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014A -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014A
KR20240045014A KR1020220124741A KR20220124741A KR20240045014A KR 20240045014 A KR20240045014 A KR 20240045014A KR 1020220124741 A KR1020220124741 A KR 1020220124741A KR 20220124741 A KR20220124741 A KR 20220124741A KR 20240045014 A KR20240045014 A KR 2024004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reserved
electronic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근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014A/ko
Publication of KR2024004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공간 예약 방법은,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 구역을 선택하며, 선택된 주차 구역의 빈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주차장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전자 장치로부터 빈 주차 공간이 예약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제2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상태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전자 장치에 주차 공간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표시하는 과정; 주차장에 전자 장치의 진입이 감지되면, 해당 주차 주차 구역의 전자 유도 장치에 의해 실내 측위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및 예약 주차 공간에 주차가 감지되면, 주차된 공간의 표시등을 주차 상태로 표시하고 전자 장치에 주차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ERVING A PARKING SPACE OF PARKING LOT}
본 개시는,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에 따라 차량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쇼핑몰, 백화점, 놀이 공원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들이 건설되고 있다. 이런 건축물들은 복수의 지하 또는 지상 층에 주차장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야외에 다수의 구역들로 이루어지는 대형 주차장들이 구비될 수 있다. 대형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빈 주차 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배회하여야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차량들이 동시에 몰려 주차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내의 교통 혼잡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격된 위치에서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격된 위치에서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하고, 주차장에 근접되면 주차장 내에서 예약된 주차 공간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차장 예약 방법은, 주차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 사용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주차 운용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제1 주차 상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빈 주차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하는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예약 주차장을 목적지로 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 차량이 감지되면 주차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되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 및 차량의 예약 주차 공간에서 주차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며,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정보인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예약 시스템의 주차 공간 예약 방법은,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 구역을 선택하며, 선택된 주차 구역의 빈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주차장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전자 장치로부터 빈 주차 공간이 예약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제2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상태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전자 장치에 주차 공간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표시하는 과정; 주차장에 전자 장치의 진입이 감지되면, 해당 주차 주차 구역의 전자 유도 장치에 의해 실내 측위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및 예약 주차 공간에 주차가 감지되면, 주차된 공간의 표시등을 주차 상태로 표시하고 전자 장치에 주차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주차 공간 예약 방법은, 예약 주차 공간에 예약 차량 이외의 다른 차량이 주차되면, 예약 주차 공간에 인접된 빈 주차 공간을 구역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 및 변경 설정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차 예약 정보는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장애인 주차 구역, 여성 주차 구역 또는 일반 주차 구역의 빈 주차 공간들을 표시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약 주차 표시는 주차 표시등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약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주차 운영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주차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예약 주차장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차장의 주차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예약 주차 정보를 전송하며, 주차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주차장의 주차 정보에서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예약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주차 예약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며, 예약 주차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기반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며, 주차장의 설정 거리에 위치되면, 주차 운영 서버로부터 예약된 주차 구역 정보가 포함된 주차장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인 제2 네비게이션 정보로 표시하며, 차량의 예약 주차 구역에 주차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에서 주차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예약 주차장 정보는 장애인, 여성 및/또는 일반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주차 상태 정보는 선택된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주차 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예약 장치는, 차량 진입시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차량 정보 인식기; 설정된 주차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 및 주차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는, 표시등을 포함하며, 주차 공간에서 차량 주차 여부를 감지하여 표시등을 통해 주차 또는 빈 주차 공간을 표시하는 주차 감지부; 주차 구역의 통로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부; 및 주차 운영 서버와 통신하며 주차 감지부 및 차량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차 유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는, 예약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전자 장치 및 주차 유도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전자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주차장 정보를 수신하며, 전자 장치에 주차장의 주차 및 빈 주차 공간들을 표시하는 주차장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로부터 빈 주차 공간이 포함된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주차 유도 장치의 대응되는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차량 정보 인식기에서 예약 주차를 선택한 차량이 인식되면, 예약된 주차 구역 정보가 포함된 주차장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제2 네비게이션 정보로 전송하며, 예약 주차 구역에 주차 완료를 감지하면 주차 구역을 주차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차 운영 서버는, 전자 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주차장의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내의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하고 주차장 내에 예약된 빈 주차 공간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추천하거나 예약할 수 있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예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예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장치(3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예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예약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운영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예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공간 