크를 거쳐야 하므로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조용히 숙박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숙박 업소의 이용을 안내하는 관리자가 없이 숙박 업소 내의 숙박 시설을 무인으로 관리하기 위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업소의 주차장 내의 차량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 및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 및 상기 객실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인으로 운영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숙박 업소의 객실들로부터 획득한 객실 정보와 주차장 내의 차고들로부터 획득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이용자의 차량 출입을 무인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자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주차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으로 운영되는 주차장의 차고의 구조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 차고로 진입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으로 운영되는 주차장의 차고의 구조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 차고로 진입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에서의 차량 출차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중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중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적어도 하나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중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중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중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중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및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101)를 통해 연결되는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하, 중앙 관리 장치라 칭함)(110), 주차장 제어 장치(120), 객실 제어 장치(130), 객실 안내 장치(140), 정보 제공 장치(150) 또는 관리자 단말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101)를 통해 객실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7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무인 객실 관리를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연동하는 장치들과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무인 객실 관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며,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시설의 다수의 객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네트워크(101)를 통해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 객실 제어 장치(130), 객실 안내 장치(140), 정보 제공 장치(150), 관리자 단말 장치(16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70)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주차장 제어 장치(120)와 연동하여 주차장 내의 다양한 상황(예를 들어, 차량 출입, 사용자 움직임, 청소, 시설 관리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관리 및 차량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객실 제어 장치(130)와 연동하여 객실 제어 장치(130)가 설치된 객실 상황에 관련된 정보(이하, 객실 정보라 칭함)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객실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숙박 시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장치(150)로부터 주차장, 다수의 객실 또는 객실을 제외한 숙박 시설 내부/외부의 다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150)로부터 숙박 시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광고, 이벤트, 주변 지역의 안내 정보 또는 협력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 받아서, 객실 안내 장치(140), 관리자 단말 장치(16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7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110), 객실 관리 장치(130), 객실 안내 장치(140), 정보 제공 장치(150), 관리자 단말 장치(16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70)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주차장 내부/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주차장 내의 다양한 상황(예를 들어, 차량 출입, 사용자 움직임, 청소, 시설 관리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이하,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하고, 중앙 관리 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주차장 내 다양한 장치 또는 시설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독립적인 다수의 차고를 포함하는 주차장인 경우, 각 차고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각 차고 내부 또는 외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차고 내에 설치된 다양한 감지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주차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차고 상태 정보, 차량 정보, 주차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감지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고에서의 차량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객실 제어 장치(13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객실 내 다양한 기기 또는 시설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객실 내 설치된 다양한 감지기를 통해 수집된 객실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제어 장치(130)는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와 연동하여 주차장의 차고 내 차량 출입 제어에 이용될 수 있는 객실 정보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직접 또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객실 제어 장치(130)는 예를 들어, 외출, 퇴실 또는 청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객실 정보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객실 안내 장치(140)는 중앙 관리 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객실 제어 장치(130)로부터 수집된 객실 정보 및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부터 수집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할 객실에 대한 안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실 안내 장치(140) 현재 공실인 객실(들)에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안내하고, 표시된 객실들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하면, 선택된 객실에 대한 결제 처리를 위한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객실 안내 장치(140)는 외출 또는 퇴실에 따른 안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화면에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위치를 표시하여 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객실 안내 장치(140)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시설 내의 프론트, 주차장의 차고 외부/내부, 객실 외부/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보 제공 장치(150)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시설에 설치된 다양한 기기 또는 시설물들을 관리하는 사업자(또는 협력 업체)의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설치된 다양한 기기 또는 시설물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요청 시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 장치(160)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 장치로서, 중앙 관리 장치(110)로부터 차량 출입 제어에 따른 안내 정보, 무인 객실을 관리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70)는 무인 객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 장치로서, 객실 및 주차장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컨텐츠)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 또는 통신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7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부터 차고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따른 안내 정보, 객실 이용에 따른 객실 정보, 결제 정보, 숙박 업소 내의 다양한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 숙박 업소에 인접한 지역의 