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389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389A
KR20170025389A KR1020150121752A KR20150121752A KR20170025389A KR 20170025389 A KR20170025389 A KR 20170025389A KR 1020150121752 A KR1020150121752 A KR 1020150121752A KR 20150121752 A KR20150121752 A KR 20150121752A KR 20170025389 A KR20170025389 A KR 2017002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user
unique code
beacon sig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렬
김다연
채윤주
정석준
얼 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389A/ko
Publication of KR2017002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7C9/00023
    • G07C9/0010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하는 모바일 단말기,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고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 및 비콘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MART ENTRANCE MANAGEMENT USING MOBILE HANDSET}
본 발명은 출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접촉 식별 장치를 이용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은 무선 식별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선 식별(RFID) 카드를 항상 소지하고 잘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RFID 리더(reader) 장치에 RFID 카드를 충분히 근접시켜야 출입 관리 시스템이 RFID 카드에 기록된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다.
종래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RFID 카드는 무전원이고 RFID 리더가 RFID 카드에 질의 신호를 송출하고 RFID 카드가 질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면 RFID 리더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고 별다른 동작 없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것으로도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는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하는 모바일 단말기,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 및 상기 비콘 수신기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는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출입 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하고,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비콘 수신기 및 출입관리 서버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하는 단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수신기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는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된 통행 방향에 기초하여,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고 별다른 동작 없이 비접촉으로 출입구를 통과하는 것으로도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11), 비콘 수신기들(12, 13)과 출입 관리 서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는 사용자가 항상 몸에 소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춘 모바일 단말기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기이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기능은 대략 10 미터 안팎의 도달 범위를 가지고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저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단방향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BLE 규격을 이용한 비콘 장치는 극히 저전력을 소모하면서 간단한 정보를 가진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장시간 동안 송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블루투스 규격은 통상적으로 피코넷을 구성할 적어도 두 장치들 사이에 페어링을 요구하지만, BLE 규격은 페어링을 요구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기(11)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일방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1)는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단방향으로 송출할 뿐이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BLE 규격의 비콘 신호를 예로 들면, 약 47 바이트 길이의 패킷으로서, 프리엠블과 CRC 코드를 제외하고 약 31 바이트 길이의 PDU(protocol data unit)를 가질 수 있다. 비콘 신호에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가 PDU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신호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와, 고유 코드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코드, 내지 송신 출력값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출입 관리 시스템(10)은 출입구에 사용자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설비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통행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입하기 위해서 별다른 동작을 할 필요가 없고, 자연스럽게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하고 지나가면 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출입 관리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주차장 입구와 같이 일단정지 바(bar)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을 타고 출입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천천히 차량을 운행하여 주자창 입구를 지나가면 된다.
이러한 출입 관리 시스템(10)을 구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수신기(12)가 필요하다.
비콘 수신기(12)는 자유 공간 중에서 무선 비콘 신호가 검출되는지 지속적으로 대기하고 있으며, 비콘 신호가 검출되면, 검출된 비콘 신호로부터 고유 코드를, 또는 고유 코드뿐 아니라 인증 코드도, 추출할 수 있다.
비콘 수신기(12)는 일방적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할 뿐이고,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ACK 신호로 응답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는 적어도 두 개(12, 13)이고,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12, 13)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세 개의 비콘 수신기들을 설치한다면, 각자 비콘 신호를 수신 시에 측정된 전력 측정값들로부터 이론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1)가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후보 위치들을 대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세 비콘 수신기들이 통행 방향에 직교한 평면 상에 놓여 있다면, 두 개의 후보 위치들이 통행 방향 양쪽에 각각 하나씩 놓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입하는 것인지 진출하는 것인지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통행 방향을 좀더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12, 13)은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들(12, 13)은 각자 수신된 비콘 신호에서 추출된 송신 출력값 크기와 실제로 수신 시에 측정된 전력 측정값들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1)의 거리를 각자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값들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1)가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후보 위치들을 좀더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14)는 하나의 비콘 수신기(12) 또는 복수의 비콘 수신기들(12, 13)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출입 관리 서버(14)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의 고유 코드가 탈취된 것이 아님을 판정하여, 고유 코드를 인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서버(14)는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12, 13)이 비콘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또는 이러한 전력 측정값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비콘 수신기(12)가 산출하는 모바일 단말기(11)까지의 거리 값들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입 관리 서버(14)는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1), 비콘 수신기(12, 13) 및 출입관리 서버(14)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은 단계(S21)부터 시작할 수 있다.
단계(S21)에서, 모바일 단말기(11)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신호는 고유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송신 출력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비콘 수신기(12 또는 13)는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들(12, 13)은 적어도 두 개이고, 비콘 수신기들(12, 13)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들(12, 13)은 비콘 신호로부터 고유 코드를 추출하고, 나아가 고유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코드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들(12, 13)은 비콘 신호의 수신 시에 전력 측정값들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들(12, 13)은 비콘 신호로부터 송신 출력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송신 출력값과 측정된 전력 측정값을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기(11)와 비콘 수신기(12 또는 13) 사이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S23)에서, 출입 관리 서버(14)가, 비콘 수신기(12, 13)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S24)에서, 출입 관리 서버(14)는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12, 13)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서버(14)는, 비콘 수신기들(12, 13)이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한 송신 출력값과 측정된 전력 측정값을 비교하여 산출한 모바일 단말기(11)와 비콘 수신기(12 또는 13) 사이의 거리 값 및 이러한 거리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5)에서, 출입 관리 서버(14)는 판정된 통행 방향에 기초하여,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11 모바일 단말기
12, 13 비콘 수신기
14 출입 관리 서버