안내 시스템은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 주차 운영 서버(200) 및 통신망(3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차량에 연결되거나 내장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0)와 주차 운영 서버(200)가 통신망(300)을 통해 주차 예약 정보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주차 애플리케이션은 주차 예약이 가능한 주차장에 대한 정보, 주차 예약 등에 대한 정보 등을 주차 운영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전자 장치(100)에 주차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서버일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각 개별 주차장에 존재하는 로컬 서버일 수도 있고, 여러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일 수도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며 주차장 내에 예약된 주차 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며, 차량이 주차장 내에 진입하면 차량의 전자 장치(100)에 예약 주차 공간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210), 메모리(220), 통신부(230), 센서부(240), 입력부(250), 표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유선 통신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GNSS 모듈, NFC 모듈, UWB 및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RF 모듈은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WiFi 모듈은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을 무선화한 무선랜(wireless LAN)이 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무선 전자 장치들을 무선링크(예를 들면, 2.4GHz 대역)를 통해 소출력으로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모듈이다. GPS 모듈 및 GNSS 모듈은 대응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확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 및 GNSS 모듈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UWB 모듈은 고주파수에서 전파를 통해 작동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매우 정밀한 공간 인식과 방향성이 특징으로, 모바일 기기가 주변 환경을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UWB 모듈은 넓은 면적의 공간에서 정확한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다. 예를 들면, UWB모듈은 신호의 세기뿐만 아니라 시간 단위 계산으로 비교적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GPS가 안되는 실내 위치 측정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망에 연결되어 다른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5G, LTE, LTE-A, CDMA, WCDMA 또는 UMT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telecommunications network)(300)은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공중 전화 망 (telephone network), 공중 무선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제스처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 (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터치 패널, (디지털) 펜 센서 및/또는 키(key)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키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디스플레이 패널, 홀로그램 장치, 프로젝터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입력부(250)의 터치 패널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며, 자이로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각속도를 센싱하기 센서이며,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를 검출하여 전자 장치(100)의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는 3축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방향, 방향 회전 여부 및 정지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실내 측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측위부는 센서부(240)를 통해 센싱된 값과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전자 장치(100)의 측위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공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보, 차량 정보 및 현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신되는 제1 주차 상태 정보에서 빈 주차 공간들 중에서 선택된 예약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주차장에 도착되면, 전자 장치는 차량의 이동에 따라 실내 측위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자는 표시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예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차장 예약 시스템은 주차 운영 서버(200), 차량 정보 인식기(320), 주차 유도 장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주차 예약 시스템은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차량 정보 인식기(320)는 주차장 입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 정보 인식기(320)는 입장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 내에서 복수의 층들에 주차장이 있는 경우, 주차 유도 장치(310)는 각 층 주차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놀이 공원과 같이 야외에 넓은 지역에서 주차장이 설치되고, 주차장은 복수의 구역들로 분할된 경우, 주차 유도 장치(310)는 각 주차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10)가 설치되는 공간은 챠량 주차 공간들 및 주차 공간들 사이에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차량 정보 인식기(320), 주차 유도 장치(3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전자 장치(300)와 주차 예약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주차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주차 유도 장치(310)의 해당 주차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예약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표시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300)는 차량 정보 인식기(320)에서 주차 예약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주차 유도 장치(31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차량 이동 정보를 획득하여 예약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 경로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예약 주차 공간에 차량이 위치되면 주차 예약 서비스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제어 모듈(410), 메모리 모듈(420), 통신 모듈(430), 입력 모듈(440), 표시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주차 운영 서버(2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은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는 주차 운영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은 주차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420)은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430)은 유선 통신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430)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주차 예약 정보 및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정보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주차 상태 정보 및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입력 모듈(440)은 주차장 운영자가 입력하는 주차 운영에 관련되는 정보 미 및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 모듈(450)은 주차 운영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장치(3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 유도 장치(310)는 주차 유도 제어부(500), 게이트웨이(510), 층별 유도부(520), 구역 유도부(530), 주차 감지/표시부(5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는 설정된 주차 구역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놀이 공원과 같이 넓은 야외 주차장을 구비하는 경우, 야외 주차장을 구역별로 분리하여 주차 유도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쇼핑몰과 같이 건물에 복수의 층을 주차장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유도 장치는 층별 주차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주차장에 전자 유도 장치가 구성되는 차량을 실내 측위하여 경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건축물에서 층별 주차 유도 장치(310)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게이트웨이(510)는 주차 운영 서버(200)과 해당 주차 유도 장치(310)의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10)은 주차 운영 서버(200)과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로 접속될 수 있다.