관광 정보, 관련 업체에서 제공하는 광고 또는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70)는 숙박 업소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객실 예약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중앙 관리 장치(110), 주차장 제어 장치(120), 객실 제어 장치(130), 객실 안내 장치(140), 정보 제공 장치(150), 관리자 단말 장치(16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70)중 적어도 하나)은 네트워크(101)를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네트워크(101)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네트워크(101)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네트워크(101)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중앙 관리 장치(11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입력부(240) 또는 출력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무인 객실 관리를 위한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숙박 시설의 다수의 객실 및 주차장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객실을 제어 및 차고의 차량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주차장 제어 모듈(211), 객실 제어 모듈(212), 객실 안내 모듈(213) 또는 결제 처리 모듈(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숙박 시설 내의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상태(예를 들어, 차고 사용 여부, 청소 중인 상태 또는 외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로 진입 또는 출차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 내의 차량 진입 또는 출차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상기 도 1의 객실 제어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외출/퇴실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차량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외출에 대한 객실 정보를 전송하고, 외출에 대한 객실 정보에 따라 차량 출차 후, 해당 차고로 다른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해당 차고 앞에서 차량이 인식 즉, 차량이 재 진입되면, 해당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퇴실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퇴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 출차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상기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퇴실을 확인한 경우, 차량이 출차된 이후,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된 객실의 청소 요청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 장치(16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객실의 청소가 완료되면, 차량이 출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차량이 출차된 후, 차고와 현재 연결된 객실 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고, 해당 차고에 다시 다른 차량이 진입하면, 획득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10)의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후방 벽면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거리와 차량의 주차 시 측정되어 미리 저장된 거리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차량이 주차된 차고 내에 설치된 특정 감지기(예를 들어, 차고의 외부에 설치된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주차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된 풍속 또는 풍향 정보 등의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의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수집된 풍속 또는 풍향 정보를 확인하여, 셔터 인접 영역에서의 바람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바람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셔터의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값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셔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셔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경보 또는 안내 메시지를 발생하고, 셔터를 설정된 높이로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높이는 셔터가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이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풍속 또는 풍향에 따라 단계적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강풍이 불 때 셔터를 설정된 높이로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출 또는 퇴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셔터를 차량 출차를 위해 완전히 올리도록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강풍이 불 때 셔터를 설정된 높이로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고지의 인접 영역에서 다른 차량 또는 이용자를 확인하는 경우, 셔터를 내리도록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차량 또는 이용자가 차고지의 인접 영역을 벗어난 경우, 다시 일정 높이로 셔터를 올리도록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 결과,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셔터를 내리도록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주차장의 셔터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셔터 속도(예를 들어, 셔터가 올라가는 또는 내려오는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차량 출차 또는 입차에 따른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위치 또는 차량 움직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확인된 셔터 속도(예를 들어, 셔터가 올라가는 속도)와 확인된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의 움직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셔터가 올라가는 속도에 따라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안에서 인식하는 셔터의 위치와 실제 차량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차량이 셔터에 가까운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셔터가 올려져 있는 높이가 차량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위험합니다. 잠시 대기해주시기 바랍니다."), 경광음 제어 신호 또는 경광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수신된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주차장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경광음을 출력 또는 주차장에 배치된 경광등을 통해 빛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셔터가 올라가는 속도와 차량이 위치 또는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한 결과에 따라 주차장 내의 차량의 안전한 출차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셔터가 설정된 높이로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설정된 움직임 정보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이 정해진 거리만큼 전진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위험합니다. 잠시 대기해주시기 바랍니다."), 경광음 또는 경광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에 의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셔터가 설정된 높이로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설정된 움직임 정보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이 정해진 거리만큼 전진하는 경우), 셔터가 빨리 올라갈 수 있도록 셔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셔터 속도의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셔터가 빨리 올라갈 수 있도록 셔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주차장, 객실 등 숙박 시설 내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화재, 지진 또는 범죄 등의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상기 위험한 상황이 이 발생 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경광음 또는 경광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에 의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상기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 시 셔터를 올리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즉시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 시, 모든 차고의 셔터를 동시에 올리지 않고, 모든 차고의 셔터를 정해진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초 단위)로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다수의 