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724A -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724A
KR20170062724A KR1020150168260A KR20150168260A KR20170062724A KR 20170062724 A KR20170062724 A KR 20170062724A KR 1020150168260 A KR1020150168260 A KR 1020150168260A KR 20150168260 A KR20150168260 A KR 20150168260A KR 20170062724 A KR20170062724 A KR 2017006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temporary
management server
park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태형
장우진
강지훈
Original Assignee
라태형
장우진
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태형, 장우진, 강지훈 filed Critical 라태형
Priority to KR102015016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724A/ko
Publication of KR2017006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H04N5/225
    • H04N5/2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정보와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주차위치관리 서버, 주자창의 차량 주차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시스템 및 출차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hat manages car parking}
본 발명은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에 차량 주차 및 출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할 경우 주차위치관리 서버 또는 차량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송하여 주차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른 자동차의 필요성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자동차 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지만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주차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공 주거시설에서는 정상적인 주차구역 이외에도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면 차량이 주차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문제로 이웃주민들과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정상적인 주차구역이 아닌 공간에 주차된 차량은 다른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는 임시 주차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임시 주차 또는 평행 주차가 이루어질 경우 그 차량의 차주와 통화를 하거나 그 차를 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외부로 출타를 위해 출차의 경우,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으로 나기지 못할 경우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에 자동으로 연락되어 출차의 편의성을 높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정상주차위치 또는 임시주차위치를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주차공간으로 인도하고, 실시간 주차차량을 감시하여 정상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이 빠져나가면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송하여 정상주차위치에 차량을 주차하도록 안내하여 주차의 편의성을 높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은 출차를 원하는 차량이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고 임시주차차량이 있을 경우 상기 임시주차차량의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을 요청하면, 상기 임시주차차량의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임시주차차량의 자동 또는 수동 이동에 관한 정보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시키는 경우에 상기 임시주차차량이 자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 등으로 이동하면서 거리센서로 다른 차량을 감지하게되고, 감지가 이루어지면 이동하던 임시주차차량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정지하여 대기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다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정보와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주차위치관리 서버, 주자창의 차량 주차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시스템 및 출차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또는 차량의 무선통신모듈의 통해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재 비어있는 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검색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정상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정상주차공간이 없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임시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시주차위치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정상주차공간에 발생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정상주차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출차시스템은, 차량의 신호를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차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차되는 차량 앞에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는 단계; 임시주차차량이 있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정보와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주차위치관리 서버, 주자창의 차량 주차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되며, 자동주행설비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시스템 및 출차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또는 차량의 무선통신모듈의 통해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재 비어있는 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검색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정상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정상주차공간이 없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임시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시주차위치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정상주차공간에 발생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정상주차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차시스템은, 차량의 신호를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차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차되는 차량 앞에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차량에 이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출차되는 차량의 출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임시주차차량에 출차된 주차위치에 주차되도록 주차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는 개인 통신기기에 연동되어 차량의 정보를 개인 통신기기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정상주차위치 또는 임시주차위치를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주차공간으로 인도하고, 실시간 주차차량을 감시하여 정상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이 빠져나가면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송하여 정상주차위치에 차량을 주차하도록 안내하여 주차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 출타를 위해 출차의 경우,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으로 나기지 못할 경우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에 자동으로 연락되어 출차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주차시스템의 방법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출차시스템의 방법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또다른 출차시스템의 방법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정상주차'란 주차라인이 형성된 주차구역을 뜻하며, '임시주차'란 주차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주차구역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주차시스템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출차시스템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또다른 출차시스템을 나타낸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정보와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주차위치관리 서버, 주자창의 차량 주차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시스템 및 출차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주차장의 주차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주차장 사용차량 및 운전자 정보 등의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저장된다.
또한,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웹사이트가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카메라는 고정렌즈가 구비되어 촬영 범위가 고정된 단일 고정식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촬영 범위가 가변적인 PTZ(pan-tilt-zoom)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TZ 카메라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팬 동작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트(tilt) 동작 및 줌인/줌아웃(zoom in/zoom out) 동작에 의해 한 대의 카메라로 다양한 감시 영역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PTZ 카메라는 단일 고정식 카메라에 비해 수평, 수직, 회전이 가능하므로 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균일한 해상도를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인터넷,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의 명령에 의해 주차장 감시기능이 제어된다. 상기 카메라의 주차장 감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차량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된 차량으로 거리센서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차량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주차시스템은 도 1의 흐름도와 같이 상기 카메라 또는 차량의 무선통신모듈의 통해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단계로 시작될 수 있으나, 본 단계가 반드시 요구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차량 확인은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 등록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연동된 카메라를 통해 현재 비어있는 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정상주차공간이 검색될 경우에는 검색된 정상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여 차량을 주차위치로 인도하여 차량의 주차를 돕는다.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정상주차공간이 없을 경우 연동된 카메라를 통해 임시로 주차할 수 있는 임시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통해 주차위치를 다시한번 검색한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임시주차위치가 검색되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통해 차량을 주차위치로 인도한 후에 상기 임시주차위치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차량이 다른 곳에 주차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될 경우 카메라를 통해 정상주차공간에 발생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를 통해 정성주차공간이 발생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정상주차공간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정상주차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통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정상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인도한다.