층별 유도부(520)는 해당 층에 도착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층 이름, 해당 층의 주차 대수, 차량 진행 방향(입출구)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는 카메라 및/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 정보 및 차량 이동을 감지하여 실내 측위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60도 전방위 카메라인 경우, 진입되는 차량의 정보(예를 들면, 차량 번호) 및 차량 이동 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역 유도부(530)는 주차장에 구비된 복수의 주차 구역들(550)을 감시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역 유도부(530)는 주차 구역을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역 유도부(530)는 차량 정보 및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와 해당 주차 구역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층별 유도부(520) 및 구역 유도부(530)는 차량 인식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차 감지/표시부(540)는 주차 공간에 챠량의 주차 여부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 및 주차 공간에 차량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및 표시등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센서/표시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등은 주차 공간에 차량 주차를 나태는 적색, 빈 주차 공간임을 나타내는 녹색, 예약 공간임을 나타내는 색상(예를 들면 주황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예약등이 특정 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다른 차량이 빈 주차 공간임을 인식하고 주차할 수 있으므로, 표시등을 오프시켜 주차 예약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제어부(500)는 게이트웨이(510)를 통해 층별 유도부(520), 구역 유도부(530), 주차 감지/표시등(540)와 통신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제어부(500)는 주차 감지/표시등(540)에서 출력되는 주차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 공간에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감지된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운영 서버(200)에서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설정된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표시등을 예약 상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층별 유도부(520) 및/또는 구역 유도부(530)에서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차량이 감지되면 센서부를 통해 해당 차량의 이동을 실내 측위하여 예약 주차 공간으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200) 및/또는 해당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차량 내에 위치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휴대장치 또는 차량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 주차를 예약할 수 있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주차 유도 장치(3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주차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주차 예약 요청에 기반하여 주차장의 특정 주차 공간을 예약할 수 있다. 주차장의 주차 공간들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어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은 장애인, 여성, 일반 주차 구역들로 구분되어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전자의 특징에 따라 차량을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 주차 구역에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주차 공간들은 다수의 운전자들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주차장이 넓거나, 주차장 층 수가 많은 경우, 운전자들은 주차장 내에서 빈 주차 공간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허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차장 내부가 혼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리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하고, 예약된 주차공간까지 이동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면 주차장 내의 교통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등급에 따라 높은 등급을 가지는 고객들의 주차장을 설정하고, 해당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는 주차장의 주차 운영 서버(200)에 주차 예약을 하기 위한 정보들을 등록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에 등록하는 주차 예약 정보는 사용자 정보, 차량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종, 차량 번호 등을 포함할 있다. 사용자 정보는 장애인, 여성, 일반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일반 등록의 경우에는 사용자 등급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예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주차 예약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하는 주차장의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접속한 후, 611 단계에서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주차 예약 정보는 사용자 정보, 차량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주차 운영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613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 구역의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가 장애인 사용자 정보이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장애인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인 주차 공간은 해당 주차 구역에서 출입구에 가깝게 위치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운영 서버(200)는 각 주차 유도 장치(310)들에 장애인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요구하고, 주차 유도 장치(310)은 해당 주차 구역에서 위치된 장애인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수집된 주차 구역별 장애인 주차 공간 상태 정보들을 결합하여 제1 주차 상태 정보로 생성한 후, 613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가 여성 사용자 정보이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여성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성 주차 공간은 특정 구역의 주차 공간을 여성 주차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주차 구역에서 출입구에 가깝게 위치된 곳의 일부 주차 공간을 여성 주차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운영 서버(200)는 각 주차 유도 장치(310)들에 여성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요구하고, 주차 유도 장치(310)은 해당 주차 구역에서 위치된 여성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수집된 주차 구역별 여성 주차 공간 상태 정보들을 결합하여 제1 주차 상태 정보로 생성한 후, 613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가 일반 사용자 정보이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일반인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전용 서버(200)는 모든 일반인에 예약 주차를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일반인 예약 주차 요청이면, 일반 주차 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613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일반인들 중에서 특정 일반인들에만 주차 예약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건물에서 특정 행사(예를 들면, 결혼식, 세미나 등)를 하는 사용자, 또는 일반인 중에서 VIP 사용자인 경우에는 예약 주차 서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일반 주차 구역에서 특정 주차 구역을 예약 주차 서비스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약 주차 서비스가 요청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수집된 주차 구역별 일반인 주차 공간 상태 정보들을 결합하여 제1 주차 상태 정보로 생성한 후, 613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는 제1 주차 상태 정보에서 빈 주차 공간을 선택하고, 전자 장치(100)는 615 단계에서 선택된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하는 제2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주차 운영 서버(200)는 617 단계에서 예약 주차 공간의 주차 유도 장치(310)에 전송하고, 주차 유도 장치(310)는 예약된 주차 공간의 주차 표시등을 예약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약 상태의 표시등은 주차 및 빈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하는 색상 이외의 다른 색상으로 예약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약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오프시켜 예약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주차 운영 서버(200)는 619 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에 예약 주차가 나타내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주차장의 특정 주차 공간이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이때의 예약 주차는 임시로 예약된 상태일 수 있다. 