차고의 셔터들을 동시에 올리는 경우에 전기를 과다하게 사용하여 전기 과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예를 들어, 전기 차단)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전으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차고 내의 경보 장치들을 통해 화재 경보음 또는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차고의 셔터를 즉시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차고 내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 내 상황 즉, 차고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어 위험한 상황으로 인지한 경우, 해당 차고 내의 셔터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주차장 제어 모듈(211)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다른 대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고 내 셔터가 화재로 인한 고장으로 인하여 자동 제어가 되지 않는 경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은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셔터를 자동 제어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수동으로 셔터를 올리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차장 제어 장치(120)는 셔터를 자동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주차장 제어 모듈(211)의 제어를 받지 않더라도 직접 수동 제어 안내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제어 모듈(21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실 제어 모듈(212)은 사용자가 이용할 객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객실 제어 모듈(212)은 숙박 시설 내의 다수의 객실로부터 수집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객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객실 제어 모듈(212)은 사용자가 외출/퇴실을 요청하면, 요청된 외출/퇴실에 따라 수집된 객실 정보를 상기 주차장 제어 모듈(21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제어 모듈(212)은 주차장의 어느 하나의 차고에 차량 주차가 완료되면, 차량이 주차된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실 안내 모듈(213)은 주차장의 어느 하나의 차고에 차량 주차가 완료되면, 차량이 주차된 해당 차고로부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 및 각 객실의 상황에 따른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대한 안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처리 모듈(214)은 주차장의 어느 하나의 차고에 차량 주차가 완료되면, 해당 차고와 연결된 객실 또는 객실 안내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안내되는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객실에 대한 결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 모듈(214)은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의 결제 서버(도시되지 않음)(예를 들어, 은행 서버, 카드사의 서버, 통신사의 서버 또는 인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객실에 대한 결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210)는 주차장 제어 모듈(211), 객실 제어 모듈(212), 객실 안내 모듈(213) 또는 결제 처리 모듈(214)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21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10)의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의 일부는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에서도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20)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무선 객실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객실 관리 및 주차장 내의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상기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부터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하고, 수신된 주차장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도 1의 객실 제어 장치(130)로부터 객실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제공 장치(15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된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정보를 객실 이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도 1의 객실 안내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중앙 관리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도 1의 객실 제어 장치(130)를 통해 수집한 객실 상황에 관련된 정보(객실 정보 또는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객실 데이터베이스(DB)(23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 및 정보 제공 장치(150)를 통해 수집한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주차장 데이터베이스(DB)(2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50) 또는 숙박 시설 내 설치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240)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서 관리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무인 객실 관리 및 주차장의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250)는 중앙 관리 장치(2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력부(150)의 표시부는 중앙 관리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무인 객실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숙박 시설 내의 각 객실에 설치된 기기 또는 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화면, 주차장 내의 차고의 상태 및 차고 내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화면, 객실 안내 화면, 객실 이용에 따른 결제 처리 화면,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50)의 스피커는 위험 상황이 발생 시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경광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 숙박 시설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객실로부터 획득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차고에 설치된 장치로부터 획득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후,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후,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대한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안내를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객실의 객실 제어 장치와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객실 정보에 따른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차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의 후방 벽면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거리와 상기 차량의 주차 시 측정된 거리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 내에 설치된 특정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출차된 후, 상기 차고와 현재 연결된 객실 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차고에 다시 다른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퇴실을 확인한 경우, 상기 차량이 출차된 이후, 상기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청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객실의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이 출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외출을 확인한 경우, 상기 차량이 재진입 시까지 상기 차고의 셔터를 내려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의 움직임 또는 수집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상기 수집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위험을 알리는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를 즉시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상기 주차장 내의 모든 차고의 셔터를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 관리를 위한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객실(310)과 하나의 차고(320)가 연결된 드라이브인 형태의 숙박 시설인 경우, 중앙 관리 장치는 하나의 객실(310)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와 하나의 차고(320)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의 중앙 관리 장치(401)는 하나의 객실과 하나의 차고 간의 통신을 연결하고, 차고 