상기와 같이 주차시스템은 등록된 차량이 정상주차위치에 차량이 주차될 수 있도록 차량 운전자를 안내하여 차량이 임시주차위치에 장시간 주차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다른 차량의 주행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차시스템은 도 2의 흐름도와 같이 차량의 신호를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차를 확인하는 단계로 시작되는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직접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불편함이 있으므로 차량에 시동을 걸면 자동적으로 출차 신호가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출차되는 차량 앞에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는 단계로 출차를 막는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 확인한다.
임시주차차량이 있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차량이 출차할 수 있도록 임시주차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임시주차차량의 운전자에게 네트워크 등을 통한 이동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임시주차차량 운전자는 미리 설정한 자동 설정을 통해 임시주차차량을 자동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수동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자동주행설비가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차량을 자동으로 주행시켜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을 시키는 경우에 임시주차차량이 자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 등으로 이동하면서 거리센서로 다른 차량을 감지하게된다. 이때 감지가 이루어지면 이동하던 임시주차차량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정지하여 대기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또다시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시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정지하여 대기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자동주행설비가 구비된 차량의 출차시스템은 도 3의 흐름도와 같이 차량의 신호를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차를 확인하는 단계로 시작되고, 상기 출차되는 차량 앞에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는 단계로 출차를 막는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 확인한 후에 임시주차차량이 있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차량에 이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킨 후 출차하려는 차량을 출차시킨다.
이후, 카메라를 통해 출차되는 차량의 출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기 임시주차차량에 출차된 주차위치에 주차되도록 주차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임시주차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통신기기에 연동하여 차량의 정보를 개인 통신기기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개인 통신기기를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의 주차위치 등의 차량의 현재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및 해당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특히 도 4 내지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출차를 원하는 차량이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고 임시주차차량이 있을 경우 상기 임시주차차량의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을 요청하면, 상기 임시주차차량의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임시주차차량의 자동 또는 수동 이동에 관한 정보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주차차량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이동을 시키는 경우에 상기 임시주차차량이 자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 등으로 이동하면서 거리센서로 다른 차량을 감지하게되고, 감지가 이루어지면 이동하던 임시주차차량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정지하여 대기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다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2. 주차장의 주차정보와 차량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주차위치관리 서버, 주자창의 차량 주차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주차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거리센서가 구비되며, 자동주행설비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시스템 및 출차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또는 차량의 무선통신모듈의 통해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재 비어있는 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검색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정상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정상주차공간이 없을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임시주차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시주차위치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정상주차공간에 발생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정상주차공간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위치에 주차된 차량 운전자에게 정상주차위치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출차시스템은,
    차량의 신호를 주차위치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차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차되는 차량 앞에 임시주차차량이 있는지를 카메라 또는 차량의 거리센서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차위치관리 서버에서 임시주차차량에 이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출차되는 차량의 출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임시주차차량에 출차된 주차위치에 주차되도록 주차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150168260A 2015-11-30 2015-11-30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2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60A KR20170062724A (ko) 2015-11-30 2015-11-30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60A KR20170062724A (ko) 2015-11-30 2015-11-30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724A true KR20170062724A (ko) 2017-06-08

Family

ID=5922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260A KR20170062724A (ko) 2015-11-30 2015-11-30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7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4710A (zh) * 2017-06-30 2017-10-20 安徽超清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学生接送交通引导系统
CN107886732A (zh) * 2017-11-20 2018-04-06 江苏网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违章抓拍控制系统及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4710A (zh) * 2017-06-30 2017-10-20 安徽超清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学生接送交通引导系统
CN107886732A (zh) * 2017-11-20 2018-04-06 江苏网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违章抓拍控制系统及其方法
CN107886732B (zh) * 2017-11-20 2020-09-08 江苏网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违章抓拍控制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4810B (zh) 用于监视在停车场上行驶的车辆的方法和设备
CN104183152B (zh) 用于识别可能将变为空闲的停车位的系统和方法
KR101191776B1 (ko)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주차관리방법
KR10162498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차관리 통합관제장치
KR101624983B1 (ko)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101639729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2477061B1 (ko) 주차장 내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624991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624997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US104749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 vehicle in a camera's field of view
KR20140118361A (ko) 종합 주차 관제 시스템
CN111386562B (zh) 停车位锁以及用于提供停车服务的系统和方法
CN111063215B (zh) 停车位安全监督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965508B1 (ko) 주차장 자동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170330399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parking facility
KR100970278B1 (ko)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124294B1 (ko) 어안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제어 연동 주차관리 시스템
KR101936824B1 (ko) 스마트 원패스 시스템
US20170080897A1 (en) Securing a motor vehicle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7012472B2 (ja) 宅配レンタカーカメラシステム
KR102506923B1 (ko) 이중주차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이중주차정보 제공 방법
KR20170062724A (ko) 주차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