주차장의 주차 공간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을 구비하는 차량이 이동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예약 주차를 요청한 차량의 현 위치를 확인하고, 현 위치에서 주차장까지의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 시간 동안 예약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예약 주차를 한 차량이 이동하는 중에 다른 차량이 예약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주차 운영 서버(200)는 다른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하여 전자 장치(100)에 변경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21 단계에서 목적지를 주차장으로 설정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네비게이션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센서부(240)의 GPS 및/또는 GNSS에서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일 수 있다. 예약 주차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주차 운영 서버(200)은 전자 장치(100)가 예약한 주차 공간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10)는 예약된 주차 공간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하면 이를 주차 운영 서버(200)에 알릴 수 있으며, 주차 운영 서버(200)는 63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약된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의 주차를 감지하면, 633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에 다른 빈 주차 공간의 예약을 통보하며, 주차 유도 장치(310)는 인접한 다른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상태로 표시하고,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635 단계에서 변경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을 포함한 차량이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장이 도착하면, 차량 정보 인식기(320)는 주차 예약한 차량임을 인식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641 단계에서 차량 정보 인식기(320)의 출력에 의해 주차 예약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주차 유도 장치(31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주차장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내 주차장에서 실내 측위를 하여 차량의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 주차장 내부에서 실내 측위를 하는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저전력 블루투스(BLE) 초광대역(UWB) 등이 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00)는 이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들의 세기와 전달 속도 등 특징들과 삼각, 삼변 측량법을 활용해 위치를 차량 이동의 실내 측위를 할 수 있다.
영상 처리 기반의 실내 측위는 주차 유도 장치(310)에서 실내 각종 위치에 대한 영상을 일정 단위마다 저장한다. 그리고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차량 영상과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유도 장치(310)는 해당 층의 입출구에 위치되는 층별 유도부(520) 및 층별 주차장의 주차 구역들에 각각 설치되는 구역 유도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층별 유도부(520) 및 구역 유도부(530)은 360도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주차 유도 제어부(500)는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동되는 차량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 이동을 실내 측위할 수 있다. 층별 유도부(520)는 층별 주차장의 출입구에 위치되는 해당 층에 진출입하는 차량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구역 유도부(520)는 대응되는 주차 구역에서 이동되는 차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10)는 해당 층에서 주차 예약한 차량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이동을 실내 측위할 수 있다.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전자 장치(100)는 645 단계에서 주차 운영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주차 운영 서버(200)는 643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에서 제공되는 실내 측위 정보에 기반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전자 장치(100)의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면서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약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주차 유도 장치(310)은 예약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면, 주차 감지부(540)에 의해 주차를 감지하고 이를 주차 운영 서버(200)에 알린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예약 주차 공간에 예약 차량이 주차되면 647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49 단계에서 주차 예약 서비스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예약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711 단계에서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13 단계에서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장애인 주차장, 영성 주차장 또는 일반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가 제1 주차 예약 정보에 따른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면, 전자 장치(100)는 715 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717 단계에서 제1 주차 상태 정보에서 빈 주차 공간을 선택하여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하는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가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면, 전자 장치(200)는 719 단계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약 주차 절차를 수행한 후, 전자 장치(100)는 731 단계에서 제1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733 단계에서 표시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주차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 이동 중에 예약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예약 주차공간을 변경하고, 변경된 주차 공간 정보를 변경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한다. 전자 장치(100)는 735 단계에서 변경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을 감지하고, 737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다.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중에 주차 운영 서버(200)로부터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73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41 단계에서 수신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743단계에서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네비게이션 정보는 주차 운영 서버(200)에서 이동되는 차량을 실내 측위하면서 예약 주차 공간으로 차량 이동을 유도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약 표시등을 확인하면서 예약된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면, 전자 장치(100)는 74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운영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1 주차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811 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813 단계에서 제1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주차 상태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장애자 주차장, 여성 주차장 또는 일반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제1 주차 상태 정보에 따라 빈 주차 공간이 선택된 제2 주차 예약 정보가 전송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815 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817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상태로 표시하고, 이를 포함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주차 운영 서버는 주차 유도 장치(310)에서 전송되는 예약 주차 공간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약된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83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주차 유도 장치(310)를 통해 833 단계에서 해당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주차 상태로 표시하고, 835 단계에서 다른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하여 예약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주차 운영 서버(200)는 837 단계에서 변경된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에 도착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841단계에서는 차량 정보 인식기(3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843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에서 실내 측위된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845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를 통해 예약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이 예약된 주차 공간에 주차되면, 주차 운영 서버(200)는 847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849 단계에서 주차 유도 장치(310)를 통해 해당 주차 구간을 주차 상태로 표시하고 주차 예약 서비스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0)