내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감지기들로부터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 즉, 차고 상태 또는 차량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주차장 제어 장치(402)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차고 내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감지기들은 차량(404)의 진입 또는 출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기들로서, 차고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404)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감지기(411), 차고 내의 전방의 셔터 인접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감지기(412a, 412b), 차고의 중앙 영역에 설치된 제2 감지기(413a, 413b), 차고의 후방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감지기(414a, 4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고의 구조 및 상태에 따라 설치되는 감지기의 개수를 줄이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기 내지 제3 감지기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차량 움직임 또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들은 차고의 천장 및 후방의 일 영역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421a 4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들은 타 사업자(협력 업체)에서 설치한 카메라(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 CCTV 등)(431)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고 내에는 사용자가 직접 셔터(405)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스위치(44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40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셔터 스위치(441)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401)로 전송하여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401)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장치(401)는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관리 장치(403)로부터 수집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공실 여부, 객실의 구조, 객실 내 시설, 객실 이용 요금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주차 제어 장치(4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제어 장치(402)는 주차장 내 또는 해당 차고 앞/내부에 설치된 객실 안내 장치(451)(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401)는 객실 제어 장치(403)로부터 외출/퇴실에 관련된 정보를 객실 정보로 수집하면,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402)로부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 또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출차 상태인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401)는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설정된 영역으로 움직이면, 해당 차고의 셔터(405)를 올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이 차고 밖으로 완전히 벗어남을 확인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해당 차고의 셔터(405)를 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4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차량의 높이, 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이 셔터와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예를 들어,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경광음 또는 경광등 제어 신호)하거나, 셔터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차장의 다수의 차고들(501, 503, 505, 507 및 509)이 차량이 진입하면, 다수의 객실 중 공실 상태인 어느 하나의 객실과 연결하는 구조의 숙박 시설인 경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수의 차고들(501, 503, 505, 507 및 509) 중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차고(503 또는 505)는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하고,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차고(501, 507 또는 509)는 객실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청소중인 차고이므로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숙박 시설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다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관리 장치와 다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차량 진입 또는 출차를 제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중앙 관리 장치(601)는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 차고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오픈(Open)된 적어도 하나의 차고(예를 들어, 도 5의 차고(503 또는 505)) 즉, 셔터가 올라간 상태의 차고에서, 상기 차고의 전방의 설정된 반경 내에서 차량이 인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상기 오픈된 차고 중 적어도 하나의 차고(예를 들어, 도 5의 차고(503)) 전방에서 차량이 인식되면, 차량이 차고 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오픈된 차고 내에 설치된 다양한 감지기들을 통해 차고의 상태 및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차고 내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감지기들은 차량(604)의 진입 또는 출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기들로서, 차고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604)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감지기(611), 차고 내의 전방의 셔터 인접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감지기(612a, 612b), 차고의 중앙 영역에 설치된 제2 감지기(613a, 613b), 차고의 후방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감지기(614a, 6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기(611), 상기 제2 감지기(612a, 612b) 및 상기 제3 감지기(614a, 614b)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차량 움직임 또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들은 차고의 천장 및 후방의 일 영역에 설치된 제4 감지기(621a 621b)(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들은 타 사업자(협력 업체)에서 설치한 카메라(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 CCTV 등)(631)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고 내에는 사용자가 직접 셔터(605)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스위치(64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60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셔터 스위치(641)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601)로 전송하여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601)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앙 관리 장치(601)는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차고(예를 들어, 상기 도 5의 차고(503))로부터 수집된 주차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진입된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고,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차고의 셔터(605)를 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6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602)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605)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다수의 객실로부터 수집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공실 상태인 객실을 확인하고,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과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제2 객실과 차량이 주차된 상기 차고를 연결하여 제1 객실의 객실 제어 장치(603b)와 상기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602)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다수의 객실에 각각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603a, 603b, ..., 603n)로부터 수집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공실 여부, 객실의 구조, 객실 내 시설, 객실 이용 요금 등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주차 제어 장치(6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제어 장치(602)는 주차장 내 또는 해당 차고 앞/내부에 