Claims (4)

  1.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하는 모바일 단말기;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 및
    상기 비콘 수신기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는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출입 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하고,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3. 모바일 단말기, 비콘 수신기 및 출입관리 서버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자유 공간에 송출하는 단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자유 공간 중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수신기에 수신되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코드 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는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은 출입구에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비콘 수신기들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측정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통행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된 통행 방향에 기초하여, 출입구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사용자와 진출하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출입 관리 방법.
KR1020150121752A 2015-08-28 2015-08-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52A KR20170025389A (ko) 2015-08-28 2015-08-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52A KR20170025389A (ko) 2015-08-28 2015-08-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89A true KR20170025389A (ko) 2017-03-08

Family

ID=5840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752A KR20170025389A (ko) 2015-08-28 2015-08-2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3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27B1 (ko) * 2017-03-21 2018-07-18 주식회사 에이엔디코리아 가변 송신 출력 및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실시간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618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로텍스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126501A (ko) * 2019-04-30 2020-11-09 장기헌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20220085284A (ko) * 2020-12-15 2022-06-22 디바이스디자인(주)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출입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27B1 (ko) * 2017-03-21 2018-07-18 주식회사 에이엔디코리아 가변 송신 출력 및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실시간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618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로텍스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126501A (ko) * 2019-04-30 2020-11-09 장기헌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KR20220085284A (ko) * 2020-12-15 2022-06-22 디바이스디자인(주)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출입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6181B2 (en) Hands-free fare gate operation
CN112243520B (zh) 用于移动设备和读取器设备之间的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JP5304612B2 (ja) 入退管理システム
KR2017002538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834408B2 (en) Elevator call registering system
CN101089897A (zh) 认证系统
EP3058792B1 (en) Wireless protocol message conversion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US9767328B2 (en) Autonomous tuning method to improve radio frequency performance
CN105046177A (zh) 通信设备的接近检查
KR102228653B1 (ko) 강화된 인증을 포함하는 태그 식별 시스템
KR102590615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자산에 보안 로컬 액세스 및 유효성 검증을 하기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4109033A1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システム
JP4149425B2 (ja) サーバ装置、移動方向判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U2018211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of a mobile asse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sset based on its movement
KR101020967B1 (ko)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556740B (zh) 身份认证系统及方法
CN111556494A (zh) 一种物联网配对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KR101550658B1 (ko) 동적 id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태그
KR20160027483A (ko) 유저 식별을 통한 시큐리티 시스템
JP5050778B2 (ja) 無線タグ検出システム、無線タグ検出装置及び通過検出システム
JP5155115B2 (ja) 質問器を指定して応答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11879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210054921A (ko) 고정밀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 암호화를 이용한 차량 탑승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5021271A (ja) 電気設備制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