  1. 차량과 이동되는 전자 장치의 주차장 예약 방법에 있어서,
    주차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
    사용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주차 운용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주차 상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빈 주차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설정하는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예약 주차장을 목적지로 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주차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되는 차량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예약 주차 공간에서 주차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를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정보인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주차 관리 서버의 주차 공간 예약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주차 구역을 선택하며, 선택된 주차 구역의 빈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주차장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빈 주차 공간이 예약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상태 표시등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주차 공간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표시하는 과정;
    주차장에 상기 전자 장치의 진입이 감지되면, 해당 주차 주차 구역의 전자 유도 장치에 의해 실내 측위되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예약 주차 공간에 주차가 감지되면, 주차된 공간의 표시등을 주차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주차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주차 공간에 예약 차량 이외의 다른 차량이 주차되면, 상기 예약 주차 공간에 인접된 빈 주차 공간을 구역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변경 설정된 제2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차 예약 정보는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장애인 주차 구역, 여성 주차 주차 구역 또는 일반 주차 구역의 빈 주차 공간들을 표시하는 제2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주차 표시는 주차 표시등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예약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주차 운영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주차 예약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예약 주차장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차장의 주차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예약 주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주차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정보에서 빈 주차 공간을 예약 주차 공간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예약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주차 예약 정보를 상기 주차 운영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예약 주차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기반하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주차장의 설정 거리에 위치되면, 상기 주차 운영 서버로부터 예약된 주차 구역 정보가 포함된 주차장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예약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인 제2 네비게이션 정보로 표시하며,
    상기 차량의 예약 주차 구역에 주차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주차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예약 주차장 정보는 장애인, 여성 및/또는 일반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선택된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 주차 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주차장의 주차 예약 장치에 있어서,
    차량 진입시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차량 정보 인식기;
    설정된 주차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 및
    주차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표시등을 포함하며, 주차 공간에서 차량 주차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등을 통해 주차 또는 빈 주차 공간을 표시하는 주차 감지부; 및
    주차 구역의 통로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부; 및
    주차 운영 서버와 통신하며 주차 감지부 및 차량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차 유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운영 서버는
    예약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전자 장치 및 상기 주차 유도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주차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주차장의 주차 및 빈 주차 공간들을 표시하는 주차장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빈 주차 공간이 포함된 주차 예약 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대응되는 주차 공간의 표시등을 예약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량 정보 인식기에서 예약 주차를 선택한 차량이 인식되면, 예약된 주차 구역 정보가 포함된 주차장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제2 네비게이션 정보로 전송하며,
    상기 예약 주차 구역에 주차 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주차 구역을 주차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운영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전송되는 주차 예약 정보에 포함된 장애인, 여성 또는 일반인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주차장의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20124741A 2022-09-29 2022-09-29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45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741A KR20240045014A (ko) 2022-09-29 2022-09-29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741A KR20240045014A (ko) 2022-09-29 2022-09-29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014A true KR20240045014A (ko) 2024-04-05

Family

ID=9071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741A KR20240045014A (ko) 2022-09-29 2022-09-29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747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LAN system
JP5264062B2 (ja) 環境内、特に建物内でユーザを案内する方法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1779521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정보처리장치
KR101505871B1 (ko)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방법
KR101876557B1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904358B2 (en) System for displaying a map
KR101643292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102197704B1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KR20180057802A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6271B1 (ko)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위치 인식 관리시스템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058B1 (ko) 주차 차량 위치 안내 시스템
KR20180087064A (ko) 자동차 번호판 인식을 통한 주차장 잔여석 표시 시스템
KR20160150280A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JP2010102514A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KR101576530B1 (ko) 주차위치 기록방법 및 시스템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20160089580A (ko) 무인지상차량을 이용한 주차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90752B1 (ko)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KR1023936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KR101969638B1 (ko)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20200009446A (ko)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40045014A (ko)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