설치된 객실 안내 장치(651)(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제2 객실 제어 장치(603b)로부터 외출/퇴실에 관련된 정보를 객실 정보로 수집하면,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602)로부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 또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출차 상태인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정해진 영역으로 움직이면, 해당 차고의 셔터(605)를 올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이 차고 밖으로 완전히 벗어남을 확인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해당 차고의 셔터(605)를 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601)는 연결된 객실이 퇴실 상태인 경우, 해당 차고의 셔터(605)를 내리지 않고,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당 차고와 연결된 객실과의 통신 연결을 차단한 후 다음 차량의 진입에 따라 새로운 객실과 연결하도록 상기 해당 차고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차량의 높이, 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이 셔터와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예를 들어,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경광음 또는 경광등 제어 신호)하거나, 셔터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 4 및 도 6의 상기 중앙 관리 장치(401 또는 601)는 차량이 주차된 해당 차고에서 차량이 출차된 후, 연결된 객실이 퇴실 상태이면, 객실 청소를 위한 청소 안내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 또는 청소 용역 업체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401 또는 601)는 객실 청소를 위해 차량이 출차된 차고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차고의 셔터(405 또는 605)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 4 및 도 6의 상기 중앙 관리 장치(401 또는 601)는 차량이 주차된 차고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 전송 또는 차고 내의 시설물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의 중앙 관리 장치에서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진입 상태에서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701 동작에서는 중앙 관리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중앙 관리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 제어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에서 다양한 감지기들에 의해 감지된 주차장 상황에 관련된 정보(이하, 주차장 관련 정보라 칭함)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701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객실 제어 장치(130))로부터 객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상태 및 객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장 내의 다수의 차고에 차량 주차 여부, 차량 출입 상태 또는 차고 상태(예를 들어, 셔터가 내려진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주차장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각 객실의 공실 여부, 청소 여부, 예약 상태, 외출 상태, 퇴실 상태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객실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705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오픈된 차고에 차량이 진입 여부는 경우, 707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01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707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량 진입에 따라 차고에 설치된 다양한 감지기들에 의해 감지된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 내에 차량 주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709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량 주차 상태를 파악한 결과에 따라 주차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차량 주차가 완료되면, 711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07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711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고 즉, 차고 내 설치된 상기 차고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고 제어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고의 전방에 설치된 셔터의 모터를 제어하여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고 제어 장치로부터 계속해서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것을 확인함에 따라 주차 완료 상태임을 안내하고, 객실 선택 또는 객실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713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주차가 완료되어 차고의 셔터가 내려지면, 수집된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객실 중 적어도 하나의 공실 상태인 객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공실 여부, 객실 구조 정보, 객실 내 시설물 정보, 제공 서비스 정보 또는 관련 이벤트(또는 광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객실 안내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객실 안내 장치에 표시된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을 선택하면, 중앙 관리 장치는 선택된 객실과 차량이 주차된 차고를 연결하고, 연결된 객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객실의 요금 정보, 결제 정보, 객실 이용 정보 또는 객실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객실 안내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절차에서는 주차가 완료된 후에 객실 안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713 동작은 차고 앞에 설치된 객실 안내 장치가 설치된 경우, 차량이 차고에 진입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713 동작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통해 객실 안내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 숙박 시설을 방문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차량이 숙박 시설에 도착하여 차량이 인식되면, 중앙 관리 장치는 미리 예약한 정보(예를 들어, 차량 번호)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객실 안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출차 상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801 동작에서는 중앙 관리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중앙 관리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 제어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주차장 제어 장치(120))에서 다양한 감지기들에 의해 감지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701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객실 제어 장치(130))로부터 객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상태 및 객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장 내의 다수의 차고에 차량 주차 여부, 차량 출입 상태 또는 차고 상태(예를 들어, 셔터가 내려진 상태, 닫힌 상태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주차장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각 객실의 공실 여부, 청소 여부, 예약 상태, 외출 상태, 퇴실 상태 또는 위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객실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805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출차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닫힌 상태의 차고에서 주차된 차량이 출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807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해서 차량의 움직임을 확인 즉, 801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8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설정된 감지기(예를 들어, 제2 감지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셔터 인접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하여 출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 완료 시 미리 저장된 주차된 차량과 후방 벽면과의 거리 또는 주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정보들과 비교하여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의 후방 벽면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거리와 상기 차량의 주차 시 측정되어 저장된 거리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차고 내에 설치된 특정 감지기(예를 들어, 도 4의 제1 감지기(411) 또는 도 6의 제1 감지기(611)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807 동작에서는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차량이 차고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여 출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하는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는 셔터의 모터를 제어하여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809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차고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관련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에서 차량 출차 즉, 차량이 차고에서 벗어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고에 설치된 제2 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차량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차고 외부에 설치된 제1 감지기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 즉, 차량이 인식되면, 차고에서 차량이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811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고에서 차량이 완전히 벗어났는지 즉, 차량 출차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차량 출차가 완료된 경우, 813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809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813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고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는 셔터의 모터를 제어하여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고에서 차량이 출차된 후 차고의 셔터를 내리지 않고, 차고를 오픈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 후 내려진 셔터를 다시 올리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출차된 후 객실의 상태에 따라 차고의 오픈 또는 닫힘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이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에서의 차량 출차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901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중앙 관리 장치(110))가 상기 도 8의 동작 절차에 따라 차량 출차를 확인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량 출차가 완료됨에 따라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상태를 확인하여, 객실 상태가 퇴실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객실 상태가 퇴실 상태인 경우, 909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05 동작에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개실 상태가 외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객실 상태가 외출 상태인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907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1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07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는 셔터의 모터를 제어하여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외출한 차량이 재진입 시까지 다른 차량이 진입하지 않도록 차고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차고와 객실이 1대 1로 연결되지 않고 다수의 차고를 공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외출 시 차량의 출차된 차고와 객실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고, 차고를 오픈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후, 909 동작에서는 도 2의 주차장 데이터 베이스(232)에 저장된 차량 정보(예를 들어, 차량 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이 인식되면, 중앙 관리 장치는 인식된 차량이 연결된 객실을 이용하는 차량과 동일한 차량 즉, 차량이 재진입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동일한 차량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907 동작을 수행하고, 인식된 차량을 다른 차고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909 동작에서 확인한 결과, 동일한 차량으로 인식되면, 중앙 관리 장치는 917 동작을 수행하여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재진입 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량이 진입한 차고를 다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객실과 연결하고, 상술한 상기 도 7과 같은 동작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911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객실 상태를 퇴실로 확인함에 따라 객실 또는 차고의 청소 요청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 또는 청소 용역 업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913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객실 또는 차고의 청소 시간 동안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가 셔터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915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청소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청소가 완료된 상태이면, 915 동작을 수행하고,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91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17 동작에서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청소가 완료됨을 확인함에 따라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차고의 셔터를 오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가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획득한 객실 정보 및 주차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 이용 및 주차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객실 정보를 확인하여 객실 이용 대금의 결제 여부, 퇴실 또는 외출 등의 객실 이용에 따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모션 및 차량 정보를 파악하여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객실 사용자가 퇴실 또는 외출에 대해 통지 없이 또는 이용 대금을 결제하지 않은 상태로 출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지 않고, 해당 상황에 따른 안내(예를 들어, 안내 음성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안내 메시지 디스플레이, 경광등 또는 경광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고에서의 사용자의 모션을 확인하여 차고에서 사용자 또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제어되는 셔터가 내려오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셔터로 이동하는 경우, 셔터가 내려오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장, 객실 등 숙박 시설 내 설치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화재, 지진 또는 범죄 등의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경광음 또는 경광등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 시 셔터를 즉시 올리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주차장 내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앙 관리 장치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 시, 모든 차고 내의 셔터를 정해진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초 단위)로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각 차고 내에 위치한 주차장 제어 장치 또는 모든 차고를 관리하는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는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 감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는 차고 내의 경보 장치들을 통해 화재 경보음 또는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고, 차고의 셔터를 즉시 올리도록 셔터에 연결된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차장 제어 장치는 차고 내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고 내 상황 즉, 차고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유독가스가 유입되어 위험한 상황인 경우, 차고 내의 셔터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중앙 관리 장치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관리 장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다른 대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고 내 셔터가 화재로 인한 고장으로 인하여 자동 제어가 되지 않는 경우, 중앙 관리 장치는 수동으로 셔터를 올리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된 풍속 또는 풍향 정보 등의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의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장치는 수집된 풍속 또는 풍향 정보를 이용하여 셔터 인접 영역에서의 바람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바람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앙 관리 장치는 셔터의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값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셔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셔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는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주차장 제어 장치로 위험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셔터를 설정된 높이로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높이는 셔터가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강풍이 불 때 셔터를 설정된 높이로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출 또는 퇴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셔터를 차량 출차를 위해 완전히 올리도록 제어 또는 사용자의 차고 진입 전에 셔터를 내렸다 사용자의 차고 진입이 확인되면, 셔터를 올리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장치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 결과,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셔터를 내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차량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차량의 높이, 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이 셔터와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예를 들어,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 경광음 또는 경광등 제어 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동작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주차장 제어 장치로 요청하여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주차장 제어 장치로 셔터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하도록 요청함에 따라 주차장 제어 장치에서 차고 내의 셔터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중앙 관리 장치는 차고에서 객실로 이동하는 출입문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주차 후, 사용자가 객실 이용 대금을 결제하지 않은 경우, 중앙 관리 장치는 결제를 요청하는 안내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한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객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실로부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차고에 설치된 장치로부터 주차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차고에서 차량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내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후,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와 연결되는 객실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객실 정보에 따른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차 상태를 파악하는 동작; 상기 파악된 주차 상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차된 후, 상기 차고와 현재 연결된 객실 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차고에 다시 다른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퇴실을 확인한 경우, 상기 차량이 출차된 후, 상기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청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객실의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이 출차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외출을 확인한 경우, 상기 차량이 재진입 시까지 상기 차고의 셔터를 내려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의 움직임 또는 수집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상기 수집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위험을 알리는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또는 "기능부"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또는 "기능부"는,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중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 또는 "기능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 "기능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또는 "기능부"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 (예: 도 2의 제어부(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예: 도 2의 저장부(230))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중) 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중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 (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객실로부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차고에 설치된 장치로부터 주차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차고에서 차량을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획득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101 : 네트워크
110 : 중앙 관리 장치 120 : 주차장 제어 장치
130 : 객실 제어 장치 140 : 객실 안내 장치
150 : 정보 제공 장치 160 : 관리자 단말 장치
170 : 사용자 단말 장치 210 : 제어부
220 :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입력부 250 : 출력부

Claims (25)

  1.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에서 있어서,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해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서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에 따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된 차고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주차된 차고의 셔터를 내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차고와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객실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상태로 확인되면,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대한 객실 안내를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객실의 객실 제어 장치와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객실 정보에 따른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확인된 차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주차장 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후방 벽면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현재 측정된 거리와 상기 차량의 주차 시 측정된 거리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량 출차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서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움직임 및 상기 차량의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셔터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출차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와 현재 연결된 객실 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에 다시 다른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대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현재 상태가 퇴실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이 출차된 이후, 상기 연결된 객실의 청소 요청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객실의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에 연결된 객실에 대한 객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현재 상태가 외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이 출차된 이후부터 상기 차량이 재진입 시까지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내려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셔터의 움직임 또는 수집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상기 수집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설정된 높이로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위험을 알리는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즉시 올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상기 주차장 내의 모든 차고의 셔터를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해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서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에서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는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된 차고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내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와 연결되는 객실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객실에 대한 객실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객실 정보에 따른 차량 출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확인된 차고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주차장 관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주차 상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출차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이 출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차된 후, 상기 확인된 차고와 현재 연결된 객실 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다시 다른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객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차고와 공실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객실 간의 통신을 다시 연결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와 연결된 객실의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현재 상태가 퇴실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출차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차량이 출차된 경우, 상기 확인된 차고와 연결된 상기 객실의 청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객실의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올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와 연결된 객실의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객실의 상태가 외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차고에서 상기 차량이 출차된 이후부터 재진입 시까지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를 내려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내려진 상태인 경우, 상기 셔터의 움직임 또는 수집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셔터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상기 수집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셔터가 설정된 높이로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 시 위험을 알리는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의 셔터를 즉시 또는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확인된 차고의 주차장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주차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 및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 및 상기 객실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인으로 운영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25.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차고에 설치된 주차장 제어 장치로부터 주차장 상황을 나타내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객실에 설치된 객실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객실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인식된 차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주차장 관련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차고에 상응하여 수신된 객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인된 차고의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출입을 관리 및 제어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47614A 2015-10-22 2015-10-22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14A KR101632644B1 (ko) 2015-10-22 2015-10-22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14A KR101632644B1 (ko) 2015-10-22 2015-10-22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44B1 true KR101632644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14A KR101632644B1 (ko) 2015-10-22 2015-10-22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1B1 (ko) * 2019-01-14 2019-04-15 배은미 무인숙박시설의 객실세대 주차장 관리 회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숙박시설의 객실세대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주차장의 입출차 제어방법
KR20210061712A (ko) * 2019-11-20 2021-05-28 김현 객실 재난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84A (ko) * 2005-10-25 2006-09-19 최병관 객실관리 자동화 방법
JP2008293467A (ja) * 2007-04-26 2008-12-04 Misato Syst:Kk レジャーホテル用マルチ情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対面防止システム及び案内システム並びに予約システム
KR20130138878A (ko) * 2012-06-11 2013-12-20 김영문 객실 사용 자동화 시스템
KR20150107073A (ko) * 2014-03-13 2015-09-23 (유) 토마토시스템 무인 객실용 시간제 요금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84A (ko) * 2005-10-25 2006-09-19 최병관 객실관리 자동화 방법
JP2008293467A (ja) * 2007-04-26 2008-12-04 Misato Syst:Kk レジャーホテル用マルチ情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対面防止システム及び案内システム並びに予約システム
KR20130138878A (ko) * 2012-06-11 2013-12-20 김영문 객실 사용 자동화 시스템
KR20150107073A (ko) * 2014-03-13 2015-09-23 (유) 토마토시스템 무인 객실용 시간제 요금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81B1 (ko) * 2019-01-14 2019-04-15 배은미 무인숙박시설의 객실세대 주차장 관리 회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숙박시설의 객실세대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주차장의 입출차 제어방법
KR20210061712A (ko) * 2019-11-20 2021-05-28 김현 객실 재난관리 시스템
KR102277947B1 (ko) 2019-11-20 2021-07-16 김현 객실 재난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9940B (zh) 用于监视处于自主运行模式中并且位于停车场上的车辆的方法和设备
US20160042575A1 (en) Automated facility access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10927583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apparatus with safety system override, and method
JP2020080142A (ja) 自律走行車両の駐車管制システム
KR102477061B1 (ko) 주차장 내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TWI747260B (zh) 用於進出控制系統的系統、方法和電腦程式
US10140793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parking facility
KR20190046616A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876239B1 (ko) 주차 시스템
KR101632644B1 (ko)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 무인 객실 관리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KR102058708B1 (ko) 음향 감지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CN105460714A (zh) 一种小区门禁管理系统调度电梯的系统及方法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CN114999141A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5011054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KR102264395B1 (ko) 주차 구역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694339A (zh) 轨道交通的火灾防控方法和系统
CN109281527B (zh) 智能立体车库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32510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인 주차 장치
KR20200126501A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20220041592A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180010396A (ko) 인식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공간 임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